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881B1 -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881B1
KR101124881B1 KR1020090093183A KR20090093183A KR101124881B1 KR 101124881 B1 KR101124881 B1 KR 101124881B1 KR 1020090093183 A KR1020090093183 A KR 1020090093183A KR 20090093183 A KR20090093183 A KR 20090093183A KR 101124881 B1 KR101124881 B1 KR 10112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gabion
slope
forest
restor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453A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도비탈면 훼손지 복원을 위한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과 녹화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금된 철선의 중복꼬임에 의한 육각 구조의 철망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돌망태 틀을 만들고,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내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그 안에 잡석을 채운 뒤 주변 산림토양 및 임목을 파쇄하여 식생이 발아 후 흡착할 수 있도록 잡석과 잡석 사이의 공간을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쌓을 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일정한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파일로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임도비탈면과 식생 생육을 위해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 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 안에는 석력 사이의 공극에 현지 비탈면을 긁어냈을 때의 자연표토에 선정된 목초본을 공극에 메워지도록 충진및;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현장의 지형(경사도, 방위 고려)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현장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임도비탈면 안정과 녹화가 가능한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일부분을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비탈면 안으로 묻혀들어 가도록 하며 나머지 부분에는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 가능하도록 시공함으로써, 임도비탈면 훼손지에 대한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연생태계 복원이 조기에 이루어지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임도비탈면, 식생기반재, 돌망태, 틀짜기, 식생생육, 수분교통

Description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Restoration method of the Forest Road Cut-slope Using Gabion System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본 발명은 임도비탈면 훼손지 복원을 위한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과 녹화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임도비탈면 녹화는 절토비탈면의 붕괴 및 토사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옹벽 및 석축 등이 주로 시설되었고, 돌망태는 제방보호 및 기슭막이와 같은 계천보호공사에 많이 사용하며 임도비탈면에는 비탈면에서 용수가 발생하거나 그로 인해 붕괴 및 낙석이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임도비탈면은 조기에 식생을 정착시킴과 동시에 토사침식을 억지할 수 있도록 안정녹화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풍화암 및 마사토, 침식다발 구간은 여름철 집중호우에 무방비 상태이며, 고가의 녹화공법 등을 적용시키기엔 주변 환경과도 부조화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임도비탈면의 침식으로 인한 훼손지 노출은 환경단체로부터 임도개설에 대한 불필요성과 환경악화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고, 집중호우시 임도비탈면의 침식으로 인한 산사태 및 붕괴로 수목피해 및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매년 수천억 원의 복구비가 투입되고 있으며, 이와 연결된 황폐계류 내 치산 사방구조물의 친환경적 관리를 위해 매년 막대한 관리비가 들어가고 있다. 특히 임도비탈면에서 유발된 산사태 등 토석류로 인해 발생된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한 피해는 인명 35명, 3000억 원 이상의 재산피해 그리고 산사태 2,304ha, 야계사방 71km, 사방댐 34개소, 임도 506km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전액 국고지원이 불가피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도비탈면 침식을 해결하기 위한 안정구조물과 녹화공법 등의 임도비탈면에 설치된 인공구조물 등은, 안정 또는 녹화 가운데 한 가지 목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들 두 가지 목적 즉,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물은 미미한 실정이다. 아울러 임도비탈면의 안정 및 녹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각종 인공구조물은 설치자가 일선 지자체, 산림청, 산림조합 등으로 다양함에도 자연친화적 임도비탈면 안정녹화 그리고 주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어 현장에서 적정관리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기능할 수 있는 공법 개발이 절실하며, 이러한 공법을 야계 및 황폐계류에서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친화적이고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물의 기술 개발 및 적용이 절 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772호(2005.3.31)의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잡석, 골재, 흙 및 녹화토양 등을 채움 주머니 식생 매트리스의 각 구간에 배치하고 이들이 채워진 상단에 일반토사, 보양토, 식물씨앗, 천연유기질, 발효비료 등으로 구성된 녹화토양을 덮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도 1 참조), 또한 식생관련 돌망태에 대한 특허기술들이 다소 공개되어 있다(미도시).
