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97B1 - 옹벽 블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블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97B1
KR100995097B1 KR1020080089575A KR20080089575A KR100995097B1 KR 100995097 B1 KR100995097 B1 KR 100995097B1 KR 1020080089575 A KR1020080089575 A KR 1020080089575A KR 20080089575 A KR20080089575 A KR 20080089575A KR 100995097 B1 KR100995097 B1 KR 10099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blocks
backfill
bind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724A (ko
Inventor
연철수
연훈모
Original Assignee
(합)강산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강산건업 filed Critical (합)강산건업
Priority to KR102008008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B)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P1) 내지 4군의 결속봉(P4)에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B)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B)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콘크리트층, 결속봉, 바닥 골재, 뒷채움 토사, 뒷채움 골재, 그리드, 소켓, 부직포, 소일 네일, 유공관, 속채움 토사, 속채움 골재, 앞채움 토사

Description

옹벽 블록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 내지 4군의 결속봉에 1군의 그리드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표고 차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지반 또는 절개지의 한쪽 면에 토사를 억누르는 블록을 쌓아 완성된다.
본원 출원인은 2008.04.08.자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선 출원(10-2008-32460)한 바 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 도이고, 도 1b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B)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후협(前廣後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중공부(B1) 및 상부에 걸림돌기(B2)를 각각 지닌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B1)와 걸림돌기(B2)의 맞물림으로 상호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 있고, 나아가 이렇게 블록(B)을 쌓으면서 중공부(1)에 쇄석 또는 흙을 포설하여 상호간의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들여쌓기시 외부로 드러난 중공부(B1)에 조경용 화초를 식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잡석 기초(70)를 다지고(a), 이 잡석 기초(70) 위에 1군의 블록(1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배수용 잡석(1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13)를 차례로 쌓는다(b).
그리고, 1군의 블록(11) 상위층의 배면으로부터 경사진 지반(60)을 향하여 제 1 콘크리트층(14)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c), 다시 1군의 블록(11)의 상위층 위에 2군의 블록(2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2군의 배수용 잡석(2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23)를 차례로 쌓는다(d).
이어서, 2군의 블록(21) 상위층의 배면으로부터 경사진 지반(60)을 향하여 제 2 콘크리트층(24)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e), 2군의 블록(21)의 상위층 위에 3군 의 블록(3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3군의 배수용 잡석(32;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 및 보강토(33)를 차례로 쌓는다(f).
이때,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은 경사진 지반(60)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할수록 미세하게 경사지게 시공되도록 하여 빗물이 1군 내지 3군의 보강토(13, 23, 33) 및 경사진 지반(60)을 경유하여 스며들 경우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에 의해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을 경유하여 지하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지반약화 내지는 지반의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에 묻혀진 제 1 콘크리트층(14) 및 제 2 콘크리트층(24)에 상하방향으로 배수공(40)을 관통 형성시켜 빗물이 스며들 경우 자연스럽게 배수공(40)을 경유하여 하측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1군 내지 3군의 블록(11, 21, 31)과, 1군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 및 보강토(13, 23, 33) 사이에 합성수지 메쉬[MESH(50); 예를 들면 지오그리드]를 교번적으로 수평지게 펼쳐 상호간의 견인력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2군 및 3군의 블록(21, 31)을 경사진 지반(60)의 기울기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들여쌓기를 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중공(B1)에 화초를 식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을 포 함한 측면도이다.
