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033B1 -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033B1
KR102498033B1 KR1020220047867A KR20220047867A KR102498033B1 KR 102498033 B1 KR102498033 B1 KR 102498033B1 KR 1020220047867 A KR1020220047867 A KR 1020220047867A KR 20220047867 A KR20220047867 A KR 20220047867A KR 102498033 B1 KR102498033 B1 KR 10249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ang
binding
bundle
pipe
bi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윤
이석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윤, 이석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윤
Priority to KR102022004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a) 지면에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안착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토낭 결속판의 내측에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이 안착되는 다발관 결속재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 연결단계와; d) 상기 토낭 결속판의 상부에 토낭이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e) 상기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지는 메움단계와; f) 상기 토낭의 상부에 상기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재차 안착고정된 상태로 적층되는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다발관 결속재 안착단계와 상기 d) 토낭 안착단계 사이에서 상기 c) 보조다발관 결속재 연결단계가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f)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다발관 결속재 안착단계, c) 보조다발관 결속재 연결단계, d) 토낭 안착단계, e) 상기 메움단계 및 f) 상기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다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A method of constructing a soil bag using a bundle tube binding material to maintain drainage function and prevent soil loss}
본 발명은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및 도로공사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건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자연 토층과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공사를 하게 되면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의 일정 부위를 절개하여 개설면을 평지화하고, 나머지 부분은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 등과 같은 사면이 생기게 되며, 또한, 집중호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도 훼손된 경사면의 일정부위를 깎아내고, 그 부분에 사면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되는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사면은 연약한 지표면으로 되기 때문에 연약한 사면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계절 변화에 따르는 해빙기나 호우시 사면의 식생토가 쉽게 흘러내리면서 물골이 생겨서 더욱 취약하게 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높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면의 표면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하고 초목을 식생토록 하여 녹화함으로써 사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사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초목 식생면의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도로 토공 과정에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한 이후에는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생토, 코아네트, 소일 레일링, 낙석 방지망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식생블록토낭과 같은 토낭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보호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토낭의 결속 구조를 개선하여 토낭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토낭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485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4857호를 통해 제시된 토낭 결속구의 경우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구조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장마철, 호우 등에 의해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수기능이 향상되어 장마철, 호우 등에 의해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11276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장마철, 호우 등에 의해 토사의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에 붕괴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4857호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112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부로 구성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지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와; e)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토낭 적층단계와; f)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되는 메움재 적층단계와; g)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 및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진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e) 토낭 적층단계, f) 메움재 적층단계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지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토낭의 상부 및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d)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및 d)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부, 상기 다발관 결속재, 상기 다발관 커버로 구성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지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와; e)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토낭 적층단계와; f)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되는 메움재 적층단계와; g)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 및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진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e) 토낭 적층단계, f) 메움재 적층단계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판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다발관 결속재가 배치되는 다발관 고정판부와;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전측의 일측 및 전측의 타측에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쐐기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 고정판부 및 타측 고정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고,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고,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되고,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 및 상기 다발관 커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상부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상부를 누름고정하는 복수의 상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일측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을 위치고정시키는 좌측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타측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을 위치고정시키는 우측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발관 커버의 일측부의 하부 및 타측부의 하부에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편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a)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에서의 상기 다발관 커버의 고정편부의 하부에는 보조쐐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더불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에는 상기 고정공의 외측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발관 커버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발관 커버는 전후 단면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상기 다발관 결속재가 통과되는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이 전측에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타측 및 다른 상기 보조다발관의 결속재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움재는 상기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지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의 배면방향에 채워지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하높이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의 상하높이보다 낮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와; 상기 투수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이 구비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에 토낭이 상기 투수성 마감층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장마철, 호우 등에 의해 토사층으로 침투한 빗물 등의 물이 토사층에 매립된 상태인 다발관 결속재 및 보조다발관 결속재를 통해 토낭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토사층의 배면방향에 채워진 자갈층을 통해 빗물 등의 물을 상기 토사층이 아닌 상기 자갈층의 하부방향의 지중으로 원활히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메움재의 자갈층과,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 및 상기 투수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과, 상기 투수성 마감층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에 안착되는 토낭으로 인해 상기 자갈층의 최상부에서 상기 토사층의 최상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효율으로 방지할 수 있어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다발관 고정판부로부터 다발관 결속재 및 다발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편부의 하부에 보조쐐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9는 다발관커버의 내부에 상부 보강리브, 좌측 보강리브 및 우측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10은 상부 보강리브가 다발관의 상부를 누름고정 및 좌측 보강리브 및 우측 보강리브가 다발관의 일측과 타측을 위치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1은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지면에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안착된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5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토낭에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일반형 토낭 결속판의 상부에 토낭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의 상부에 적층된 토낭의 배면방향에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토낭에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토낭 안착단계, 메움재 형성단계,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토낭 적층단계, 메움재 적층단계 및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토낭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메움재 형성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e) 토낭 적층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 f) 메움재 적층단계(이하, 'f)단계'라 한다.)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이하, 'g)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 내지 g)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에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과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이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은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토낭 결속판(1)은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결속판부(10), 다발관 결속재(20), 다발관 커버(30) 및 보조다발관 결속재(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판부(10)는 다발관 고정판부(110), 일측 고정판부(120) 및 타측 고정판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는 지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상측에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전측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와 상기 타측 고정판부(130)는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전측의 일측 및 전측의 타측에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상기 타측 고정판부(1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쐐기(121, 13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발관 고정판부로부터 다발관 결속재 및 다발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상부면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122)이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배수홈(122)의 상하깊이는 상기 일측 고정판부(120)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상부면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132)이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배수홈(132)의 상하깊이는 상기 타측 고정판부(12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질 수 있다.
