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669Y1 - 지반 강화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반 강화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669Y1
KR200329669Y1 KR20-2003-0022622U KR20030022622U KR200329669Y1 KR 200329669 Y1 KR200329669 Y1 KR 200329669Y1 KR 20030022622 U KR20030022622 U KR 20030022622U KR 200329669 Y1 KR200329669 Y1 KR 200329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ground
soil
reinforcing structure
fil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준
최종만
Original Assignee
최종만
백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만, 백승준 filed Critical 최종만
Priority to KR20-2003-0022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지반 및 취약지반 등을 보호·보강하거나 침식을 방지하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는 다수의 몸체부와, 이 각 몸체부를 타 몸체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초음파 융착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접합부로 구성되어 몸체부를 좌우로 벌리면 각 접합부 사이에 흙 등의 채움재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몸체부를 격벽으로 하는 다수의 공간부가 상하좌우 연속하여 형성되고, 이 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좌우로 벌려 펼치기만 하면 즉시 시공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반대로 접으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구멍에 채워지는 채움재(흙)에 의해 마찰이 커 흙의 유동 억제성 및 배수성이 우수한 한편 초목의 뿌리가 구멍을 통해 옆으로 뻗어나가며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 강화용 구조물{Reinforcing goods for ground}
본 고안은 경사지반 및 취약지반 등에 매설되어 이러한 지반을 보호·보강하거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흙 등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기다란 가로격판(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가로격판(20)과 교차되는 다수의 기다란 세로격판(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가로격판(20)은 상단에, 그리고 상기 각 세로격판(30)은 하단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개홈(21)(31)이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가로격판(20)의 절개홈(21)에 각 세로격판(30)의 절개홈(31)을 끼우면 가로격판(20)과 세로격판(30)은 서로 교차되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되고, 각 교차점 사이에는 가로격판(20)과 세로격판(30)을 격벽으로 하는 다수의 공간부(흙이나 골재 등이 채워진다)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이전에 지반 강화용 구조물로 사용하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분해가 가능하여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운반, 보관 등이 용이하기는 하나 시공 시 일일이 가로격판(20)과 세로격판(30)을그 절개홈(21)(31)을 끼워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공기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격판(20)과 세로격판(30) 사이의 공간부에 식재를 하였을 시 초목의 뿌리가 가로격판(20)과 세로격판(30)에 의해 옆으로 뻗어나갈 수가 없어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배수성 또한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쪽에서 잡아당기면 연속한 공간부를 갖는 벌집 형상으로 펼쳐지고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으로 자연히 접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취급이 간편함은 물론 조립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공간부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초목의 뿌리가 자유롭게 뻗어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로서, (A)는 접혀진 상태를, (B)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을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 몸체부 62 : 구멍
65 : 접합부 S : 공간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는 다수의 몸체부와, 상기 각 몸체부를 다른 몸체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초음파 융착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접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좌우로 벌리면 상기 각 접합부 사이에 흙 등의 채움재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를 격벽으로 하는 다수의 공간부가 상하좌우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반 강화용 구조물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간에 중첩되는 다수의 몸체부(61)와, 상기 각 몸체부(61)와 다른 몸체부(6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닿아서 맞붙는 접합부(6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몸체부(61)는 두께 0.80~1.25mm, 높이 80~120mm로 형성되는 바, 초경량이고 탄성을 가지며 내하중성 및 내침식성이 탁월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접합부(65)는 구체적으로 330±2.5mm 간격으로 초음파에 의해 융착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61) 중 가장 좌·우측의 몸체부(61)를 좌우에서 잡아당겨 도 1의 (B)에서와 같이 벌리면 각 접합부(65) 사이에는 흙이나 골재 등의 채움재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몸체부(61)를 격벽으로 하는 다수의 공간부(S)가 상하좌우 연속하여 형성되어 벌집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몸체부(61)를 잡아당겨 벌리기만 하면 그 즉시 시공이 가능하므로 신속히 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몸체부(61)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각 몸체부(6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도 1의 (A)에서와 같이 납작하도록 접히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의 부피는 최소화되어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취급 또한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각 공간부(S)를 형성하는 격벽, 즉 몸체부(61)에는 이웃하는 공간부(S)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62)이 적절한 크기로 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멍(62)은 일반적으로 채움재(흙)와 몸체부(61) 사이의 마찰이 채움재 내부 마찰에 비해 작아 채움재와 접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마찰이 커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리고 부가적으로 원활한 배수성 및 무게의 경감을 고려하여 형성한 것이다.
때문에 상기 공간부(S)에 채움재를 채워 넣으면 각 구멍(62)에 채움재가 채워져 채움재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이 경우의 마찰은 구멍이 없는 경우에 비해 월등히 커지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지반을 고르게 정리하고 나무뿌리나 날카로운 돌 등을 제거한다.
