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696B1 -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696B1
KR100561696B1 KR1020000002413A KR20000002413A KR100561696B1 KR 100561696 B1 KR100561696 B1 KR 100561696B1 KR 1020000002413 A KR1020000002413 A KR 1020000002413A KR 20000002413 A KR20000002413 A KR 20000002413A KR 100561696 B1 KR100561696 B1 KR 10056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aining wall
protrusions
plate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265A (ko
Inventor
훈에스 김
Original Assignee
델타록 인터내셔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34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16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델타록 인터내셔날 인크. filed Critical 델타록 인터내셔날 인크.
Priority to AT00916714T priority Critical patent/ATE303474T1/de
Priority to JP2000610920A priority patent/JP4707838B2/ja
Priority to AU37984/00A priority patent/AU780478B2/en
Priority to CA002368894A priority patent/CA2368894C/en
Priority to ES00916714T priority patent/ES2248063T3/es
Priority to PCT/CA2000/000370 priority patent/WO2000061880A1/en
Priority to EP00916714A priority patent/EP1171668B1/en
Priority to NZ515318A priority patent/NZ515318A/xx
Priority to DE60022335T priority patent/DE60022335T2/de
Publication of KR2000007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265A/ko
Priority to HK02105282.4A priority patent/HK1045348B/zh
Priority to US10/842,620 priority patent/US7083364B2/en
Publication of KR10056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과 같은 축조유니트들이나 진흙벽돌들과 같은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로 축조된 옹벽구조물이, 인접한 유니트층들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인접한 층들을 부착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데, 이 연결부재는 인접한 층들의 축조유니트들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을 양면에 갖춘 판으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지오그리드 시트들이 상기 축조유니트들로 된 층들 사이에서 축조유니트들에 의해 지지되는 충전물내로 뻗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부들이 지오그리드 시트에 있는 구멍들을 관통하여, 보강된 흙구조물에 옹벽면을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끝단면도이고,
도 2는 연결부재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한층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과 그 위에 위치된 연결부재들의 사시도,
도 5는 인접하게 상호연결된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로 된 층들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계도,
도 7 내지 도 10은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덮개판 조립체와 그 구성부품들의 사시도,
도 12는 옹벽과 이 옹벽에 고정된 덮개판 조립체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옹벽과 이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과 같은 유니트들이나, 갓 만들어진 진흙벽돌과 같이 경화가능한 유니트들로 축조되되, 인접한 층들에 있는 유니트들이 서로 연결되는 맞물린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예컨대 고속도로와 철도의 비탈과 제방을 지지하고 방음벽을 지지하는 등 매우 다양한 토목공학 및 조경 응용예들에 이용되는 바, 옹벽은 통상 옹벽의 뒤에 위치되어 채워지는 흙이나 다른 충전물을 갖추는 한편, 옹벽에서 뒤쪽으로 뻗고서 다양한 높이로 충전물에 놓인 지오그리드(geogrid) 시트들을 갖춘 연결블록들로 이루어진 지지면구조물로 되어 있다. 백필(backfill)을 고정시키는 지오그리드 시트는 흔히 맞물린 블록들에 고정되며, 맞물린 블록 대신에 모래자루들로 된 옹벽을 축조하여 백필을 고정하는 것이 주지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옹벽의 모래자루들이 서로 고정되지 않고서 벽을 고정시키는 데에 본질적으로 그들의 질량에 의존하게 된다. 