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39B1 -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 Google Patents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39B1
KR100736839B1 KR1020040031786A KR20040031786A KR100736839B1 KR 100736839 B1 KR100736839 B1 KR 100736839B1 KR 1020040031786 A KR1020040031786 A KR 1020040031786A KR 20040031786 A KR20040031786 A KR 20040031786A KR 100736839 B1 KR100736839 B1 KR 10073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tage
retaining wall
soil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758A (ko
Inventor
전일성
Original Assignee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센리테이닝(주) filed Critical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to KR102004003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3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여지는 일반적인 포대와는 달리 6면체 포대는 일정한 모듈로 규칙적으로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로 틈이 없도록 밀착이 가능한 형태로 축조되며, 포대간의 결합력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기존의 포대 연결시 포대들 사이가 벌어지거나 결속력이 부족하여 선형이 틀어지는 단점과 뒤에 채워진 흙이나 채움재가 유출되는 것을 줄였으며, 6면체 포대이기 때문에 상단부의 다짐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는 옹벽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축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포대는 6면체 형상을 가지며 토사가 들어있는 것이 이용되며, 축조 과정은 먼저 포대를 쌓기 전에 상기 포대를 쌓을 곳에 기초 잡석 다짐 작업을 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후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짐이 이루어진 지면에 포대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윗부분에 구멍과 요철부 그리고 지오그리드 연결고리를 가지는 연결기구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 위에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와 포대 사이의 틈의 윗부분을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쌓으며, 연결기구와 밀착하도록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서, 6면체로 된 포대를 사용하여 종래의 단순한 포대쌓기 형태의 옹벽보다 견고하고, 또한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옹벽, 6면체 포대, 연결기구, 축조방법

Description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Method of building a breast wall using a hexahedron burlap bag}
도 1은 본 발명인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삼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삼각연결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사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육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구성요소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구성요소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와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연결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연결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구성하는 요철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삼각연결기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인 역T형 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인 역T형 연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역T형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형성된 옹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포대 10: 삼각연결기구
11: 요철부 12: 연결부
14: 연결핀 15: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16: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 20: 사각연결기구
30: 육각연결기구 40: 지오그리드
100: 역T형 연결유닛 120: 지오그리드 연결핀
본 발명은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옹벽의 축조시 쌓여지는 일반적인 포대와는 달리 6면체 포대가 사용됨으로 일정한 모듈로 규칙적으로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로 틈이 없도록 밀착이 가능한 형태로 적층되며, 상기 6면체의 포대를 일정하고 정밀하게 맞물려 적층하여 쌓음으로 포대간의 결합력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기존의 포대를 연결할 때 포대들 사이가 벌어지거나 결속력이 부족하여 선형이 틀어지는 단점과 뒤채움재가 유출되는 것을 줄였으며, 포대들 사이에 연결기구들을 설치하여 포대가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어 옹벽을 더욱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고, 6면체 포대를 사용함으로서 상단부의 다짐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견고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옹벽축조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부터 옹벽공사를 행할 때에는 포대를 사용하여 옹벽공사를 행하여 왔다. 이러한 포대를 쌓을 때는 밀착이 완전하지 않아 틈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포대사이로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고 뒷채움재의 유출등으로 인하여 옹벽이 무너지게 되는 단점을 제공하며, 단순히 포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완장치 없이는 높고 가파른 형태의 옹벽은 조성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옹벽공사에 대한 별도의 보완장치로서 옹벽에 일정 높이마다 지오그리드를 넣어 토체내에서 일정한 지지력 혹은 유지저항력을 제공하여 옹벽을 높고 가파르게 조성할 수 있고, 또한 토사의 흘러내림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완장치 뿐 아니라, 층층이 쌓는 포대를 보강하는 방식도 있다. 선행출원 10-2000-0002413이 상기 방식에 의한 보강방법에 대한 출원이다.
