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145A -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그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그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145A
KR20060084145A KR1020050004180A KR20050004180A KR20060084145A KR 20060084145 A KR20060084145 A KR 20060084145A KR 1020050004180 A KR1020050004180 A KR 1020050004180A KR 20050004180 A KR20050004180 A KR 20050004180A KR 20060084145 A KR20060084145 A KR 2006008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main body
construction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028B1 (ko
Inventor
정원영
Original Assignee
화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일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0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지반의 가파른 경사로 인하여 일어나는 지반의 붕괴를 막기위한 옹벽에 있어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및 옹벽을 튼튼하게 축조하기위한 옹벽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옹벽설치 지역이 곡선인 경우에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또한, 블록에 배수관을 포함하고 옹벽뒤 지반과 옹벽간의 결착력을 강화시켜, 옹벽뒤 지반과 옹벽의 무너짐을 방지하고 옹벽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설치공, 그리고 축조된 옹벽에서의 중력방향 및 상기 설치공 형성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상기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을 일정높이로 적층한 후,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에 옹벽에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옹벽, 블록, 배수관, 지지봉, 축조

Description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그 축조방법{CONSTRUCTION BIO-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도 1 은 본 발명인 옹벽축조용 식생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A-A'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중공부
12: 설치공 13: 요입부
14a: 수결합부 14b: 암결합부
15: 보강부재홈 16a: 전면부
16b: 후면부 17a: 상면부
17b: 저면부 20: 배수관
30: 지지봉 40: 보강부재
41: 저항돌기 50: 기둥부재
본 발명은 지표지반의 가파른 경사로 인하여 일어나는 지반의 붕괴를 막기위한 옹벽에 있어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및 옹벽을 튼튼하게 하기위한 옹벽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악지역이 많은 관계로 옹벽을 설치하여야할 지역이 많아서 옹벽용 블록은 여러 가지가 기존에 존재하며, 그 축조방법 또한 많다.
종래의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축조 방법에 대해 보면, 2001년 5월 25일에 등록된 "옹벽용 화분블럭"(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20-0233310)과 2004년 7월 2일에 등록된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10-0440091)을 볼 수 있다.
옹벽의 축조시에는 옹벽뒤 지반이 빗물 등의 침수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수관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방법은 지반에 직접 배수관을 묻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배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1은 배수관을 블록에 연결하여 배수의 효율성을 높이긴 하였으나 이는 식물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며 또한 배수된 물이 블록내에 갇히게 되어 블록이 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블록자체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블록의 적층형태는 수직 쌓기, 엇쌓기, 계단식 쌓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축조지형에 따라 곡선으로 옹벽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옹벽의 축조는 블록간의 구축력을 강화시켜 블록간의 어긋남이나 옹벽에서의 이탈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옹벽 축조작업이 용이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1은 블록의 상하간에 지지턱과 보강턱 그리고 지지핀으로 결합시켜 구축력을 강화하긴 하였으나, 상하 블록간에 지지핀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옹벽축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1을 보면 곡선지역에서 옹벽축조가 가능하긴 하나 이는 수직 쌓기 또는 엇 쌓기 형식을 취할 경우에만 상하단 블록간 결합하고 계단 쌓기에서는 상하단 블록이 결합하지 않아 블록간 구축력이 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옹벽 축조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은 옹벽과 옹벽뒤의 지반을 강하게 결착시키는 수단이 결여되거나 결착력이 약하여 옹벽뒤의 지반이 빗물 등에 의해 묽게 되거나, 옹벽뒤의 지반이 옹벽에 가하는 힘이 큰 경우에 옹벽이 무너지거나 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2를 보면, 우선 수직 쌓기에 한정되고 곡선지역에서는 옹벽축조가 곤란한 축조방법이라는 단점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록벽체 