그러나 상기한 특허기술들은 모두가 식생을 위한 구간 채움 주머니와 상기 구간 채움 주머니에 녹화토양을 채우고 그 상단을 보호하는 식생용 부직포 등의 별도의 덮는 수단을 시공함으로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장마철 호우 시 상단에 덮은 식생용 부직포가 철망덮개 내에서 찢어지거나 휘말려 녹화용 식생 씨앗이 유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식생 매트리스 혹은 돌망태가 경사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설치되지 않으므로, 녹화용 식생 씨앗 등이 발아에 필요한 수분을 경사면을 통해 교통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식생기반재 돌망태 일부분은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시공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 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조기에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금된 철선의 중복꼬임에 의한 육각 구조의 철망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돌망태 틀을 만들고,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내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그 안에 잡석을 채운 뒤 주변 산림토양 및 임목을 파쇄하여 식생이 발아 후 흡착할 수 있도록 잡석과 잡석 사이의 공간을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쌓을 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일정한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파일로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임도비탈면과 식생 생육을 위해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 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 안에는 석력 사이의 공극에 현지 비탈면을 긁어냈을 때의 자연표토에 선정된 목초본을 공극에 메워지도록 충진 및;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현장의 지형(경사도, 방위 고려)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현장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사면절취시 하단부 측구에 강수시 배수된 물이 넘쳐 시공한 돌망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측구터파기가 실시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규격은, 가로 6m × 세로 0.5m × 높이 2단(1단:1m, 2단:0.5m)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은, 일반적으로 비탈면 조경 및 녹화업체에서 사용하는 종과 현지에 자생하는 종과 경관 및 생태적으로 조화되는 목본인 해송, 족제비싸리, 사방오리나무, 자귀나무, 참싸리하는 5종과, 자생초종인 낭아초, 비수리, 안고초로 하는 3종 및 톨훼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로 하는 3종의 외래초종 중에서 현장토양에 알맞게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사지에 침식토사수집장치(가로 1m, 세로 30cm, 높이 30cm)를 비탈면에 부착 설치하고 강우 시 침식토사수집장치에 수집된 토사의 부피로 침식량을 측정하여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임도비탈면 안정과 녹화가 가능한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일부분을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비탈면 안으로 묻혀들어 가도록 하며 나머지 부분에는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 가능하도록 시공함으로써,
(1) 임도비탈면 훼손지에 대한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연생태계 복원이 조기에 이루어진다.
(2) 콘크리트 시설물에 비해 저렴하고, 시공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대형기계류의 이동을 위한 접근로의 요구도가 낮아 시공비용 및 효율면에서 탁월하다.
(3) 시공에 따른 경관손상, 주변 자연생태계와의 이질감, 각종 생태계의 파괴 등이 적어 산지 및 계안 경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고, 자연생태계복원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각종 훼손지 복원 사업에서의 고용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4) 임도사업, 계안복원사업, 각종 훼손지 복원 사업 등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조경산업, 산림토목사업, 각종 하천사업과 이와 관련되는 사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Gabion)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플로워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자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와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침식토사수집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플로워챠트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과 일반 돌망태 시공방법에 대한 녹화상태를 비교한 현장 실물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은,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식생기반재 돌망태 일부분은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시공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식생재기반 돌망태 부분에는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조기에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식생기반재 돌망태(300),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318), 복수개의 고정용 파일(319), 비탈면 삽입부(321, 324), 녹화부분(322, 325), 수분 교통로(326) 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도비탈면 훼손지 복원 방법에 있어서, 공지된 임도비탈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 후 돌망태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지 터파기를 하는 단계와, 상기 돌망태 충진 장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터파기가 끝나면 상기 터파기 위치에서 돌망태 틀짜기를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틀짜기가 완료되면 표토의 현상 유지와 지피식물이 활착되기 전에 토양 유실을 방지해주기 위해 코이어 넷(Coir net)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틀짜기 및 코이어 넷이 완료된 돌망태 틀에 잡석 넣기와 목초본종자 및 산림표토를 충진하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식생기반재 돌망태(300)는,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돌망태 수단이다.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아연에다 5%의 알루미늄( Zn+5% Al)이 함유된 조성물로 철선을 도금하여 중복꼬임에 의한 육각구조의 철망(317)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돌망태 틀을 만든다.
