KR200205752Y1 -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752Y1
KR200205752Y1 KR2020000018560U KR20000018560U KR200205752Y1 KR 200205752 Y1 KR200205752 Y1 KR 200205752Y1 KR 2020000018560 U KR2020000018560 U KR 2020000018560U KR 20000018560 U KR20000018560 U KR 20000018560U KR 200205752 Y1 KR200205752 Y1 KR 200205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holes
lower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18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이나 토목공사시에 토압에 의해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토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조립식 옹벽을 조립식으로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수의 잡석삽입공(85)을 형성하여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결합공(82)과, 배면에 형성된 배수공(84)과, 상면 및 삽입홈(87)의 측면에 각각 연결봉(7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82)으로 이루어진 H자형 블록(80)과; 상기 H자형 블록(80)에 형성된 결합홈(87)으로 삽입되는 연결봉(71)과 통공(72)을 형성한 연결블록(70)과; 상기 H자형 블록(80) 및 연결블록(70)의 상층에 적층되는 다수의 식재공(91,92,93)이 형성된 상부블록(90)을 서로 연결 및 적층하여 옹벽(100)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블록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precast)한 것으로서, 이들을 조립하여 옹벽을 축조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연결블록(70)의 결합에 의해 옹벽의 안정성 및 견고성이 향상되고, 상부블록(90)의 식재공(91,92,93)에 관목 등을 심을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Assembly-type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이나 토목공사시에 토압에 의해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토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조립식 옹벽을 조립식으로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사의 유실 및 붕괴를 막기 위한 옹벽으로서,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이 이용된다.
이러한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은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조하고 제조된 거푸집 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굳으면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축조되며, 축조된 옹벽의 붕괴를 막기 위해 다수의 배수공이 전면으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옹벽은 시공하는데 있어서 공사기간이 길고, 시공비도 많이 들었으므로, 자재를 보관하기 위한 장소를 확보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표면의 미관이 좋으며, 배수처리가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환경친화적인 조립식 옹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엇갈려 쌓아 적층한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렬로 쌓아 적층한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을 일렬로 쌓기 할 때의 상하 두 개의 하부블록(80)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을 결합하는 연결블록(7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옹벽의 단위 상부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0. 제 1하부블록층 40. 제 2하부블록층
80. 하부블록 70. 연결블록
87. 결합홈 82. 삽입공
81. 철근공 84. 배수공
91,92,93. 식재공 90. 상부블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상에 의해 축조되는 조립식 옹벽은 다수의 잡석삽입공을 형성하여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결합공과, 배면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면 및 삽입홈의 측면에 각각 연결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으로 이루어진 H자형 블록과; 상기 H자형 블록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연결봉과 통공을 형성한 연결블록과; 상기 H자형 및 연결블록의 상층에 적층되는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상부블록을 서로 연결 및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한 여러 개의 단위 블록들을 서로 조립하여 옹벽을 구성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좌우로는 연결블록의 연결봉을 하부블록의 삽입공에 끼워 결합하고, 상하로는 철근공에 철근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 및 견고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록에 형성된 잡석삽입공과 그 배면에 형성된 배수공의 형성에 의해 배수처리가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상부블록에 형성된 식재공에 관목 등을 심을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사를 지지하는 후면에만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에 표면문양처리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100)은 잡석 등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10)와, 그 위에 적층된 모래 등을 포함하는 버림콘크리트(20)와, 그 위에 차례로 적층된 제1 하부블록층(30), 제2 하부블록층(40) 및 제3 하부블록층(50)과, 그 위에 적층된 상부블록층(60)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부호(1)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을 나타내며, 부호(2)는 토사를 지지하는 후면을 나타내고, 부호(80)은 하부블록층(30.40.50)을 구성하는 단위 하부블록을 나타내며, 부호(90)은 상부블록층(60)을 구성하는 단위 상부블록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하부블록층(30,40,50)을 쌓는 중간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제2 하부블록층(40)을 쌓는 도중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쌓을 수도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일렬이 되도록 쌓을 수도 있다.
도 1, 2, 3 및 4에는 설명의 편의상 각 단위 블록의 세부구조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그 세부구조는 도 5, 6 및 7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블록층(30,40,50)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precast)한 여러 개의 단위 하부블록(80)을 서로 연속적으로 정렬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인접한 두 개의 단위 하부블록(80) 사이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해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한 연결블록(70)이 연결된다.
하부블록층(30,40,5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층 또는 그 이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하부블록(80)을 상하 일렬로 쌓을 경우의 상하 두 개의 하부블록(80)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하부블록(80)에는 상하방향으로 뚫린 여러 개의 잡석삽입공(85)이 형성되며, 이 잡석삽입공(85)에는 깨진 자갈 또는 모래 등이 채워짐으로써, 옹벽을 지지하여 옹벽을 안정되게 하며, 또한 원활한 배수를 돕는다.