이외에 별도의 숏크리트(shotcrete)층을 형성하여 블록 벽체의 지지력을 강화하였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공사기간이 장기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블록벽체와 숏크리트층을 하나의 옹벽이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옹벽과 옹벽뒤의 지반과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보강대를 형성하였으나 지반의 하중이 지지보강대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고, 이를 분산하기 위해 여러개의 지지보강대를 형성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공사기간 또한 장기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바와 같이 종래의 각종 옹벽축조용 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옹벽을 튼튼하게 축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축조된 옹벽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직선이 아닌 곡선지역에서도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하며, 옹벽 축조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옹벽뒤 지반에서 배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블록 상호간 구축력을 강화하고 축조된 옹벽과 옹벽뒤의 지반과의 결착력을 강화하여 옹벽의 무너짐이나 밀림을 방지 하는데 목적이 있다.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설치공, 그리고 축조된 옹벽에서의 중력방향 및 상기 설치공 형성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삽입 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설치공, 그리고 축조된 옹벽에서의 중력방향 및 상기 설치공 형성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생용 블록을 일정높이로 적층한 후,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에 옹벽에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본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조되나, 옹벽설치 장소에 맞게 황토 등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질로는 기포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기포콘크리트는 잔골재를 쓰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많은 기포를 만들어 무게를 가볍게 한 콘크리트로서 흡수성과 건조수축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 본체(10)와 배수관(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 본체(10)의 중공부(11)는 옹벽의 축조 후에 식물이 자연적으로 발생 또는 인위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며, 또한 옹벽 축조시 지지봉(30)의 삽입구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호 인접한 두 블록의 요입부(13)로 인하여 형성되는 부분에도 식생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중공부(11)의 모양이 직사각형 형태이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원형, 삼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고, 또한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중공부(11)에 제공되는 흙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자생케 함으로서 미적 아름다음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생하는 식물 뿌리로 인해 옹벽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체의 설치공(12)과 이에 삽입되어 있는 배수관(20)은 옹벽 뒤의 지반에 빗물 등이 침수하여 그 지반을 묽게 함으로써 옹벽에 이상한 힘이 가해져서 지반 및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지반 속에 묻혀 있는 배수관(20)의 단부에 철망 등의 여과망을 덧 붙여서 배수관에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이 침투하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부(13)는 옹벽의 설치지역이 직선이 아니고 곡선인 경우에 본체(10)의 전면부(16a) 또는 후면부(16b)의 좌우 이동을 쉽게하고 작업자의 옹벽축조 작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본체의 전면부(16a)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자연석 모양 또는 특수 모양 등에 의하는 것이 미관상 바 람직하다.
본체의 저면부(17b) 및 상면부(17a)에는 축조된 옹벽에서 블록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암결합부(14b) 또는 수결합부(14a)가 형성되어 이들간의 결합으로 축조된 상측블록과 하측블록간 어긋남이 방지되고 옹벽에서 블록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된다. 결합부(14a,14b)의 형태는 돌기, 원형, 직사면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며, 상기 저면부(17b) 및 상면부(17a)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암결합부(14b), 수결합부(14a)는 1개 이상으로서 일반적으로는 4개가 적당하다.
암결합부(14b)와 수결합부(14a)의 결합방식은 수직 쌓기일 경우에는 상하층 블록의 상면부(17a)와 저면부(17b)가 일체로 포개지면서 결합한다. 계단 쌓기의 경우에는 하단 블록의 후면부(16b)쪽과 상단블록의 전면부(16a)쪽의 암결합부(14b)와 수결합부(14a)가 결합한다. 엇쌓기의 경우에는 하단 좌측 블록과 하단 우측 블록의 상면부(17a)에 있는 암결합부(14b) 또는 수결합부(14a)가 상단 저면부(17b)에 있는 암결합부(14b) 또는 수결합부(14a)에 결합한다.
상기 암결합부(14b)의 횡단면적은 상기 수결합부(14a)의 횡단면적 보다 어느 정도 커야 다양한 형태의 옹벽 축조에 유리하다.
