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194B1 -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194B1
KR102176194B1 KR1020200038543A KR20200038543A KR102176194B1 KR 102176194 B1 KR102176194 B1 KR 102176194B1 KR 1020200038543 A KR1020200038543 A KR 1020200038543A KR 20200038543 A KR20200038543 A KR 20200038543A KR 102176194 B1 KR102176194 B1 KR 10217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inding plate
drainage material
support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정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박미정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정, 김창환 filed Critical 박미정
Priority to KR102020003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은: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고정쐐기들이 형성되어 토낭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판에 가로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된 배수재 지지대를 상기 결속판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배수재 지지대와 함께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반의 수분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지지 되는 배수재를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배수재 지지대, 배수재가 결합된 결속플레이트 조립체를 다수 개 준비하여 시공 지반에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토낭을 설치하는 토낭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하며,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사면에 시공된 식생 옹벽의 붕괴를 견고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using fixing plate for vegetation bag}
본 발명은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하며,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사면에 시공된 식생 옹벽의 붕괴를 견고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및 도로공사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건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자연 토층과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공사를 하게 되면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의 일정 부위를 절개하여 개설면을 평지화하고, 나머지 부분은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 등과 같은 사면이 생기게 되며, 또한 집중호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도 훼손된 경사면의 일정 부위를 깎아내고, 그 부분에 사면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되는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사면은 연약한 지표면으로 되기 때문에 연약한 사면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계절 변화에 따르는 해빙기나 호우시 사면의 식생토가 쉽게 흘러내리면서 물골이 생겨서 더욱 취약하게 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높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히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면의 표면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하고 초목을 식생토록 하여 녹화함으로써 사면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사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초목 식생면의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도로를 시공하기 위한 도로 토공 과정에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바위로 이루어진 지반을 절토한 이후에는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생토, 코아네트, 소일 레일링, 낙석 방지망 등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토낭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보호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토낭 시공방법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61696호(2006년03월0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토낭 시공방법에 의하면, 토낭의 형상이 쉽게 무너질 수 있는 부정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재질도 쉽게 부식되는 천연소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쉽게 붕괴 될 수 있으며, 결속판의 결속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취약해지고 시공 면의 안정성도 취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토낭 시공방법에 의하면,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구조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부식된 블록 안의 토사를 그냥 쓸고 내려가게 되어 시공 면의 붕괴가 쉽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61696호(2006년03월09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하며,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사면에 시공된 식생 옹벽의 붕괴를 견고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은: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고정쐐기들이 형성되어 토낭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판에 가로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된 배수재 지지대를 상기 결속판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배수재 지지대와 함께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반의 수분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지지 되는 배수재를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배수재 지지대, 배수재가 결합된 결속플레이트 조립체를 다수 개 준비하여 시공 지반에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토낭을 설치하는 토낭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와 상기 토낭 설치 단계는 서로 번갈아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여 토낭 구조물이 다층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는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후방에 형성된 앵커 관통공으로 앵커 말뚝을 관통시켜 상기 앵커 말뚝에 의해 저항 