도 6은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상부면에도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111)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배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배수홈(111)의 상하깊이(D)는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결속재(20)는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커버(30)는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단부가 전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20)를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고정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일측부의 하부 및 타측부의 하부에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의 고정공(112)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편부(3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110)에는 상기 고정공(112)의 외측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발관 커버(30)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고정편부의 하부에 보조쐐기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측면도이다.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고정편부(310)의 하부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쐐기(3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다발관커버의 내부에 상부 보강리브, 좌측 보강리브 및 우측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10은 상부 보강리브가 다발관의 상부를 누름고정 및 좌측 보강리브 및 우측 보강리브가 다발관의 일측과 타측을 위치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커버(30)는 전후 단면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상기 다발관 결속재(20)가 통과되는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내부의 상부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보강리브(340)가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 보강리브(34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상부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상부를 누름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내부의 일측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보강리브(350)가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보강리브(35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일측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내부의 타측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 보강리브(360)가 상기 다발관 커버(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보강리브(36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타측과 접하여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타측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상부 보강리브(340), 상기 좌측 보강리브(350) 및 상기 우측 보강리브(360)에 복수의 배수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속판부(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과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11276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는 'S'자형상인 배수관부재(210)가 다발로 묶여져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외주면과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의 외주면에는 각각 부직포(220)가 씌워져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11276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연결관(41)을 통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후측에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41)은 일예로, 크게,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연결관(411)과; 상기 제 1연결관(4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1연결관(41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2연결관(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관(142)의 전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연결관(411)의 내부에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관(142)의 일측 내부에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의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관(142)의 타측 내부에 다른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의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지면에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a)단계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토, 성토지역의 지면(G)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을 지면(G)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안착고정된 상태로 배치하는 단계이다.
도 13은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안착된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의 결속판부(10)의 상부에 토낭(3)이 지면(G)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단계이다.
도 15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의 결속판부(10)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3)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5)가 채워지는 단계이다.
상기 메움재(5)는 일예로, 크게, 토사층(51)과 자갈층(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흙, 모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토사층(51)은 상기 토낭(3)과 절토, 성토지역의 사면(7) 또는 비탈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낭(3)의 배면 방향에 일정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자갈층(52)은 상기 토사층(51)과 절토, 성토지역의 사면(7) 또는 비탈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사층(51)의 배면 방향에 일정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6은 토낭에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의 결속판부(10)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3)의 상부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를 구성하는 결속판부(10)가 지면(G)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단계이다.
도 17은 일반형 토낭 결속판의 상부에 토낭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을 이루는 결속판부(10)의 상부에 토낭(3)이 지면(G)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단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의 상부에 적층된 토낭의 배면방향에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f)단계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을 이루는 결속판부(10)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3)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5)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되는 단계이다.
상기 d)단계에서의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층을 이루거나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다층을 이룰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의 토낭(3) 또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층을 이루거나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다층을 이룰 수 있다.
상기 f)단계에서의 메움재(5) 또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층을 이루거나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다층을 이룰 수 있다.
