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888A -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 Google Patents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888A
KR20160107888A KR1020150031411A KR20150031411A KR20160107888A KR 20160107888 A KR20160107888 A KR 20160107888A KR 1020150031411 A KR1020150031411 A KR 1020150031411A KR 20150031411 A KR20150031411 A KR 20150031411A KR 20160107888 A KR20160107888 A KR 2016010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protrusion
vegetation
connection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455B1 (ko
Inventor
최현식
Original Assignee
영원산업 주식회사
최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원산업 주식회사, 최현식 filed Critical 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00Chemistry: fertilizers
    • Y10S71/903Soil conditioner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서, 식생토낭을 이용해 녹지공간을 조성할 때, 계단 형식으로 쌓아올려지는 식생토낭이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식생토낭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토낭을 서로 고정시키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CONNECTION PLAT FOR SUPPORTING SOIL BAG}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서, 식생토낭을 이용해 녹지공간을 조성할 때, 계단 형식으로 쌓아올려 지는 식생토낭이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식생토낭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식생토낭을 서로 고정시키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화로 인해 도로, 산업단지, 주택단지 및 하천 등이 개발되며 훼손되는 자연을 복구하기 위해 녹화산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녹화산업 중 식생토낭을 사용하는 친환경 식생토낭 공법은 옹벽, 방음벽, 제방, 교량, 산사태위험지역, 광해방지사업, 산책로 및 공원과 같이 다양한 곳에 적용되어 시공될 수 있는데, 포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식생토낭을 계단형식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 시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식생토낭은 직육면체 형상의 포대식 식생토낭으로 식생토낭을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 옹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물 또는 지형에 대처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식생토낭은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 옹벽을 이루기 때문에 외면의 식생토낭이 무너져 내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736839호(선행문헌1)는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유닛에 개구된 요철부가 구비되어 포대를 고정하고, 연결유닛은 삼각연결기구가 구비되어 지오그리드에 보다 수월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선행문헌1은 요철부가 골과 골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포대를 고정시킬 수 없고, 연결유닛을 보관 및 운반할 때에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시공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7368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토낭을 지지할 수 있는 식생토낭 연결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식생토낭 연결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토낭 시공 후 식생들이 효과적으로 발화 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식생토낭 연결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 및 상기 연결판에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쐐기형식으로 식생토낭에 삽입되어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로 인해 식생토낭 시공 시 식생토낭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시공 후 식생토낭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판에 비료보관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식생토낭 시공 후 식생토낭의 씨앗이 보다 수월하게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에 돌기홈이 구비되기 때문에 연결판에 또 다른 연결판을 포개었을 때 돌기부가 돌기홈에 삽입되어 두 개의 연결판이 서로 접하여 포개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이 서로 접하여 포개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이 서로 접하여 포개어지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이 서로 접하여 포개어지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이 식생토낭의 사이에 구비되어 시공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의 가이드관에 파이프가 시공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을 서로 연결되는 일례를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오늘날 산업화로 인해 도로, 산업단지, 주택단지 및 하천 등이 개발되며 훼손되는 자연을 복구하기 위해 녹화산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녹화산업 중 식생토낭(20)을 사용하는 친환경 식생토낭(20) 공법은 옹벽, 방음벽, 제방, 교량, 산사태위험지역, 광해방지사업, 산책로 및 공원과 같이 다양한 곳에 적용되어 시공될 수 있는데, 포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식생토낭(20)을 계단형식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 시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식생토낭(20)은 직육면체 형상의 포대식 식생토낭(20)으로 식생토낭(20)을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려 옹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물 또는 지형에 대처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식생토낭(20)은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 옹벽을 이루기 때문에 외면의 식생토낭(20)이 무너져 