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401Y1 - 기초석 - Google Patents

기초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01Y1
KR200242401Y1 KR2020010013765U KR20010013765U KR200242401Y1 KR 200242401 Y1 KR200242401 Y1 KR 200242401Y1 KR 2020010013765 U KR2020010013765 U KR 2020010013765U KR 20010013765 U KR20010013765 U KR 20010013765U KR 200242401 Y1 KR200242401 Y1 KR 200242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ide wall
connecting rods
inclined surfac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영
Original Assignee
오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부영 filed Critical 오부영
Priority to KR2020010013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01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ㄴ'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기초석에 있어서,
상기 'ㄴ'자 형상의 세로부분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벽(2)과, 상기 측벽(2)의 하부는 정면으로 돌출된 세 개의 연결된 연결대(7,7',7'')에 의해 바닥판(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구배에 맞도록 정면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경사면(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ㄴ'자 형상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측벽(2)의 하부와 세 개의 연결대(7,7',7'')에 의해 연결되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판(4)과, 상기 바닥판(4)은 정면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 하부경사면(5)과, 상기 하부경사면(5)의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홈(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는 상기 측벽(2)과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 사이와 측벽(2) 및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통공(8,8')과 상기 연결대(7,7',7'')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초석{Grounding stone}
본 고안은 기초석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나 인도, 논과 밭 등의 경작지, 강둑 및 시냇가의 제방 등의 경사지에 토사의 압력, 산사태 및 우수에 의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 및 호안시설을 공사하는데 사용되는 기초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측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용 블록(일명 견치블럭)들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공되어 왔으며, 이와같은 구조의 블록들은 대부분이 축조작업(築造作業)에 따른 시공상의 복잡성 때문에 공기의 지연은 물론 시공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축조된 옹벽의 안전성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58528호에는 패널의 두께와 동일한 홈이 파이고, 기초석과 기초석이 기초석연결돌기와 기초석연결홈에 의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연결되어 기존 조립식주택에 있어서 앵글과 벽돌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주택의 기초석에 관한 것이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65141호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 정육면체의 육면 중앙에 각각 통공을 가지며, 상기 육면중 2개의 면에는 사각형상으로 테이퍼진 장홈을 가지되, 장홈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상기 장홈과 대응되도록 반대쪽 면에는 돌출부를 가지되, 상기 돌출부에는 장홈 내측의 다수개의 구멍과 서로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육면중 나머지 두면에는 다수개의 구멍과 돌기를 갖도록 한 인공어초 겸용 해양구조물 기초블럭에 관한 것이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86129호에는 양측면으로 경사 연접부를 갖고 상면이 경사부로 이루워진 앞쪽에 좌우로 일정한 간격두고요설된 꽂힘공이 형성된 기초블록과, 전면으로 자연석 문양과 상기 양측면으로 경사연접부의 '∪'자형요구에 의해 형성되는 속채움공과 앞쪽으로 뚫린 철근삽입공과 연접하는 횡방향으로 지오그리드의 선단연부를 끼움하기 위한 장홈을 요설한 기본블록과, 상기 자연석 문양과 양측면으로 경사 연접부가 형성되고 저면중앙에 속채움공으로 안내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부를 형성한 구조의 블록들로 구성된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안들은 옹벽을 축조시 기초석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기초석으로 사용한다 하여도 옹벽의 구배를 잡기 힘든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기초석에 경사면과 경사홈을 형성하여 옹벽의 구배를 잡는 시간을 단축시켜 다음단계의 공사를 빨리 진행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시키는 기초석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기초석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기초석 측면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기초석 설치상태도
<도면의 부호>
기초석(1), 측벽(2), 상부경사면(3), 바닥판(4), 하부경사면(5), 경사홈(6),
연결대(7,7',7''), 통공(8,8')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ㄴ'자 형상의 세로부분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벽(2)과, 상기 측벽(2)의 하부는 정면으로 돌출된 세 개의 연결된 연결대(7,7',7'')에 의해 바닥판(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구배에 맞도록 정면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경사면(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ㄴ'자 형상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측벽(2)의 하부와 세 개의 연결대(7,7',7'')에 의해 연결되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판(4)과, 상기 바닥판(4)은 정면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 하부경사면(5)과, 상기 하부경사면(5)의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홈(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는 상기 측벽(2)과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 사이와 측벽(2) 및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통공(8,8')과 상기 연결대(7,7',7'')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석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기초석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기초석 측면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경계석 설치상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기초석(1), 측벽(2), 상부경사면(3), 바닥판(4), 하부경사면(5), 경사홈(6), 연결대 (7,7',7''), 통공(8,8')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은 본 고안의 기초석 상세도로서, 상기 'ㄴ'자 형상의 세로부분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벽(2)과, 상기 측벽(2)의 하부는 정면으로 돌출된 세 개의 연결된 연결대(7,7',7'')에 의해 바닥판(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구배에 맞도록 정면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경사면(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ㄴ'자 형상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측벽(2)의 하부와 세 개의 연결대(7,7',7'')에 의해 연결되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판(4)과, 상기 바닥판(4)은 정면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 하부경사면(5)과, 상기 하부경사면(5)의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홈(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는 상기 측벽(2)과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 사이와 측벽(2) 및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통공(8,8')과 상기 연결대(7,7',7'')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석.
