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795B1 - 조립 패널 옹벽 - Google Patents

조립 패널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795B1
KR100644795B1 KR1020050025022A KR20050025022A KR100644795B1 KR 100644795 B1 KR100644795 B1 KR 100644795B1 KR 1020050025022 A KR1020050025022 A KR 1020050025022A KR 20050025022 A KR20050025022 A KR 20050025022A KR 100644795 B1 KR100644795 B1 KR 10064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taining wall
recess
grooves
lower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846A (ko
Inventor
이효식
Original Assignee
(주)대풍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풍산업 filed Critical (주)대풍산업
Priority to KR102005002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7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46A/ko
Priority to JP2006080916A priority patent/JP2006274790A/ja
Priority to CNA2006100661029A priority patent/CN183750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72Cover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패널 옹벽에 관한 것으로, 같은 높이 및 폭을 가지는 사각 판형의 패널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되, 각 상·하단에 일정 깊이로 파인 요홈부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 등이 다수 구성되어, 이를 상·하로 구배를 가지도록 조적하고, 내부에 속채움을 한 옹벽을 구성하여, 도랑, 소하천, 중용하천, 강·저수지 제방, 산과 도로의 절개지, 공장의 축대 등의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전면에 형성된 자연석과, 구배로 발생하는 단턱부에 꽃과 나무의 식생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패널 옹벽(40)을 대략 설명하면, 판형의 콘크리트(1)로 형성한 다수개의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 등을 조적하여 옹벽(40)을 구성하되, 전면에 자연석(4)을 돌출·형성하고, 상 ·하단에 각각 요홈부(10a)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10); 상 ·하단에 각각 요홈부(20a)를 다수개 형성한 후면패널(20); 각 상·하단에 형성된 전요홈부(30a)(30c)와 후요홈부(30b)(30d)가 상·하로 서로 오프셋거리(H)를 두고 형성한 측면패널(30); 각각 상단과 하단에 전요홈부(31a)(32a)와 후요홈부(31b)(32b)를 형성한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 등이 다수개 구성되어, 시공바닥에 기초패널(31)을 나란히 배열하고, 이에 전면의 전면패널(10)과 그 후면의 후면패널(20)을 서로 반 폭의 위상으로 조적하며, 이에 수직으로 측면패널(30)이 조적되어, 속채움 을 하는 방식으로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측면패널(30)을 일정 높이로 조적하고, 마지막으로 마감패널(32)이 조적되어, 속채움으로 마무리 한 옹벽(40)을 구성하는 대략적인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옹벽은, 각 패널의 요홈부에 의해 상·하 및 좌·우로 서로 긴밀히 조적되어, 옹벽의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력에도 강하며, 측면패널의 각 상·하단에 형성된 각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의 오프셋거리를 조절하여, 구배를 조절함에 따다 형성하는 단턱부에는 일정두께로 흙 및 토사를 두어, 꽃과 나무 함께 외관을 더욱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옹벽, 조립, 자연석, 콘크리트, 토압, 패널, 자연석

Description

조립 패널 옹벽 {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적된 옹벽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패널의 평단면도.
