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946Y1 - 환경식생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환경식생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946Y1
KR200394946Y1 KR20-2005-0017263U KR20050017263U KR200394946Y1 KR 200394946 Y1 KR200394946 Y1 KR 200394946Y1 KR 20050017263 U KR20050017263 U KR 20050017263U KR 200394946 Y1 KR200394946 Y1 KR 200394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upling
wall block
block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이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희 filed Critical 이용희
Priority to KR20-2005-0017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및 침식을 방지하는 옹벽의 축조에 이용되면서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식생 옹벽블록은 전벽, 양 측벽, 후벽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채움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하부에 배수공 내부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 측벽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을 서로 치합하여 상하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걸림수단과, 측방으로 인접된 옹벽블록을 서로 결합하여 인접된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양 측벽의 상면과 하면에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채움공에 흙, 자갈, 모래 등의 채움재로 채워져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상 하부 옹벽블록과의 결합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식생 옹벽블록 {Retaining wall block of environment vegetation}
본 고안은 환경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및 침식을 방지하는 옹벽의 축조에 이용되면서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경사진 면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고, 옹벽블록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한 벽체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형에 석재(2)와 시멘트(3)를 혼합하고 이들의 양생에 의해 옹벽(1)이 축조되고, 상기 옹벽(1)에 의해 토사(4)의 유실을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의 옹벽(1)이 석재(2) 및 석재(2) 사이의 시멘트(3)의 자중으로 인해 붕괴의 우려가 있고 시멘트(3)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기간이 길어진다.
또 종래의 옹벽(1)은 토사(4)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겨울철에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면, 옹벽(1)에 균열이 발생하고 붕괴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멘트 등으로 옹벽블록을 제작하고 경사진 지형에 옹벽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옹벽블록은 경사진 지형의 안전만을 고려하여 제작되므로 초목 등의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고, 또 하천 등지에 축조될 경우 동식물의 성장환경을 저해하여 자연생태계를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경사면이나 절개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전면부 상단에 나무, 풀의 식생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식생 옹벽블록은, 전벽, 양 측벽, 후벽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채움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하부에 배수공 내부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 측벽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을 서로 치합하여 상하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걸림수단과, 측방으로 인접된 옹벽블록을 서로 결합하여 인접된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의 본체(12)는 전벽(12a), 양 측벽(12b,12c), 후벽(12d)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2)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채움공(14)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2)의 형태를 유지하고 토압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는 채움공(14)이 형성된 내측으로 보강턱(13)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턱(13)이 형성됨에 따라 채움공(14)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다.
상기 채움공(14)을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0)의 내부가 흙으로 채워짐으로써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옹벽블록(10)을 엇갈리게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채움공(14)과 보강턱(13)을 통하여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의 전벽(12a)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며, 절곡된 전벽(12a)의 앞면에는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돌 모양의 무늬가 형성된다.
양 측벽(12b,12c)의 상하면에는 상하로 적층 시에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걸림수단으로 양 측벽(12b,12c)의 상면에 걸림돌기(16)가 형성되고 양 측벽의 하면에 상기 걸림돌기(16)와 대응되는 걸림홈(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 측벽(12b,12c)의 외주면에는 인접된 옹벽블록(10)끼리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으로 일측벽(12b)에 외측으로 결합돌기(20)가 형성되고, 타측벽(12c)에 상기 결합돌기(20)와 대응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0)와 결합홈(22)이 평면에서 보아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돌기(20)와 결합홈(22)이 서로 맞물려 앞으로 밀림을 방지하고 곡면으로 축조시 원활한 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후벽(12d)의 상면에는 지지홈(26)이 형성되어 이 지지홈(26)에 후술하는 지지판을 걸어서 토사에 매립된 보강지지대의 설치가 가능하고 동시에 물이나 흙이 후방과 통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로서, 수직축조한 옹벽의 예를 보여준다.
기초공사가 끝난 지반에 측방으로 서로 인접되게 옹벽블록(10)을 차례로 배치하고, 인접된 옹벽블록(10)과 옹벽블록(10)을 서로 밀착시켜 일측 옹벽블록의 결합돌기(20)를 타측 옹벽블록의 결합홈(22)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1단의 옹벽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옹벽블록을 인접되게 배치하여 2단 옹벽을 시공하되, 1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걸림돌기(16)에 2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걸림홈(18)을 치합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옹벽블록(10)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측방으로 인접된 옹벽블록(10)들의 결합돌기(20)와 결합홈(22)을 서로 결합시켜 인접된 옹벽블록(10)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방법으로 옹벽블록(1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옹벽(100)이 수직축조된다.
이때 후벽(12d)에 형성된 지지홈(26)에 지지판(30)을 걸어서 토사(102)에 매립된 보강지지대(32)를 설치하여 앞으로 밀려는 토압에 견디도록 옹벽블록(10)을 보강한다.
또한, 채움공(14)을 흙, 모래, 자갈 등의 채움재(34)로 채워 토사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다른 평면도로서, 곡면축조한 옹벽의 예를 보여준다.
