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883Y1 -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883Y1
KR200352883Y1 KR20-2004-0005632U KR20040005632U KR200352883Y1 KR 200352883 Y1 KR200352883 Y1 KR 200352883Y1 KR 20040005632 U KR20040005632 U KR 20040005632U KR 200352883 Y1 KR200352883 Y1 KR 200352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eco
friendly vegetation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희
Original Assignee
한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희 filed Critical 한상희
Priority to KR20-2004-0005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옹벽블록의 시공시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고, 토압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동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를 간편하고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옹벽블록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FRIENDLY ENVIROMENTAL VEGET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OF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경사진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및 침식을 방지하는 옹벽의 축조에 이용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경사진 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종래의 옹벽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지 또는 절개지(L)와 같은 경사진 면에 소정 형태의 석재(12)와 시멘트(14)를 혼합하고, 이들의 양생에 의해 견고한 구조물로 축조되도록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옹벽(10)은 대형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에 전술된 방식으로 시공될 경우 축조된 석재(12) 및 석재(12) 사이에 양생된 시멘트(14)의 자중으로 인해 붕괴의 우려가 있고, 석재(12) 및 시멘트(14)의 양생을 위해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자연석을 석재(12)로 마련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러한 석재(12)를 마련하기 위해 큰 석재(12)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부수적인 과정이 필요하다.또한, 종래의 옹벽(10)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의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워질 경우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면, 옹벽(10)에 균열이 발생되고 심지어는 옹벽(10)이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멘트(14) 및 쇄석 등을 이용하여 옹벽(10)을 블록 형태로 제작하고,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에 상기 옹벽(10)블록을 조합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옹벽용 블록은 외관이 단조로워서 주변 경관을 해지는 외관상의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옹벽용 블록은 성토지 또는 경사지의 안전만을 위하여 제작되므로, 초목 등의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주변의 환경과 동화되지 못하는 이질적인 경관을 제공하였다.
또한, 하천 등지에 사용될 경우 동식물의 성장환경을 억제하여 자연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자체의 자생능력이 저하됨은 물론, 주민들의 자연친화적인 환경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옹벽(10)에 동식물 특히, 초목이 자랄 수 있도록 일부에 지면이 노출되도록 옹벽블록의 일부를 제거하여 축조하고, 노출된 지면에 노목을 식재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옹벽은 옹벽블록의 일부가 제거된 부분으로 토사가 유출될 경우 옹벽(10)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초목이 옹벽(10)의 일부에만 식재되는 단점이 있다.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가 본 고안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41409호로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록 및옹벽블록 조립체가 설치도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옹벽블록(50)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원통형상의 옹벽블록(50)으로, 본체부(52)와, 상기 본체부(52)의 내부를 두개의 반원통형상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격벽부(54)와, 상기 두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부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부(5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본체부(52) 또는 격벽부(54)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관통구멍(5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5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볼록부(58a)와 오목부(58b)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요철부(58)를 포함한다. 전술된 옹벽블록(50)은 기초블록(60)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조립체(40)로 축조된다. 상기 옹벽블록 조립체(40)는 기초블록(60)과, 상기 기초블록(60)의 상측에 개방부의 방향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옹벽블록(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옹벽블록(50)의 개방부(51)에는 식생(N)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옹벽블록(50)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의 곡선부에 축조될 경우, 그 지형의 곡률에 따라 옹벽블록(50)이 설치는 과정에서 옹벽블록(50)에 형성된 관통구멍(56)과 옹벽블록(50)의 상측에 설치되는 옹벽블록(50)의 관통구멍(56)이 일렬로 배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관통구멍(56)에 철근을 포함하는 연결부재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현장작업에서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옹벽블록(50)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부(58)의 볼록부(58a)와 인접된 다른 옹벽블록(50)의 오목부(58b)가 물려지며 발생된 지지력에 의해 옹벽블록(50)이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충분한 지지력이 전달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옹벽블록의 시공시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고, 토압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동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부재를 간편하고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옹벽블록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옹벽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옹벽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가 설치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이 도시된 단면도.
도 7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커버블록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이 조립된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변형예의 배수부가 형성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배수부가 형성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변형예의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이 하천의 법면에 시공된 측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평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B-B선의 단면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옹벽블록 조립체 110 : 옹벽블록
111 : 개방부 112 : 본체부
112a : 배수부 113 : 차폐판
114 : 격벽부 115 : 요홈
116 : 장공 118 : 요철부
118a : 볼록부 118b : 오목부
L : 성토지 또는 절개지 N :초목
P : 연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중공부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형성된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두 개의 중공부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부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방부는 방사형으로 확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일단에는 배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표면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피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는 전술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이 적층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로서, 적층된 옹벽블록의 장공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와, 지면에 매립된 옹벽블록과,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지면에 매립된 옹벽블록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110)은,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이루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2)와, 상기 본체부(112)의 내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격벽부(114)와, 상기 두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그 구역을 차폐하는 차폐판(1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10)은 상기 본체부(112)의 상면의 표면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면의 중심을 축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두 개의 장공(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공(116)은 횡방향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하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록(110)은 상기두 개의 구역 중 양단부가 개방된 구역의 일부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부(112)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11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차폐판(113)은 상기 옹벽블록(110)의 사용목적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제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110)은 개방부(111)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으로 배치되고, 상기 옹벽블록(110)의 상측으로 옹벽블록(110)의 개방부(111)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다른 옹벽블록(110)이 축조된다. 또한, 상기 장공(116)으로는 철근 또는 방청처리된 금속이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연결부재(P)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재(P)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옹벽블록(110)의 장공(116)과 연통된다. 상기 장공(116)에는 시멘트 몰타르와 같은 충진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P)와 옹벽블록(110)을 고정시킨다.
