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291A - 옹벽 블록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블록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291A
KR20050097291A KR1020040022560A KR20040022560A KR20050097291A KR 20050097291 A KR20050097291 A KR 20050097291A KR 1020040022560 A KR1020040022560 A KR 1020040022560A KR 20040022560 A KR20040022560 A KR 20040022560A KR 20050097291 A KR20050097291 A KR 2005009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placing
sta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936B1 (ko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주)삼성에코텍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주)삼성에코텍,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102004002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characterized by movements or sequence of movements of transf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의 기초의 소정 위치에 소정 길이의 인장근들을 고정시키면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각각의 인장근이 상응하는 관통공 속으로 삽입되도록 1단 블록들을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b)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g) 최상단 블록의 상부에서 인장근들을 인장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및 (h)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 블록 시공 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 블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유수지, 도로 절개지 등의 사면에 시공되는 환경친화적인 생태 옹벽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 유수지, 도로 절개지 등의 사면을 보호하는 방법은 옹벽 블록을 설치함과 동시에 블록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옹벽 블록은 식생 공간에서 자라나는 식물에 의해 자연 생태계의 복원 및 물의 유속흐름을 조절하고 지반 침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서 곤충, 어패류, 조류 등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나 방조제 또는 배수로에는 지반의 침식 및 침하를 방지하고 수로의 유실을 막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옹벽 블록 및 견치블록, 석출, 콘크리트 옹벽 등이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의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태계의 보존 및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인 옹벽 블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사각 몸체의 좌우 양측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전후 양측면에 제3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됨으로서 인접 시공되는 블록들의 끼움부와 끼움돌기가 서로 끼워져 시공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나, 블록의 시공에서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져 시공되는 구조로 별도의 결합수단이 마련되지 못하고, 또한 블록간의 틈이 상대적으로 크게 시공됨에 따라 블록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집중 호우시 하천의 범람으로 유실될 우려가 크고, 하나의 블록이 유실될 경우 블록 간의 상호 결합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서 연쇄적으로 유실과 이탈이 발생하여 제방이 무너지고 유실되는 큰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들은 식생 공간이 좁고 옹벽의 측면이 두껍기 때문에 블록의 전면에서 생장하는 식물들이 옹벽의 배면의 토사에 완전히 활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종래의 옹벽블럭의 그것보다 구조가 단순화된 블록들을 이용하고 보강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강봉 또는 인장근을 블록들의 수직방향으로 관통 설치함으로써 옹벽 블록의 연쇄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들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전면에서 식생하는 식물의 보다 양호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뒷채움 잡석에 식재포트를 마련하고 식재포트와 본체 사이에 연결 파이프를 설치하여 식생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 (a) 수직 및 수평으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블록 본체의 소정 부위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설치하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b)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최상단 블록과 최하단 블록 사이에 결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의 기초의 소정 위치에 소정 길이의 인장근들을 고정시키면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각각의 인장근이 상응하는 관통공 속으로 삽입되도록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상기 (b)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g) 최상단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인장근들을 인장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및 (h)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연속적으로 놓여진 각단의 블록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b)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g) 최상단 블록의 상면에서 최하단 블록까지 형성된 상기 관통공 속으로 강봉을 삽입하는 단계; 및 (h)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상기 1단 블록의 본체 상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 속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강봉을 삽입하는 단계; (g) 블록의 본체의 하단에 마련된 제2 관통공 속으로 상기 강봉이 삽입되도록 2단의 블록들을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봉은 측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속이 빈 스틸 파이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블록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 본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상태의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옹벽 블록(100)은 상, 하면에 각각 마련된 수직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본체(10)와, 수직으로 서로 결합된 본체들(10)이 형성하는 고정홈(16)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옹벽(20)에 설치된 보강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제조된다. 본체(10)의 수평 방향에는 소정 패턴의 식재 및 배수공들(18)이 마련된다. 본체(10)의 상,하단 중앙에는 각각 반원 형태의 제2 식재 및 배수부(11)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상,하부 모서리에는 1/4 반원 형태의 제3 식재 및 배수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3 식재 및 배수부(11)(13)는 본체들(10)이 서로 결합될 때, 식재 및 배수공(18)의 형상과 동일하게 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면서 돌출되는 호박돌 형태의 자연석 문양을 가진다.
