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673A -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673A
KR20040085673A KR1020030020456A KR20030020456A KR20040085673A KR 20040085673 A KR20040085673 A KR 20040085673A KR 1020030020456 A KR1020030020456 A KR 1020030020456A KR 20030020456 A KR20030020456 A KR 20030020456A KR 20040085673 A KR20040085673 A KR 2004008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necting piece
base frame
piece
reve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965B1 (ko
Inventor
이강산
Original Assignee
이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산 filed Critical 이강산
Priority to KR102003002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965B1/ko
Priority to CNB200480009101XA priority patent/CN100387780C/zh
Priority to PCT/KR2004/000709 priority patent/WO2004088047A1/en
Priority to JP2006507780A priority patent/JP4431138B2/ja
Priority to US10/552,783 priority patent/US7326000B2/en
Publication of KR2004008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베이스틀(30) 및 이 베이스틀(30)의 테두리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외향 절곡된 연결편(38)를 갖는 다수개의 연결대(32)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틀(30)의 테두리에 구획판(36)에 의해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32)는 베이스틀(30)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서 소정기울기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안 블록{block for embankment}
본 발명은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취급 및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호안 블록끼리의 연결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어 해당 제방이나 경사면에 적절히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블록은 하천의 제방이나 경사면의 붕괴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물이 자연스럽게 잘 자라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호안 블록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테두리부(10)와 이 테두리부(10) 내에서 서로 교차되는 가로대(12) 및 세로대(14)를 갖는 베이스틀(16)과, 상기 테두리부(10) 저면에서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 연결편(18)를 갖는 연결대(20)와, 상기 가로대(12)와 세로대(14)의 교차점에서 직각 연장되는 지지돌부(22)를 갖는 호안블록(24)이 제시되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호안 블록은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상하·좌우로 통하게 형성하고, 이 공간에 채워지는 흙이 서로 합쳐지면서 한 덩어리가 되도록 하여 블록이 흙과 일체화된 상태로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매설 상태가 단단해지고 안정되어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토사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흙이 채워지는 공간이 상하·좌우로 통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식물의 줄기나 뿌리들이 상기 공간을 통해 상하는 물론 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뻗어 나갈 수 있게 되어 자연스럽게 자랄 수 있으며, 이렇게 자라는 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의해 블록의 매설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수중에 잠기게 되는 부분에는 수질정화 능력이 있는 수초 등을 심으면 수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블록이 폐프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자원이 절약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등 경제적인 잇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호안 블록은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전반적으로 제조, 운반 및 결합작업 등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상승 및 작업상 능률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워 전반적으로 제조, 운반 및 결합작업 등이 용이하게 되도록하는 호안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호안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안 블록 한 쌍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호안 블록의 연결편과 이웃하는 결합 호안 블록의 연결편이 층 형상으로 겹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호안 블록들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호안 블록들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호안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호안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테두리부 12 : 가로대
14 : 세로대 16 : 베이스틀
18 : 연결편 20 : 연결대
22 : 지지돌부 24 : 호안블록
30 : 베이스틀 32 : 연결대
34 : 관통공 36 : 구획판
38 : 연결편 40 : 보강리브
42 : 연결공 44 : 안내편
46 : 결합돌기 48 : 결합공
50 : 체결부재 50a : 걸림턱
50b : 절개부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은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베이스틀 및 이 베이스틀의 테두리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외향 절곡된 연결편을 갖는 다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에 구획판에 의해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베이스틀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경사진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연결편에는 대응되는 다른 호안 블록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연결편 선단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고 이 연결편의 후단부에는 대응되는 다른 호안 블록의 연결편과 겹치도록 상기 연결편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안내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연결대 중 일측 연결대의 연결편 저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그 타측 연결대의 연결편 저면에는 대응되는 다른 호안 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한 호안 블록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호안 블록은 중앙이 관통된 베이스틀(30)과, 이 베이스틀(30)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연결대(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틀(30)은 소정 폭을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 베이스틀(30)은 그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3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4)을 소정 폭으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판(3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32)는 베이스틀(30)의 테두리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재 형상으로, 그 연장 선단부에는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는 연결편(3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2)는 테두리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서 소정기울기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연결대(32)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4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40)는 호안 블록에 대한 전체적인 보강기능이 뛰어나게 되도록 상기 베이스틀(30)의 구획판(36)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2)의 연결편(38) 상에는 이 연결대(32)가 마주보고 대응되는 동일 호안 블록의 연결편(38)끼리 서로 맞닿도록 하여 이들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동일 호안 블록의 연결편(38)끼리 서로 층으로 겹치도록 하여 이들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공(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2)는 