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815Y1 - 격자형 조립식 판넬 - Google Patents

격자형 조립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815Y1
KR200412815Y1 KR2020050037063U KR20050037063U KR200412815Y1 KR 200412815 Y1 KR200412815 Y1 KR 200412815Y1 KR 2020050037063 U KR2020050037063 U KR 2020050037063U KR 20050037063 U KR20050037063 U KR 20050037063U KR 200412815 Y1 KR200412815 Y1 KR 200412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ing
prefabricated
panel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봉
이순우
Original Assignee
이인봉
이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봉, 이순우 filed Critical 이인봉
Priority to KR2020050037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개지 사면이나 호안의 안정화를 위하여 식재용 흙이나 자갈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격자형 셀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판넬 본체(11); 상기 판넬 본체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장공(18)을 갖는 연결부(12); 및 상기 판넬 본체의 적어도 2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판넬 결합용의 결합 요부(1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요부는 좌우 결합 요부의 위치가 상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견고한 조립체의 형성이 가능하고, 조립 방식도 보다 간편한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게 되며, 농촌의 폐비닐을 이용한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 제품으로 구현되더라도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므로, 농촌의 문제점인 폐비닐의 수거 및 재활용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다.
조립식 판넬, 연결 설편, 힘살부

Description

격자형 조립식 판넬{A sectional cross panel}
도 1은 종래 기술의 조립식 격자블록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조립식 격자블록의 조립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조립식 블록을 부채꼴 형태로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정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의 조립평면도.
도 8은 인접 판넬과의 조립부의 상세도.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의 실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에 의해 실제 시공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을 호안에 적용한 상태의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을 하상에 적용한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립식 판넬 11. 판넬 본체
11a, 11c : 힘살부 11b : 판넬 중심판
12. 연결부 13 : 결합 요부
14. 결합 설면 15. 결합 슬릿
16. 천공부 17. 볼트
18. 장공 19. 너트
20. 토양 30. 부직포
본 고안은 조립식 격자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개지 사면이나 호안의 안정화를 위하여 또는 하상의 밑다짐을 위하여 식재용 흙이나 물빠짐을 위한 자갈 등이 흘러내리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격자형 셀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호안의 사면에 식재를 위해서는, 식재된 식물이 충분히 뿌리 내림을 할 때까지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바, 과거에는 박스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는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하고 수질 오염의 주범이 되는가 하면, 작업성도 떨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박스 형태의 옹벽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셀 형태의 사면 안정화 프레임을 조립형태로 행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임은 물론, 자연스러운 생태계의 보호에 일조하게 되었는 바, 이러한 조립식 격자블록에 관한 것으로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2-105964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1986호와 같은 것이 있다.
특히 후자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조립식 격자블록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조립식 격자블록의 조립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조립식 블록을 부채꼴 형태로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격자형의 블럭(1)의 양단에는 굴곡단부(2)(2')를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격자블럭(1)의 양측에는 결합요부(3)와 고정보울트(4)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공(5, 5')을 형성하며, 굴곡단부(2)(2')에는 목재, 철망, 계단블럭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보울트결합공(9)과 인접한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장공(8)을 형성하여 4개의 격자블럭(1)을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井(우물정자)' 형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하며 인접하는 조립체의 상기 장공을 연결보울트(7)로 전후좌우로 결합함으로써, 연속된 형태의 식재용 셀을 갖는 사면 안정화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부재번호 6은 배수 및 식물뿌리가 뻗어나가거나 미소생물의 이동통로의 기능을 위한 천공부, 7은 인접 블럭과의 연결보울트, 20은 인공토양이다.
즉,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의 격자블럭(1)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판형의 격자블럭(1) 4개를 각각 교차되도록 조립하되, 각 격자블럭(1)의 결합요부(3)에 교차되는 격자블럭(1)의 각 결합요부(3)가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보울트(4)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4개의 격자블럭(1)으로 하나의 조립체가 구성되면 이들을 연결보울트(7)로 연속되도록 연결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넓은 범위의 경사면 등에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기 종래기술의 격자블럭을 전후좌우로 연결하여 시공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조립체가 이루는 각 공간 내에 사석이나 토양(20)을 채운 실시예이다. 이때, 굴곡단부(2)(2')가 굴곡된 것은 각 조립체를 연결했을 때 직선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격자블럭을 연결하여 시공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굴곡단부(2)(2')의 장공(8)을 이용하여 도면상 상부는 넓게, 하부는 좁게 시공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장공(8)에 의하여 각 조립체를 평면상 경사면에 적절히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8)을 이용하여 시공장소에 따라 일측은 넓게, 타측은 좁게 부채꼴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종래기술의 결합블럭은 콘크리트 블럭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중량체이어야 하는 관계로 운반 및 시공이 쉽지 않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가로방향 블럭들이 예를들어 상방향으로 결합요홈이 형성되는 경우, 세로방향 블럭들은 하방향으로 결합요홈이 향하도록 되어야 하기 때문에, 토질의 함몰 등에 의해 사면 의 표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가로방향 블럭과 세로방향 블럭들이 이탈되어 조립체가 해체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상기 블럭들을 폴리에틸렌(PE) 과 같은 합성수지 제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도 결합요홈의 위치 및 결합요홈이 끼워지는 위치에 관통공(5, 5')을 천공하고, 고정보울트(4)에 의해 조립체의 결합되는 블럭들을 고정시키는 추가의 공정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격자블럭들의 