상기 고정홈(16)은 본체의 상,하면의 소정 부위 즉,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4) 주위에 반원 형태로 본체의 소정 깊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들(10)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 고정홈(16)은 소정 크기의 단면 직경을 가진 터널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본체와 보강부재의 설치 상태를 발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재(30)는 옹벽 블록(100)이 축조된 상태에서 블록들이 수평 방향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재, 섬유/강성 로프로서, 일단은 고정홈(16)에 형합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타단은 잡석 및 토사로 형성되는 옹벽(20)에 설치되는 갈고리를 가진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가 시공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결합돌기(12)와 결함홈(14) 사이에 관통공(15)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본체들(10)을 지그재그로 축조하게 되면 관통공들(15)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각각의 관통공(15)에는 인접하는 본체들(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최하단 본체 하부의 기초 콘크리트(50)로부터 최상단 본체 상부의 상단 콘크리트(60) 사이에 설치된 후 소정 장치(미도시)에 의해 인장되는 인장근이거나, 단순히 기초 콘크리트(50)와 상단 콘크리트(60) 사이에 설치되는 강봉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상,하면에는 각각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으로부터 소정 길이 형성되는 제2,3관통공(17)(19)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2,3 관통공들(17)(18)은 요구되는 본체들(10)을 수직으로 차례로 쌓은 후 하나의 인장근 또는 강봉을 이용하여 본체들(10)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들(10)을 수평으로 한 단씩 쌓은 후에 소정 길이의 강봉 또는 스틸 파이프(70:도 7 참조)를 이용하여 그 상단의 본체들(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파이프(70)는 다수의 구멍들(72)이 길이 방향으로 측면에 형성된 속이 빈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틸 파이프(70)의 구조는 몰타르 채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식재포트 및 연결 파이프 부위를 발췌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옹벽(20)의 후면에 다수의 식재포트(82)가 설치된다. 식재포트(82)는 식물의 뿌리를 완전하게 옹벽(20) 배면의 토사에 식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활착 및 번식을 유리하게 하고 좁은 식재 공간이나 홈에도 식재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식재포트(20)는 연결 파이프(84)를 경유하여 본체(10)에 형성된 식재 및 배수공(18)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84)는 주로 PVC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파이프(84)는 본체(10)에 형성된 식재 및 배수공(18) 속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옹벽 블록의 전면의 식재공간에 식재되는 식물의 활착을 위해, 블록 본체(10)와 옹벽(20)을 각각 관통하도록 연결 파이프(84)를 시공하고, 연결 파이프(84)의 타단에는 식재포트(82)를 시공한다.
둘째, 옹벽 블록(100)의 수평 방향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단에서 블록 본체(10)와 옹벽(20)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재(30)를 설치한다.
셋째, 옹벽 블록(100)의 수직 방향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합돌기(12)와 결합홈(14) 사이의 관통공(15) 또는 제2,3 관통공(17)(19)을 통해 인장근, 강봉, 강선, 스틸 파이프를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정리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단을 인장근으로 연결하는 경우
먼저, 하천, 유수지, 도로 절개지 등의 사면에 필요한 '터파기'를 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50)를 소정 형태로 타설한다. 이 과정에서 인장근과 같은 결합부재(40)의 베이스(42)를 기초 콘크리트(50) 속에 매설하여 고정한다. 다음, 블록의 최하단(1단)을 설치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30)의 일단을 1단 블록의 본체(10) 상단의 결합돌기(12) 주위의 고정홈(16)에 고정한 후 그 타단을 옹벽(20)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연결 파이프(84)를 소정 길이로 배치한 후 연결 파이프(84)의 타단에 식재포트(82)를 연결한다. 다음, 1단 블록에 상응하는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진다. 여기서, 식재포트(82)는 잡석 및 토사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블록 본체의 2단을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2단의 본체(10)는 1단 본체(10)와 1/2이 겹치게 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2단 본체(10)의 하단의 결합홈(14)은 1단 본체(10)의 결합돌기(12)에 삽입된다. 2단 블록의 설치 과정에서 보강부재(30) 및 식재포트(82)의 설치, 잡석 및 토사의 채우기 및 다짐 공정은 전술한 1단 시공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요구되는 높이만큼의 블록의 단을 전술한 과정으로 시공을 한 후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마감 작업을 한다.