도 4는 도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패널의 평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조적 순서에 따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후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면패널 11 : 전면반패널 20 : 후면패널
21 : 후면반패널 22 : 후면코너패널 30 : 측면패널
31 : 기초패널 32 : 마감패널 40 : 옹벽
10a, 11a, 20a, 21a, 22a : 요홈부 30a, 30c, 31a, 32a, : 전요홈부
30b, 30d, 31b, 32d : 후요홈부 30e : 배수라인
본 발명은 조립 패널 옹벽에 관한 것으로, 같은 높이 및 폭을 가지는 사각 판형의 패널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되, 각 상·하단에 일정 깊이로 파인 요홈부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 등이 다수 구성되어, 이를 상·하로 구배를 가지도록 조적하고, 내부에 속채움을 한 옹벽을 구성하여, 도랑, 소하천, 중용하천, 강·저수지 제방, 산과 도로의 절개지, 공장의 축대 등의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전면에 형성된 자연석과, 구배로 발생하는 단턱부에 꽃과 나무의 식생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통상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써, 도로, 철도, 항만, 방조제, 교대, 재개발 아파트 등 용지의 제한에 따른 토지의 최적 이용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옹벽 구조물로는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압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이들이 붕괴를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최근에는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공법이 개 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584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넬, I자형 판넬, ㄴ자형 판넬 등을 조합하여 조적하고, 이 내부를 속채움하여 옹벽을 완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 판넬을 조적하면서 상·하로 긴밀히 연결되지 못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 19453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와 요홈이 형성된 결속블럭이 정(井)자로 조적되되, 제1보강블럭 및 제2보강블럭이 사이사이에 같이 조적되어 옹벽을 구성하는데, 이는 각 상·하 블럭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속채움시에 따로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같은 높이를 가지는 판형의 콘크리트 패널을 형성하되, 각 상·하단에 그 높이의 0.25배 깊이로 파인 요홈부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 등이 다수 구성되어, 이를 각 요홈부에 맞추어 시공지를 따라 정(井)자로 조적하고, 그 내부에 속채움을 한 옹벽을 구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시공면적이 축소되므로, 도랑, 소하천, 중용하천, 강·저수지 제방, 산과 도로의 절개지, 공장의 축대 등의 옹벽으로 사용되어,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전면에 형성된 자연석으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측면패널의 상·하단에는 같은 거리의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를 각 각 형성하되, 상단에 형성된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가, 하단의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보다 오프셋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이를 조적함에 따라 일정 각도의 구배가 형성되어, 안전성을 높이며, 각 단턱에는 토사를 두어, 이에 꽃과 나무 등을 식생으로, 붕괴를 방지하고,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측면패널과 같은 형상이되, 그 폭이 작고, 상·하단에 형성되는 요홈부의 거리가 더 좁은 후면코너패널을 구성하여, 이를 코너, 산 절개지 등의 옹벽 형성 시 전면패널의 후면에 사용됨에 따라, 옹벽이 자연스러운 곡선을 형성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 패널 옹벽에 관한 것으로, 같은 높이 및 폭을 가지는 사각 판형의 패널을 콘크리트로 형성하되, 각 상·하단에 일정 깊이로 파인 요홈부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 