이는 모래자루들로 축조될 수 있는 옹벽의 가파른 경사와 높이를 제한하게 됨과 더불어, 종래에는 모래자루로 된 옹벽이 영구적이라기 보다는 보통 임시방편적 구조물이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과 같은 축조유니트들이 인접한 층에 있는 축조유니트들, 바람직하기로는 지오그리드 시트에 고정되는 영구적인 옹벽구조물을 제공하게 되는 바, 이러한 고정은 인접한 층에 있는 축조유니트들내로 돌출하면서 지오그리드 시트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옹벽구조물과 백필을 안정화시키도록, 양면에 첨예부를 갖춘 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조유니트들은 모래나 흙 또는 이와 유사한 충전물로 채워진 자루들로 되어 있다. 여기서,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는 모래와 흙 및 이들의 혼합물들과, 풀이나 다른 식물의 종자와 혼합된 충전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충전물로 채워진 자루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축조유니트들은 벽에 위치되어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후 경화된 또는 경화될 수 있는 유니트들로 될 수 있는 바, 예컨대 이들은 경화되기 전의 진흙이나 이와 유사한 재료로 갓 만들어진 벽돌, 또는 물로 적시고서 적소에 놓은 후 경화될 수 있는 시멘트나 시멘트 및 골재의 혼합물로 된 자루들이다. 이와 같은 축조유니트들은 본 명세서에서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로 집합적으로 칭한다. 따라서, "축조유니트들"은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이거나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로 될 수 있되, 전자는 옹벽이 만들어진 후 무르게 유지되는 충전물을 갖춘 것이고, 후자는 옹벽이 축조된 후 경화되어 단단한 유니트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별된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와; 상기 제1층 위에 제2층을 형성하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 및;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세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출부들은 축조유니트내로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들은 제1층과 제2층의 축조유니트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돌출부세트가 하부층의 유니트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2돌출부세트가 상부층의 유니트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들은 축조유니트들의 바닥층 아래의 지면이나 지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옹벽구조물은 인접한 층들 사이에서 옹벽 뒤의 백필내로 뻗는 지오그리드 시트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지오그리드 시트는 연결부재의 돌출부들이 시트의 구멍들을 관통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옹벽구조물은 벽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덮개판들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층 위에 연결부재들을 위치시키되, 이들 연결부재는 그 하부면에 제1돌출부세트와 그 상부면에 제2돌출부세트를 갖추어 상기 제1돌출부세트를 제1층의 축조유니트들내로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위에 제2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를 위치시켜, 상기 제2돌출부세트를 제2층의 축조유니트들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은 축조유니트들로 된 층들의 사이에서 백필로 뻗는 지오그리드 시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부들이 지오그리드의 구멍을 관통하여 적소에 상기 시트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면(12)에 축조된 옹벽구조물(10)은 수평으로 쌓인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와 같은 자루(14)들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층들은 옹벽구조물에서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다. 옹벽의 면은 특별한 응용예에서 바람직하다면 수직하기보다는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자루(14)들은 내구성이 있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재료와, 물이 자루를 통과하여 흘러들어올 수 있고 씨가 발아할 수 있는 직물로 만들어지고서, 미세한 흙입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자루(14)들의 재료는 옹벽의 내구성을 위해 생물학적으로 퇴화되어서는 안된다.