조립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케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각 격자 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며, 더구나 합성수지 제품으로 하더라도 조립체가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크로스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의 목적이나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표면 안정화용 조립식 판넬은, 판넬 본체(11); 상기 판넬 본체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장공(18)을 갖는 연결부(12); 및 상기 판넬 본체의 적어도 2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판넬 결합용의 결합 요부(1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요부는 좌우 결합 요부의 위치가 상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요부(13) 내에 결합 설편(14)이 형성되며, 반대편에는 상기 결합 설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슬릿(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본체(11)는 힘살부(11a, 11c)를 갖는 엠보싱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넬 본체(11)에는 천공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18)은 좌우 수평방향으로 내경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첨부도면 중 도 4a 및 도 5a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5a는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의 조립평면도이고, 도 8은 인접 판넬과의 조립부의 상세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립식 격자 판넬(10)은 도 4a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판넬 본체(11)의 좌측 중간 위치 및 우측 중간 위치에 각각 요홈으로서의 결합 요부(13)가 위치하되, 종래기술의 블럭과는 달리, 상기 결합 요홈은 상하 방향이 엇갈리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예를들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 결합 요부가 하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좌측 결합요부는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 개의 판넬이 결합하여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 제1 판넬(10a)의 상방향에서 제2 판넬(10b)이 결합되며, 제2 판넬(10b)의 상방향에서 제3 판넬(10c)이 결합되며, 제3 판넬(10c)의 상방향에서 제4 판넬(10d)이 결합되는 경우, 다시 제4 판넬(10d)의 상방향에서 제1 판넬(10a)이 결합되므로, 상기 네 개의 판넬(10a,10b,10c,10d)이 상호 꼬인 위치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초 사면의 일부에 함몰 등이 있더라도 어느 하나의 판넬이 조립체에서 분리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정보울트 등으로 고정하는 등의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판넬 본체(11)의 좌우 단에는 연결부(18)가 형성되는 바, 이 연결부는 본체 두께의 절반의 두께를 갖게 되며, 좌우측 연결부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예를들어, 도 4a에서 좌측 연결부가 전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면, 우측 연결부는 후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제1 판넬(10a)이 제5 판넬(10e)과 연결 볼트(19)로 연결될 경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판넬의 우측 연결부(12a)가 후방향에서 그리고 제5 판넬의 좌측 연결부(12e)가 전방향에서 맞닿게 되어, 인접 판넬의 각각의 연결부(12)의 장공(18)을 통해 연결 볼트(19)로 결합된다. 부재번호 17은 연결 너트이고, 20은 사석을 포함한 토양이다. 이때 장공의 수평방향의 내경을 길게 함으로써, 지형에 따라서는 부채꼴 방향과 같이 곡선처리가 가능하도록 조립체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다시 도 4a로 돌아가서 판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이상의 판넬은 단면도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얇은 판상체의 중심판(11c)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가장자리 힘살부(11a)와 중앙의 힘살부(11b)가 '王'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힘살부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넬의 견고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토양이 힘살부 내에 갇히게 됨으로써 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한편, 판넬 본체에는 천공부(16)를 형성함으로써, 수공으로 기능하면서 경우에 따라 식물의 뿌리 자람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4b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b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결합 요부를 비롯한 판넬 결합체(10a,10b,10c,10d)의 결합 방식에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결합 요부(13) 내에 도 4b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 설편(14)이 내설되며, 상기 결합 설편이 끼워지는 슬릿(15)이 판넬 결합체의 결합시에 상기 결합요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결국 좌우 결합 요부(13)의 반대쪽에 슬릿(15)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판넬의 결합시에, 결합요부가 판넬에 끼워질 뿐 아니라, 결합설편이 슬릿에 끼우지는 이중 결합구조가 형성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흔들림이 전혀 없는 결합체가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실제 시공상태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진다.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의 실제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에 의해 실제 시공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을 호안 및 하상에 적용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사면이나 호안을 정지한 후,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이 조립체들을 볼트를 통해 전후 좌우로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0에서는 조립체들의 전후 좌우 연결이 완료된 후, 조립체들로 이루어지는 설 내에 사석이나 토양을 채워서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조립식 판넬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로 절개지 사면이나 호안의 경사지 또는 바닥에 부직포(30)를 깔고 그 위에 설치되며 셀 내에 사석(20)을 채워 사면이나 호안의 안정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12에서와 같이 하천의 낙차공 하류에 부직포(30)를 깔고 그 위에 설치됨으로써 하천 바닥의 침식을 방지할 목적의 밑다짐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표면 안정화용 조립식 판넬에 의하면, 절개지나 하상의 안정화를 시키며 침식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의 서식공간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친화적인 표면 안정화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조립식 격자 블럭에 비해 견고한 조립체의 형성이 가능하고, 조립 방식도 보다 간편한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조립식 판넬은 콘크리트로도 형성 가능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농촌의 폐비닐을 이용한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 제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농촌의 문제점인 폐비닐의 수거 및 재활용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고, 특히 이는 모래나 흙이 다소 묻어 있는 저급 폐비닐의 경우라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깨끗이 세척된 폐비닐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재활용 방법보다 훨씬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Claims (5)