등이 다수 구성되어, 이를 상·하로 구배를 가지도록 조적하고, 내부에 속채움을 한 옹벽을 구성하여, 도랑, 소하천, 중용하천, 강·저수지 제방, 산과 도로의 절개지, 공장의 축대 등의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전면에 형성된 자연석과, 구배로 발생하는 단턱부에 꽃과 나무의 식생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패널 옹벽(40)을 대략 설명하면, 판형의 콘크리트(1) 로 형성한 다수개의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 등을 조적하여 옹벽(40)을 구성하되, 전면에 자연석(4)을 돌출·형성하고, 상 ·하단에 각각 요홈부(10a)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10); 상 ·하단에 각각 요홈부(20a)를 다수개 형성한 후면패널(20); 각 상·하단에 형성된 전요홈부(30a)(30c)와 후요홈부(30b)(30d)가 상·하로 서로 오프셋거리(H)를 두고 형성한 측면패널(30); 각각 상단과 하단에 전요홈부(31a)(32a)와 후요홈부(31b)(32b)를 형성한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 등이 다수개 구성되어, 시공바닥에 기초패널(31)을 나란히 배열하고, 이에 전면의 전면패널(10)과 그 후면의 후면패널(20)을 서로 반 폭의 위상으로 조적하며, 이에 수직으로 측면패널(30)이 조적되어, 속채움을 하는 방식으로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측면패널(30)을 일정 높이로 조적하고, 마지막으로 마감패널(32)이 조적되어, 속채움으로 마무리 한 옹벽(40)을 구성하는 대략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은, 크게 콘크리트(1)로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판형으로 형성한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 후면패널(20), 후면반패널(21),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로 구성되는 바, 각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면패널(10)과 전면반패널(11)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자연석(4)을 일부 돌출·형성한 것으로, 전면패널(10)은 높이보다 폭이 길고, 각 상·하단에는, 이 높이의 0.25배의 깊이와, 이에 끼움되는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마감패널(32)의 두께를 그 폭으로 하는 조립홈(10a) 을 각각 두 개, 즉, 총 네 개를 형성하며, 전면반패널(11)은 전면패널(10)의 같은 두께 및 같은 높이, 및 0.5배의 폭을 가지는 것으로, 각 상·하단에는 전면패널(11)과 같은 크기의 요홈부(11a)를 각각 한 개, 즉, 총 두 개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패널(20) 및 후면반패널(21)을 살펴보면, 후면패널(20)은 일정 두께에 상기 전면패널(10)과 같은 높이 및 폭을 가지는 것으로, 그 상·하단에, 상기 전면패널(10)과 같은 위치에, 같은 폭과 깊이를 가지는 총 네 개의 조립홈(10a)을 형성하며, 후면반패널(11)은 후면패널(10)의 같은 두께 및 같은 높이, 및 0.5배의 폭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전면반패널(11)의 같은 위치에 같은 폭과 깊이를 가지는 총 두 개의 조립홈(11a)을 형성한다.
또한, 측면패널(30)은 일정 두께에 상기 전면패널(10)과 같은 높이에 일정 폭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하단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의 두께와 및 그 높이의 0.25배 깊이로 파인 전요홈부(30a)(30c)와 상기 후면패널(20)의 두께와 및 그 높이의 0.25배의 깊이로 파인 후요홈부(30b)(30d)를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관통·형성하되, 상단의 전요홈부(30c) 및 후요홈부(30d)는, 하단의 전요홈부(30a) 및 후요홈부(30b) 보다 일측으로 오프셋(offset) 된 오프셋거리(H)를 두고 형성되며, 측면패널(30)의 중심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라인(30e)을 형성하는데, 참고로, 상기 상·하단의 전요홈부(30a)(30c) 및 후요홈부(30b)(30d)의 거리는 옹벽(40)의 두께를 결정하고, 오프셋거리(H)는 옹벽(40)의 구배(기울기)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에 대해 설명하면, 이는 상기 측면패널(30)과 같은 폭을 가지고, 그 높이의 0.5배의 높이를 형성하는데, 기초패널(31)은, 그 상단에는 상기 측면패널(30)의 하단에 형성하는 전요홈부(30a) 및 후요홈부(30b)와 같은 위치에, 같은 폭 및 깊이의 전요홈부(31a) 및 후요홈부(30b)를 각각 형성하며, 마감패널(32)은, 그 하단에 상기 측면패널(30)의 상단에 형성하는 전요홈부(30c) 및 후요홈부(30d)와 같은 위치에, 같은 폭 및 깊이의 전요홈부(32a) 및 후요홈부(32b)를 각각 형성한다.