내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오그리드 및 본 발명의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은 판 형상의 연결판(10), 열결판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는 돌기부(100), 돌기부(100)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홈(150), 배수를 위한 파이프(1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400) 및 연결판(10)의 일면에 형성되는 통공(200)과 비료보관부(300)를 포함하고, 각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연결판(10)은 육면체 형상의 포대로 구비되는 식생토낭(20)을 계단 형상으로 층을이뤄 쌓아 올렸을 때 식생토낭(20)들 간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연결판(10)은 식생토낭(20) 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1 및 도 8을 참고하면, 연결판(10)은 일 가장자리에 또 다른 연결판(10`)과 서로 줄 또는 끈(11)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홈(5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홈(500)이 구비되어 끈(11) 등으로 또 다른 연결판(10`)과 연결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연결홈(500)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연결홈(500)과 같이 개구된 홈 형상이 아닌 서로 연결판(10)이 직접 체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10)의 일면에는 식생토낭(20)의 씨앗이 개화되었을 때 뿌리를 내리는데, 이 뿌리가 하나의 식생토낭(20) 내측에서만 자라지 않고 다른 식생토낭(20)으로 연결되어 식생토낭(20)들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뿌리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공(200)이 형성된다. 위의 설명과 같이 통공(200)은 식생토낭(20)의 씨앗이 개화 시 뿌리를 내리는데, 이 뿌리가 연결판(10)의 통공(200)으로 삽입되어 또 다른 연결판(1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돌기부(100)은 연결판(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고, 돌기부(100)가 천 또는 종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식생토낭(20)의 포장면을 쐐기 형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돌기부(100)는 원뿔 형상을 가지고, 연결판(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 돌기부(110) 및 연결판(10)의 저면에 위치하여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 돌기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기부(100)는 상측 돌기부(110) 및 하측 돌기부(120)로 구비되는데, 반드시 상측 및 하측 돌기부(120)가 모두 구비될 필요는 없고 상측 돌기부(110)만을 요하는 시공일 때에는 상측 돌기부(110)만이 구비되는 연결판(10)이 사용된다. 한편, 돌기부(100)는 내측에 돌기홈(150)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돌기홈(150)은 돌기부(100)의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또 다른 연결판(10`)에 구비되는 돌기홈(1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판(1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 돌기부(110)는 연결판(10)의 저면이 개구된 돌기홈(150)이 형성되고, 하측 돌기부(120)는 연결판(10)의 상면에 개구된 돌기홈(150)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판(10)과 또 다른 연결판(10`)은 동일한 위치에 상측 돌기부(110) 및 하측 돌기부(120)가 구비되었을 때 연결판(10)의 돌기부(100)가 또 다른 연결판(10`)의 돌기홈(150)에 삽입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상측 돌기부(110) 및 하측 돌기부(120)로 이루어진 돌기부(100)가 돌기홈(150)으로 인해 연결판(10)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서로 포개었을 때 연결판(10)의 돌기부(100)가 또 다른 연결판(10`)의 돌기홈(150`)에 삽입된다. 요컨대, 연결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측 돌기부(110)는 연결판(10)의 상측 방향으로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 연결판(10)의 상측 돌기부(110)가 또 다른 연결판(10`)의 상측 돌기부(110`)에 형성된 돌기홈(150`)에 삽입되어 서로 포개어지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시공 시 필요한 보관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져오는 특징이 있다. 즉, 연결판(10)의 상측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에는, 연결판(10)의 상측 돌기부(110)가 또 다른 연결판(10`)에 구비되는 상측 돌기부(110`)의 돌기홈(150`)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연결판(10)의 하측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에는, 연결판(10)의 하측 돌기부(120)가 또 다른 연결판(10`)에 구비되는 하측 돌기부(120`)의 돌기홈(150`)에 삽입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관(400)은 식생토낭(20)을 시공할 때, 비 또는 지하수로 인해 식생토낭(20)이 무너지거나 물을 머금고 있어 하중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12)를 구비하는데, 비 또는 지하수를 배출하는 파이프(1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관(400)은 연결판(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반원형 홈으로 구비된다. 이때, 일방향은 사용자가 시공방법 또는 장소에 적합하도록 가이드관(400)의 신장된 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또한, 가이드관(400)이 가이드하는 파이프(12)가 원형의 관이 아닌 사각의 관이라면 가이드관(400) 또한 사각의 가이드홈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비료보관부(300)는 연결판(10)에 구비되어 연결판(10)과 함께 식생토낭(20)들 사이에 위치되며 식생토낭(20)의 씨앗이 개화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비료보관부(300)는 연결판(10)의 일면에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다만 반드시 박스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원통 및 반구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의 비료보관부(300)가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비료보관부(300)는 저면에 비료홈(310)이 하나 이상의 비료홈(310)이 구비되는데, 비료홈(310)은 보다 효과적으로 식생토낭(20)의 씨앗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위에 언급한 돌기부(100) 및 돌기홈(150)의 구성과 같이 연결판(10)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 서로 겹쳐져 부피가 줄어들 수 있도록 박스형상의 비료보관부(300)는 상측의 넓이가 하측의 넓이보다 넓게 구비되는 박스형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비료보관부(300)의 상측의 넓이가 비료보관부(300)의 저면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연결판(10)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300)의 상측으로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 비료보관부(300)의 개구된 상면으로 또 다른 연결판(10`)에 구비되는 비료보관부(300`)의 저면이 삽입되어 포개어지는데, 이로 인해 보관할 때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운송 및 보관에 드는 비용이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연결판 11 : 끈
