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894B1 -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894B1
KR100755894B1 KR1020060129442A KR20060129442A KR100755894B1 KR 100755894 B1 KR100755894 B1 KR 100755894B1 KR 1020060129442 A KR1020060129442 A KR 1020060129442A KR 20060129442 A KR20060129442 A KR 20060129442A KR 100755894 B1 KR100755894 B1 KR 10075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abion
soil
gabions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헌
Original Assignee
동서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과 같은 경사면의 녹화를 위한 시공에서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제방이나 옹벽 등의 경사면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식물의 종자가 구비된 녹화토가 흘러내리지 않아 식물이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려 녹화상태가 양호하고 미려하도록 하는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의 경사면 또는 하상의 옹벽경사면에 옹벽용 돌망태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을 계단식으로 정리하는 지반 정리단계; 각 계단에 옹벽용 돌망태를 계단형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직상방의 돌망태의 끝이 닿는 부분에 철망으로 된 칸막이를 설치하여 옹벽용 돌망태를 설치하는 단계; 옹벽용 돌망태 깊이의 일정한 정도까지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의 골재를 채워 넣는 단계; 칸막이를 중심으로 제방의 바깥쪽으로는 부직포시트를 깔고, 그 위에는 녹화토 보호를 위한 상자를 끼우는 단계; 칸막이를 중심으로 제방의 안쪽으로는 다시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의 골재 등을 채우고, 바깥쪽의 상자 안에는 보양토와 식물 씨앗이 포함된 녹화토를 넣는 단계; 및 녹화토 상면에는 건조를 방지하여 식물 씨앗의 발아를 돕기 위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거적으로 덮고, 최상단 돌망태에는 철망으로 된 뚜껑을 결속시켜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돌망태, 옹벽, 녹화토, 제방, 칸막이, 부직포시트, 상자

Description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of pro-environment breast with gabions}
도1은 종래의 옹벽 돌망태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이용된 돌망태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돌망태 2; 골재
3; 칸막이 4; 부직포시트
5; 상자 6; 녹화토
7; 거적 8; 뚜껑
9; 식물
본 발명은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호안 또는 하천 등의 제방에 옹벽 돌망태를 계단형으로 적층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하며,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어도 시공이 편리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호안이나 제방의 옹벽 경사면을 녹화할 수 있는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이나 하천의 제방의 녹화를 위해서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경사면에 돌망태(1)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그 돌망태(1)의 바닥에 부직포시트(4)를 깔고, 그 위에 약 70% 정도의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 골재(2) 등을 채우고, 그 상면에 여러 가지 식물의 씨앗이 섞여있는 녹화토(6)를 넣음으로서 경사면을 녹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경사가 완만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 시공이 가능하지만, 경사가 급경사인 경우에는 골재가 채워진 돌망태들이 미끄러져 내려옴으로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과, 시공 후에도 폭우가 내리면 쉽게 무너져 내리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자라 하더라도 각 돌망태마다 곳곳에 말뚝을 박아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직포시트(4)를 돌망태(1)의 바닥에 깔기 때문에 녹화토(6)를 채워 넣고 시공을 마친 후 비가 오거나 시간이 지나면 고가의 녹화토(6)가 골재(2)의 틈으로 빠져들게 되어 식물의 발아를 방해하여 원하는 녹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따른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방과 같은 옹벽 경사면의 녹화를 위한 시공에서 누구나 용이한 방법으로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홍수에도 제방이나 옹벽 등의 경사면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식물의 종자가 구비된 녹화토가 흘러내리지 않아 식물이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려 녹화상태가 양호하고 미려하도록 하는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실시예를 겸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방의 경사면 또는 하상의 옹벽 경사면에 돌망태(1)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을 계단식으로 정리하는 지반 정리단계; 각 계단에 맞추어 돌망태(1)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직상방의 돌망태의 끝이 닿는 부분에 철망으로 된 칸막이(3)를 설치하여 옹벽 돌망태를 설치하는 단계; 옹벽 돌망태(1) 깊이의 1/2 내지 4/5 정도까지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 등의 골재(2)를 채워 넣는 단계; 칸막이(3)를 중심으로 제방의 바깥쪽으로는 부직포시트(4)를 깔고, 부직포시트(4) 위에는 녹화토 보호를 위한 상자(5)를 끼우는 단계; 칸막이(3)를 중심으로 제방의 안쪽으로는 다시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 등의 골재(2)를 채우고, 바깥쪽 상자(5) 안에는 보양토와 식물 씨앗이 포함된 녹화토(6)를 넣는 단계; 및 녹화토(6) 상면에는 건조를 방지하여 식물 씨앗의 발아를 돕기 위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거적(7)으로 덮고, 최상단 옹벽용 돌망태에는 철망으로 된 뚜껑(8)을 결속시켜 마무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 부호 9는 씨앗이 발아하여 된 식물을 나타낸다.