한편, 각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 후면패널(20), 후면반패널(21),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마감패널(32)의 내외부 구조를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들은 모두 콘크리트(1)로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하되, 내부의 중간층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철근(2)을 형성하고, 그 철근(2) 내부 평면으로는 와이어메쉬(3)를 형성한다
또한,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의 각 전면에는 그 직경이 120 내지 150㎜의 자연석(4), 또는, 사석이 균일하게 분포되되, 그 사이의 표면에는 왕사(5) 또는, 부순모래 등이 일정두께로 메워 형성되는데, 각 상·하단 요홈부(10a)(11a)의 연장선 상에 해당하는 표면은 매끄럽게 하여, 조적 시 끼움되는데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며, 측면패널(30)의 상·하단 사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6)가 형성되어 배수라인(30e)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 후면패널(20), 후면반패널(21),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마감패널(32)의 측면에는 아이볼트 등과 같이 고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 후면패널(20), 후면반패널(21),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마감패널(32) 등을 조적한 옹벽(40) 구조를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기초를 다진 시공 바닥 위로 기초패널(31)을 배열하되, 그 전요홈부(31a)가 위측 전면으로 오도록 시공지를 따라 나란히 배열하고, 이에 수직으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을 끼워 각각 고정하되, 전면패널(10)을 그 요홈부(10a)와 기초패널(31)의 각 전요홈부(31a)에 맞춰 끼우고, 후면패널(20)은, 전면패널(10)과 반 폭의 위상 차이를 두고, 각 요홈부(20a)를 기초패널(31)의 각 후요홈부(31b)에 끼워 고정하고, 양단 최외측에 형성하는 후면패널(20)에는, 전면패널(10)의 양단과 일치하도록, 후면반패널(21)을 끼우되, 각 요홈부(21a)를 최외측에 조적된 기초패널(31)의 각 후요홈부(31a)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이들 상부로는 측면패널(30)을, 상기 조적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의 수직방향으로 끼워 고정하되, 측면패널(30)의 하단 전요홈부(30a)와 후요홈부(30b)를, 조적되어 마주보는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20)의 각 요홈부(10a)(20a)에 각각 끼워 고정한 뒤, 상기 기초패널(30),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및 측면패널(30)의 순차적인 조립으로 형성된 공간에는, 토사, 자갈, 콘크리트, 흙 등을 채우는 속채움으로 옹벽(40)의 기초 및 제1열 쌓기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을 상기 조립된 측면패널(30)의 수직으로 각각 끼워 고정하되, 하단에 형성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보다 반 폭의 위상으로 오프셋 하여 끼워 고정하며, 양단 최외측에 형성하는 전면패널(10)에는, 후면패널(20)의 양측단과 일치하도록, 전면반패널(11)을 끼우되, 그 요홈부(11a)를 최외측에 조적된 측면패널(30)의 후요홈부(30d)에 끼워 고정하고, 다시 측면패널(30)을 조립하되, 그 전요홈부(30a)(30c)가 전면에 오도록 고정한 뒤, 속채움을 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높이로 쌓은 뒤, 마지막으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패널(32)을 조적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의 수직으로 각각 끼우되, 상기 각 전요홈부(32a)(32b)를 각 요홈부(10a)(20a)에 끼워 고정하고, 이어 속채움으로 마감한 옹벽(4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옹벽(40)은, 같은 높이를 형성하는 각 전면패널(10), 전면반패널(11), 후면패널(20), 후면반패널(21), 측면패널(30)과, 이의 1/2로 형성하는 기초패널(31), 마감패널(32)에 형성되는 각 요홈부(10a)(11a)(20a)(21a), 전요홈부(30a)(30c)(31a)(32a) 및 후요홈부(30b)(30d)(31b)(32b)가, 각 전면패널(10)의 0.25배의 깊이와, 끼움되는 상대의 두께에 맞는 폭으로 형성되므로 서로 긴밀이 조 적되고, 상·하 및 좌·우의 면이 일치되며, 옹벽(40)의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력에도 강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40)은, 측면패널(30)의 각 상·하단에 형성된 각 전요홈부(30a)(30c) 및 후요홈부(30c)(30d)의 오프셋거리(H)를 조절하여, 기초패널(31)부터 마감패널(32)까지 4°∼30°까지 구배를 조절할 수 있는데, 도11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같이, 오프셋거리(H)를 짧게하여 4°∼10°의 구배를 가지는 옹벽(40)은, 상·하로의 긴밀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배수를 용이하게 하며, 또는, 도12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같이, 