모멘트가 보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하며,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사면에 시공된 식생 옹벽의 붕괴를 견고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을 나타낸 시공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에 배수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 지지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에 의해 토낭이 시공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에 의해 축조된 토낭들이 보호 메쉬에 의해 감싸져 보강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메쉬 걸림 돌기에 반데르발스 접착부가 구비되어 보호 메쉬를 좀더 강하게 접착 결속시킨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고정쐐기(111)들이 형성되어 토낭(10)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판(110)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S10) 이후에 결속판(110)에 가로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된 배수재 지지대(120)를 결속판(110)에 결합하는 단계(S20)와,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S20) 이후에 배수재 지지대(120)와 함께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반의 수분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지지 되는 배수재(130)를 배수재 지지대(120)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단계(S30)와, 상기 결속판(110), 배수재 지지대(120), 배수재(130)가 결합된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를 다수 개 준비하여 시공 지반에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S40) 이후에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의 상부에 토낭(10)을 설치하는 토낭 설치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토, 성토, 등산로 비탈면 등과 같은 사면에 대한 녹화로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의 녹화공간 창출을 위한 경계블록 용도 등 도심 환경정비에 유용하며,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의 사면에 시공된 식생 옹벽의 붕괴를 견고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에 의해 지지 되며 축조되는 토낭(10)은 식생블록토낭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 밖에도 다른 다양한 종류의 옹벽, 사면 시공용 토낭 또는 마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S10)에서의 결속판(1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될 토낭(10)의 사이 사이로 끼워지도록 얇은 두께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게비온을 포함하는 토낭(10)이 걸려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쐐기(111)들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쐐기(111)들은 결속판(110)의 중심부가 아닌 좌우 양측 부분에 평면상 대략 ‘X’자의 형태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쐐기(111)들에 의한 토낭(10)의 결속력이 더욱 강하게 작용 되어 토낭(10)의 이탈이 견고히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판(110)의 상면 중심부에는 배수재 지지대(120)의 폭에 대응되게 좌우 양측으로 지지대 결합 돌기(113)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대 결합 돌기(113)는 각각 버튼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평면상 결속판(110)의 상면 중심부에 방형의 배열을 이루도록 방형의 네모서리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총 네 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결합 돌기(113)에 의해 결속판(110)에 배수재 지지대(120)가 손쉽고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대략 ‘T’자의 형상을 함께 이루도록 결합 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해 토낭(10)들이 쌓여서 시공되는 사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 모멘트가 용이하게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S20)에서의 배수재 지지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상체로 마련되며,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강토 공법에서 사면이 수평 지면과 예각일 때에 사면이 전방으로 쏠려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항 모멘트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하면 토낭(10)이 결속된 결속판(110)과 결합하여 전단력과 인발항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결속판(110)과 함께 후방으로 2중 보강 구조를 형성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수재(130)와 결합되는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에 의해 배면 침투수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여 배면 토압 억제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 지지대(120)의 좌우 양측에는 지지대 결합 돌기(113)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 물림 홈(123)이 형성되고, 배수재 지지대(12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배수재(130)가 끼워져 맞물리는 배수재 물림부(125)가 배수재 지지대(120)의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기 물림 홈(123)에 지지대 결합 돌기(113)가 맞물려 원터치 방식으로 배수재 지지대(120)가 결속판(110)에 용이하게 퍼즐처럼 조립 결합 되도록 할 수 있고, 배수재 지지대(120)의 상면에 배수재(130)가 밀착되게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이 배수재 물림부(125)에 의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 물림부(125)에 배수재(130)가 끼워진 후에는 배수재 물림부(125)에 의해 배수재(130)가 변위 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물림 홈(123)은 배수재 지지대(120)의 좌우 양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결속판(110)에 결합되어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수재 지지대(120)의 연장 길이가 시공 현장에서 현장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 지지대(120)의 좌우 양 폭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씩 형성된 배수재 물림부(125)는 각각 ‘ㄱ’자의 단면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하면 배수재(13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배수재(130)를 지지하는 배수재(13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배수재 