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552A -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552A
KR20050043552A KR1020030078475A KR20030078475A KR20050043552A KR 20050043552 A KR20050043552 A KR 20050043552A KR 1020030078475 A KR1020030078475 A KR 1020030078475A KR 20030078475 A KR20030078475 A KR 20030078475A KR 20050043552 A KR20050043552 A KR 20050043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soil
retaining wall
ston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정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경
Priority to KR102003007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552A/ko
Publication of KR2005004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 택지의 절개지 등에 축조되는 식생 개비온(GABION)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개비온(1)과 절개면의 접촉부에 부직포(2)를 설치하여 절개면의 수분은 개비온 쪽으로 전달되고 토사는 심한 강우에도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개비온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부직포(2)와 수분이 전달되도록 연결되는 수분공급매트를 설치하여 절개면의 수분이 개비온의 전면(前面)까지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3, 3')의 수분이 개비온의 내부에까지 전달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인 수분공급매트를 상기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와 접합하여 개비온 내부에 일정높이로 설치하고, 개비온에 석재를 채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4, 4')가 설치되는 높이까지는 석재(5)의 공극에 흙(6)을 채움으로써 개비온 내부에 뿌리의 성장이 가능하고 수분을 보존하는 화분을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은 석재를 채우고, 상기 석재의 공극에 흙이 채워지는 부분 중, 개비온의 전면 쪽에는 식물의 씨와 접착제 등이 혼합된 녹생토(7)나 흙 또는 상기 2가지 모두를 석재 공극에 채우고, 또 개비온이 계단 형태로 적층될 경우에는 단의 상부에 녹생토를 형성하며, 시공 현장의 필요에 따라 개비온 전면 전체에 녹생토를 포설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개비온 옹벽의 전면 및 내부에까지 수분이 전달되고, 개비온 내부에 석재와 흙 또는 녹생토가 섞여서 되는 화분이 형성되므로 옹벽 시공 후 단기간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2단계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WALL STRUCTURE WITH GABION}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이나 도로의 절개지 사면 등에 축조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개비온과 절개지의 경계면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상기 부직포와 수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접합되는 수평방향의 수분공급매트를 개비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또 상기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와 수분이 전달되는 형태로 수직방향의 수분공급매트를 개비온 내부에 설치하여 절개면의 수분은 개비온 내부 및 개비온의 전면(前面)에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고, 개비온 내부에 석재를 채우되 상기 수평 및 수직방향의 수분공급매트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는 석재 공극에 흙을 채워 화분을 형성하고, 이때 석재의 공극에 흙이 채워지는 부분이나, 개비온을 계단이 형성되도록 적층할 경우 단이지는 부분에는 식물의 씨앗과 접착제 등이 섞인 녹생토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빠른 식생을 유도할 수 있고, 옹벽이 시공되는 현장의 종류에 따라 옹벽의 전면 전체에 녹생토를 포설할 수 있다. 그리고 옹벽을 시공한 후 전체 옹벽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단위 개비온의 측면에도 수직방향의 수분공급매트를 측면 전체 또는 일부 높이까지 설치하여 옹벽의 측면으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절개면의 토사 유실이 방지되고, 개비온의 흙과 녹생토 부분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또 보존할 수 있어서 식생을 촉진함과 더불어 단기간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고 동절기에도 동해를 막아 적절한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0440호와 같이, "콘크리트나 석재를 짜 맞추어서 되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블록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되, 상기 블록의 중앙 공간부에 흙을 채워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록"이 알려져 있었으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집중 호우 시 블록에 채워진 흙이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과, 가뭄 시에는 상기 흙에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어려워 원활한 식물의 성장이 곤란한 문제점, 그리고 절개지의 경사면 각도에 맞추어 이에 적절한 형태의 블록을 만들어 쌓아야 함에 따른 시공 상의 어려움과 그에 따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63435호에서와 같이, 경사면에 철망으로 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그 측부에 측방부재를 고정시켜 석재를 담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다음, 여기에 석재를 채우고, 석재 위에 지지부재를 덮으며, 지지부재 위에 흙을 덮고, 다시 그 위에 철망으로 되는 덮개를 덮는 구조의 경사면 구축 기술이 알려져 있었으나, 상기의 기술은 경사면에 철망으로 되는 베이스를 폭 넓게 깔고 그 위에 석재를 채우는 구성이어서 경사면이 다소 완만하고 넓게 형성된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절개면의 경사가 심하여 수직에 가깝다거나 단위 개비온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야 하는 시공 현장에는 실시가 곤란한 기술이어서 본 발명과 같이 개비온을 옹벽으로 적용하는 기술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고, 또 위 기술은 석재 위에 지지부재를 덮은 다음, 그 위에 흙을 덮고 상기 흙을 철망으로 되는 덮개로 덮는 구조여서, 식생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집중 호우에 의하여 지지부재 위에 덮이는 흙이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천 또는 절개면의 경사가 심하여 수직에 가까운 곳에서도 개비온을 상·하로 적층하여 옹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한편, 위와 같이 구축된 옹벽은 심한 강우에 의해서도 절개면의 토사나 개비온 내부에 채워진 흙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고, 개비온 내부의 일정 공간에 형성되는 화분과 개비온의 전면에 형성되는 녹생토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또 보존할 수 있어서, 옹벽 시공 후 단기간에 그리고 효율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개비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인데, 본 발명의 개비온(1)은 철판망이나, 철사를 꼬아서 되는 철망으로 제조되는 것을 포함하여 통상의 개비온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개비온 내·외부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수분공급매트와, 개비온에 채워지는 석재, 그리고 석재의 공극을 채우는 흙과 녹생토 등을 나타낸 옹벽을 구성하는 단위 개비온을 나타낸 사시도인데, 개비온의 배면 즉, 절개면과 개비온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절개면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개비온 