선 출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반(60)의 기울기에 맞추어 들여쌓기로 이루어진 블록(B)의 중공부(B1)에 흙(H)을 포설하여 화초의 식생을 가능케 하고, 이렇게 흙(H)이 포설된 블록(B)과 접하는 하위 블록(B), 제 1 콘크리트층(14), 2군의 배수용 잡석(22), 제 2 콘크리트층(24), 3군의 배수용 잡석(32) 사이에 부직포(V)를 개재하여 흙(H)의 누출을 방지하며, 다른 한편으로 흙(H)이 포설된 블록(B) 이외의 블록(B)의 중공부(B1)에 쇄석(S)을 포설하여 상호간의 견고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의 중공부(B1) 전방 내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기부(B3)를 돌출시켜 블록(B)의 수직방향 적층시 잡초의 자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을 들여쌓기를 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쌓을 때 하위의 블록(B) 상측의 중심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놓여지는 상위의 블록(B)들 사이로 돌기부(B3)가 존재토록 하여 잡초의 자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선 출원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넓을 경우 1군의 블록 내지 3군의 블록(11, 21, 31)을 비롯한 1군의 배수용 잡석 내지 3군의 배수용 잡석(12, 22, 32) 그리고 1군의 보강토 내지 3군의 보강토(13, 23, 33)를 여유롭게 적층 및 쌓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경사진 지반(60)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좁을 경우 그 시공이 극히 어렵고, 설령 시공을 완성 하더라도 블록(B)이 쉽게 무너져 버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사면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제 1 기초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
상기 사면을 따라 1군의 결속봉을 등간격으로 세우는 스텝과,
상기 제 1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1군의 블록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바닥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1군의 결속봉에 결속시키면서 상기 1군의 블록, 1군의 바닥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1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
상기 1군의 결속봉에 2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1군의 그리드 위에 2군의 블록, 2군의 뒷채움 토사 및 2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2군의 그리드를 상기 2군의 결속봉에 결속시 켜 펼치는 스텝과,
상기 2군의 블록 및 2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제 2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
상기 2군의 결속봉에 3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 2 보강콘크리트층 및 2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3군의 블록, 3군의 뒷채움 토사 및 3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3군의 그리드를 상기 3군의 결속봉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과,
상기 3군의 블록 및 3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제 3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과,
상기 3군의 결속봉에 4군의 결속봉을 각각 소켓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 3 보강콘크리트층 및 3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4군의 블록, 4군의 뒷채움 토사 및 4군의 뒷채움 골재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4군의 그리드를 상기 4군의 결속봉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S12)과,
상기 4군의 블록, 4군의 뒷채움 토사 및 4군의 뒷채움 골재 위에 제 4 보강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면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극히 좁을 경우 블록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 내지 4군의 결속봉에 1군의 그리드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결속시키면서 블록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B)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후협(前廣後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 제 1 홀(12)을 지닌 제 1 중공홈(11) 및 제 2 홀(14)을 지닌 제 2 중공홈(13)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부에 걸림돌기(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블록(B)의 제 1 중공홈(11)에 속채움 토사(60)가 채워지고, 블록(B)의 제 2 중공홈(13)에 속채움 골재(70)가 채워진다.
블록(B)의 들여쌓기시 제 1 중공홈(11)에 채워진 속채움 토사(60)에는 화초를 식생할 수 있고, 이때 제 1 홀(12)은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되며, 제 2 중공 홈(13)에는 속채움 골재(70)가 채워져 하중에 의한 견고한 틀을 유지토록 하고, 이때 제 2 홀(14) 역시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m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은 도 5a 내지 도 5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斜面; S)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1), 사면(S)을 따라 1군의 결속봉(P1)을 등간격으로 세운 후(S2),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1군의 블록(B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를 전후 차례로 쌓는다[S3; 이때 1군의 블록(B1) 대신 골재를 다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1군의 결속봉(P1)에 결속시키면서 1군의 블록(B1),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 위에 1군의 그리드(G1)를 펼치고(S4), 1군의 결속봉(P1)에 2군의 결속봉(P2)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5), 다시 1군의 그리드(G1) 위에 2군의 블록(B2), 2군의 뒷채움 토사(T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2군의 그리드(G2)를 2군의 결속봉(P2)에 결속시켜 펼친다(S6).
이어서, 2군의 블록(B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 위에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7), 2군의 결속봉(P2)에 3군의 결속봉(P3)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8),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 위에 3군의 블록(B3), 3군의 뒷채움 토사(T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3군의 그리드(G3)를 3군의 결속봉(P3)에 결속시켜 펼친다(S9).
나아가, 3군의 블록(B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 위에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11), 3군의 결속봉(P3)에 4군의 결속봉(P4)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킨 후(S10),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 위에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4군의 그리드(G4)를 4군의 결속봉(P4)에 결속시켜 펼친다(S12).
다음으로,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 위에 제 4 보강콘크리트층(C4)을 타설 및 양생시켜(S13) 옹벽 블록 시공을 완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큰 핵심 기술은 사면(S)의 앞쪽 지면의 면적이 극히 좁을 경우 블록(B) 쌓기의 지반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더욱 견고하고 튼튼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1군의 결속봉(P1) 내지 4군의 결속봉(P4)에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를 각각 결속시키면서 블록(B) 쌓기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에 결속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가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져 블록(B)의 무너짐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사면(S)의 높이에 따라 블록(B) 쌓기 등의 층수는 자유롭게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업자의 이해의 범주로 한다.
