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327Y1 -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327Y1
KR200146327Y1 KR2019960020735U KR19960020735U KR200146327Y1 KR 200146327 Y1 KR200146327 Y1 KR 200146327Y1 KR 2019960020735 U KR2019960020735 U KR 2019960020735U KR 19960020735 U KR19960020735 U KR 19960020735U KR 200146327 Y1 KR200146327 Y1 KR 200146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refabricated
reinforcemen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291U (ko
Inventor
예종정
최하영
Original Assignee
예종정
최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종정, 최하영 filed Critical 예종정
Priority to KR201996002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327Y1/ko
Publication of KR980008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사유실을 방지하거나 도로변의 비탈면을 갖는 산으로부터 흙이나 돌등이 도로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을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부면에서 일직선상으로 관통되어 있는 구멍과,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을 서로 적층시켜 옹벽을 축조하므로서, 옹벽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시간 및 인건비감소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본 고안은 토사유실이나 도로변의 비탈면을 갖는 산으로부터 흙이나 돌등이 도로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목공사시 설치 사용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손쉽고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를 할 때 조경공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도로변의 경사진 곳은 홍수나 풍해로 인하여 도로변으로 흙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에게 불의의 사고를 입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옹벽을 설치하여 왔다.
또한, 비탈면을 갖는 곳에 주택을 건축할 때에도 토사유사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부분에 옹벽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은 옹벽모형을 갖는 형틀에 뼈대로 삼는 철근을 넣고 그 안에 시멘트,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일정한 비율로 적절하게 혼합시킨 콘크리트를 부어 축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축조를 일일이 형틀구조물을 만들고 상기 형틀구조물안으로 콘크리트와 철근을 넣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형틀구조물을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쳐 시공하여 왔었다.
이렇게 시공된 옹벽은 외관상 나타나는 단순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단조로움을 줄뿐만 아니라, 거리의 미감을 살릴 수 없었다.
또한 여러 번의 단계를 걸쳐서 옹벽을 축조하므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에 따른 인력낭비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옹벽을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하면서 나무 등을 식재할 수 있어서 외관상 미감을 갖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을 쌓는 작업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12 : 끼움홈
14 : 구멍 16 : 끼움돌기
18 : 돌출부 18a : 요홈
200 : 옹벽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과,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형성한다.
이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콘크리트 양생물을 압축성형하여 형성한다.
이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상부면에서 일직선상으로 관통되어 있는 구멍을 부가적으로 갖도록 형성한다.
이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부가적으로 갖도록 형성한다.
이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블록으로는 옹벽을 쌓으므로써,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은,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과,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6)를 포함하는 육면체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옹벽을 조립식블록으로 쌓으므로써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 내지 제2b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과, 상부면에서 일직선상을 관통되어 있는 구멍(14)과,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6)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옹벽블록(10)은 정면(20), 뒷면(22), 상면(24), 하면(26), 그리고 좌측면(28), 우측면(30)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정면(20)과 뒷면(22)은 상기 옹벽블록(10)의 두께를 형성한다. 상기 좌측면(28)과 우측면(30)은 각각 상기 정면과 뒷면을 연결하여 상기 옹벽블록(10)의 폭을 형성한다. 상기 좌측면(28)과 우측면(20)은 상기 정면(20)의 폭이 상기 뒷면(2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 상면(24)과 하면(26)은 각각 상기 정면과 뒷면, 그리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을 연결하여 옹벽블록의 높이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24)과 하면(26)은 서로 평행하게 평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측면(28)과 우측면(30)에는 각각 끼움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2)은 서로 대응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28)과 우측면(30)의 내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면(26)에는 끼움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16)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끼움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폭과 길이를 갖는다.
상기 끼움돌기(16)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조립식 옹벽블록(10)간의 끼움홈(12)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은 콘크리트 양생물을 압축성형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을 사용하여 옹벽(200)을 쌓는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3도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은 끼움돌기(16)가 형성된 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쌓는다.
이때, 하부의 조립식 옹벽블록(10)위에 또다른 조립식 옹벽블록(10)을 적층하게 된다.