오프셋거리(H)를 길게하여 20°∼30°의 구배를 가지는 옹벽(40)은, 구배에 따라 발생하는 단턱부에는, 일정두께로 흙 및 토사를 두어, 꽃과 나무 등을 심어, 전면에 형성하는 자연석(4)과 함께 조화를 이루게 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시공지의 코너(모서리) 부분에 대한 옹벽(40)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후면패널(20)과 같은 두께, 같은 높이를 가지되, 그 폭은 더 좁게 형성하고, 각 상·하단에 파인 요홈부(22a, 미도시)를 각각 두 개, 즉, 총 네 개를 형성하되, 후면패널(20)에 형성된 요홈부(20a)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한 후면코너패널(22)이 구성되어, 이를 시공지의 코너 또는, 산의 절개지 등에 전면패널(10)의 후면에 조립되면서 내부를 좁혀, 적절한 라운딩 및 부드러운 외벽을 갖는 옹벽(40)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같은 높이를 가지는 판형의 콘크리트 패널을 형성하되, 각 상·하단에 그 높이의 0.25배 깊이로 파인 요홈부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측면패널 등이 다수 구성되어, 이를 각 요홈부에 맞추어 시공지를 따라 정(井)자로 조적하고, 그 내부에 속채움을 한 옹벽을 구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시공면적이 축소되므로, 도랑, 소하천, 중용하천, 강·저수지 제방, 산과 도로의 절개지, 공장의 축대 등의 옹벽으로 사용되어,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전면에 형성된 자연석으로 외관을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측면패널의 상·하단에는 같은 거리의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단에 형성된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가, 하단의 전요홈부 및 후요홈부보다 오프셋거리를 두고 형성하여, 이를 조적함에 따라 일정 각도의 구배가 형성되어, 안전성을 높이며, 각 단턱에는 토사를 두어, 이에 꽃과 나무 등을 식생으로, 붕괴를 방지하고,자연친화적인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패널과 같은 형상이되, 그 폭이 작고, 상·하단에 형성되는 요홈부의 거리가 더 좁은 후면코너패널을 구성하여, 코너, 산 절개지 등의 옹벽 형성 시 전면패널의 후면에 사용되어, 옹벽이 자연스러운 곡선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콘크리트로 구성된 판형의 패널을 조적하고, 그 내부에 속채움하여 완성하는 공지의 조립식 옹벽에 있어서,
    같은 폭 및 같은 높이를 가지되, 각 상·하단에 일정깊이 및 폭으로 파인 요홈부(10a)(20a)를 다수개 형성한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
    상기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의 반 폭을 가지고, 그 각 상·하단에 파인 요홈부(11a)(21a)를 다수개 형성하는 전면반패널(11) 및 후면반패널(21):
    각 상·하단에 일정깊이 및 폭으로 파인 전요홈부(30a)(30c)와 후요홈부(30b)(30d)를 형성하되, 상단에 형성하는 전요홈부(30c) 및 후요홈부(30b)는, 하단의 전요홈부(30a) 및 후요홈부(30d)보다 오프셋거리(H)를 두고 형성되고,그 중앙에 관통된 배수라인(30e)을 형성한 측면패널(30);
    상기 측면패널(30)의 반의 높이로 형성하되 하단 전요홈부(30a) 및 후요홈부(30b)와 같은 위치 및 같은 크기로, 전요홈부(31a) 및 후요홈부(31b)를 각각 형성하는 기초패널(31);
    상기 측면패널(30)의 반의 높이로 형성하되 상단 전요홈부(30c) 및 후요홈부(30d)와 같은 위치로 및 크기로, 전요홈부(32a) 및 후요홈부(32b)를 각각 형성하는 마감패널(32);등의 다수개의 패널로 구성하되,
    이들 각 패널(10)(11)(20)(21)(30)(31)(32)의 각 요홈부(10a)(11a)(20a)(21a) 및 전요홈부(30a)(30c)(31a)(32a) 및 후요홈부(30b)(30d)(31b)(32b)의 깊이는, 전면패널(10) 높이의 0.25배 깊이를 형성되도록 하여 ;
    시공지의 최하단으로 부터 일정간격으로 기초패널(31)을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이의 전후요홈부(31a)(31b)에 각기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20)을 배열,조립하고, 이 전,후면 패널(10)(20)의 요홈부(10a)(20a)는 측면패널(30)이 조적하고, 최 외단 전,후면패널(10)(20)의 측면으로는 전면,후면 반패널(11)(21)이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제1열 쌓기가 완료되며,이를 반복실시하여 소요의 높이로 조적하며, 최상단 쌓기 완료 후 최 상단 전,후면 패널(10)(20)의 요홈부(10a)(20a)간에는 마감패널(32)의 전,후 요홈부(32a)(32b)가 각기 대응되게 조립하여 최상단 쌓기를 완료하고, 각 열별 쌓기 과정에서는 공간부내에 속채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일정 높이로 조적한 조립식 옹벽(40)이 완성되어 시공지의 붕괴를 막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패널 옹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 후면패널(20), 측면패널(30), 기초패널(31) 및 마감패널(32)를 구성하는 콘크리트(1) 내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굵기의 철근(2)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와이어메시(3)를 형성하여, 강성을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패널 옹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10) 및 전면반패널(11)의 전면에는 불규칙하게 자연석(4) 및 사석이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왕사(5) 및 부순모래가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패널 옹벽.