여기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 틀은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기초(313)를 중심으로 전후좌우를 전개방식으로 조립 가능하되,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는 비탈면에서 안정을 위해 전후좌우에 지지대(311,312,313,314)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의 중간에는 보강을 위해 격벽 돌망태(315)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돌망태 덮개(316)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의 규격은, 가로 6m × 세로 0.5m × 높이 2단(1단:1m, 2단:0.5m)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는 현장의 지형(경사도, 방위 고려)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현장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318)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의 외부로 잡석이나 흙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며, 철망, 틀 등에 의한 열전도 위험으로부터 식생 생물의 씨앗을 보호하는 코이어 넷(Coir net)수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이어 넷으로 식생기반재 돌망태(300) 내부 전체를 감싸고 그 안에 잡석을 채운 뒤 주변 산림토양 및 임목을 파쇄하여 식생이 발아 후 흡착할 수 있도록 잡석과 잡석 사이의 공간을 식생기반재 돌망태 충진장비를 통해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채움으로서 일반 돌망태 시공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용 파일(319)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를 쌓을 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단과 단이 일체형이 되도록 복수개의 파이프(지름 6cm)로 돌망태 마다 양쪽 및 중앙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식생기반재 돌망태(300) 시공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의 1단(d1)(320) 및 2단(d2)(323)은 임도비탈면(100)과 식생 생육을 위해 임도비탈면의 수분교통로(326)와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비탈면(100)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하는 비탈면 삽입부분(320,323)과,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 화가 가능하도록 녹화부분(321,324)으로 구분하여 시공한다. 이때 상기 녹화부분(321,324)과 비탈면 삽입부분(320,323)간의 비율은 3:1~4:1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은, 일반적으로 비탈면 조경 및 녹화업체에서 사용하는 종과 현지에 자생하는 종과 경관 및 생태적으로 조화되는 목본인 해송, 족제비싸리, 사방오리나무, 자귀나무, 참싸리하는 5종과, 자생초종인 낭아초, 비수리, 안고초로 하는 3종 및 톨훼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로 하는 3종의 외래초종 중에서 현장토양에 알맞게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300) 안에는 석력 사이의 공극에는 현지 비탈면을 긁어냈을 때의 자연표토에 선정된 목초본을 공극에 메워지도록 충진 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사면절취시 하단부 측구에 강수시 배수된 물이 넘쳐 시공한 돌망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측구터파기(327)가 더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사지에 침식토사수집장치(가로 1m, 세로 30cm, 높이 30cm)를 비탈면에 부착 설치하고 강우 시 침식토사수집장치에 수집된 토사의 부피로 침식량을 측정하여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임도비탈면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제작하기 위하여 아연에다 5%의 알루미늄(Zn+5% Al)이 함유된 도금된 철선의 중복꼬임에 의한 육각 구조의 철망으로 사각형 또는 지사각형으로 돌망태 틀을 만들고,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생기반재 돌망태 내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그 안에 잡석을 채운 뒤 주변 산림토양 및 임목을 파쇄하여 식생이 발아 후 흡착할 수 있도록 잡석과 잡석 사이의 공간을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채우는 S1 단계를 갖는다.
상기 S1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쌓을 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일정한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파일로 고정하는 S2 단계를 갖는다.
