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23B1 -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23B1
KR102008623B1 KR1020180123097A KR20180123097A KR102008623B1 KR 102008623 B1 KR102008623 B1 KR 102008623B1 KR 1020180123097 A KR1020180123097 A KR 1020180123097A KR 20180123097 A KR20180123097 A KR 20180123097A KR 102008623 B1 KR102008623 B1 KR 10200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roove
protrusion
r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용
Original Assignee
장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용 filed Critical 장정용
Priority to KR102018012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이용해 제조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 상기 몸체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이 다수 개가 적층될 시 도로 사면에 흐르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몸체 모서리가 깎여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차량 이동 시 도로 사면의 이물질(자갈, 토사 등)이 낙하되지 않도록 일자식 또는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옹벽 블록과 그리드 보강재 또는 띠형 보강재 등을 사용하여 시공되며, 보강토 옹벽의 장점은 시공의 구조적인 안전성과 성토체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그리드 보강재 또는 띠형 보강재에 의해 성토된 흙과의 상호 결속으로 하중을 균등분포 시키고 부등침하의 내성에 강하며 경제성이 좋다는 점이다.
또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몰탈 타설작업이나 비계설치 및 양생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구축된 콘크리트 블록과 뒷채움 흙이 그리드 보강재 또는 띠형 보강재에 의한 결속으로 하나의 큰 중력식 구조물을 구성하게 되어 전단저항과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게 되므로 부등침하에 잘 적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토 옹벽 구축용 옹벽블럭들은 요구하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외관적으로 볼 때에는 거칠고 투박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화현상으로 인해 모서리 부분이나 가장자리 부분이 잘 부서져 퇴색하고 흉물스런 모습으로 변하게 되어 주변 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옹벽블럭은 빽빽하게 틈 없이 적층되어 도로사면에 구비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고, 우천 시 토사에 스며든 물을 배출하는 구조가 없어 추후 도로사면에 있는 식물들의 뿌리가 썩을 수 있고, 부피가 커진 토사에 의해 옹벽들의 결속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형태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은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차량 이동 시 도로 사면의 이물질(자갈, 토사 등)이 낙하되지 않도록 일자식 또는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이용해 제조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 상기 몸체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이 다수 개가 적층될 시 도로 사면에 흐르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몸체 모서리가 깎여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보강토 옹벽이 계단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이 일자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보다 후측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보강토 옹벽을 견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리링 및 상기 고리링이 돌출되지 않게 상기 고리링이 내재되는 고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홈부의 양 끝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좌우양단에 형성되는 좌우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결속부는, 상기 몸체 일단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몸체 타단에 기둥형상의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에 다른 보강토 옹벽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좌우 결속력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내측면이 테이퍼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외주면에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원기둥, 원뿔, 삼각뿔, 사각뿔 중 하나이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 내측면에 상응하도록 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시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공간 외에는 자갈 또는 흙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토 옹벽 적층 시, 좌우가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조절부는,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T'형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 타측에 형성되는 'T'형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은 일자식 또는 계단식으로 도로 사면에 구비될 수 있어 도로 사면의 형태에 따라 적용하기 쉽다.
또한, 배수로가 형성되어 우천 시 토사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보강토 옹벽 적층 시 일자식으로 적층 시킨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보강토 옹벽 적층 시 계단식으로 적층 시킨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좌우결속부를 더 추가할 경우 결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정렬조절부를 더 추가할 경우 의 결합도와 보강토 옹벽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도시된 보강토 옹벽(1)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1)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1)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보강토 옹벽(1) 적층 시 일자식으로 적층 시킨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보강토 옹벽(1) 적층 시 계단식으로 적층 시킨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1) 몸체(10), 끼움돌기(20), 고리부(30), 홈부(40), 모서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사각박스 형상이며,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이용해 제조되어 도로 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도로에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방지할 수 있다.
대략적으로 몸체(10)는 1톤(ton)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끼움돌기(20)는 상기 몸체(10) 상면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돌기(20)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지게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 시 용이할 수 있고, 반지름은 10cm 일 수 있다.
반지름이 10cm미만이거나, 초과하게 되면 적층 시 안정적으로 받치는 힘이 없거나, 불 안정해지게 되므로 끼움돌기(20)의 직경은 10cm가 가장 적합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리부(30)는 상기 끼움돌기(20) 사이에 구비되며, 크레인을 이용해 보강토 옹벽(1) 견인 시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고리부(30)는 고리링(31), 고리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리링(31)는 상기 고리홈(3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의 갈고리로 고리링(31)에 삽입되면 보강토 옹벽(1)을 견인하여 도로 사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고리홈(32)은 상기 고리링(31)이 돌출되지 않게 상기 고리링(31)이 내재될 수 있다.