(2) 다수의 단을 강봉으로 연결하는 경우
본 시공 방법은 '터파기' 작업 후 '기초타설' 작업 시 인장근을 시공하지 않고 직접 블록 1단을 설치한다. 이어서, 보강부재,식재포트 설치 후 잡석 및 토사 채움 및 다지기 공정 후 필요 높이 만큼 순차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거치는 것은 전술한 시공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반복 요구 높이 까지 옹벽을 시공한 후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인접된 단에서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5) 속으로 최상단 블록의 상면에서 최하단 블록까지 한번에 강봉을 삽입한다. 이어서,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마감 작업을 하는 것은 전기 시공예와 동일하다. 이 과정에서 측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속이 빈 스틸 파이프를 관통공(15)에 삽입하면 상단 콘크리트 타설시 몰타르의 채움 작업이 유리하고 블록 간의 결합력을 보다 더 강화시킬 수 있다.
(3) 인접한 단의 블록을 각각의 강봉으로 연결하는 경우
본 시공 방법은 제2 시공예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본체들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기초타설-보강부재, 식재포트 설치 후 잡석 및 토사 채움 및 다지기 공정을 거친 후 제1단의 블록의 각각의 본체(10) 상단에 마련된 제2 관통공(17)에 소정 길이의 강봉 또는 스틸 파이프를 삽입한다.
이어서, 2단의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각각의 본체(10)의 제3관통공(19)을 기 설치된 강봉 또는 스틸 파이프(70)에 삽입하면서 2단 블록을 쌓게 된다. 나머지 보강부재, 식재포트 설치 및 잡석 및 토사 채움 및 다기지 공정은 전술한 시공예와 동일하다. 이 공법은 전기 제2 시공예와 동일한 수직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강봉의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시공된 블록들 사이에 마련된 고정홈과 옹벽 후면을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통해 옹벽 블록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옹벽 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시공된 블록들을 관통하는 강봉, 스틸 파이프, 인장근 등을 통해 본체들 사이의 수직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옹벽 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잡석 및 토사가 형성하는 옹벽의 후면에 식재포트를 설치하고 블록의 배수공과 식재포트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식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에 채택되는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록들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본체와 보강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옹벽블록이 시공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 시공 방법에 채택되는 블록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의 시공에 사용되는 스틸 파이프의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식재포트 및 연결 파이프를 발췌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제2 배수부 12...결합돌기
13...제3 배수부 14...결합홈 15...관통공
16...고정홈 17...제2 관통공 18...배수공
19...제3 관통공 20...옹벽 30...보강부재
40...결합부재 50...기초 콘크리트 60...상단 콘크리트
70...스틸 파이프 82...식재포트 84...연결 파이프

Claims (5)

  1. (a) 수직 및 수평으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각각의 블록 본체의 소정 부위에 보강부재들의 일단을 설치하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b)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c) 최상단 블록과 최하단 블록 사이에 결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
  2.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의 기초의 소정 위치에 소정 길이의 인장근들을 고정시키면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각각의 인장근이 상응하는 관통공 속으로 삽입되도록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상기 (b)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g) 최상단 블록의 상부에서 상기 인장근들을 인장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및
    (h)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
  3.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연속적으로 놓여진 각단의 블록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b) 내지 (e)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g) 최상단 블록의 상면에서 최하단 블록까지 형성된 상기 관통공 속으로 강봉을 삽입하는 단계; 및
    (h)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
  4. (a) 미리 정해진 터파기 공사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1단 블록들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c) 블록 본체의 결합돌기 주위의 고정홈에 보강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옹벽이 시공될 장소에 위치시키는 단계;
    (d) 블록 본체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연통되도록 일단에 식재포트가 결합된 소정 길이의 연결 파이프를 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1단 블록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잡석 및 토사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f) 상기 1단 블록의 본체 상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 속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강봉을 삽입하는 단계;