전술된 옹벽블록(110)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법면에 설치되어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옹벽블록(110)은 상기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의 토압에 따라 복수열로 축조되고, 중공된 내부에는 자갈, 토사, 또는 잡석 등이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록(110)에는 개방부(111)를 통해 식생이 성장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포함하는 토사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블록(110)은 축조된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의 경사면에 따라 상, 하부에 위치된 옹벽블록(110)과 어긋하게 축조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옹벽블록(110) 중 일부는 상기 개방부(111)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블록에 형성된 장공(116)은 연결부재(P)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겹쳐지며 서로 정렬된다.
상기 옹벽블록(110)은 상기 개방부(11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쪽의 구역, 즉 상기 본체부(112)의 내벽 및 차폐판(113)으로 둘러싸인 구역에는 토사가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사에는 초목(N)이 식재될 수 있고, 상기 옹벽블록(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옹벽블록(110)의 개방부(111)가 형성된 구역은 초목(N)이 성장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주민들에게 자연 친화적인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10)은 그 옹벽블록(110)의 개방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개방부(111)를 통해 광량 또는 수분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옹벽블록(110)에 식재된 초목(N)은 지열 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상기 옹벽블록(110)에 발생되는 열응력을 저감시킨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10)은 빗물 또는 다량의 물이 유입될 경우, 일부는 상기 옹벽블록(110)에 충진된 토사 및 초목(N)을 통해 일부의 수분을 저장 또는 배수한다.
전술된 옹벽블록(1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자갈과 시멘트가 혼합된 포러스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10)의 재질은 자연적인 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황토와 같은 자연 친화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옹벽블록(110)은 일부 측면이 경사부가 형성되거나 면취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호안블록의 구조체는 적층된 옹벽블록의최상단에, 도 9에 도시된, 커버블록(310)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블록(310)은 전술된 옹벽블록(110)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312)의 일측에는 개방부(3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블록(310)은 상기 본체부(312)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술된 옹벽블록(110)의 장공(116)과 대응되는 장공(3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블록(310)은 하측에 위치되는 옹벽블록(110)의 형상에 따라 요철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318)는 상기 장공(316)에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본체부(312)의 상면과 하면을 잇는 복수의 볼록부(318a) 및 오목부(318b)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장공(316)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변형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이 조립된 평면도로서, 상기 본체부(112)는 상기 장공(116)에 인접한 외주면에 상기 본체부(112)의 상면과 하면을 잇는 복수의 요철부(1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118)는 볼록부(118a) 및 오목부(118b)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장공(116)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요철부(118)는 인접되게 축조된 옹벽블록(110)의 요철부(118)와 상호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118)의 볼록부(118a)와 오목부(118b)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110)에 형성된 볼록부(118a)(또는 오목부(118b)가 인접된 옹벽블록(110)의 오목부(118b)(또는 볼록부(118a)에 치합된다. 한편, 상기 장공(116)에는 상, 하에 위치된 옹벽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P)가 삽설된다. 또한, 상기 장공(116)에는 상기 연결부재(P)와 본체부(112)를 결합하기 위한 몰타르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변형예의 배수부가 형성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배수부가 형성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정면도로서, 상기 본체부(112) 상단의 외주면 일단에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112a)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112a)는 인접된 다른 옹벽블록(110)의 배수부(112a)와 연결되어 단일 유로를 형성하고,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부(112a)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여 옹벽블록(110) 구조물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12a)는 상기 요철부(118)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요철부(118)가 형성되지 않은 옹벽블록(110)에는 일측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상기 배수부(112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로서, 상기 격벽부(114)의 상단에는 식생의 뿌리가 연통가능한 요홈(115)이 형성된다. 전술된 옹벽블록(110)은 식생이 성장하며 뿌리가 상기 요홈(115)을 통해 다른 옹벽블록(110)의 요홈(115) 또는 개방부(111)로 성장하며 자연적인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변형예의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로서, 상기 옹벽블록(110)의 양단부 중 어느 일 단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돌출부(119a)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119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19a)가 피납되기 위한 피납부(119b)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9a) 및 피납부(119b)는 전체적인 형상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부(119a) 및 피납부(119b)는 상기 옹벽블록(110) 또는 기초블록(120)의 적층시 블록간의 설치위치가 안내되도록 하여 조립이 용이해지고, 상, 하로 위치된 블록간의 장공(116)을 쉽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9a) 및 피납부(119b)는 인접되는 옹벽블럭(110)의 돌출부(119a) 및 피납부(119b)와 연속적으로 결합되므로 결합력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앞선 설명된 옹벽블록(110)은 시공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법면에 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가 하천에 시공된 측면도인 도 16을 참조하면,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옹벽블록(110)은 개방부(111)가 하천을 향하여, 즉 개방부(111)가 하천의 법면과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옹벽블록(110)의 상측에 전술된 옹벽블록(110)이 복수층으로 적층된다. 