상기 지반 정리단계에서 경사면이 급경사일 경우에는 계단의 턱을 높게 하고, 완만한 경사일 경우에는 계단의 턱이 약간씩 낮고 계단의 면이 보다 넓게 정리하는 것은 당연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옹벽용 돌망태(1)를 계단형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는 이미 지반을 계단형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같은 면상에 있는 옹벽용 돌망태(1)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도 설치가 용이하며, 1차로 옹벽용 돌망태(1)의 깊이의 1/2 내지 4/5 정도까지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의 골재(2)를 채우는 단계에서, 일반적으로는 옹벽용 돌망태(1)의 깊이가 약 1m 정도이기 때문에 전체 깊이의 4/5 정도까지 골재(2)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지만 돌망태(1)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는 그 깊이의 1/2 정도로 골재(2)를 채우고 나머지는 녹화토(6)를 채우는 것이 식물의 발아와 착근에 좋다.
한편, 일반적인 제방의 시공에서는 옹벽용 돌망태(1)를 제방과 직교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옹벽이 높지 않고 폭이 좁은 경우에는 옹벽용 돌망태(1)를 하천의 방향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시공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시트(4)와 상자(5)는 비가 오거나 시공 후 시간이 지나도 한번 시공한 녹화토(6)가 골재(2) 틈으로 빠져들지 않음으로 씨앗이 발아하여 착근할 때까지 녹화토(6)가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상자(5)의 재질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할 수 있는 목재나 종이상자가 좋지만 부식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며, 또한 상자(5)는 바닥면이 있는 5면체의 상자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자(5) 하단에는 부직포시트(4)가 깔려 있으므로 상자(5)의 형상은 상하면이 뚫려있는 4면체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물자도 절약되고 절첩이 용이함으로 시공에 편리하다.
특히, 녹화토(6) 상면에는 건조를 방지하여 식물 씨앗의 발아를 돕기 위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거적(7)으로 덮는 것이 중요하지만 거적(7)이 너무 두꺼우면 식물이 발아하여 거적을 뚫고 성장하기 어려우므로 거적(7)은 가급적 얇은 것이 어린 식물이 성장하기에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옹벽용 돌망태(1)가 계단형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홍수와 같은 많은 비에도 옹벽 돌망태가 미끄러져 제방이 붕괴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녹화토(6)에 들어가는 식물의 씨앗을 목적과 용도에 따라 색상이 다르다거나, 식물(9)이 성장하면서 늘어진다거나 또는 빳빳하게 성장하거나 하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식물(9)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옹벽이나 제방에 원하는 이미지를 설정하여 다양한 친환경적인 녹화 사업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최상단 옹벽용 돌망태(1)에만 철망으로 된 뚜껑(8)을 결속시킴으로 제방 상단이 보다 평평하고 미려하며, 각 돌망태마다 뚜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와 물자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제방 위로 사람이나 야생동물이 지나다니면서 돌망태 끝이 발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함으로 제방이 쉽게 무너지거나 미관을 해치는 일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 지반을 계단형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같은 면상에 있는 옹벽용 돌망태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도 설치가 용이하며, 씨앗이 발아하여 착근할 때까지 녹화토가 원 상태를 유지될 수 있어 제방을 원하는 대로 녹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옹벽용 돌망태가 계단형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홍수와 같은 많은 비에도 돌망태가 미끄러져 제방이 붕괴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견고한 제방을 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상단 옹벽용 돌망태에만 철망으로 된 뚜껑을 결속시킴으로 제방 상단이 보다 평평하고 미려하며, 각 돌망태마다 뚜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와 물자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방의 경사면 또는 하상의 옹벽 경사면에 옹벽용 돌망태(1)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을 계단식으로 정리하는 지반 정리단계;
    각 계단형 지반에 옹벽용 돌망태(1)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직상방 돌망태의 끝이 닿는 부분에 철망으로 된 칸막이(3)를 설치하여 옹벽용 돌망태를 설치하는 단계;
    옹벽용 돌망태(1) 깊이의 1/2 내지 4/5 정도까지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의 골재(2)를 채워 넣는 단계;
    칸막이(3)를 중심으로 제방의 바깥쪽으로는 부직포시트(4)를 깔고, 부직포시트(4) 위에는 녹화토(6) 보호 상자(5)를 끼우는 단계;
    칸막이(3)를 중심으로 제방의 안쪽으로는 다시 자갈이나 흙 및 건축폐기물의 골재(2) 등을 채우고, 바깥쪽 상자(5) 안에는 보양토와 식물 씨앗이 포함된 녹화토(6)를 넣는 단계;