    (g) 블록의 본체의 하단에 마련된 제2 관통공 속으로 상기 강봉이 삽입되도록 2단의 블록들을 수평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요구되는 높이 만큼 블록의 단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최상단 블록 상부에 상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은 측면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속이 빈 스틸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1020040022560A 2004-04-01 2004-04-01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10065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60A KR100654936B1 (ko) 2004-04-01 2004-04-01 옹벽 블록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60A KR100654936B1 (ko) 2004-04-01 2004-04-01 옹벽 블록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291A true KR20050097291A (ko) 2005-10-07
KR100654936B1 KR100654936B1 (ko) 2006-12-08

Family

ID=3727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560A KR100654936B1 (ko) 2004-04-01 2004-04-01 옹벽 블록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3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45B1 (ko) * 2014-12-29 2015-03-31 백화영 조경석 시공 구조 및 방법
CN106592545A (zh) * 2016-11-28 2017-04-26 浙江大学 一种用于富水性边坡的排水系统
KR102008623B1 (ko) * 2018-10-16 2019-08-07 장정용 보강토 옹벽
CN110344439A (zh) * 2019-07-30 2019-10-18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后置式挡土墙泄水孔的施工方法
KR102131653B1 (ko) * 2020-02-24 2020-07-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앤씨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2168928B1 (ko) * 2020-03-25 2020-10-22 동아이엔지(주) 경량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114657940A (zh) * 2022-05-07 2022-06-24 四川路航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胶合板模现浇重力式堤防挡墙砼的支模体系及施工方法
KR102437778B1 (ko) * 2021-11-16 2022-08-30 (주)녹색산업 게비온 옹벽블록
KR102465108B1 (ko) * 2021-11-16 2022-11-10 (주)녹색산업 중력식 옹벽블록
KR102713161B1 (ko) * 2024-06-26 2024-10-07 주식회사 우리이엔티 Pcm 콘크리트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47B1 (ko) * 2013-06-04 2013-08-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강재 일체형 블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45B1 (ko) * 2014-12-29 2015-03-31 백화영 조경석 시공 구조 및 방법
CN106592545A (zh) * 2016-11-28 2017-04-26 浙江大学 一种用于富水性边坡的排水系统
KR102008623B1 (ko) * 2018-10-16 2019-08-07 장정용 보강토 옹벽
CN110344439A (zh) * 2019-07-30 2019-10-18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后置式挡土墙泄水孔的施工方法
KR102131653B1 (ko) * 2020-02-24 2020-07-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앤씨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2168928B1 (ko) * 2020-03-25 2020-10-22 동아이엔지(주) 경량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437778B1 (ko) * 2021-11-16 2022-08-30 (주)녹색산업 게비온 옹벽블록
KR102465108B1 (ko) * 2021-11-16 2022-11-10 (주)녹색산업 중력식 옹벽블록
CN114657940A (zh) * 2022-05-07 2022-06-24 四川路航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胶合板模现浇重力式堤防挡墙砼的支模体系及施工方法
CN114657940B (zh) * 2022-05-07 2024-05-14 四川路航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胶合板模现浇重力式堤防挡墙砼的支模体系及施工方法
KR102713161B1 (ko) * 2024-06-26 2024-10-07 주식회사 우리이엔티 Pcm 콘크리트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36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870150B1 (ko)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KR100654936B1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CN117926849A (zh) 一种高强度重力式挡土墙的施工方法及应用
KR101140725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식생공간부를 이용한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39448A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KR200357964Y1 (ko) 옹벽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872836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923315B1 (ko) 식생 및 어소 옹벽.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JP3266876B2 (ja) 客土・覆土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049120U (ja) 緑化を目的としたコンクリート擁壁
KR100458721B1 (ko) 자연친화형 식생 호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18051A (ko) 가비온 매트리스 블록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0321439Y1 (ko)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CN214530513U (zh) 一种绿色生态抗冲刷型水岸结构
CN211006542U (zh) 河道驳岸加固结构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