지지대(120)들이 토낭(10)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이들을 결속하는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길이가 연장되게 걸린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방 길이 연장에 의한 저항 모멘트가 보강되어 보강토 공법에서 사면이 수평 지면과 90° 미만의 예각이기만 하면 사면이 전방으로 쏠려 무너지게 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하면 지지대 결합 돌기(113)와 돌기 물림 홈(123)의 맞물림 결합 부분의 인지를 통해 토낭(10)의 수평 조절 맞춤 시공이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 지지대(120)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별로 배수공(127)이 천공 형성되어 배수재(130)로의 물 빠짐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재 결합 단계(S30)에서의 배수재(13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많은 갯벌을 매립한 간척지 등과 같은 연약지반에 시공되어 옹벽을 이루는 사면에서 빗물이나 용출수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물이 흡수되어 결속판(110)의 후방 측으로 한데 모아져 배출되도록 배수재 지지대(12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 배수재 지지대(120)에 결합 되게 구비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되, 내부에는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S40)는 배수재 지지대(120)의 후방에 형성된 앵커 관통공(121)으로 앵커 말뚝(140)을 관통시켜 앵커 말뚝(140)에 의해 저항 모멘트가 보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강토 공법에서 시공 현장의 면적이 비좁아 결속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수재 지지대(12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없을 경우, 배수재 지지대(120)의 길이가 짧더라도 앵커 말뚝(140)의 고정력에 의해 저항 모멘트가 충분히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판(110)에 배수재 지지대(120)를 결합하고 나서 배수재(130)가 배수재 물림부(125)로 끼워지도록 하여 배수재(130)를 배수재 지지대(120)에 결합하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를 조립한 뒤에는 각각의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를 뒤집은 상태로 배수재(130)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토낭(10)들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재(130)는 배수재 지지대(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배수재 지지대(120)와 함께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수재 지지대와 일체형으로 마련된 배수재(130)의 상부에는 배수재 커버(150)가 구비되어 배수재 커버(150)에 의해 보호되며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수재 커버(150)에는 배수재(130)로의 물 빠짐이 원활해지도록 긴 장공 형상으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배수재(130)에는 물 빠짐이 후방 측으로 원활히 안내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수 가이드 홈이 다수 개로 나란히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수재 지지대(120)의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배수재(130)만으로도 배수재(130) 자체의 기능과 배수재 지지대(120)에 의한 결속판(110)으로의 결합 및 지지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모두 갖도록 하여 시공이 더욱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S40,S60)와 상기 토낭 설치 단계(S50,S70)는 서로 번갈아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여 토낭 구조물이 다층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속판(110)은 토낭(10)들의 사이 사이에 개재되어 다층 구조로 시공시 정면상 대략 피라미드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부는 한 쌍의 이웃한 토낭(10)의 사이에 배치되게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결속판(110)에 의한 하중 지지의 응력 저항 강도가 강화되고 내구성이 증대되어 식생 보강 옹벽 구조물이 구조적으로도 더욱 안정되게 보강되도록 할 수 있고 토낭(10)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는 1차적으로 시공 지반에 설치되는 결속 플레이트 1차 설치 단계(S40)와 토낭 1차 설치 단계(S50) 이후에 토낭(10)의 상부에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를 2차적으로 설치하는 결속 플레이트 2차 설치 단계(S60)처럼 토낭 설치 단계와는 번갈아 반복되는 단계에 의해 시공되고, 토낭(10)은 토낭 1차 설치 단계(S50)와 토낭 2차 설치 단계(S70)처럼 결속플레이트 조립체(100)의 설치 단계와는 번갈아 반복되는 단계에 의해 시공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은 상기 토낭 설치 단계 이후에 축조된 토낭(10)들이 철망이나 그리드와 같은 보호 메쉬(20)에 의해 한꺼번에 감싸져 축조된 상태가 견고히 보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속판(110)의 고정쐐기(111)들 각각의 외주면에는 고리의 형태로 메쉬 걸림 돌기(112)가 돌출 형성되어 보호 메쉬(20)가 시공 후 들뜸에 의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려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쐐기(111)들에 형성된 메쉬 걸림 돌기(112)에 의해 보호 메쉬(20)가 시공 후 들뜸 없이 견고히 고정되어 토낭(10)들이 축조된 상태의 내구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쐐기(111)에 메쉬 걸림 돌기(112)를 형성하는 단계는 메쉬 걸림 돌기(112)에서 결속판(110)을 대향하는 면에 반데르발스 접착부(112a)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반데르발스 접착부(112a)는 메쉬 걸림 돌기(112)와 보호 메쉬(20)의 사이에 강력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길이 대략 10 μm, 직경 대략 5 μm 정도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메쉬 걸림 돌기(112)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결속판(110)의 고정쐐기(111)와 보호 메쉬(20)의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 되어 보호 메쉬(20)가 결속판(110)에 좀더 강하게 접착 결속되어 토낭(10)들이 축조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며 보호 및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110 : 결속판
111 : 고정쐐기 113 : 지지대 결합 돌기
120 : 배수재 지지대 121 : 앵커 관통공
123 : 돌기 물림 홈 125 : 배수재 물림부
130 : 배수재 140 : 앵커 말뚝

Claims (3)