백필(16)은 상기 자루(14)들의 뒤쪽에 채워지고 이 자루(14)들에 의해 지지된다. 지오그리드 시트(18)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시트에 고정되는 자루(14)들로 된 층들 사이에서 백필(16)내로 수평하게 뒤쪽으로 뻗는다. 연결부재(26)는 자루(14)들로 된 인접한 층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 2와 도 3에서, 연결부재(26)는 바람직하기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평평한 판(22)으로 이루어지되, 이 판(22)의 양면에서 수직으로 뻗은 다수의 돌출부(24)를 갖추고 있다. 이들 돌출부(24)는 충분히 강하고, 상기 자루(14)들내로 돌출하도록 뾰족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연결부재(26)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또는 비부식성 재료로 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서, 연결부재(26)들은 하나의 층에서 자루(14)들 위에 위치되어 하부면의 돌출부(24)들이 이들 자루(14)내로 돌출함으로써 옹벽구조물(10)을 축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자루들로 된 제2층은 제1층과 상기 연결부재(26)들의 위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6)의 상부면에 있는 돌출부들은 제2층의 자루들내로 돌출하고,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의 무게가 연결부재들을 눌러 하부면의 돌출부들이 제1층의 자루들내로 완전히 돌출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4)들은 자루들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자루들이 간단히 옴폭 파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돌출부(24)들이 자루(14)들내로 "돌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6)들은 자루(14)들에 지오그리드 시트(18)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바,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8)는 주지되어 있고, 통상 토양보강을 위해 사용되면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플라스틱재 메쉬형 제품이다. 도 5에서, 지오그리드 시트(18)는 다수의 구멍(28)을 갖추고 있고, 이 지오그리드 시트(18)는 자루(14)들로 된 층 위에 있는 연결부재(26)들 위로 시트의 모서리부를 위치시키고 연결부재(26)의 상부에 있는 돌출부(24)들 및 인접한 후단부가 지오그리드의 구멍(28)들을 관통함으로써, 옹벽의 면에 고정된다. 자루(14)들로 된 다음 상부층이 위에 놓일 때, 지오그리드 시트(18)를 관통해 뻗어 있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면에 있는 돌출부(24)들은 상기 상부층에 있는 자루(14)들의 밑면으로 돌출한다.
상기 연결부재(26) 위에 위치되는 대신에, 지오그리드 시트(18)가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로 된 층 위에 바로 놓이고 연결부재(26)들이 이 위에 놓이면서, 상기 연결부재(26)의 하부면에 있는 돌출부(24)들이 지오그리드 시트(18)의 구멍(28)들을 아래로 관통해서 자루들 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8)가 연결부재(26)의 위쪽에 놓이는 대신에 연결부재(2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8)들은 옹벽을 축조하는 동안 결정된 높이에 설치되는데, 예컨대 자루(14)들의 매 세번째 층의 위에, 또는 특별한 용도를 위해 요구되는 높이로 설치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홈부(30)는 지면(12)에 나있는 웅덩이로서, 이 홈부(30)의 기저부는 옹벽을 지지하도록 수평패드나 콘크리트지반으로 적당히 준비되어지는데, 이러한 준비는 옹벽의 축조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와 같은 자루(14)들로 된 제1층은 상기 홈부(30)에 놓이고(도 6b 참조), 한줄의 연결부재(26)들이 상기 제1층의 자루(14)들 위에 놓인 다음(도 6c 참조), 자루(14)들로 된 다른 한줄이 추가로 놓이며, 백필(16)이 자루(14)들 뒤에 위치되고 지지된다. 한줄의 연결부재(26)들이 그 위에 놓인 후, 한줄의 자루(14)들이 추가로 놓이고(도 6d 참조), 그 다음 한줄의 연결부재(26)들이 가장 위쪽에 있는 자루(14)들의 줄을 따라 위치되며, 지오그리드 시트(18)가 그 위에 놓이되, 상기 백필(16)의 표면을 따라 뒤로 뻗는다(도 6e 참조). 옹벽의 축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한 높이의 옹벽이 완성될 때까지 같은 방식으로 계속된다.