이때, 상기 옹벽블록(110)의 상측에 전술된 옹벽블록(110)의 개방부(111)의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교번적으로 적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공된 옹벽블록(110)은 상기 개방부(111)를 통해 하천의 지면으로부터 식재 또는 생물이 성장될 수 있는 식생조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방부(111)에 어초가 성장할 수 있고, 상기 어초 사이에 어류와 같은 하천의작은 동물들이 산란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어소로 활용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로서, 상기 옹벽블록(110)은 개방부(111) 및 중공부가 확대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10)의 형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외관의 형상이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은 전술된 일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한 구조체의 평면도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이루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62)와, 상기 본체부(162)의 내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격벽부(164)와, 상기 두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그 구역의 내부를 차폐하는 차폐판(1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60)은 상기 본체부(162)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공(16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록(160)은 상기 두 개의 구역 중 양단부가 개방된 구역의 일부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부(162)에 종방향으로 개방부(16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62)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절취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167)는 인접되는 다른 옹벽블록(160)과 조합되어 식생이 성장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공(166)에는 상기 연결부재(P)와 본체부(162)를 결합하기 위한 몰타르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은, 전술된 일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B-B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제4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210)은 전술된 실시예와 달리 본체부(212)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216)가 막혀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번 214는 상기 옹벽블록(210)의 내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214)이고, 도번 213은 상기 격벽부(214)에 의해 두 개의 구획된 구역의 일단에 형성된 차폐판(213)이다.
전술된 제4실시예에 의한 옹벽블록은 전술된 일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옹벽블록과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식생의 뿌리가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다년생 초본을 포함하는 뿌리가 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가 도시된 측면도인 도 22를 참조하면, 전술된 옹벽블록(110)의 장공에 삽입된 연결부재(P)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L)에 매립된 다른 옹벽블록(110)과 연결됨으로서 옹벽블록 구조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서, 상기 옹벽블록(110, 160)에 형성된 요철부(118)의 볼록부(118a)와 오목부(118b)는 원형, 삼각형, 사다리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상기 옹벽블록의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토압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 옹벽 구조물의 강도가 향상되고, 식생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환경친화적인 녹지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상기 옹벽블록의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바 인접된 옹벽블록과 어떠한 각도에서도 맞닿고, 이로 인해 곡선으로 이루어진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인접된 옹벽블록의 요철부와 치합되며, 장공을 통해 연결부재(P)를 삽입, 연결할 수 있어 상, 하부의 옹벽블록과의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장공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부재(P)를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상기 옹벽블록의 양단면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피납부로 인해 조립위치가 안내되어 작업이 용이해짐은 물론이고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상기 옹벽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부 및 인접된 다른 옹벽블록의 배수부와 조합되어 이루어진 단일유로를 통해 성토지 또는 절곡지와 같은 지형의 내부에 함유된 물이 배수되도록 하여 옹벽블록 구조체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상기 옹벽블록의 격벽에 형성된 요홈을 통해 식생의 뿌리가 다른 옹벽블록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자연적인 결합력이 향상되고, 식생의 성장이 원활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옹벽블록이 사용되므로 시공이 보다 간편해지며, 이의 생산을 위한 설비 및 보관이 용이해짐은 물론이고 옹벽블록의 재고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공부를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본체부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중공부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형성된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두 개의 중공부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일부 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방사형으로 확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일단에는 배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표면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피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10. 청구항 5에 따른 옹벽블록이 적층된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로서,
    적층된 옹벽블록의 장공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와,
    지면에 매립된 옹벽블록과,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지면에 매립된 옹벽블록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구조체.
KR20-2004-0005632U 2004-03-03 2004-03-03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200352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32U KR200352883Y1 (ko) 2004-03-03 2004-03-03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632U KR200352883Y1 (ko) 2004-03-03 2004-03-03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688A Division KR100626095B1 (ko) 2004-02-27 2004-02-27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883Y1 true KR200352883Y1 (ko) 2004-06-14

Family

ID=4934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632U KR200352883Y1 (ko) 2004-03-03 2004-03-03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N109778782A (zh) * 2019-03-22 2019-05-21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生态护岸圆筒型构件及采用该构件的护岸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N109778782A (zh) * 2019-03-22 2019-05-21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生态护岸圆筒型构件及采用该构件的护岸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626095B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341409Y1 (ko)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709103B1 (ko) 메가그린블럭
KR100923315B1 (ko) 식생 및 어소 옹벽.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390304Y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0712437B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20030001653A (ko)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KR100701482B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