각각 살펴보면, 우선, 10-2000-0024130(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 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2000년 1월 19일 출원)은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모래자루나 포대를 상하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상하로 부착시 돌출부로 부착되도록 하는 데, 상기 돌출부는 포대를 뚫을 수 있도록 고안된 뾰족한 바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수평으로 뻗은 제1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1옹벽축조 유니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옹벽축조 유니트의 제1층위에 연결부재를 위치시키되, 이 연결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춘 판과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세트 및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제2돌출부들 세트를 갖추어 상기 제1세트의 돌출부들이 제1층의 옹벽축조 유니트 내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층위에 수평으로 뻗은 제2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다수의 제2옹벽축조유니트를 위치시켜 상기 제2돌출부들이 제2층의 옹벽축조 유니트 내로 돌출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옹벽축조 유니트 층을 갖춘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냥 쌓는 포대보다는 마찰력 및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방식이나, 단순히 포대에 뾰족한 바늘을 넣은 것에 불과하여 마찰력 및 지지력의 보강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옹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6면체 형태의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6면체의 포대들 사이에 연결기구를 설치함으로서 포대들을 일정하고 정밀하게 맞물려 적층하여 쌓게 되면 포대간의 결합력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기존의 포대연결시 포대들 사이가 벌어지거나 결속력이 부족하여 선형이 틀어지는 단점과 뒤채움재의 유출들을 보완할 수 있으며, 포대간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옹벽을 더욱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고, 또한 6면체 포대이기 때문에 상단부의 다짐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견고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축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삼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삼각연결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사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한 형태인 육각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구성요소인 지오그리드 연결요철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의 구성요소인 지오그리드 연결요철부의 결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연결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연결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를 구성하는 요철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삼각연결기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인 역T형 연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기구인 역T형 연결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역T형 연 결유닛을 이용하여 형성된 옹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포대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상기 6면체의 포대를 일정하고 정밀하게 맞물려 적층함으로서 포대간의 결합력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기존의 포대 적층시 포대들 사이가 벌어지거나 결속력이 부족하여 선형이 틀어지는 단점과 뒤채움재의 유출들을 보완하였으며, 포대들 사이에 연결기구들을 설치하되 연결기구들이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연결되고, 연결기구들에 형성된 요철부가 포대간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게 되어 옹벽을 더욱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다.
또한, 6면체 포대이기 때문에 상단부의 다짐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연결기구와 지오그리드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옹벽을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축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우선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에서 옹벽이 축조되는 경우 연결기구가 사용되어 옹벽이 축조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은 종래로부터 사용되는 순서대로 옹벽을 쌓게 되는 것이나 사용되는 연결기구가 종래의 경우와 다르다.
우선 옹벽을 축조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기초 잡석 다짐 작업을 하는 단계와 그 위에 포대의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 그리고 그 단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다지는 단계, 그 후 첫번째 단의 포대위에 연결기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기구 위로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후 계속 적으로 단을 쌓고, 흙을 채우고 다지며, 쌓은 단 위에 연결기구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옹벽의 축조시 일정 높이마다 지오그리드를 쌓아서 옹벽의 견고성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하는데, 지오그리드는 상기 연결기구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연결기구와 포대 그리고 지오그리드가 상호 힘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 연결기구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다. 본 발명에서는 2종류의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첫번째 연결기구는 상층의 포대와 하층의 포대를 연결하는 수평형의 연결기구이며, 두번째 연결기구는 상층의 포대와 하층의 포대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층 또는 하층의 포대 중 양옆의 포대끼리도 서로 연결하는 형태의 수직 수평형의 연결기구이다.
우선 수평형의 연결기구인 삼각연결기구(10), 사각연결기구(20) 및 육각연결기구(30)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연결기구는 도 2, 도 3,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넘어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포대와 포대간의 마찰력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연결기구들에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요철부(11)는 포대(1)와의 마찰력을 최대로 하기 위한 것일 뿐 포대(1)에 구멍을 내거나 포대를 뚫어서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다. 즉, 요철부(11)가 포대(1)의 표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는 것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삼각연결기구(10)를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삼각형 형상을 가진 공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삼각연결기구(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요철부(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40)와 연결시킬수 있도록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와 연결할 수 있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극이 형성되는 이유는 이 공극을 통하여 삼각연결기구(10)의 상부 포대(1)와 하부 포대(1)가 상호 접할 수 있도록 하여 포대들 끼리의 마찰력이 발생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요철부(11)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포대(1)가 앞으로 쏠리는 힘을 덜 받도록 하여 옹벽이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되도록 한다. 상기 요철부(11)의 형성 방향은 무관하다고 볼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11)는 상기 삼각연결기구(10)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 측에도 형성되어 상부의 포대(1)와 하부의 포대(1) 간에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철부(11)는 상부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에 골을 형성하는 것이 옹벽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방법이 된다. 이렇게 골을 형성함으로서 골과 골 사이의 돌출부분이 포대(1)의 표면에 쐐기 형태로 가압되어 마찰력이 증가된다.