쪽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한편 절개면의 토사가 개비온을 통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부직포(2)를 설치하고, 개비온의 하부에는 상기 부직포와 수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 접합되며 천연섬유를 직조한 것이나 부직포 등으로 되어 수분전달이 용이한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3)를 설치하여 절개면의 수분이 개비온의 전면(前面) 즉, 개비온의 공기와 접하는 면까지 전달되도록 하며, 개비온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분공급매트와 수분이 전달되도록 연결, 접합되는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4)를 설치하고, 이때 상기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의 설치 높이는 대략 개별 개비온(1) 높이의 3분의 1 정도가 바람직하나, 개비온의 크기나 적층되는 개비온의 개수 등에 따라 그 높이가 가감될 수 있으며, 개별 개비온 높이와 같은 높이까지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는 개비온의 전면에 밀착되거나, 전면으로부터 5~30㎝ 정도 이격되며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개비온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조성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나 개비온의 크기 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비온에 석재를 채움에 있어서, 석재(5) 외에 흙(6)을 석재의 공극에 채움으로서 시공과정에서 미리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데 또 하나의 특징이 있는데, 석재의 공극에 흙이 채워지는 높이는 상기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4)의 높이까지가 적당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흙(6)이 집중 강우에도 수직 및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에 둘러싸여 외부로 유실되지 않으므로 시공 과정에서 미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하나의 화분을 개비온 내부에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 보다 높은 위치에는 석재만을 채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가 개비온의 전면으로부터 5~30㎝ 정도 이격될 경우에는 그 이격되는 부분에 채워지는 석재(5)의 공극에 흙(6)을 채워 자연식생을 유도할 수 있고, 또 단기간에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석재의 공극에 흙을 채움과 더불어 식물의 씨앗과 접착성분, 흙 등이 혼합된 녹생토(7)를 포설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인데, 앞서 살펴본 도 2a와 차이 나는 부분은, 수평방향 부직포(3')를 단위 개비온의 하부가 아닌 개비온 내부에 설치하고,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4')는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와 수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개비온의 상면으로 뻗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의 상부에는 대략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의 높이까지 석재(5) 및 석재 공극에 흙(6)을 채우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석재를 채운다. 이때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의 개비온 전면 쪽에는 앞서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녹생토(7)를 추가로 포설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a와 같이 되는 단위 개비온을 상·하 2층으로 적층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에 따라 적층되는 개비온의 개수를 늘일 수 있으며,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개비온을 적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 경우에도 옹벽의 높이에 따라 적층되는 개비온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 4b는, 상하로 적층되는 개비온이 계단이 지도록 적층한 것을 나타낸 것인데, 절개면(8)이 경사질 경우나, 옹벽 하부는 그 단면 폭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옹벽을 구축할 때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개비온의 배면에 설치되는 부직포나, 수직 및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 그리고 개비온 내부의 각 부분에 채워지는 석재나 흙, 녹생토는 앞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단이 없이 상·하로 적층되는 개비온의 경우와 차이가 없고, 이때 식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개비온의 단이 진 부분에 녹생토(7)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a에 도시된 형태의 단위 개비온을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이 지는 형태로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위 개비온들을 적층하여서 되는 옹벽의 전면과 상면 전체에 녹생토를 포설할 수 있으며, 이는 시공 현장의 종류에 따라 빠른 식생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위 개비온을 적층하여서 되는 옹벽에 있어서, 옹벽의 전면이 아닌 옹벽 측면의 맨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단위 개비온에는, 앞서 설명한 개비온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와 같은 형태의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를 설치하여, 옹벽의 측면을 통하여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옹벽의 측면 외벽이나 옹벽 최상측에 위치하는 개비온의 상면에 녹생토나 흙을 포설하여 빠른 식생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개비온(1)의 배면에 설치되는 부직포(2)에 의하여 절개면(8)의 토사 유실이 방지되는 한편, 절개면의 수분은 지속적으로 개비온 쪽으로 전달되고, 상기 부직포와 수분이 전달되도록 연결되는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3, 3')에 의하여 개비온의 전면에까지 수분이 공급되며, 또 상기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와 수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4, 4')에 의하여 개비온의 내부에까지 수분이 공급된다. 그리고 개비온 내부의 수직 및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로 둘러싸이는 부분에는 석재(5)의 공극에 흙(6)을 채워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화분이 형성되고 또 상기 화분에는 수직 및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에 의하여 수분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한편, 흙은 수직 및 수평방향 수분공급매트에 둘러싸여 심한 강우에도 쉽게 유실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통상의 개비온으로 되는 옹벽이 가지는 문제점인, 흙이 자연적으로 개비온의 공극을 채워 식생환경을 조성하는데 상당히 긴 기간이 소요되고, 또 공극에 채워진 흙이 강우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옹벽 시공 후 단기간에 안정적으로 식생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와 더불어 개비온을 단이 형성되도록 쌓을 경우 단의 상면에 녹생토(7)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또 상기 녹생토 부분에 수직 및 수평방향의 수분공급매트가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므로 빠른 식생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옹벽의 전면 전체에 녹생토를 포설 시에는 철망과 석재 공극에 노생토가 부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보다 빠른 식생이 유도된다.