KR1020050025022A 2005-03-25 2005-03-25 조립 패널 옹벽 KR10064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022A KR100644795B1 (ko) 2005-03-25 2005-03-25 조립 패널 옹벽
JP2006080916A JP2006274790A (ja) 2005-03-25 2006-03-23 組立パネルの護岸壁
CNA2006100661029A CN1837509A (zh) 2005-03-25 2006-03-24 组装镶板式的护岸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022A KR100644795B1 (ko) 2005-03-25 2005-03-25 조립 패널 옹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994U Division KR200389239Y1 (ko) 2005-04-12 2005-04-12 조립 패널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46A KR20050035846A (ko) 2005-04-19
KR100644795B1 true KR100644795B1 (ko) 2006-11-14

Family

ID=370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022A KR100644795B1 (ko) 2005-03-25 2005-03-25 조립 패널 옹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274790A (ko)
KR (1) KR100644795B1 (ko)
CN (1) CN1837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26B1 (ko) * 2011-03-29 2011-09-19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387B1 (ko) * 2006-11-01 2007-01-24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비탈면 보호시설 설치구조
KR101438252B1 (ko) * 2010-04-16 2014-09-04 김명길 해저터널용 조립블럭과 이를 이용한 해저터널 시공방법
KR101339826B1 (ko) * 2012-10-08 2013-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판형 각재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09577275B (zh) * 2018-11-27 2020-12-04 嘉兴恒禹建设有限公司 一种挡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3460U (ko) * 1989-04-10 1990-06-05
JPH10183648A (ja) 1996-12-27 1998-07-14 Mitani Sekisan Co Ltd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30057963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vc 프로파일용 불소 피막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3460U (ko) * 1989-04-10 1990-06-05
JPH10183648A (ja) 1996-12-27 1998-07-14 Mitani Sekisan Co Ltd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30057963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vc 프로파일용 불소 피막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57963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26B1 (ko) * 2011-03-29 2011-09-19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7509A (zh) 2006-09-27
KR20050035846A (ko) 2005-04-19
JP2006274790A (ja)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832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1301915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75860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0389239Y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1212619B1 (ko)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592721B1 (ko) 도로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
JP2016145500A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1089356B1 (ko)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2194854B1 (ko)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2194853B1 (ko) 생태통로부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수로 구조물
KR20210004499A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시공방법
KR20240025838A (ko) 입체결합 옹벽 블록시스템
KR200407953Y1 (ko) 옹벽축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