한편, 사면(S)을 따라 부직포(30)를 씌워 시공 중 사면(S)으로부터 토사가 무너져 공사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시공 완료 후 우수의 침투로 인한 사면(S)의 미세한 토사가 1군의 뒷채움 골재(K1)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4) 속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1∼K4)에 의한 우수의 통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군의 결속봉(P1) 내지는 4군의 결속봉(P4)을 잡아주면서 부직포(30)를 경유하여 사면(S)에 소일 네일(40; Soil Nail)을 박아 1군의 그리드(G1) 내지는 4군의 그리드(G4)와 더불어 1군 내지 4군의 결속봉(P1∼P4)의 전체적인 지지력과 결속력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기초코트리트층 위의 1군의 바닥 골재(T1) 속에 횡방향으로 유공관[50; 다수의 구멍들이 타공된 파이프]을 세팅시켜 1군의 뒷채움 골재(K1)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K4)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히 받아들이면서 횡방향으로 내보내 별도의 배수로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블록(B)의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나아가, 1군의 블록(B1) 내지 4군의 블록(B4)은 사면(S)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들여쌓기 또는 수직쌓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낱개의 블록(B)들이 군을 이루어 완성되고, 더욱 구체적으로 블록(B)은 전광후협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 1 홀(12)을 지닌 제 1 중공홈(11) 및 제 2 홀(14)을 지닌 제 2 중공홈(13)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부에 걸림돌기(15)를 구비하여 서로 축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한편, 1군의 블록(B1) 앞에 노출된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앞채움 토사(80)를 주변 지형에 맞추어 쌓아 최종 마무리토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면(S)의 기울기에 맞추어 들여쌓기로 이루어진 블록(B)의 제 1 중공홈(11)에 속채움 토사(60)를 채워 화초의 식생을 가능케 하고, 제 2 중공홈(13)에는 속채움 골재(70)를 채워 하중에 의한 중력으로 더욱 견고한 축조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면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 시공 분야에 활용된다.
도 1a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f는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선 출원된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을 포함한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에 적용된 블록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m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블록 11 : 제 1 중공홈
12 : 제 1 홀 13 : 제 2 중공홈
14 : 제 2 홀 15 : 걸림돌기
16 : 돌기부 20 : 소켓
30 : 부직포 40 : 소일 네일
50 : 유공관 60 : 속채움 토사
70 : 속채움 골재 80 : 앞채움 토사
S : 사면 C1 : 제 1 기초콘크리트층
C2 : 제 2 보강콘크리트층 C3 : 제 3 보강콘크리트층
C4 : 제 4 보강콘크리트층 P1 : 1군의 결속봉
P2 : 2군의 결속봉 P3 : 3군의 결속봉
P4 : 4군의 결속봉 B1 : 1군의 블록
B2 : 2군의 블록 B3 : 3군의 블록
B4 : 4군의 블록 T1 : 1군의 바닥 골재
T2 : 2군의 뒷채움 토사 T3 : 3군의 뒷채움 토사
T4 : 4군의 뒷채움 토사 K1 : 1군의 뒷채움 골재
K2 : 2군의 뒷채움 골재 K3 : 3군의 뒷채움 골재
K4 : 4군의 뒷채움 골재 G1 : 1군의 그리드
G2 : 2군의 그리드 G3 : 3군의 그리드
G4 : 4군의 그리드

Claims (8)

  1. 사면(S)의 앞쪽 지면을 터파기하여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과,
    상기 사면(S)을 따라 1군의 결속봉(P1)을 등간격으로 세우는 스텝(S2)과,
    상기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1군의 블록(B1)을 적층시키면서 그 뒤쪽에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3)과,
    상기 1군의 결속봉(P1)에 결속시키면서 상기 1군의 블록(B1), 1군의 바닥 골재(T1) 및 1군의 뒷채움 골재(K1) 위에 1군의 그리드(G1)를 펼치는 스텝(S4)과,
    상기 1군의 결속봉(P1)에 2군의 결속봉(P2)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S5)과,
    상기 1군의 그리드(G1) 위에 2군의 블록(B2), 2군의 뒷채움 토사(T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2군의 그리드(G2)를 상기 2군의 결속봉(P2)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S6)과,
    상기 2군의 블록(B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 위에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7)과,
    상기 2군의 결속봉(P2)에 3군의 결속봉(P3)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S8)과,
    상기 제 2 보강콘크리트층(C2) 및 2군의 뒷채움 골재(K2) 위에 3군의 블 록(B3), 3군의 뒷채움 토사(T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3군의 그리드(G3)를 상기 3군의 결속봉(P3)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S9)과,