한편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며, 단면이 화살촉 모양을 가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는 연결기구에 함께 형성된다. 즉,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에만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와 결합하여 지오그리드(40)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간의 결합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서 고정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도 2를 살펴보면 연결부(1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삼각연결기구(10)를 좌우로 연결할 수 있게 하여 길이를 확장시키고 싶은 경우에 다른 삼각연결기구(1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2)는 원형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상기 연결부(12)에 연결핀(14)을 삽입하여 서로 다른 삼각연결구(1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핀(14)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둥근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의 중앙부분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단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연결기구들을 연결시킬 경우 빠지지 않게 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핀(14)은 기존에도 존재하던 형태 중 하나이며,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것이 아니어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12)와 연결핀(14)을 사용함으로서 연결기구가 확장성을 가지게 되며, 다수의 연결기구를 연결함으로서 옹벽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일체형의 연결기구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옹벽이 전체적으로 힘을 분산시키면서 축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삼각연결기구(1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사각연결기구(20) 및 육각연결기구(3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연결기구(20)와 육각연결기구(30)는 연결기구 내부에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공극이 존재한다. 상기 공극이 존재하는 이유는 삼각연결기구(10)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은 이유이며, 삼각연결기구(10)와 동일하게 요철부(11)와 연결부(12), 그리고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가진다.
상기의 요철부(11)에 대한 내용도 위에서 기술한 삼각연결기구(10)와 동일한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요철부가 형성된 방향이 수평이 아닌 경사진 요철부도 존재한다. 이는 수평이 아닌 형태로 되어 있어도 무관하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힘을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연결부(12) 및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에 대한 내용도 삼각연결기구(10)에 대한 내용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에 결합시켜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내용은 삼각연결기구(10)가 실질적으로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경우 축조되는 옹벽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뒷부분에 지오그리드(40)가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기구를 사용함으로서 포대와 포대 간에 강력한 마찰력이 부여되며, 지오그리드(40)와의 연결을 통하여 옹벽의 견고성을 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옹벽축조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수직 수평형의 연결기구 즉, 역T형 연결유닛(1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역T형 연결유닛(100)은 도 12와 도 1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0)의 표면에는 요철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역T형 연결유닛(100)의 수평부의 상부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뻗은 부분의 양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11)는 굳이 그 형태에 제약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단부에 골을 형성하거나 재질을 마찰력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이미 기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0)이 사용되어 포대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0)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포대(1)와 포대(1)를 쌓을 때, 아래층과 그 위층은 포대(1)가 서로 엇갈리게 되도록 쌓게 되는데, 이때 역T형 연결유닛(100)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어 지는 것이다. 즉, 아래층의 포대(1)의 위에 역T형 연결유닛(100)의 수평부의 저면 부분이 위치하게 되며, 그 윗층의 포대(1)와 포대(1) 사이에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0)의 수직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역T형 연결유닛(100)의 수평부에는 요철부(11)뿐만 아니라 지오그리드 연결핀(120)이 형성되어 지오그리드(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핀(120)을 이용하여 옹벽의 축조시 옹벽이 무너짐을 막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마다 삽입하는 지오그리드(40)가 본 역T형 연결유닛(100)과 결합됨으로서, 상기 지오그리드(40)가 결과적으로는 포대(1)와 연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더욱 견고하게 옹벽을 축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오그리드(40)가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에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결합 방식 이외의 결합방식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인 역T형 연결유닛(100)을 상하로 뒤집은 형태인 T형 연결유닛의 형태로 사용하여 포대(1)를 축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직부를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포대(1)를 축조하는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6면체 형상을 가지며 토사가 들어있는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포대를 쌓기 전에 상기 포대를 쌓을 곳에 기초 잡석 다짐 작업을 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윗부분에 구멍과 요철부부 그리고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를 가지는 연결기구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 위에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상기 두번째 단은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와 포대 사이의 틈의 윗부분을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쌓으며, 상기 수평형 연결기구와 밀착하도록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서, 6면체로 된 포대를 사용하여 종래의 옹벽보다 견고하고, 뿐만 아니라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6면체 형상을 가지며 토사가 들어있는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대(1)를 쌓기 전에 상기 포대(1)를 쌓을 곳에 