토사를 지지하는 면으로서 하부블록(80)의 후면(2)에는 여러 개의 배수공(84)이 형성된다. 하부블록(80) 하면에는 반원공(83)이 형성되며, 기중기 등으로 하부블록(80)을 들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에 내려놓을 때 하부블록(80) 하면을 지지하는 스틱이 반원공(83)에 삽입고정된다. 하부블록(80)의 전면(1)에는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배수공이 형성되지 않고 표면문양처리를 한다. 하지만 외관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하부블록(80)의 전면(1)에도 배수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블록(80)의 소정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철근을 삽입하기 위한 철근공(81)이 형성되며, 이 철근공(81)에 삽입된 철근은 제1, 제2 및 제3 하부블록층(30,40,50)을 서로 결합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상부블록층(60)을 구성하는 단위 상부블록(90)의 하면에도 철근이 삽입되기 위한 철근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단위 하부블록(80)의 하부는 사각기둥 형태이며, 상부는 연결블록(7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87)이 양쪽 모서리 중 일부에 형성되어 상면의 평면모양이 H자 형태를 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블록(7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뚫린 여러 개의 통공(72)이 형성되고, 이 통공(72)에도 하부블록(80)의 잡석삽입공(85)과 마찬가지로 깨진 자갈 또는 모래 등을 채울 수 있다.
연결블록(70)은 하부블록(80)의 결합홈(87)에 삽입된 상태로 하부블록(80) 위에 놓여짐으로써, 하부블록(80)에 의해 지지되며 유동 없이 수직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연결블록(70)의 양쪽 측면에는 인접한 결합홈(87)이 형성된 하부블록(80) 상부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봉(71)이 연결블록(70)의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결합홈(87)이 형성된 H자 모양의 하부블록(80) 상부의 내면에 형성된 삽입공(82)에 연결블록(70)의 연결봉(71)이 끼워짐으로써, 인접한 하부블록(80) 사이의 결합이 확고히 된다.
도 7에 나타내 바와 같이, 맨 위에 적층되는 상부블록층(60)을 구성하는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한 단위 상부블록(90)은 대체적으로 사각기둥 형태를 하고 있으며, 관목 등을 심기 위한 구멍으로서 상면에서 하면까지 뚫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여러 개의 식재공(91,92,93)이 형성된다. 이 중에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식재공(91)은 하부블록(80)의 내 개의 잡석삽입공(85) 크기의 합과 비슷하며, 중앙의 식재공(93)은 하부블록(80)의 잡석삽입공(85)의 크기와 비슷하고, 식재공(91) 사이에 위치한 식재공(92)은 하부블록(80)의 두 개의 잡석삽입공(85) 크기의 합과 비슷하다.
상부블록(90)의 하면에도 하부블록(80)과 마찬가지로 좌우방향으로 뚫린 반원공(96)을 형성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1)에 표면문양처리를 한다.
상부블록(90)의 식재공(91,92,93)에는 흙이 채워지며, 관목 또는 잔디 등의 식물이 심어짐으로써 미관을 좋게 하고, 환경친화적인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용 블록을 적층하는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블록(80)을 기중기 등으로 해당위치에 내려놓은 후 연결블록(70)의 연결봉(71)을 하부블록(80)의 연결공(71)에 끼우는 방식으로, 하부블록(80) 및 연결블록(70)을 횡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제1 하부블록층(30)을 구성하며, 각 하부블록(80)의 철근공(81)에 철근을 삽입한다.
이어서, 제1 하부블록층(30)의 하부블록(80)에 끼워져 있는 철근을 그 위에 적층되는 제2 하부블록층(40)의 하부블록(80)의 철근공(81)에 끼우고, 제1 하부블록층(30)과 같은 방식으로 하부블록(80) 및 연결블록(70)을 횡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제2 하부블록층(40)을 적층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3 하부블록층(50)을 적층하고, 그 위에 상부블록층(50)을 적층하여 옹벽을 완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은 공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미리 제조한 여러 개의 블록들을 서로 조립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좌우로는 연결블록의 연결봉을 하부블록의 삽입공에 끼워 결합하고, 상하로는 철근공에 철근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 및 견고성이 향상된다.
또한, 블록에 형성된 잡석삽입공들과 배면에 형성된 배수공의 형성에 의해 배수처리가 용이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상부블록에 형성된 식재공에 관목 또는 잔디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사를 지지하는 후면에만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에 표면문양처리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수의 잡석삽입공을 형성하여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결합공과, 배면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면 및 삽입홈의 측면에 각각 연결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으로 이루어진 H자형 블록과;
    상기 H자형 블록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연결봉과 통공을 형성한 연결블록과;
    상기 H자형 및 연결블록의 상층에 적층되는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상부블록을 서로 연결 및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용 블록.
KR2020000018560U 2000-06-29 2000-06-29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KR200205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60U KR200205752Y1 (ko) 2000-06-29 2000-06-29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60U KR200205752Y1 (ko) 2000-06-29 2000-06-29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752Y1 true KR200205752Y1 (ko) 2000-12-01

Family

ID=1966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60U KR200205752Y1 (ko) 2000-06-29 2000-06-29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73B1 (ko) 2013-01-31 2013-05-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KR20180134445A (ko) 2017-06-08 2018-12-1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173B1 (ko) 2013-01-31 2013-05-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방파제의 조립식 호안블록
KR20180134445A (ko) 2017-06-08 2018-12-1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0205752Y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CN105804085B (zh) 多单元井筒式地下立体车库分区施工方法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60059409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60129146A (ko) 옹벽용 피씨구조체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60084145A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102139214B1 (ko) 격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78066B1 (ko)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78064B1 (ko)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KR200205731Y1 (ko) 중력식 보강토 옹벽구축용 및 법면 보호용 블록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JPS6233374B2 (ko)
JP2975285B2 (ja) 井桁組擁壁
KR200364574Y1 (ko) 조경용 자연석의 옹벽구조
JP3774459B2 (ja) 組立柵工
JPH0671538U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構造
JPS63472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