  1. 판넬 본체(11);
    상기 판넬 본체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장공(18)을 갖는 연결부(12); 및
    상기 판넬 본체의 적어도 2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판넬 결합용의 결합 요부(1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요부는 좌우 결합 요부의 위치가 상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조립식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부(13) 내에 결합 설편(14)이 형성되며, 반대편에는 상기 결합 설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슬릿(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조립식 판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본체(11)는 힘살부(11a, 11c)를 갖는 엠보싱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조립식 판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본체(11)에는 천공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 자형 조립식 판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8)은 좌우 수평방향으로 내경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조립식 판넬.
KR2020050037063U 2005-12-30 2005-12-30 격자형 조립식 판넬 KR200412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63U KR200412815Y1 (ko) 2005-12-30 2005-12-30 격자형 조립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63U KR200412815Y1 (ko) 2005-12-30 2005-12-30 격자형 조립식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815Y1 true KR200412815Y1 (ko) 2006-03-31

Family

ID=4176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063U KR200412815Y1 (ko) 2005-12-30 2005-12-30 격자형 조립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8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940Y1 (ko)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200412815Y1 (ko) 격자형 조립식 판넬
JP2006522246A (ja) 護岸用ブロック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20130098976A (ko)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KR100374495B1 (ko) 호안용 블럭
KR200421297Y1 (ko) 친환경 수로블록
KR20060060639A (ko) 친환경 수로블록
KR200329669Y1 (ko) 지반 강화용 구조물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CN207567729U (zh) 一种组合式弧形连锁式护坡砌块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100465828B1 (ko) 식생 옹벽블럭
CN211735487U (zh) 一种仰斜式生态路堤挡土墙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JP2001011840A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JP2000170184A (ja)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20069953A (ko) 생태블록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