    상기 3군의 블록(B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 위에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0)과,
    상기 3군의 결속봉(P3)에 4군의 결속봉(P4)을 각각 소켓(20) 결합시켜 연장시키는 스텝(S11)과,
    상기 제 3 보강콘크리트층(C3) 및 3군의 뒷채움 골재(K3) 위에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를 전후 차례로 쌓으면서 그 중간에 4군의 그리드(G4)를 상기 4군의 결속봉(P4)에 결속시켜 펼치는 스텝(S12)과,
    상기 4군의 블록(B4), 4군의 뒷채움 토사(T4) 및 4군의 뒷채움 골재(K4) 위에 제 4 보강콘크리트층(C4)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S)을 따라 부직포(3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군의 결속봉(P1) 내지는 4군의 결속봉(P4)을 잡아주면서 상기 부직포(30)를 경유하여 상기 사면(S)에 소일 네일(40; Soil Nail)이 박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초코트리트층 위의 상기 1군의 바닥 골재(T1) 속에 횡방향으로 유공관(50)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군의 블록(B1) 내지 4군의 블록(B4)은 상기 사면(S)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들여쌓기 또는 수직쌓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옹벽 블록 시공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군 내지 4군의 블록(B1∼B4)은 낱개의 블록(B)들이 군을 이루어 완성되며,
    상기 블록(B)은 중앙에 제 1 홀(12)을 지닌 제 1 중공홈(11) 및 제 2 홀(14)을 지닌 제 2 중공홈(13)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부에 걸림돌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B)의 제 1 중공홈(11)에 속채움 토사(60)가 채워지고, 상기 블록(B)의 제 2 중공홈(13)에 속채움 골재(7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군의 블록(B1) 앞에 노출된 상기 제 1 기초콘크리트층(C1) 위에 앞채움 토사(80)를 주변 지형에 맞추어 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20080089575A 2008-09-11 2008-09-11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099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75A KR100995097B1 (ko) 2008-09-11 2008-09-11 옹벽 블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75A KR100995097B1 (ko) 2008-09-11 2008-09-11 옹벽 블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24A KR20100030724A (ko) 2010-03-19
KR100995097B1 true KR100995097B1 (ko) 2010-11-19

Family

ID=421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75A KR100995097B1 (ko) 2008-09-11 2008-09-11 옹벽 블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033B1 (ko) * 2022-04-19 2023-02-10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CN116180802A (zh) * 2022-12-07 2023-05-30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输变电工程塔基施工弃土拦挡的模块化堡坎建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29A (ja) 1997-07-09 1999-02-02 Kumagai Gumi Co Ltd 補強土工法
KR200242168Y1 (ko) 2001-05-10 2001-10-15 강승문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KR100660574B1 (ko) 2005-05-24 2006-12-22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29A (ja) 1997-07-09 1999-02-02 Kumagai Gumi Co Ltd 補強土工法
KR200242168Y1 (ko) 2001-05-10 2001-10-15 강승문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KR100660574B1 (ko) 2005-05-24 2006-12-22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24A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185875Y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0752152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914959B (zh) 一种适用于山区房建的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CN211815311U (zh) 透水道路结构
KR100780216B1 (ko)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KR102184291B1 (ko) 도로의 임시 복구를 위한 보도블록부
CN207062983U (zh) 一种预制框架式挡土墙
KR100451429B1 (ko) 폐콘크리트 및 폐석회석을 이용한 복합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3445539A (zh) 一种有限填土轮胎墙及其施工方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KR20100003166U (ko) 옹벽 블록 시공용 그리드
KR101824416B1 (ko) 식생기반체가 설치되는 옹벽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885909B1 (ko)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KR100750702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성토부 축조방법
KR20050043552A (ko)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