일부 응용예에서, 자루(14)들의 바닥층 아래에 있는 지면에 연결부재(26)들을 위치시키는 게 바람직한데, 여기서 한줄의 연결부재(26)들은 수평패드나 콘크리트지반 위에 위치되고, 자루(14)들로 된 제1층 또는 바닥층이 그 위에 위치된다. 이어서, 옹벽은 전술된 것과 같이 더욱 축조되고, 이로써 자루(14)들의 바닥층이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줄어들어 자루들이 알맞게 위치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루(14)들은 그들의 충전물에 혼합된 풀씨나 다른 이끼들을 포함한다. 옹벽이 축조된 후 자루(14)들에 자연스럽게 또는 인위적으로 물이 공급되고, 이끼가 자루들의 밖으로 나오면서 옹벽에 녹색의 잎들이 뒤덮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루들이 씨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에 완성된 옹벽에 아름다운 벽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예컨대 자루들의 표면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되어 다양한 맞물림형태로 벽면을 축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자루들은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충전물들은 장식되게 채색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충전물들은 녹색으로 채색된 자갈로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바, 이 실시예들에서 연결부재는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배열로 이루어진 자루들이 최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둥글거나 뚜렷한 형태가 없는 자루들은, 한층에 있는 인접한 자루들 사이에 틈새를 갖추어, 이러한 자루들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연결부재가 하부의 자루들로 생긴 상기 틈새를 가로질러 완전히 지지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되지 않는 영역에 절단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부의 자루가 연결부재의 지지되지 않는 부분을 내리누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연결부재(126)는 그 양면에 돌출부(24)들을 갖춘 판(12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판(122)은 대체로 C형상을 하고서, 이 C형상의 아암(arm)들 사이에 공간부(123) 또는 절단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26)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의 층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부(123)가 하부층의 인접한 자루들 사이에 있는 틈새 위에 있게 된다. 상부층의 일부 자루는 공간부(123)를 통해 뻗어 있고, 하부 자루들에 직접 얹힌다. 또한, 도 7의 구조는 부재에 필요한 플라스틱이나 다른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서, 제조비용이 덜 들게 된다. 이와 유사한 구조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양면에 돌출부(24)들을 갖춘 연결부재(226)는 그 중간에 절단부(52)를 갖는 대체로 사다리꼴 프레임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층의 자루들이 서로 맞물려 있는 동안 상부 자루의 일부가 하부 자루들에 직접 얹혀질 수 있게 한다. 사다리꼴 프레임의 보다 좁은 면은 뒤쪽으로 위치되게 되는데, 지오그리드가 이 좁은 면에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상기 연결부재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재료의 양에 대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게 한다.
2개의 또 다른 형태가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8에서는 연결부재(326)가 반원통형상으로 된 판이고, 도 9에서는 연결부재(426)가 L형상의 판이다. 이들 연결부재의 두 형태들은 적절한 형상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이 맞물리도록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예컨대, 도 9의 판은 자루(14)들이 6각으로 된 표면이나 단면을 갖는 곳에 사용될 수 있고, 도 8의 판은 자루들의 단면이 둥근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판이 형상을 갖는 자루들과 들어맞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어 판과 자루들 사이에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한다. 연결부재는 임의의 바람직한 형상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을 맞물리게 하는 데에 필요한 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축조유니트들은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로 되는데, 예컨대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은 그들의 경화 전에 사용된 진흙이나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갓 형성된 벽돌이거나; 물로 적시고서 적소에 놓은 후에 경화될 수 있는 시멘트나 시멘트 및 골재의 혼합물로 된 자루들이거나; 연결부재의 돌출부들에 의해 관통되도록 충분히 유연하되, (예컨대, 진흙이나 콘크리트벽돌의 경우와 같이 건조됨으로써) 경화하거나 적소에 놓인 후에 (예컨대, 시멘트나 시멘트 및 골재로 된 자루의 경우와 같이 물에 적셔 경화되게 함으로써) 경화하도록 된 임의의 유사한 재료;로 될 수 있다.