12 : 파이프 20 : 식생토낭
100 : 돌기부 110 : 상측 돌기부
120 : 하측 돌기부 150 : 돌기홈
200 : 통공 300 : 비료보관부
310 : 비료홈 400 : 가이드관
500 : 연결홈

Claims (6)

  1.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판(10);
    상기 연결판(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쐐기형식으로 식생토낭(2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00);
    상기 연결판(10)의 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비료보관부(300); 및
    상기 연결판(10)에 식생의 뿌리가 통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00)는 상기 연결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측 돌기부(110) 및 저면에 형성되는 하측 돌기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돌기부(110) 및 상기 하측 돌기부(120)는 각각 돌기홈(1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판(10)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 상기 연결판(10)의 상측 돌기부(110)가 상기 또 다른 연결판(10`)의 돌기홈(150`)에 삽입되어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의 상면에 배수를 위한 파이프(12)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관(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보관부(300)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0)에 또 다른 연결판(10`)을 포개었을 때 상기 연결판(10)의 비료 보관부(300)에 상기 또 다른 연결판(10`)의 비료보관부(300`)가 삽입되어 포개어지도록 상기 비료보관부(300)는 개구된 상측의 넓이가 저면의 넓이보다 넓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보관부(300)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비료홈(3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KR1020150031411A 2015-03-06 2015-03-06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KR10169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11A KR101698455B1 (ko) 2015-03-06 2015-03-06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11A KR101698455B1 (ko) 2015-03-06 2015-03-06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88A true KR20160107888A (ko) 2016-09-19
KR101698455B1 KR101698455B1 (ko) 2017-01-20

Family

ID=5710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411A KR101698455B1 (ko) 2015-03-06 2015-03-06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20200009619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KR20200020303A (ko) * 2018-08-17 2020-02-26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39B1 (ko) 2004-05-06 2007-07-10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140123351A (ko) * 2013-04-12 2014-10-22 권완 식생토낭용 연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39B1 (ko) 2004-05-06 2007-07-10 파센리테이닝(주)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
KR100852971B1 (ko) * 2007-05-18 2008-08-19 한창모 옹벽 축조용 토낭 연결 부재
KR101164526B1 (ko) * 2012-04-16 2012-07-10 주식회사 장원 뒷길이 보강재 결속형 토낭 연결재
KR20140123351A (ko) * 2013-04-12 2014-10-22 권완 식생토낭용 연결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20200009619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의 시공방법
KR20200020303A (ko) * 2018-08-17 2020-02-26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3943B1 (ko) * 2021-09-10 2022-02-16 윤윤종 식생토낭용 듀얼유공 배수 결속재 및 그를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455B1 (ko) 2017-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455B1 (ko) 식생토낭을 지지하는 다용도 연결판
CN105309223A (zh) 一种种植箱单体和一种可拼接种植箱
US4887627A (en) Shelter with releasable ballast members
JP5661392B2 (ja) 貯水施設の施工法及び貯水ユニット
KR20180074091A (ko) 수목 바닥 보호틀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2003047342A (ja) 緑化用ユニットプランタ
KR20040085673A (ko) 호안 블록
KR200397488Y1 (ko) 식생블록
JP2010112156A (ja) 緑化用擁壁ブロック
JP2009167755A (ja) 環境保全用ブロック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1726154B1 (ko) 복합형 식생토낭옹벽
JP2008231681A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JP2010037856A (ja) 斜面崩落防止構造
JP3406304B2 (ja) 屋上緑化装置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CN205713455U (zh) 花圃隔板
CN212035211U (zh) 一种园林绿化草坪种植装置
CN217000061U (zh) 一种林业防土壤流失装置
CN208850312U (zh) 一种用于园林绿化的花草保温毯
KR200344703Y1 (ko) 호안용 돌망태
CN211430224U (zh) 一种可组合使用的园林种植箱
CN206752286U (zh) 一种园林景观栈道
KR200378304Y1 (ko) 조경용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