    녹화토(6) 상면에는 건조를 방지하여 식물 씨앗의 발아를 돕기 위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거적(7)으로 덮고, 최상단 옹벽용 돌망태에는 철망으로 된 뚜껑(8)을 결속시켜 마무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자(5)의 재질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할 수 있는 목재나 종이 또는 부식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고, 상자(5) 의 형상은 상하면이 뚫려있는 4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KR1020060129442A 2006-12-18 2006-12-18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KR10075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42A KR100755894B1 (ko) 2006-12-18 2006-12-18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42A KR100755894B1 (ko) 2006-12-18 2006-12-18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894B1 true KR100755894B1 (ko) 2007-09-06

Family

ID=3873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42A KR100755894B1 (ko) 2006-12-18 2006-12-18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8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81B1 (ko) 2009-09-30 2012-03-2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CN111924973A (zh) * 2020-08-11 2020-11-13 天津农学院 一种菜地尾水氮净化方法
CN111996989A (zh) * 2020-08-18 2020-11-27 湖南创一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废料的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031117A (zh) * 2020-08-21 2020-12-04 重庆市风景园林规划研究院 一种梯田海绵生态系统和梯田海绵生态系统施工方法
CN112501967A (zh) * 2020-12-09 2021-03-16 安徽鼎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乡村水泥公路路基加固结构
CN114808849A (zh) * 2022-03-29 2022-07-29 郑州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坡体加固装置
CN115450172A (zh) * 2022-10-17 2022-12-09 江苏顺顺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石笼挡墙植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834A (ja) 1998-01-30 1999-08-10 Hokkaido Kawasaki Tetsumou Kk ふとん篭
JP2003232023A (ja) 2002-02-07 2003-08-19 Free Kogyo Kk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050043552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문경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834A (ja) 1998-01-30 1999-08-10 Hokkaido Kawasaki Tetsumou Kk ふとん篭
JP2003232023A (ja) 2002-02-07 2003-08-19 Free Kogyo Kk 布団篭及びこれを使用した擁壁
KR20050043552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문경 식생 개비온 옹벽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81B1 (ko) 2009-09-30 2012-03-2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CN111924973A (zh) * 2020-08-11 2020-11-13 天津农学院 一种菜地尾水氮净化方法
CN111996989A (zh) * 2020-08-18 2020-11-27 湖南创一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废料的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031117A (zh) * 2020-08-21 2020-12-04 重庆市风景园林规划研究院 一种梯田海绵生态系统和梯田海绵生态系统施工方法
CN112501967A (zh) * 2020-12-09 2021-03-16 安徽鼎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乡村水泥公路路基加固结构
CN112501967B (zh) * 2020-12-09 2022-03-18 安徽鼎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乡村水泥公路路基加固结构
CN114808849A (zh) * 2022-03-29 2022-07-29 郑州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坡体加固装置
CN114808849B (zh) * 2022-03-29 2023-11-28 郑州大学 一种水利水电工程坡体加固装置
CN115450172A (zh) * 2022-10-17 2022-12-09 江苏顺顺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石笼挡墙植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894B1 (ko)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CN108221861A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WO2017052473A1 (en)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8411856A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及方法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CZ2008145A3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KR20160045281A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649103B1 (ko) 친환경적인 상수원지 제방 녹화 구조물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20090058939A (ko) 구획별 하천 경사면의 친환경생태복원공법
KR20090058940A (ko) 친환경생태복원용 하천 경사면의 구조
KR100618279B1 (ko)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KR100479772B1 (ko)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리스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20120095050A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3403B1 (ko) 식생 셀
CN208346749U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
KR100733005B1 (ko) 이불형 망태를 이용한 친환경 제방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