상기 S2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임도비탈면과 식생 생육을 위해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 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시공하는 S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 안에는 석력 사이의 공극에 현지 비탈면을 긁어냈을 때의 지연표토에 선정된 목,초본을 함께 공극에 메위지도록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S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현장의 지형(경사도, 방위 고려)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현장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사면절취시 하단부 측구에 강수시 배수된 물이 넘쳐 시공한 돌망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측구터파기가 실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규격은, 가로 6m × 세로 0.5m × 높이 2단(1단:1m, 2단:0.5m)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 단계에서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은, 일반적으로 비탈면 조경 및 녹화업체에서 사용하는 종과 현지에 자생하는 종과 경관 및 생태적으로 조화되는 목본인 해송, 족제비싸리, 사방오리나무, 자귀나무, 참싸리하는 5종과, 자생초종인 낭아초, 비수리, 안고초로 하는 3종 및 톨훼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로 하는 3종의 외래초종 중에서 현장토양에 알맞게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사지에 침식토사수집장치(가로 1m, 세로 30cm, 높이 30cm)를 비탈면에 부착 설치하고 강우 시 침식토사수집장치에 수집된 토사의 부피로 침식량을 측정하여 복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과 일반적인 돌망태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녹화상태를 실물 사진으로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도비탈면 훼손지 복원방법 있어서 일반적인 돌망태의 안정성과 현지 사정을 고려한 자연생태계의 식생 생물의 녹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Gabion)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플로워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자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와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침식토사수집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대한 플로워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과 일반적인 돌망태 시공방법에 대한 녹화상태를 비교한 현장 실물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임도비탈면 200 : 일반 돌망태
300 : 식생기반재 돌망태 310 : 식생기반재 돌망태 기초
311,312,313,314 : 전후좌우지지대 315 : 격벽 돌망태
316 : 덮개 317 : 육각철망
318 :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319 : 복수개의 고정용 파일 321,324 : 비탈면 삽입부
322,325 : 녹화부분, 326 : 수분 교통로
327 : 측구터파기

Claims (5)

  1.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도비탈면의 안정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금된 철선의 중복꼬임에 의한 육각 구조의 철망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돌망태 틀을 만들고, 야자섬유망 및 부직포 또는 황마섬유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내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그 안에 잡석을 채운 뒤 주변 산림토양 및 임목을 파쇄하여 식생이 발아 후 흡착할 수 있도록 잡석과 잡석 사이의 공간을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채우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쌓을 때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일정한 규격을 갖는 복수개의 파일로 고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임도비탈면과 식생 생육을 위해 수분이 교통할 수 있도록 일부분은 비탈면 안으로 묻혀 들어가도록 하며,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예비실험 시 선정된 식생을 산파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 단계 후, 식생기반재 돌망태 안에는 석력 사이의 공극에 현지 비탈면을 긁어냈을 때의 자연표토에 선정된 목초본을 공극에 메워지도록 충진 및;
    상기 제1 단계의 식생기반재 돌망태는 현장의 지형(경사도, 방위 고려) 상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현장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사면절취시 하단부 측구에 강수시 배수된 물이 넘쳐 시공한 돌망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측구터파기가 실시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규격은, 가로 6m × 세로 0.5m × 높이 2단(1단:1m, 2단:0.5m)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실험시 선정된 식생은, 일반적으로 비탈면 조경 및 녹화업체에서 사용하는 종과 현지에 자생하는 종과 경관 및 생태적으로 조화되는 목본인 해송, 족제비싸리, 사방오리나무, 자귀나무, 참싸리하는 5종과, 자생초종인 낭아초, 비수리, 안고초로 하는 3종 및 톨훼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로 하는 3종의 외래초종 중에서 현장토양에 알맞게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 복원방법은, 상기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지역의 침식방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사지에 침식토사수집장치(가로 1m, 세로 30cm, 높이 30cm)를 비탈면에 부착 설치하고 강우 시 침식토사수집장치에 수집된 토사의 부피로 침식량을 측정하여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KR1020090093183A 2009-09-30 2009-09-30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KR10112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83A KR101124881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183A KR101124881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53A KR20110035453A (ko) 2011-04-06