서로 연결되는 동일 호안 블록들의 연결편(38)들을 서로 맞닿게 겹치거나, 또는, 횡방향 연결에서 층으로 겹치게 하여 이들연결공(42)을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하기 위해서 그 연결편(38)의 선단 양측을 소폭 절개시키고, 또한, 이 절개된 연결편(38)의 선단부가 대응되는 동일 호안 블록의 연결편(38)와 겹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편(44)이 상기 연결대(32)와 연결편(38)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대(32)의 연결편(38) 저면에는 대응되는 동일 호안 블록의 연결편(38) 저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돌기(46) 또는 결합공(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틀(30)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연결대(32) 중 대각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연결편(38)에는 결합돌기(46)를 형성시키고 그 타측의 연결편(38)에는 결합공(48)을 형성시킴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블록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대(32)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동일 호안 블록끼리 서로 연결편(38)가 맞닿도록 하여 별도의 체결부재(50)로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호안 블록들은 별도의 체결부재(50)로 체결시키기 전에 이미 연결편(38)의 결합돌기(46)와 결합공(48)이 서로 결합되어 일차적인 결합이 완료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50)는 대응되는 연결대(32)의 연결편(38)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동일선상에 놓인 한 쌍의 연결공(42)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먼저 연결공(42)의 외측 테두리에 걸리고 나면 타측으로 관통된 타단부가 벌어지면서 타측의 연결공(42) 외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50a)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으로 관통되는 타단부 중앙에는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공(42) 상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부재(50)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벌어져 있는 상기 체결부재(50)의 일단부를 오므리고서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체결을 해제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블록의 다른 결합 실시예로서, 상기 도 3의 결합 호안 블록들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호안 블록의 베이스틀은 사각에 한정되지 않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의 호안 블록은 상기 종래 기술의 호안 블록과 같이, 블록 내에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외부와 상하·좌우로 통하게 형성하고, 이 공간에 채워지는 흙이 서로 합쳐지면서 한 덩어리가 되도록 하여 블록이 흙과 일체화된 상태로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매설 상태가 단단해지고 안정되어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토사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흙이 채워지는 공간이 상하·좌우로 통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식물의 줄기나 뿌리들이 상기 공간을 통해 상하는 물론 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뻗어 나갈 수 있게 되어 자연스럽게 자랄 수 있으며, 이렇게 자라는 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의해 블록의 매설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된다.
또한, 수중에 잠기게 되는 부분에는 수질정화 능력이 있는 수초 등을 심으면 수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고, 블록이 폐프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자원이 절약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등 경제적인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호안 블록은 베이스틀의 각 테두리에 연결대를 형성하고 이 연결대 선단부에 연결편을 형성함으로써, 호안 블록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워 전반적으로 제조, 운반 및 결합작업 등이 용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절감 및 작업상 능률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호안 블록끼리 횡방향 연결형태가 자유로워 해당 제방이나 도로 경사면의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7)

  1.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베이스틀; 및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외향 절곡된 연결편을 갖는 다수개의 연결대;
    를 포함하는 호안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에 구획판에 의해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베이스틀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연결편에는 대응되는 다른 호안 블록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연결편 선단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고 이 연결편의 후단부에는 대응되는 다른 호안 블록의 연결편과 겹치도록 상기 연결편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안내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연결대 중 일측 연결대의 연결편 저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그 타측 연결대의 연결편 저면에는 대응되는 동일 호안 블록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KR1020030020456A 2003-04-01 2003-04-01 호안 블록 KR10054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56A KR100547965B1 (ko) 2003-04-01 2003-04-01 호안 블록
CNB200480009101XA CN100387780C (zh) 2003-04-01 2004-03-29 堤坝平台
PCT/KR2004/000709 WO2004088047A1 (en) 2003-04-01 2004-03-29 Block for embankment
JP2006507780A JP4431138B2 (ja) 2003-04-01 2004-03-29 護岸用ブロック
US10/552,783 US7326000B2 (en) 2003-04-01 2004-03-29 Block for embank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56A KR100547965B1 (ko) 2003-04-01 2003-04-01 호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673A true KR20040085673A (ko) 2004-10-08
KR100547965B1 KR100547965B1 (ko) 2006-02-03

Family

ID=3674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456A KR100547965B1 (ko) 2003-04-01 2003-04-01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6000B2 (ko)
JP (1) JP4431138B2 (ko)
KR (1) KR100547965B1 (ko)
CN (1) CN100387780C (ko)
WO (1) WO20040880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178A (zh) * 2018-02-06 2018-09-0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勾连体、防冲促淤结构及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90031A1 (it) * 2009-02-19 2010-08-20 Riusa Eu S R L "blocco modulare per opere civili"
CN102619190B (zh) * 2012-03-26 2014-05-07 上海河口海岸科学研究中心 透水框架
AU348840S (en) * 2013-04-04 2013-05-27 Strata Innovations Pty Ltd A support cell under a load bearing feature
CN203938946U (zh) * 2013-04-04 2014-11-12 斯特拉塔创新有限公司 模块化单元和位于承重部件下方的矩阵
US10415260B2 (en) 2017-11-13 2019-09-17 Strata Innovations Pty Limited Structural cells, matrices and methods of assembly
CN109338993A (zh) * 2018-12-05 2019-02-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生态促淤防冲护滩结构
US11885091B2 (en) * 2021-06-30 2024-01-30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Connection device for fastening expanded cell confinement structures and methods for do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8A (en) * 1843-07-12 terry
US16757A (en) * 1857-03-03 Cast-iron pavement
US986395A (en) * 1909-07-28 1911-03-07 Gertrude M King Plant and flower pot.