기초 잡석 다짐 작업을 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1)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윗부분에 역T자 형태를 가지며, 요철부(11)를 가지는 연결유닛(100)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 위에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상기 두번째 단은 상기 역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역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과 밀착하도록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윗부분에 역T자 형태를 가지며, 요철부(11)를 가지는 연결유닛(100)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 뒷부분에 흙을 채우고 다지는 단계는 계속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1)는 단부에 골이 형성되어 있어 골과 골사이의 돌출부분이 포대(1)에 쐐기 형태로 박힘으로서 포대(1)와 상기 연결유닛(100)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포대(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대(1)의 윗부분에 역 T자 형태를 가지며, 요철부를 가지는 연결유닛(100)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연결유닛(100)에 연결되도록 지오그리드(4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대(1)에는 토사뿐만 아니라 초본류를 넣어 시간이 지나면 초본류가 발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1. 6면체 형상을 가지며 토사가 들어있는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포대(1)를 쌓기 전에 상기 포대를 쌓을 곳에 기초 잡석 다짐 작업을 하는 단계와;
    상기 포대(1)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T자 형태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와 수직부에 요절부(11)를 가지는 연결유닛(100)의 수직부를 포대와 포대사이에 삽입하여, T자의 수직부분이 포대와 포대 사이에 들어가도록 쌓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단 위에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상기 두번째 단은 상기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의 위에 위치하도록 쌓으며, 상기 두번째 단의 포대와 포대사이에는 새로운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를 배치하면서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단 위에 두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상기 두번째 단은 상기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의 위에 위치하도록 쌓으며, 상기 두번째 단의 포대(1)와 포대(1) 사이에는 새로운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을 배치하면서 쌓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단을 이루는 포대(1)의 뒷부분에 공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흙을 채우고 상기 채워진 흙을 다지는 단계를 계속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T자 형태의 연결유닛(100)의 요철부(11)의 단부에는 골이 형성되어 있어 골과 골사이의 돌출 부분이 포대에 쐐기 형상으로 파고들어 포대와 상기 연결유닛(100)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포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대(1)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을 쌓는 단계로서, T자 형태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와 수직부에 요절부(11)를 가지는 연결유닛(100)의 수직부를 포대와 포대사이에 삽입하여, T자의 수직부분이 포대와 포대 사이에 들어가도록 쌓는 단계에서 상기 연결유닛(100)이 설치되기 전에 지오그리드(4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대(1)에는 토사뿐만 아니라 초본류를 넣어 시간이 지나면 초본류가 발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20040031786A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073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6A KR100736839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6A KR100736839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58A KR20050106758A (ko) 2005-11-11
KR100736839B1 true KR100736839B1 (ko) 2007-07-10

Family

ID=3728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86A KR100736839B1 (ko) 2004-05-06 2004-05-06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17B1 (ko) 2011-01-12 2011-09-20 주식회사 장원 사면보강용 배수성 토낭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07888A (ko)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10168909A (ja)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KR20000071265A (ko)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축조하는 방법
KR20010073504A (ko)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10168909A (ja)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壁面保護装置
KR20000071265A (ko)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축조하는 방법
KR20010073504A (ko)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17B1 (ko) 2011-01-12 2011-09-20 주식회사 장원 사면보강용 배수성 토낭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07888A (ko) 2015-03-06 2016-09-19 영원산업 주식회사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58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625B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KR100557703B1 (ko) 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53958B1 (ko)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100736839B1 (ko)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1295331B1 (ko) 토사백 연결구
KR20160006570A (ko)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KR20190142927A (ko) 옹벽구조물
TW202223205A (zh) 擋土牆結構物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736836B1 (ko) 6면체 포대의 역t형 연결유닛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20120078581A (ko) 성토부의 옹벽
KR100736827B1 (ko) 6면체 포대의 링크형 유닛을 이용한 연결기구
KR100645600B1 (ko) 다중 결속방식의 축조블록과 이 축조블록을 이용한축조구조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83539B1 (ko) 친환경 생태옹벽블록
KR100736832B1 (ko)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KR10149299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752781B1 (ko) 지지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101434594B1 (ko) 보강용 옹벽프레임과 옹벽 시공방법
KR101072340B1 (ko)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000328577A (ja) 土留めかご枠及びそれを用いた急勾配盛土の築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