2. 필요에 따라 여과 및 배수기능을 갖는 시트를 지반에 깔고 핀 등으로 고정한다.
3.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본 고안을 완전히 펼쳐 시트 위에 얹어놓은 후 도 5에서와 같이 상단에 끝이 하측을 향하도록 굽은 후크가 있는 핀(P)으로 몸체부(61) 중 가장 좌·우측의 몸체부(61)를 각각 고정한다.
이 때 핀(P)은 각 공간부(S)에 하나씩 위치되도록 하고, 그 후크에 몸체부(61)가 완전히 끼워지도록 한다.
물론 본 고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면 상기 핀(P)이 아닌 다른 어떠한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4. 각 공간부(S)에 채움재가 채워지도록 본 고안을 채움재로 완전히 덮은 후 단단히 다지고 현장을 정리한다.
5. 필요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각 공간부(S)에 초목을 심는다.
이 때 초목은 그 뿌리가 구멍(62)을 통해 이웃하는 공간부(S)로 뻗어나가며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은 반드시 경사지반(녹화사면, 비녹화사면, 콘크리트 피복사면지반)이나 취약지반(도로지층, 야적장지층, 철도노반)의 강화가 아닌 토류옹벽, 중력식옹벽, 보강토옹벽 등과 같은 토류구조물을 형성하는 데 적용할 수도 있고, 수로 보호용(식재에 의한 수로 보호, 콘크리트 피복수로 보호)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초경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는 다수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를 타 몸체부와 간격을 두고 맞붙이는 다수의 접합부로 구성되어 양쪽에서 잡아당기면 공간부에 의해 벌집 형상으로 펼쳐지므로 별도의 조립과정 없이 즉시 시공 가능하여 단시간 내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고, 반대로 몸체부가 중첩되도록 접으면 부피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몸체부에 이웃하는 공간부가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마찰이 커 흙의 유동 억제가 좋고, 배수성이 우수한 한편 초목의 뿌리가 옆으로 뻗어나가며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해 기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는 다수의 몸체부와, 상기 각 몸체부를 다른 몸체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초음파 융착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접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좌우로 벌리면 상기 각 접합부 사이에 흙 등의 채움재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를 격벽으로 하는 다수의 공간부가 상하좌우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화용 구조물.
KR20-2003-0022622U 2003-07-14 2003-07-14 지반 강화용 구조물 KR200329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22U KR200329669Y1 (ko) 2003-07-14 2003-07-14 지반 강화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22U KR200329669Y1 (ko) 2003-07-14 2003-07-14 지반 강화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669Y1 true KR200329669Y1 (ko) 2003-10-10

Family

ID=4941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22U KR200329669Y1 (ko) 2003-07-14 2003-07-14 지반 강화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66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03B1 (ko) * 2005-12-22 2007-04-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셀형식 강재합성구조의 상하 고정장치
KR100824039B1 (ko) * 2006-11-06 2008-04-21 한길토건(주) 식생형 사면보강기구
KR101105246B1 (ko) 2011-03-15 2012-01-13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안정화 벌집형 보강재의 구조
CN106087939A (zh) * 2016-06-24 2016-11-09 安徽徽风新型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网编式自封土工格室的卡扣
KR20170129430A (ko) 2016-05-17 2017-11-27 시지엔지니어링(주) 지반 보강용 셀 구조물
KR102375538B1 (ko) * 2020-10-28 2022-03-1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03B1 (ko) * 2005-12-22 2007-04-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셀형식 강재합성구조의 상하 고정장치
KR100824039B1 (ko) * 2006-11-06 2008-04-21 한길토건(주) 식생형 사면보강기구
KR101105246B1 (ko) 2011-03-15 2012-01-13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안정화 벌집형 보강재의 구조
KR20170129430A (ko) 2016-05-17 2017-11-27 시지엔지니어링(주) 지반 보강용 셀 구조물
CN106087939A (zh) * 2016-06-24 2016-11-09 安徽徽风新型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网编式自封土工格室的卡扣
KR102375538B1 (ko) * 2020-10-28 2022-03-1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68B1 (ko)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US94585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KR200329669Y1 (ko) 지반 강화용 구조물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0467244B1 (ko) 옹벽블럭 지지용 앵커
KR20150114449A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1818562B1 (ko) 식생이 용이한 보강토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33315Y1 (ko) 지반 보강재
KR102078704B1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1508591B1 (ko)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2602839B1 (ko) 식생토낭 고정장치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KR101332747B1 (ko) 자연녹지화용 보조지지장치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0749047B1 (ko) 필터재가 설치된 식생 블록
KR100325882B1 (ko) 식생이 가능한 조경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2010022248A (ja) 枠体を複数層状に重ねる芝生などの保護材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KR200235114Y1 (ko) 벌집형 구조체에 의한 법면 보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