즉, 몸체(10) 상면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보강토 옹벽(1)이 도로 사면에 설치되므로, 상면은 평평해야 된다. 따라서, 고리홈(32)이 있어 견인시 용이하되, 적층시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고리홈(32)이 사각형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재되는 상기 고리링(31)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홈부(40)는 몸체(10) 하면에 형성되며, 제1 홈(41) 및 제2 홈(42)을 포함할 수 있고, 보강토 옹벽(1) 적층 시 다른 보강토 옹벽(1)에 형성된 끼움돌기(20)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홈(41)은 상기 보강토 옹벽(1)이 계단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긴 막대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제2 홈(42)은 보강토 옹벽(1)이 일자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41)보다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4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 및 6과 같이 홈부(40)는 상기 끼움돌기(20)가 상기 홈부(40)의 양 끝단에 삽입되는 구조로써, 보강토 옹벽(1)이 적층될 시 도로 사면의 구조에 따라 일자식 또는 계단식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제1 홈(41)에 끼움돌기(20)가 삽입될 시에는 도 6과 같이 계단 식으로 적층되고, 제2 홈(42)에 끼움돌기(20)가 삽입될 시에는 도 5와 같이 일자 식으로 적층 될 수 있다.
제1 홈(41)에 끼움돌기(20)가 삽입되어 계단 식으로 적층될 경우 후변에 남는 공간은 자갈이나, 흙을 채워 결속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홈부(40)가 긴 막대 형상의 홈으로 구비되는 것은 보강토 옹벽(1) 적층 시 끼움돌기(20)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끼움돌기(20)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홈부(40)도 이에 상응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모서리부(50)는 상기 끼움돌기(20)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40) 및 보강토 옹벽(1)이 다수 개가 적층될 시 도로 사면에 흐르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몸체(10) 모서리가 깎여 형성되는 구성이며, 배수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평면 및 저면에서 바라볼 때, 경사면이 총 좌우 2개씩 정면 측에 짧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후면 측에 길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도시되었다.
이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은 안정적으로 보강토 옹벽(1)을 적층하기 위함으로, 예를들면 60cm의 길이를 가지는 몸체를 기준으로 하여 18%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면(1:0.3) 안정적으로 적층하기에 최적화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시 모서리부(50)에 의해 틈이 발생함에 따라 도로 사면에 발생하는 물이 흘러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보강토 옹벽(1)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배수로 인하여 도로 사면에 형성되는 나무나 식물들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사면 생태환경 조성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에 의해 서로 다른 보강토 옹벽(1)과 좌우에 견인되어 설치될 때, 후면에서 정면으로 퍼지는 확성기 단면 형태로 됨에 따라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 배수 효과가 뛰어나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은 좌우결속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우결속부(6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은 적층 시 상하면에 결속할 수 있는 구성이 있으나, 이는 좌우 결속력에는 도움이 되지 않아 좌우에 연결에 있어서 결속력이 떨어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고, 결합홈(61), 결합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61)은 몸체(10) 일단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상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하나만 도시하였다.
이때, 결합홈(61)은 내측면이 테이퍼지게 구비되어 결합돌기(62) 삽입 시 억지끼움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결합돌기(62)는 몸체(10) 타단에 기둥형상의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 고정돌기(62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62a)는 결합돌기(62)에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62a)는 원기둥, 원뿔, 삼각뿔, 사각뿔 중 하나이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61) 내측면에 상응하도록 높이(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즉, 고정돌기(62a)의 높이(길이)가 상이함에 따라 결합홈(61)에 결합돌기(62)가 삽입될 시 고정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좌우결속부(60)로 인한 보강토 옹벽(1) 사이의 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62a)가 결합돌기(62)가 상기 결합홈(61)에 삽입될 시 고정돌기(62a)가 삽입되는 공간 외에는 자갈 또는 흙으로 채워져 더욱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1) 결합홈(61)에 다른 보강토 옹벽(1)의 결합돌기(62)가 삽입되어 좌우 결속력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은 정렬조절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조절부(70)는 보강토 옹벽(1)을 견인하여 적층 시, 좌우 간격을 일정하게 정렬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렬조절부(70)는 레일홈(71) 및 삽입돌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홈(71)은 몸체 일단(좌측 또는 우측)에 'T'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삽입돌기(72) 삽입 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72)도 이와 대응하는 'T'형으로 몸체 타단(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 일단에는 레일홈(71)이 타단에는 삽입돌기(72)가 형성되어 퍼즐(PUZZLE)과 같이 정렬되어 적층함에 따라 보강토 옹벽(1) 좌우 가격이 일정하여 미관상 보기 좋고, 시공 시간도 단축되며 인력소모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일홈(71)과 삽입돌기(72)형성 시, 배수로 역할을 하는 모서리부(50)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장 끝단에 적층될 시에는 레일홈(71) 또는 삽입돌기(72)가 생략된 구조의 보강토 옹벽(1)이 제조될 수도 있지만, 레일홈(71)이 끝단에 위치할 경우에는 삽입돌기(72)와 동일한 형태의 제1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여 레일홈(71)에 삽입시키고, 삽입돌기(72)가 끝단에 위치할 경우에는 레일홈(71)과 동일한 형태의 제2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여 제2 보조부재에 삽입돌기(72)를 삽입시켜 기상상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서짐을 방지하고,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보조부재와 제2 보조부재는 미도시 처리 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1)은 일자식 또는 계단식으로 도로 사면에 구비될 수 있어 도로 사면의 형태에 따라 적용하기 쉽다.