기초공사가 끝난 지반에 측방으로 서로 인접되게 옹벽블록(10)을 배치하되, 인접된 옹벽블록(10)들의 앞 부분은 약간 떨어지게 하고 뒷부분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옹벽(100)의 전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고, 일측 옹벽블록의 결합돌기(20)를 타측 옹벽블록의 결합홈(22)에 일부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1단의 옹벽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옹벽블록(10)을 1단과 같이 배치하여 2단 옹벽을 시공하되, 1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걸림돌기(16)에 2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걸림홈(18)을 치합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측방으로 인접된 옹벽블록(10)들의 결합돌기(20)와 결합홈(22)을 일부 결합시킨다.
상기한 방법으로 옹벽블록(1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옹벽(100)이 곡면축조된다.
이때 후벽(12d)에 형성된 지지홈(26)에 지지판(30)을 걸어서 토사(102)에 매립된 보강지지대(32)를 설치하여 앞으로 밀려는 토압에 견디도록 옹벽블록(10)을 보강한다.
또한, 채움공(14)을 흙, 모래, 자갈 등의 채움재(34)로 채워 토사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일부 사시도로서, 후퇴축조한 옹벽의 예를 보여준다.
기초공사가 끝난 지반에 측방으로 서로 인접되게 옹벽블록(10)을 배치하고 인접된 옹벽블록(10)과 옹벽블록(10)을 서로 밀착시켜 일측 옹벽블록의 결합돌기(20)를 타측 옹벽블록의 결합홈(22)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1단의 옹벽 시공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옹벽블록(10)을 1단의 옹벽블록(10)과 엇갈리게 배치하여 2단 옹벽을 시공하되, 1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걸림돌기(16)를 2단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채움공(14)에 위치하고 2단 옹벽블록(10)이 1단 옹벽블록(10)보다 뒤에 위치시켜 1단 옹벽블록(10)에 형성된 채움공(14)의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측방으로 인접된 2단 옹벽블록(10)들의 결합돌기(20)와 결합홈(22)을 서로 결합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방법으로 옹벽블록(1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옹벽(100)이 후퇴축조된다.
이때 후벽(12d)에 형성된 지지홈(26)에 지지판(30)을 걸어서 토사(102)에 매립된 보강지지대(32)를 설치하여 앞으로 밀려는 토압에 견디도록 옹벽블록(10)을 보강한다.
또한, 채움공(14)을 흙, 모래, 자갈 등의 채움재(34)로 채워 토사(102)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단 옹벽블록보다 전방으로 노출된 하단 옹벽블록의 채움공(14)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104)이 된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 측벽의 상면과 하면에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채움공에 흙, 자갈, 모래 등의 채움재로 채워져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상하부 옹벽블록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 측벽의 외주면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결합돌기와 결합돌기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인접된 옹벽블록과의 결합강도가 향상되고 인접된 옹벽블록과의 어떠한 각도에서도 결합이 가능하여 곡선으로 이루어진 지형에서도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옹벽블록의 걸림수단과 인접된 옹벽블록의 결합수단 및 지지홈에 지지판을 걸어 설치되는 보강지지대로 토압에 의해 옹벽이 앞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옹벽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식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다른 평면도,
도 7은 도 2의 환경식생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한 옹벽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옹벽블록 12: 본체
13: 보강턱 14: 채움공
16: 걸림돌기 18: 걸림홈
20: 결합돌기 22: 결합홈
26: 지지홈 30: 지지판
32: 보강지지대 100: 옹벽
102: 토사

Claims (5)

  1. 전벽, 양 측벽, 후벽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채움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하부에 배수공 내부로 형태를 유지하는 보강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 측벽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록을 서로 치합하여 상하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걸림수단과, 측방으로 인접된 옹벽블록을 서로 결합하여 인접된 옹벽블록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양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측벽의 하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측벽에 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벽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평면에서 보아 둥글게 라운드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에는 지지판을 걸어서 토사에 매립된 보강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2005-0017263U 2005-06-16 2005-06-16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394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63U KR200394946Y1 (ko) 2005-06-16 2005-06-16 환경식생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63U KR200394946Y1 (ko) 2005-06-16 2005-06-16 환경식생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946Y1 true KR200394946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263U KR200394946Y1 (ko) 2005-06-16 2005-06-16 환경식생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9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4B1 (ko) 2006-10-23 2007-05-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KR101807504B1 (ko) * 2015-06-15 2017-12-12 이상환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2420947B1 (ko) * 2021-04-26 2022-07-13 허현욱 중력식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4B1 (ko) 2006-10-23 2007-05-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KR101807504B1 (ko) * 2015-06-15 2017-12-12 이상환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2420947B1 (ko) * 2021-04-26 2022-07-13 허현욱 중력식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200445890Y1 (ko) 어소형 식생 옹벽블록
KR200404262Y1 (ko)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50097291A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397490Y1 (ko) 소하천 식생블럭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108420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060110999A (ko) 식생 조적블록 및 그 식생 조적블록의 시공방법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0390462Y1 (ko) 식생 조적블록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100537957B1 (ko)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200403508Y1 (ko) 식생형 호안구조
KR100626095B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0701482B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유공관을 이용한 호안의 식생 축조공법과 이에 적합한 유공관 조립체
KR200420342Y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KR200371374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