또한, 본체(10)의 저면부(17b) 또는 상면부(17a)에는 블록의 적층 작업시에 보강부재(40)에 의해 블록의 적층이 곤란하지 않게 하기위해, 블록본체(10)의 중공 부(11)에서 배수관(20)이 있는 후면부 방향으로 본체의 상면부(17a) 또는 저면부(17b)에 혹은 이둘 모두에 보강부재홈(15)을 형성하여 보강부재(40)의 연결통로를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옹벽의 설치 지역이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는 본체(10) 전면부(16a)와 후면부(16b)의 폭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 곡선이 볼록형이라면 전면부(16a)의 폭을 넓게 하고, 곡선이 오목형이라면 전면부(16a)의 폭을 좁게 하여야 할 것이다.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블록을 수직으로 일정높이 적층한다. 적층 후에는 본체(10) 중공부(11)에 지지봉(30)을 삽입한다. 상기 지지봉(30)은 옹벽의 지지기반에 박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30)의 삽입 후에는 옹벽 뒤의 지반이 옹벽에 가하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 지지봉(30)에 보강부재(40)를 연결하여 옹벽과 옹벽 뒤의 지반에 보강부재(40)를 매립한다. 보강부재(40)는 와이어로프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철근, 노끈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40)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작용하는 힘, 즉 옹벽 뒤의 지반이 옹벽에 작용하는 붕괴력에 대항하여 저항돌기(4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저항돌기(41)는 미늘형상, V자형상, 막대형상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옹벽의 견고함을 위해서 축조된 옹벽에서 상기 블록의 대편에, 즉, 옹벽뒤 의 지반에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되게 기둥부재(50)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부재(40)를 기둥부재(50)에 연결한다. 이때 기둥부재(50) 및 지지봉(30)에 연결되는 보강부재(40)의 말단은 클립 등으로 마무리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재(40)는 적층되어 있는 블록내의 지지봉(30)에 1개 이상이 연결된다.
옹벽 축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수직 쌓기 방식뿐만 아니라 계단식 쌓기와 엇 쌓기도 가능하다. 다만, 계단씩 쌓기에 의한 축조방법은 기둥부재(50) 및 지지봉(30) 그리고 보강부재(40)가 더 필요하며, 엇 쌓기에 의한 축조방법은 지지봉이 본체(10)의 중공부(11)와 요입부(13)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옹벽구축용 식생블록은 본체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이곳에 제공되는 흙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게 하여 미적 아름다음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블록 본체의 상면부 및 저면부에 암결합부와 수결합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상호결합으로 상층과 하층블록간의 축조 작업이 용이하고, 블록간 상호 구축력을 높여 옹벽이 견고하다.
그리고 블록 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폭을 서로 다르게 하여 옹벽의 설치 지역이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도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며, 본체 양측면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옹벽 축조시에 블록을 다루기가 용이하다.

또한, 블록의 배수관에 의해 옹벽뒤 지반내의 물이 배출되는 효과가 탁월하며, 축조된 옹벽에서 블록 본체 중공부에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지지봉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에 저항돌기가 형성된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여, 축조방법이 간단하여 축조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옹벽과 옹벽뒤 지반과의 결착력이 우수하여 지반 및 옹벽이 무너지지 않게 하고 옹벽뒤의 지반이 옹벽에 가하는 힘에 의해 옹벽이 밀리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및 그 축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설치공, 그리고 축조된 옹벽에서의 중력방향 및 상기 설치공 형성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블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부 및 상면부에는 각각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의 폭은 후면부의 폭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4. 축조된 옹벽에서 중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 축조된 옹벽에서 노출되는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관통 형성된 설치공, 그리고 축조된 옹벽에서의 중력방향 및 상기 설치공 형성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생용 블록을 일정높이로 적층한 후,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에 옹벽에 매립되는 보강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축조된 옹벽에서 상기 블록의 대편에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되게 위치한 기중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작용하는 붕괴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저항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식생블록의 축조방법.
KR1020050004180A 2005-01-17 2005-01-17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66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80A KR100662028B1 (ko) 2005-01-17 2005-01-17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80A KR100662028B1 (ko) 2005-01-17 2005-01-17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145A true KR20060084145A (ko) 2006-07-24
KR100662028B1 KR100662028B1 (ko) 2006-12-27

Family

ID=371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180A KR100662028B1 (ko) 2005-01-17 2005-01-17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76B1 (ko) * 2020-12-18 2021-11-17 김재봉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31B1 (ko) * 2011-03-29 2013-06-10 (주)메카모아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76B1 (ko) * 2020-12-18 2021-11-17 김재봉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028B1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20060056837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JPH09125421A (ja) 擁壁の築造構造
CN217352592U (zh) 一种挡墙顶部生态绿化构件及其组合结构
JP3266876B2 (ja) 客土・覆土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745010B1 (ko) 철근 콘크리트 옹벽
JP2001226992A (ja) 土留ブロック
KR200205752Y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용 블록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200419606Y1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200407623Y1 (ko) 옹벽블럭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