또한, 배수로가 형성되어 우천 시 토사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층 시 상하좌우가 정렬되어 시공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보강토 옹벽
10 : 몸체
20 : 끼움돌기
30 : 고리부
31 : 고리링
32 : 고리홈
40 : 홈부
41 : 제1 홈
42 : 제2 홈
50 : 모서리부
60 : 좌우결속부
61 : 결합홈
62 : 결합돌기
62a : 고정돌기
70 : 정렬조절부
71 : 레일홈
72 : 삽입돌기

Claims (9)

  1. 도로 사면에 구비되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이용해 제조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
    상기 몸체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이 다수 개가 적층될 시 도로 사면에 흐르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몸체 모서리가 깎여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토 옹벽 적층 시, 좌우가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조절부는,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T'형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 타측에 형성되는 'T'형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삽입되고,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 중 가장 끝단에 적층되어 레일홈이 끝단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보조부재를 레일홈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보강토 옹벽이 계단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이 일자식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보다 후측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보강토 옹벽을 견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리링 및
    상기 고리링이 돌출되지 않게 상기 고리링이 내재되는 고리홈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홈부의 양 끝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좌우양단에 형성되는 좌우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결속부는,
    상기 몸체 일단에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몸체 타단에 기둥형상의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에 다른 보강토 옹벽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좌우 결속력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내측면이 테이퍼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외주면에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원기둥, 원뿔, 삼각뿔, 사각뿔 중 하나이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 내측면에 상응하도록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시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공간 외에는 자갈 또는 흙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9. 삭제
KR1020180123097A 2018-10-16 2018-10-16 보강토 옹벽 KR10200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97A KR102008623B1 (ko) 2018-10-16 2018-10-16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97A KR102008623B1 (ko) 2018-10-16 2018-10-16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623B1 true KR102008623B1 (ko) 2019-08-07

Family

ID=6762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097A KR102008623B1 (ko) 2018-10-16 2018-10-16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91B1 (ko) *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KR102320582B1 (ko) * 2021-04-29 2021-11-03 최윤하 각도조절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618Y1 (ko) * 2004-10-25 2005-01-29 제일산업 주식회사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378431Y1 (ko) * 2004-12-31 2005-03-14 황성민 식생용 옹벽블록
KR20050097291A (ko) * 2004-04-01 2005-10-07 주식회사 삼성산업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200417403Y1 (ko) * 2006-03-03 2006-05-26 (주)우연피엠에스 조립식 블럭
KR101680199B1 (ko) * 2015-09-14 2016-12-06 강영생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875457B1 (ko) * 2017-12-06 2018-07-09 (주)장성산업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291A (ko) * 2004-04-01 2005-10-07 주식회사 삼성산업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200374618Y1 (ko) * 2004-10-25 2005-01-29 제일산업 주식회사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378431Y1 (ko) * 2004-12-31 2005-03-14 황성민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17403Y1 (ko) * 2006-03-03 2006-05-26 (주)우연피엠에스 조립식 블럭
KR101680199B1 (ko) * 2015-09-14 2016-12-06 강영생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875457B1 (ko) * 2017-12-06 2018-07-09 (주)장성산업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91B1 (ko) *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WO2021071333A1 (ko) * 2019-10-10 2021-04-15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KR102320582B1 (ko) * 2021-04-29 2021-11-03 최윤하 각도조절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US4957395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ystem
KR102008623B1 (ko) 보강토 옹벽
US20120020746A1 (en) Modular block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KR20180134445A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US20130091798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101222690B1 (ko) 개비온 블록
KR200234617Y1 (ko) 드레인 필터 수로관
JP2001226992A (ja) 土留ブロック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5367338U (zh) 一种生态绿化硬质坡面
CN215406162U (zh) 一种土木挡土墙结构
KR102371637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시공방법
DE102013100758B4 (de) Fertigbauteilelement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Bauwerks
KR101701796B1 (ko) 친환경 배수로 블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