KR101124881B1 true KR101124881B1 (ko) 2012-03-22

Family

ID=440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183A KR101124881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14B1 (ko) 2013-09-13 2014-07-22 최진우 아칭 게비온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20160022483A (ko) 2014-08-20 2016-03-02 김명환 강판측구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8644B (zh) * 2019-07-23 2024-04-02 中交四航工程研究院有限公司 沙漠浅水湖区风积沙路基填筑施工方法
US11434616B1 (en) * 2019-12-19 2022-09-06 Robert Anderson Erosion block
CN112985739B (zh) * 2021-03-03 2024-09-10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坡面集沙装置
CN116187663B (zh) * 2022-12-20 2024-02-20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一种林地修复的空间布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8241604B (zh) * 2024-05-22 2024-08-06 河南景鹏建设工程有限公司 水利施工护坡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81B1 (ko) 2004-08-02 2004-10-08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50115211A (ko) * 2005-11-21 2005-12-07 솔라원 환경기술(주)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100755894B1 (ko) 2006-12-18 2007-09-06 동서철강 주식회사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81B1 (ko) 2004-08-02 2004-10-08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50115211A (ko) * 2005-11-21 2005-12-07 솔라원 환경기술(주)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100737768B1 (ko) 2005-11-21 2007-07-10 솔라원 환경기술(주) 식생게비온판넬
KR100755894B1 (ko) 2006-12-18 2007-09-06 동서철강 주식회사 친환경 옹벽 돌망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14B1 (ko) 2013-09-13 2014-07-22 최진우 아칭 게비온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20160022483A (ko) 2014-08-20 2016-03-02 김명환 강판측구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53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881B1 (ko)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Frankl et al. Gully prevention and control: Techniques, failures and effectiveness
Gray et al. Biotechnical and soil bioengineering slope stabilization: a practical guide for erosion control
Keller et al. Low-volume roads engineer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field guide
Singh Bioengineering techniques of slope stabilization and landslide mitigation
Fay et al. Cost-effective and sustainable road slope stabilization and erosion control
Islam et al. Use of vegetation and geo-jute in erosion control of slopes in a sub-tropical climate
Raut et al. Use of bioengineering techniques to prevent landslides in Nepal for hydropower development
Harihar et al. Application of bamboo in mangrove rehabilitation projects
Nasrin Erosion control and slope stabilization of embankments using vetiver system
CN114606961A (zh) 一种山坡地水土保持方法
KR101288888B1 (ko) 지오그리드와 네일을 이용한 사면복구공법
Moll A guide for road closure and obliteration in the Forest Service
KR101194052B1 (ko) 우기시의 도로 오염수 정화용 보강토옹벽구조물
Guide Massachusetts
Becker et al. Guidelines for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Keller et al. Climate change and infrastructure in the Sierra Nevada
Sotir et al. Live and inert fascine streambank erosion control
KR200327419Y1 (ko) 자연형 하천제방 법면 설치를 위한 보호공 설치구조
Ganguly et al. Protection of Transmission Line Towers during Landslides-A Case Study
Stewart The Stabilization and Protection of Archaeological Sites from Natural Processes
KR100545663B1 (ko) 건축물 경사면 보호구조
Barrett et al. Integrated bioengineering and geotechnical treatments for streambank restoration and stabilization along a landfill
Fay et al. NCHRP Synthesis 20-05/Topic 42-09 Cost Effective and Sustainable Road Slope Stabilization and Erosion Control
Superseding USACE/NAVFAC/AFCEC/NASA UFGS-31 32 39 (August 200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