도2는 본 고안의 기초석 측면상세도로서, 상기 측벽(2)은 상부경사면(3)을 내측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4)은 하부경사면(5)을 외측으로 하여 'ㄴ'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결합된 기초석(1)으로 'ㄴ'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내부에는 통공 (8,8')과 연결대(7,7',7'')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도3은 본 고안의 경계석 설치상태도로서, 최하단에 기초석(1)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석(1)의 상부로 블럭을 시공하여 자연적으로 구배가 형성된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다.
시공방법은 최하단에 측벽(2)을 외부로 향하여 기초석(1)을 시공한 다음, 바닥판(4)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8,8')에 철근을 배근하거나 콘크리트 몰탈로 충진시킨 후, 상기 측벽(2)의 상부경사면(3)과 상기 바닥판(4)의 경사홈(6)에 블록을 맞추어 적층, 시공하면 자연스럽게 설계시 의도한 구배로 옹벽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일이 구배를 맞추어 시공함에 따른 공사기간 및 공사비의 증가에 대한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초석에 경사면과 경사홈을 형성하여 옹벽의 구배를 잡는 시간을 단축시켜 기초가 튼튼하면서도 옹벽의 구배가 정확하게 구현되며, 다음단계의 공사를 빨리 진행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ㄴ'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기초석에 있어서,
    상기 'ㄴ'자 형상의 세로부분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벽(2)과, 상기 측벽(2)의 하부는 정면으로 돌출된 세 개의 연결된 연결대(7,7',7'')에 의해 바닥판(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구배에 맞도록 정면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부경사면(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ㄴ'자 형상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측벽(2)의 하부와 세 개의 연결대(7,7',7'')에 의해 연결되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판(4)과, 상기 바닥판(4)은 정면 상부 외측으로 형성된 하부경사면(5)과, 상기 하부경사면(5)의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홈(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는 상기 측벽(2)과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 개의 연결대(7,7',7'') 사이와 측벽(2) 및 바닥판(4)의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통공(8,8')과 상기 연결대(7,7',7'')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석.
KR2020010013765U 2001-05-11 2001-05-11 기초석 KR200242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765U KR200242401Y1 (ko) 2001-05-11 2001-05-11 기초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765U KR200242401Y1 (ko) 2001-05-11 2001-05-11 기초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01Y1 true KR200242401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765U KR200242401Y1 (ko) 2001-05-11 2001-05-11 기초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96B1 (ko) 2015-07-22 2015-12-04 주식회사 삼익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석축 공사 구조물
KR101574693B1 (ko) 2015-07-22 2015-12-04 주식회사 삼익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공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96B1 (ko) 2015-07-22 2015-12-04 주식회사 삼익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석축 공사 구조물
KR101574693B1 (ko) 2015-07-22 2015-12-04 주식회사 삼익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공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0012B2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ystem
WO2006111106A2 (es) Soloarmar ingeniería constructiva
CN205669211U (zh) 一种预制重力式挡墙
KR200242401Y1 (ko) 기초석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107288153A (zh) 一种预制重力式挡墙
KR100531180B1 (ko)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CN112627111A (zh) 一种河道生态边坡结构及一体化施工方法
KR20020028527A (ko) 콘크리트 벽돌 및 이의 축조방법
RU176405U1 (ru) Блок для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KR100383124B1 (ko)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CN109779384A (zh) 一体式预制混凝土围墙
CN218952237U (zh) 一种具有生态孔的挡土墙
KR101089356B1 (ko)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CN217517763U (zh) 一种排水绿化多功能装配式结构模块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SU1527369A1 (ru) Сборна плотина
JPS58156638A (ja) 土止用ブロツク
JP2000033612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品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製ボル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土木構造体および土木工法
JPS6011169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20050060143A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