  1.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고정쐐기들이 형성되어 토낭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판에 가로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된 배수재 지지대를 상기 결속판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배수재 지지대와 함께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반의 수분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지지 되는 배수재를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배수재 지지대, 배수재가 결합된 결속플레이트 조립체를 다수 개 준비하여 시공 지반에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토낭을 설치하는 토낭 설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와 상기 토낭 설치 단계는 서로 번갈아 교대로 이뤄지도록 하여 토낭 구조물이 다층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는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후방에 형성된 앵커 관통공으로 앵커 말뚝을 관통시켜 상기 앵커 말뚝에 의해 저항 모멘트가 보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에서의 상기 배수재 지지대는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강토 공법에서 사면이 수평 지면과 예각일 때에 사면이 전방으로 쏠려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항 모멘트를 보강하며,
    상기 결속판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폭에 대응되게 좌우 양측으로 지지대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 돌기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 물림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상기 배수재가 끼워져 맞물리는 배수재 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판의 고정쐐기들 각각의 외주면에는 고리의 형태로 메쉬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쐐기에 상기 메쉬 걸림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쉬 걸림 돌기에서 상기 결속판을 대향하는 면에 반데르발스 접착부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데르발스 접착부는 상기 메쉬 걸림 돌기와 보호 메쉬의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길이 10 μm, 직경 5 μm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들로 상기 메쉬 걸림 돌기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쐐기들은 상기 결속판의 좌우 양측 부분에 평면상 ‘X’자의 형태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 결합 돌기는 각각 버튼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평면상 상기 결속판의 상면 중심부에 방형의 배열을 이루도록 방형의 네모서리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총 네 개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재 물림부는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좌우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별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재 결합 단계에서의 배수재는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되, 내부에는 메쉬 형태의 그물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038543A 2020-03-30 2020-03-30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KR10217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543A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03-30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543A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03-30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194B1 true KR102176194B1 (ko) 2020-11-09

Family

ID=7342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543A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03-30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3A (ko) 2021-09-28 2023-04-05 김대현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96B1 (ko) 1999-04-08 2006-03-17 델타록 인터내셔날 인크.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101265079B1 (ko) * 2011-12-13 2013-05-20 일광건설(주)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96B1 (ko) 1999-04-08 2006-03-17 델타록 인터내셔날 인크.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KR101265079B1 (ko) * 2011-12-13 2013-05-20 일광건설(주)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3A (ko) 2021-09-28 2023-04-05 김대현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06B1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CA2975237C (en)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KR102182855B1 (ko) 토낭 시공용 배수재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KR10080216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도로연약지반의 보강구조
KR102176194B1 (ko)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JP3538345B2 (ja) 雨水貯留浸透槽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383838B1 (ko) 다발배수관 삽입형 연장이음 결속판조립체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KR102176950B1 (ko)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JP2022084334A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KR102540299B1 (ko) 연장이음형 결속판조립체를 이용한 식생옹벽의 시공방법
JP4146929B2 (ja) 蛇籠用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101809978B1 (ko) 운동장용 타격식 일체형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7046037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JP3062875B2 (ja) 衝撃吸収杭及びその施工方法
JP7266086B2 (ja) ハニカム補強法面
KR200405621Y1 (ko)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KR200304525Y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밴드 접합식 조경네트론 설치구조
KR200334294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KR200495069Y1 (ko) 경사면 보강배수벽체용 배수블록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JPH0765315B2 (ja) 盛土の構造
KR200331477Y1 (ko) 토목섬유기둥을 이용한 토류벽 축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