즉, 동일선상에 쌓여져 있는 인접한 두 조립식 옹벽블록(10)간의 끼움홈(12)에 또 다른 조립식 옹벽블록(10)의 하부면의 형성된 끼움돌기(16)가 끼워져 결합되므로서 옹벽(200)이 축조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상기 옹벽블록(10)을 사용한 옹벽의 시공은 한 옹벽블록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다른 옹벽블록들을 나열하여 제1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층을 형성하는 옹벽블록들의 윗면에 옹벽블록들을 적층시켜서 제2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층을 형성하는 옹벽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층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되는 두 옹벽블록들의 마주보는 측면들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들에 동시에 결합되는 끼움돌기에 의해서 상기 제1층에 적층되므로써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한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구멍(14)은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10)의 무게를 경량화와 아울러 자재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4도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과, 상부면에 일직선상으로 관통되어 있는 구멍(14)과,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6)와,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요홈을 갖는 반구형상의 돌출부(18)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돌출부(18)에 형성된 요홈(18a)내에 흙을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요홈에 나무를 식재할 수 있어서 옹벽외관상 미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에 의하면,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을 서로 조립하여 옹벽을 축조하므로서, 옹벽을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능율이 향상된다.
또한, 그에 따른 인력감소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하면서 나무 등을 식재하므로서 마감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한 옹벽블록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다른 옹벽블록들을 나열하여 제1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층을 형성하는 옹벽블록들의 윗면에 옹벽블록들을 적층시켜서 제2층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한 높이의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에 있어서, 옹벽블록의 두께를 형성하는 정면 및 뒷면과; 각각 상기 정면과 뒷면을 연결하여 상기 옹벽블록의 폭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의 폭이 상기 뒷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기울기를 갖는 좌측면 및 우측면과; 서로 평행하게 평탄되도록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정면과 뒷면, 그리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을 연결하여 옹벽블록의 높이를 형성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의 내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하면에 형성되고,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폭과 길이를 갖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2층을 형성하는 옹벽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1층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되는 두 옹벽블록들의 마주보는 측면들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들에 동시에 결합되는 끼움돌기에 의해서 상기 제1층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은 상기 정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요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요홈에 흙을 담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앞방향으로 굴곡되는 반구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KR2019960020735U 1996-07-12 1996-07-12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KR20014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35U KR200146327Y1 (ko) 1996-07-12 1996-07-12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35U KR200146327Y1 (ko) 1996-07-12 1996-07-12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91U KR980008291U (ko) 1998-04-30
KR200146327Y1 true KR200146327Y1 (ko) 1999-06-15

Family

ID=1946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735U KR200146327Y1 (ko) 1996-07-12 1996-07-12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3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62A (ko) * 2000-07-12 2002-01-19 김용태 옹벽용 콘크리트 장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619A (ko) 2020-06-26 2022-01-04 나용철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9352A (en) * 1999-02-11 2000-11-21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62A (ko) * 2000-07-12 2002-01-19 김용태 옹벽용 콘크리트 장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619A (ko) 2020-06-26 2022-01-04 나용철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91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45A (en) System for building a structure
CN101768975B (zh) 可绿化的挡墙砌块以及利用该砌块构筑挡墙的施工方法
US4903450A (en) Concrete footer block and foundation system formed therefrom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CN201574509U (zh) 一种可绿化的挡墙砌块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CN212336084U (zh) 一种异型块后浇式轻型挡土墙支护结构
JP4227356B2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1107279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20210046935A (ko)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그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CN217460156U (zh) 装配式自锚环保型土路肩
CN109779384A (zh) 一体式预制混凝土围墙
JPH0533355A (ja) 擁壁築造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擁壁ブロツク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CN212867119U (zh) 一种永久使用的装配式围墙
KR100660989B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JP3049120U (ja) 緑化を目的としたコンクリート擁壁
KR200242401Y1 (ko) 기초석
KR100449642B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CN212867118U (zh) 一种可重复拆装使用的装配式围墙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JP2000073331A (ja) 生態保全ブロック及びその積み重ね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