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은 사용할 때에 충분히 견고하여 그들의 형태를 유지하고 적층, 즉 무너지거나 부서지지 않고 적층될 수 있어야 한다. 갓 형성된 진흙 또는 콘크리트블록들인 경우에, 이런 블록들은 반쯤 경화되어야 한다.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옹벽은, 축조유니트들이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로 된 옹벽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옹벽을 제조하는 방법은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이 경화되게 하거나 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가 진흙벽돌인 경우에는, 판(122)의 돌출부(24)들에 의해 쉽게 관통될 수 있도록 충분히 부드러울 때 옹벽의 축조에 사용되는데, 옹벽이 축조되면서 진흙벽돌은 점차 경화한다.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가 시멘트나 시멘트 및 골재로 채워진 자루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로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되고, 그 후에 자루들이 적셔지고 경화될 수 있게 되어 각 자루의 시멘트나 시멘트 및 골재를 경화시키게 된다.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로 만들어진 옹벽의 축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한줄의 연결부재(26)들이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의 바닥층 아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벽면에 부착되는 덮개판들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와 도 12에서, 덮개판 조립체(3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덮개판(32)을 갖추는데, 이 덮개판은 나무나, 콘크리트,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판(32)은 대향하는 선단부(34,36;38,40)를 갖추며, 각 코너에는 부착봉(44)을 수용하도록 된 구멍(42)을 갖추고 있다.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착봉(44)은 한쪽 끝에 꼬불꼬불한 파형부(46)와 첨단부(48)를 갖추고 있고, 다른 끝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헤드(52)를 갖춘 너트(50)에 나사고정된다. 상기 부착봉(44)은 구멍(4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너트(50)와 나사고정됨으로써 상기 덮개판(32)에 고정된다.
상기 덮개판 조립체(30)는 옹벽이 (갓 형성된 성형블록들로 된 벽에서보다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 시멘트 및 골재로 채워진 자루들과 같은 경화가능한 축조재료들로 이루어질 때 본 발명의 옹벽에 대해 특별한 용도를 가져, 옹벽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덮개판 조립체(30)는 덮개판(32)의 내면이 옹벽에 접할 때까지 부착봉(44)의 뾰족한 끝들이 자루들을 통과하여 압축함으로써 옹벽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봉(44)들의 파형부(46)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들의 충전물이나,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들의 재료내에서 부착봉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추가적인 덮개판 조립체들은 서로 접하면서 옹벽에 고정되어 대체로 완벽한 덮개를 형성하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향하는 선단부(34,36;38,40)는 번갈아 오목하고 볼록하게 되어 있어서 접하는 덮개의 선단부들이 서로 맞춰져 덮개를 정렬하고 고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덮개판들은 도 12에 도시된 엇갈린 벽돌벽 형태의 배열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볼 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히 주지된 것과 같이, 많은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연결부재는 축조유니트들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유연하게 될 수 있고, 그 돌출부들은 축조유니트들에 대해 그들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뾰족하게 될 수 있으며, 판에 수직한 것과는 다른 일정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내용에 따라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4)