US3137095A (en) * 1963-05-24 1964-06-16 Harold E Pearson Garden planters
US3310906A (en) * 1965-07-22 1967-03-28 Fowler Knobbe & Gambrell Toy construction blocks and assembly
US3438312A (en) * 1965-10-22 1969-04-15 Jean P M Becker Ground covering capable for use in playing tennis in the open air or under cover
NL6717542A (ko) * 1967-12-22 1969-06-24
US4008548A (en) * 1975-09-24 1977-02-22 Leclerc Raymond W Playing surface
US4372705A (en) * 1980-11-18 1983-02-08 Atkinson Francis S Articulated erosion control system
US4596731A (en) * 1984-09-17 1986-06-24 Cudmore Warner J G Grass protecting walkway grid
GB8529985D0 (en) * 1985-12-05 1986-01-15 Soil Structures Protective blocks
US4984384A (en) * 1987-03-25 1991-01-15 Kaufmann, Bryan Environmental Concepts, Inc. Bio-degradable mulching material
USD339779S (en) * 1989-06-13 1993-09-28 The 2500 Corporation Modular vehicle bed liner mat
US5250340A (en) * 1990-08-31 1993-10-05 Bohnhoff William W Mat for stabilizing particulate materials
US5167843A (en) * 1991-01-17 1992-12-01 Guillory Kenneth W J Revetment system and device
CN1024579C (zh) * 1991-04-28 1994-05-18 吴旺霖 消波块
CN2124954U (zh) * 1992-06-15 1992-12-16 东北勘测设计院科学研究所 组装式铰接护坡板块
CN2144917Y (zh) * 1992-12-09 1993-11-03 帅青园艺企业股份有限公司 蜂巢式植草砖
JPH083962A (ja) * 1994-06-24 1996-01-09 Suiko Giken Kk 侵食防止用ブロックマット
EP0718440B1 (de) * 1994-12-19 2000-05-31 Sportförderung Peter Küng AG Elastisches Kunststoffelement zum Bilden eines Bodenbelages
US5988942A (en) * 1996-11-12 1999-11-23 Stewart Trustees Limited Erosion control system
US6158922A (en) * 1999-03-05 2000-12-12 Fernandez; Jorge L. Sand trap for erosion control
CN2401587Y (zh) * 1999-10-21 2000-10-18 刘邦辉 混凝土消波块
JP3746965B2 (ja) * 2001-07-18 2006-02-22 ヨシコン株式会社 構築用ブロックの製造装置
KR200260840Y1 (ko) * 2001-10-19 2002-01-17 주식회사 아인텍정보 이중힌지 도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0262840Y1 (ko) 2001-10-31 2002-03-1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178A (zh) * 2018-02-06 2018-09-0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勾连体、防冲促淤结构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2246A (ja) 2006-09-28
US20060193694A1 (en) 2006-08-31
CN1768183A (zh) 2006-05-03
US7326000B2 (en) 2008-02-05
WO2004088047A1 (en) 2004-10-14
JP4431138B2 (ja) 2010-03-10
KR100547965B1 (ko) 2006-02-03
CN100387780C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965B1 (ko) 호안 블록
KR20060083566A (ko) 축조 블록
KR20020021834A (ko) 호안용 블럭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214755Y1 (ko) 호안용 블럭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20040081249A (ko) 호안 블록
KR200356145Y1 (ko) 호안블럭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CN216739489U (zh) 一种斜坡式生态护岸模块结构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348427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US20010029709A1 (en) Concrete structure
KR200376251Y1 (ko) 식생 호안블럭
KR200395309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12815Y1 (ko) 격자형 조립식 판넬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KR20040098434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53007Y1 (ko) 식생호안블록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307141Y1 (ko) 옹벽블록
KR200258869Y1 (ko) 옹벽용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