도 20은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토낭에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g)단계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을 이루는 결속판부(10)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3)의 상부 및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3)의 배면 방향에 채워진 상기 메움재(5)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단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장마철, 호우 등에 의해 상기 토사층(51)으로 침투한 빗물 등의 물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사층(51)에 매립된 상태인 상기 다발관 결속재(20)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로 유입되어 상기 토낭(3)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수(도 21의 화살표 방향 참조.)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토낭 안착단계, 메움재 형성단계,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토낭 적층단계, 메움재 적층단계 및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g)단계 이 후, 도 22 내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b)단계, c)단계, d)단계, e)단계, f)단계 및 g)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다층구조의 토낭(3)을 축조할 수 있으며, 상기 다발관 결속재(20)와 상기 다발관 커버(30)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다층구조의 토낭(3)을 축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사층(51)의 배면방향에 채워진 상기 자갈층(52)을 통해 빗물 등의 물을 상기 토사층(51)이 아닌 상기 자갈층(52)의 하부방향의 지중(2a)으로 원활히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갈층(52)에서 상기 토사층(51) 방향으로 침투한 빗물 등의 일부 물은 상기 다발관 결속재(20)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로 유입되어 상기 토낭(3)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자갈층(52)의 상하높이(H1)는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토사층(51)의 상하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52)의 상부에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수시트(6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투수시트(60)의 상부에는 토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수성 마감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토사층(51)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을 이룰 수 있는 결속판부(10)가 상기 투수성 마감층(7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사층(5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토사층(51)에 안착고정된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을 이룰 수 있는 결속판부(10)의 상부에 토낭(3)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움재(5)의 자갈층(52)과,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자갈층(52)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60) 및 상기 투수시트(60)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70)과, 상기 투수성 마감층(7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움재(5)의 최상부의 토사층(51)에 안착되는 토낭(3)으로 인해 상기 자갈층(52)의 최상부에서 상기 토사층(51)의 최상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효율으로 방지할 수 있어 다층구조의 토낭(3)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20)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를 통한 배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은 a)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토낭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메움재 형성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및 d)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a)단계, b)단계, c)단계는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a)단계, b)단계, c)단계와 동일하므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d)단계는 상기 토낭(3)의 상부 및 상기 메움재(5)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1)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단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d)단계 이 후,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b)단계, c)단계 및 d)단계가 반복되어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구조의 토낭(3)을 축조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20)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40)를 통한 배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은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a)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토낭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메움재 형성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e) 토낭 적층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 f) 메움재 적층단계(이하, 'f)단계'라 한다.)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이하, 'g)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g)단계 이 후, 상기 b)단계, c)단계, d)단계, e)단계, f)단계 및 g)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구조의 토낭(3)을 축조할 수 있다.
단,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일반형 토낭 결속판(2)은 상기 결속판부(10), 상기 다발관 결속재(20) 및 상기 다발관 커버(30)로 구성될 수 있다.
1; 토낭 결속판, 3; 토낭,
5; 메움재, 20; 다발관 결속재,
40; 보조다발관 결속재.

Claims (11)

  1.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부로 이루어지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지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의 배면방향에 채워지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메움재를 형성하여 물이 상기 토사층이 아닌 상기 자갈층의 하부방향의 지중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와;
    e)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토낭 적층단계와;
    f)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상기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되는 메움재 적층단계와;
    g)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 및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진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커버 및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개수를 줄여 다층구조의 토낭을 축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e) 토낭 적층단계, f) 메움재 적층단계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며,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는 'S'자형상인 배수관부재가 다발로 묶여져 이루어지고,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과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에 씌워진 부직포로 인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하높이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의 상하높이보다 낮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와;
    상기 투수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이 구비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에 안착고정된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상기 투수성 마감층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안착된 토낭으로 인해 상기 자갈층의 최상부에서 상기 토사층의 최상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여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2.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지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의 배면방향에 채워지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메움재를 형성하여 물이 상기 토사층이 아닌 상기 자갈층의 하부방향의 지중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토낭의 상부 및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d)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및 d)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며,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는 'S'자형상인 배수관부재가 다발로 묶여져 이루어지고,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과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에 씌워진 부직포로 인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하높이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의 상하높이보다 낮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와;