  1.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와;
    상기 제1층 위에 수평으로 뻗은 제2층을 형성하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 및
    상기 제1층의 축조유니트들에 제2층의 축조유니트들을 부착하도록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이 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이 축조유니트내로 돌출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기 제1돌출부세트는 하부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하게 되고, 상기 제2돌출부세트는 상부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춘 판은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의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축조유니트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축조유니트로 돌출하며, 상기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층에 놓여졌을 때, 상기 판을 제1층에서 수평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에 위치한 적어도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사이에서 옹벽구조물의 뒤쪽 충전물내로 뻗어 있는 지오그리드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되, 이 지오그리드 시트는 다수의 구멍을 갖추며, 상기 제1돌출부세트 및 제2돌출부세트가 지오그리드 시트의 구멍들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유니트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유니트는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전체적으로 C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중앙에 절단부를 갖는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전체적으로 L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는 투명한 덮개와 장식되게 채색된 충전물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는 이끼종자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구조물의 면에 고정되는 덮개판 조립체를 추가로 구비하되, 이 조립체는 덮개판과, 이 덮개판을 옹벽구조물에 부착하고 상기 면에 대해 연속적인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13.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축조유니트들로 된 제1층 위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되,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세트를 갖추어, 상기 제1돌출부세트가 제1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위에 수평으로 뻗은 제2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를 위치시켜, 상기 제2돌출부세트가 제2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돌출부세트의 돌출부는 상기 제1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하며,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춘 판은 상기 제1층 또는 제2층의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축조유니트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축조유니트로 돌출하며, 상기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층에 놓여졌을 때, 상기 판을 수평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에 위치한 적어도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4.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층의 위에서부터 옹벽구조물 뒤의 충전물로 뻗어 있고서 다수의 구멍을 갖춘 지오그리드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축조유니트들로 된 제1층과 지오그리드 시트 위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되,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세트를 갖추어, 상기 제1돌출부세트가 지오그리드 시트의 구멍들을 관통하고서 제1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위에 수평으로 뻗은 제2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를 위치시켜, 상기 제2돌출부세트가 제2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5.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1축조유니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축조유니트들로 된 제1층 위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되,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세트를 갖추어, 상기 제1돌출부세트가 제1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는 단계;
    상기 제1층의 위에서부터 옹벽 뒤의 충전물로 뻗어 있는 지오그리드 시트를 위치시키되, 이 지오그리드 시트는 다수의 구멍을 갖추고서 연결부재 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2돌출부세트가 지오그리드 시트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층 위에 수평으로 뻗은 제2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2축조유니트를 위치시켜, 상기 제2돌출부세트가 제2층의 축조유니트내로 돌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으로 뻗고서 축조유니트들로 된 제1층의 아래에 상기 연결부재들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유니트는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유니트는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가능한 축조유니트가 경화할 수 있거나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구조물의 면에 대해 연속적인 덮개를 형성하도록 상기 옹벽구조물에 덮개판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유니트들로 된 다수의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판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옹벽구조물.
  22. 제1층의 모래/흙 자루를 이 제1층의 모래/흙 자루 위에 놓이는 제2층의 모래/흙 자루에 연결시키기 위한 모래/흙 자루 연결부재로서,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한 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면은 다수의 모래/흙 자루를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돌출부는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모래/흙 자루내로 돌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판은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수평으로 인접한 모래/흙 자루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 뻗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모래/흙 자루 속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층에 놓여졌을 때, 상기 판을 제1층에서 수평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에 위치한 적어도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용 연결부재.
  23. 제1층의 모래/흙 자루를 이 제1층의 모래/흙 자루 위에 놓이는 제2층의 모래/흙 자루에 연결시키기 위한 모래/흙 자루 연결부재로서,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한 판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면은 다수의 모래/흙 자루를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돌출부는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모래/흙 자루내로 돌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판은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수평으로 인접한 모래/흙 자루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 뻗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수평으로 이웃하게 뻗은 2개의 인접한 모래/흙 자루 속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의 상면에 지오그리드 시트에 있는 구멍을 통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지오그리드를 고정하는 부재 세트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용 연결부재.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돌출부는 상기 판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옹벽부조물용 연결부재.
KR1020000002413A 1999-04-08 2000-01-19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KR10056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916714A EP1171668B1 (en) 1999-04-08 2000-04-07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NZ515318A NZ515318A (en) 1999-04-08 2000-04-07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AU37984/00A AU780478B2 (en) 1999-04-08 2000-04-07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CA002368894A CA2368894C (en) 1999-04-08 2000-04-07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ES00916714T ES2248063T3 (es) 1999-04-08 2000-04-07 Sistema de muro de contencion con elementos de consruccion entrelazadas.
PCT/CA2000/000370 WO2000061880A1 (en) 1999-04-08 2000-04-07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AT00916714T ATE303474T1 (de) 1999-04-08 2000-04-07 Stützmauer mit ineinandergreifenden elementen
JP2000610920A JP4707838B2 (ja) 1999-04-08 2000-04-07 係合壁建造ユニットを含む擁壁システム
DE60022335T DE60022335T2 (de) 1999-04-08 2000-04-07 Stützmauer mit ineinandergreifenden elementen
HK02105282.4A HK1045348B (zh) 1999-04-08 2002-07-16 具有內鎖建墻單元的擋土墻系統
US10/842,620 US7083364B2 (en) 1999-04-08 2004-05-10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268509A CA2268509A1 (en) 1999-04-08 1999-04-08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sandbags
CA2,268,509 1999-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65A KR20000071265A (ko) 2000-11-25
KR100561696B1 true KR100561696B1 (ko) 2006-03-17