이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은, 적절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리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고, 상세한 설명에 예시된 내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개비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 설치되는 부직포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수분공급매트와, 개비온에 채워지는 석재 및 석재의 공극에 채워지는 흙 등을 단위 개비온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a, 3b는, 각각 도 2a, 2b의 개비온을 적층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서 개비온을 계단이 지도록 적층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비온 2 : 부직포
3, 3': 수평 방향 수분공급매트 4, 4': 수직방향 수분공급매트
5 : 석재 6 : 흙
7 : 녹생토 8 : 절개지 또는 제방의 사면

Claims (8)

  1. 하천 제방이나 도로, 택지의 절개지 사면에 설치되는 옹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구성하는 개비온(1)의 절개면(8)과 접하는 부분에 부직포(2)가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2)와 접합되며 개비온의 전면 방향으로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 3')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와 접합되고 개비온의 상면으로 뻗는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4, 4')가 설치되고, 상기 개비온의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 3') 위에는 석재(5) 및 석재의 공극을 채우는 흙(6)이 상기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4, 4')의 높이까지 채워지고, 상기 석재와 석재의 공극에 흙이 채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개비온의 다른 내부 공간에는 석재(5)를 채워서 되는 단위 개비온을 적층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는 단위 개비온(1)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는 단위 개비온(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와 접합되는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4')는 개비온의 상면으로 뻗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수분전달매트는 개비온의 전면으로부터 5~30㎝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수분전달매트(3, 3') 위의 석재의 공극을 흙(6)과 녹생토(7)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옹벽의 전면 전체에 녹생토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7.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개비온의 상부 개비온을 하부 개비온에 대하여 안으로 들여쌓아 계단을 형성하고, 상기 단 위에 녹생토(7)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8.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옹벽 최 상측 개비온의 상면에 녹생토나 흙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KR1020030078475A 2003-11-06 2003-11-06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KR20050043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75A KR20050043552A (ko) 2003-11-06 2003-11-06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75A KR20050043552A (ko) 2003-11-06 2003-11-06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52A true KR20050043552A (ko) 2005-05-11

Family

ID=3724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475A KR20050043552A (ko) 2003-11-06 2003-11-06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55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94B1 (ko) * 2006-12-18 2007-09-06 동서철강 주식회사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 2006-12-12 2008-03-19 우암종합건설(주)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90272B1 (ko) * 2012-06-14 2013-07-26 이상한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게비온벽
KR101532681B1 (ko) * 2013-07-25 2015-06-30 (유)이안지오텍 지반 침하방지용 돌망태
KR102334934B1 (ko) 2021-05-20 2021-12-06 송상훈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102334930B1 (ko) 2021-05-20 2021-12-07 송상훈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49B1 (ko) * 2006-12-12 2008-03-19 우암종합건설(주)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55894B1 (ko) * 2006-12-18 2007-09-06 동서철강 주식회사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KR101290272B1 (ko) * 2012-06-14 2013-07-26 이상한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게비온벽
KR101532681B1 (ko) * 2013-07-25 2015-06-30 (유)이안지오텍 지반 침하방지용 돌망태
KR102334934B1 (ko) 2021-05-20 2021-12-06 송상훈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102334930B1 (ko) 2021-05-20 2021-12-07 송상훈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965B2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CA2797478C (en)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KR20050043552A (ko)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CN110552322A (zh) 一种利用河道清淤料的平铺式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07751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JPH08120693A (ja) 擁 壁
JP3791692B1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124525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및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CN211621045U (zh) 一种园林生态路面
KR102581619B1 (ko) 기능성 개비온 블록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2001226992A (ja) 土留ブロック
CN214783011U (zh) 一种生态铺地构造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S63284321A (ja) 盛土斜面の土留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