    상기 투수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이 구비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에 안착고정된 상기 결속판부의 상부에 상기 투수성 마감층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안착된 토낭으로 인해 상기 자갈층의 최상부에서 상기 토사층의 최상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여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3. 결속판부와, 상기 결속판부의 상측에 전측이 배치된 상태로 토낭의 배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전측을 감싸면서 상기 다발관 결속재를 상기 결속판부에 위치고정시키는 다발관 커버와,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연결되는 보조다발관 결속재로 구성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부, 상기 다발관 결속재, 상기 다발관 커버로 구성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용한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 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으로서,
    a) 지면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와;
    b)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토낭 안착단계와;
    c)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지는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의 배면방향에 채워지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메움재를 형성하여 물이 상기 토사층이 아닌 상기 자갈층의 하부방향의 지중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기능을 유지하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메움재 형성단계와;
    d)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에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와;
    e)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토낭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토낭 적층단계와;
    f)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토사를 포함한 메움재가 채워진 상태로 적층되는 메움재 적층단계와;
    g)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상부 및 상기 일반형 토낭 결속판을 이루는 결속판부의 상부에 안착된 토낭의 배면 방향에 채워진 상기 메움재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는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이 후, 상기 b) 토낭 안착단계, c) 메움재 형성단계, d) 일반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 e) 토낭 적층단계, f) 메움재 적층단계 및 g)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 적층단계가 반복되며,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는 'S'자형상인 배수관부재가 다발로 묶여져 이루어지고,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과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외주면에 씌워진 부직포로 인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와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하높이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의 상하높이보다 낮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자갈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수시트와;
    상기 투수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수성 마감층;이 구비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움재의 최상부의 토사층에 안착고정된 상기 결속판부의 상부에 상기 투수성 마감층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안착된 토낭으로 인해 상기 자갈층의 최상부에서 상기 토사층의 최상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여 다층구조의 토낭의 상부부위의 붕괴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다발관 결속재가 배치되는 다발관 고정판부와;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전측의 일측 및 전측의 타측에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쐐기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 고정판부 및 타측 고정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일측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고,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배수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타측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고,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수홈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배수홈의 상하깊이는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되고,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상부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 및 상기 다발관 커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상부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상부를 누름고정하는 복수의 상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일측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일측을 위치고정시키는 좌측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다발관 커버의 내부의 타측에 상기 다발관 커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 및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타측을 위치고정시키는 우측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발관 커버의 일측부의 하부 및 타측부의 하부에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편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토낭 결속판 배치단계에서의 상기 다발관 커버의 고정편부의 하부에는 보조쐐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관 고정판부에는 상기 고정공의 외측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발관 커버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관 커버는 전후 단면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상기 다발관 결속재가 통과되는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관형 토낭 결속판의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이 전측에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의 타측 및 다른 상기 보조다발관의 결속재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다발관 결속재의 후측에 상기 보조다발관 결속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47867A 2022-04-19 2022-04-19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KR10249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67A KR102498033B1 (ko) 2022-04-19 2022-04-19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867A KR102498033B1 (ko) 2022-04-19 2022-04-19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033B1 true KR102498033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867A KR102498033B1 (ko) 2022-04-19 2022-04-19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0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964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30724A (ko) * 2008-09-11 2010-03-19 (합)강산건업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130003452U (ko) * 2013-05-06 2013-06-11 정종근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20150124857A (ko) 2014-04-29 2015-11-06 곽창환 토낭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2311276B1 (ko) 2021-02-24 2021-10-13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964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30724A (ko) * 2008-09-11 2010-03-19 (합)강산건업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130003452U (ko) * 2013-05-06 2013-06-11 정종근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20150124857A (ko) 2014-04-29 2015-11-06 곽창환 토낭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2311276B1 (ko) 2021-02-24 2021-10-13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06B1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EP0378309A1 (en) Vented cell material for confinement of concrete and earth materials
KR102311276B1 (ko)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2498033B1 (ko)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JPWO2007046142A1 (ja) 擁壁盛土構造体
KR102182855B1 (ko) 토낭 시공용 배수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JP3546263B2 (ja)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JP3538345B2 (ja) 雨水貯留浸透槽及びその構築方法
JP3668869B2 (ja) 地下貯水槽用積上げ部材
KR102176194B1 (ko)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JP5089562B2 (ja) 浸透側溝構造体
JP7170475B2 (ja) 貯水システム
KR102176950B1 (ko)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JP2022099525A (ja) 盛土斜面の修復方法及び盛土の斜面構造
JPS6332021A (ja) 地滑り箇所,軟弱地盤箇所等の軽量盛土工法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JP4445892B2 (ja) 軽量盛土貯水構造体
JP7266086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JP4077268B2 (ja) 軽量盛土工法と、土砂による法面構築工法との組み合わせ工法における不同沈下の軽減方法
JP3532464B2 (ja) 水平ドレーンの施工方法
JP3654882B2 (ja) 地盤改良工法
JP2022165356A (ja) 収集路形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貯水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