Family

ID=416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413A KR100561696B1 (ko) 1999-04-08 2000-01-19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61696B1 (ko)
CA (1) CA2268509A1 (ko)
TW (1) TW480301B (ko)
ZA (1) ZA20010914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70A (ko) 2017-02-02 2018-08-10 안학현 사면 지지 구조물
KR20180002880U (ko)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토낭 결속판
KR20200009619A (ko)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11-09 박미정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36B1 (ko) * 2004-05-06 2007-07-10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KR100736827B1 (ko) * 2004-05-06 2007-07-09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KR100736839B1 (ko) * 2004-05-06 2007-07-10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0736832B1 (ko) * 2004-05-06 2007-07-10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0753958B1 (ko) *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CN201050067Y (zh) * 2007-06-14 2008-04-23 张宇顺 具有联锁构件的挡土结构
KR100885909B1 (ko) * 2008-03-17 2009-03-06 토우산업 주식회사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MX338202B (es) 2010-07-30 2016-04-07 Alfreds & Alfreds Inc Sistemas de pared de retención y sus métodos de construcción.
KR102425384B1 (ko) * 2021-04-08 2022-07-27 그린티스(주) 사면축조용 토낭 결속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106A (ko) * 1974-05-17 1975-11-26
JPS51137832U (ko) * 1975-04-28 1976-11-06
JPH02167926A (ja) * 1988-12-20 1990-06-28 Taisei Corp 盛土の耐震構造
JPH06322730A (ja) * 1993-05-17 1994-11-22 Saikou:Kk 近自然護岸のための擁壁造成工法
KR970062211A (ko) * 1996-02-01 1997-09-12 채이순 토목용 수지물의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앵커통수판 포설 및 앵커차수판 설치공법
JPH10168909A (ja) *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WO2000061880A1 (en) * 1999-04-08 2000-10-19 Beon Top Enterprises Ltd.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106A (ko) * 1974-05-17 1975-11-26
JPS51137832U (ko) * 1975-04-28 1976-11-06
JPH02167926A (ja) * 1988-12-20 1990-06-28 Taisei Corp 盛土の耐震構造
JPH06322730A (ja) * 1993-05-17 1994-11-22 Saikou:Kk 近自然護岸のための擁壁造成工法
KR970062211A (ko) * 1996-02-01 1997-09-12 채이순 토목용 수지물의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앵커통수판 포설 및 앵커차수판 설치공법
JPH10168909A (ja) *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WO2000061880A1 (en) * 1999-04-08 2000-10-19 Beon Top Enterprises Ltd.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70A (ko) 2017-02-02 2018-08-10 안학현 사면 지지 구조물
KR20180002880U (ko)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토낭 결속판
KR20200009619A (ko)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11-09 박미정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8509A1 (en) 2000-10-08
ZA200109140B (en) 2002-08-27
TW480301B (en) 2002-03-21
KR20000071265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2164B2 (en)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100561696B1 (ko)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CA2311404C (en) Retaining wall system
US7083364B2 (en)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200185875Y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US20070036615A1 (en)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CN108547195B (zh) 一种排水沥青路面结构及施工方法
CN112921738B (zh) 公路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JP4707838B2 (ja) 係合壁建造ユニットを含む擁壁システム
JP3129605B2 (ja) 法面覆工構造、法面覆工用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7140B2 (ja) ハニカム構造体構築用支持具
JP2821468B2 (ja) セル構造物による補強土構造物
RU2043455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JPH0892906A (ja) 化粧板
CA2368894C (en)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102145237B1 (ko) 다용도 블록
JPS5814751Y2 (ja) 床材
JPH0841880A (ja) 盛土法面の植生方法
JP2558071B2 (ja) 道路橋継目部のジョイント
CA2426836A1 (en) Retaining wall made of sandbags
JPH0421763B2 (ko)
JP3113938B2 (ja) ステップを突設したブロック
JPS6351522A (ja)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JPS63156101A (ja) 目地構成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924

Effective date: 201401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256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924

Effective date: 2014012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202

Effective date: 201404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31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202

Effective date: 201404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226

Effective date: 201406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000049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226

Effective date: 201406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0

Effective date: 201407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32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0

Effective date: 201407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6001;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200007042;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58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23

Effective date: 2018071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657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813

Effective date: 2019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