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592B1 -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592B1
KR102316592B1 KR1020190129353A KR20190129353A KR102316592B1 KR 102316592 B1 KR102316592 B1 KR 102316592B1 KR 1020190129353 A KR1020190129353 A KR 1020190129353A KR 20190129353 A KR20190129353 A KR 20190129353A KR 102316592 B1 KR102316592 B1 KR 10231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insertion groove
groove
fitting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119A (ko
Inventor
안주현
안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견
안주현
안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견, 안주현, 안선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견
Priority to KR102019012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5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재와 콘크리트구조물에 연결되는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에 구성되는 앙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파이프및 지지볼트에 대한 결합력과 지지력을 상승시킨 앙카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써, 외장재를 콘크리트구조물과의 연결 시, 앙카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꺾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앙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파이프에 대한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결합부를 형성하며, 지지볼트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키도록 지지너트가 결합되는 보조관통부가 형성된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Retaining Wall Connection Structure }
본 발명은 옹벽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수평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옹벽을 옹벽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손쉬운 결합과 동시에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옹벽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주지된 바와 같이 하천의 부지확보, 복토한 부지조성이나 복토한 도로 등에 토사의 안전과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을 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옹벽시공의 일 예로서, 철근을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소정의 크기로 양생된 옹벽블록을 서로 축조하고, 지오그리드를 연결하여 자갈과 흙으로 매설하는 두 가지를 볼 수 있는데, 최근에는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옹벽블록을 많이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옹벽블록은 복토된 토사의 압력으로부터 축조된 옹벽블록을 견고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옹벽블록의 가운데에 견인줄을 묶어서 복토층에 말뚝으로 고정되게 하고, 또 옹벽블록의 가운데에 관통된 공간부에 주먹돌을 채워서 상하로 이웃하는 옹벽블록들이 주먹돌에 의해서 서로 맞물려지게 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토사의 압력으로부터 옹벽블록을 견고한 상태로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옹벽블록으로 옹벽을 시공하였을 때 붕괴되는 사례가 있어 옹벽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안전상에 신뢰를 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제20-0407953호의 '옹벽축조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수평방향으로 다수개가 위치되는 옹벽의 상부에 삽입홈과, 끼움홈을 일측과 타 측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옹벽에 형성된 삽입홈과 끼움홈에 상호 결합을 이루는 옹벽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각각의 옹벽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합 시, 삽입홈의 구조와 옹벽연결부재의 간편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옹벽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수평방향으로 연결을 이루는 제 1옹벽과 제 2옹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옹벽의 일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1삽입홈과, 상기 제 1삽입홈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옹벽의 타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2삽입홈과, 상기 제 2삽입홈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2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옹벽의 제 1삽입홈과 제 2옹벽의 제 2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 1옹벽의 제 1끼움홈과 제 2옹벽의 제 2끼움홈에 끼움 되는 끼움부로 형성된 옹벽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에 따르면, 다수개의 옹벽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시, 상기 옹벽이 상호 유동하지 않도록 각각의 옹벽을 연결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옹벽에 형성된 삽입홈의 구조와, 옹벽결합부재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옹벽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시,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옹벽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옹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옹벽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옹벽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중 옹벽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에 사용되는 옹벽결합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옹벽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사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의 연결구조는 옹벽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수평방향으로 연결을 이루는 제 1옹벽(10)과 제 2옹벽(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옹벽(10)의 일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1삽입홈(110)과, 상기 제 1삽입홈(1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1끼움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옹벽(20)의 타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2삽입홈(210)과, 상기 제 2삽입홈(2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2끼움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삽입홈(110)과 제 2옹벽(20)의 제 2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끼움홈(120)과 제 2옹벽(20)의 제 2끼움홈(220)에 끼움 되는 끼움부(320)로 형성된 옹벽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옹벽연결구조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을 이루는 제 1옹벽(10)과 제 2옹벽(20)이 구성되며, 상기 제 1, 2옹벽(10, 20)을 상호 연결하는 옹벽결합부재(300)도 구성된다.
상기 제 1옹벽(10)에는 제 1삽입홈(110)과 제 1끼움홈(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삽입홈(110)은 상기 제 1옹벽(10)의 일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1끼움홈(120)은 상기 제 1삽입홈(1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 2옹벽(20)에는 제 2삽입홈(210)과 제 2끼움홈(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2삽입홈(210)은 상기 제 2옹벽(20)의 타 측 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홈(220)은 상기 제 2삽입홈(2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며 형성된다.
옹벽결합부재(300)는 삽입부(310)와 끼움부(320)로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삽입홈(110)과 제 2옹벽(20)의 제 2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20)는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끼움홈(120)과 제 2옹벽(20)의 제 2끼움홈(220)에 끼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옹벽결합부재(300)는 상기 제 1, 2옹벽(10, 20)에 제 1, 2삽입홈(110, 210)과, 제 1, 2끼움홈(120, 220)을 다수개 형성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2끼움홈(120, 220)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옹벽이 수평방향으로 연결 시, 일정 각도의 라운드형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때, 상기 제 1, 2끼움홈(120, 220)에 결합되는 옹벽결합부재(300)의 형상도 동일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홈과 끼움홈은 옹벽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한 삽입홈과 끼움홈의 위치에 따라 옹벽결합부재(300)도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삽입홈(110, 210)에는 제 1, 2보조삽입홈(111, 211)과 제 1, 2회동홈(113, 213)이 형성된다.
제 1, 2보조삽입홈(111, 211)은 상기 제 1, 2삽입홈(110, 210)에 형성되되 일 측방향으로 연장을 이루고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 1, 2회동홈(113, 213)은 상기 제 1, 2보조삽입홈(111, 211)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 1, 2삽입홈(110, 210)의 끝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2회동홈(113, 213)의 끝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1, 2걸림홈(115, 215)이 형성된다.
이에 옹벽결합부재(300)에는 상기 제 1, 2보조삽입홈(111, 211)에 삽입되는 연장삽입부(330)가 형성되는데, 삽입부(310)는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삽입부(3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10)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완충부재(31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옹벽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을 이루며 형성되는 돌출부(11)와, 하부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1)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가진 홈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옹벽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시, 상기 옹벽이 상호 유동하지 않도록 각각의 옹벽을 연결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옹벽에 형성된 삽입홈의 구조와, 옹벽결합부재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옹벽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시,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0 : 제 1옹벽 20 : 제 2옹벽
11 : 돌출부 13 : 홈부
110 : 제 1삽입홈 111 : 제 1보조삽입홈 113 : 제 1회동홈
115 : 제 1결합홈 120 : 제 1끼움홈
210 : 제 2삽입홈 211 : 제 2보조삽입홈 213 : 제 2회동홈
215 : 제 2결합홈 220 : 제 2끼움홈
300 : 옹벽결합부재
310 : 삽입부 311 : 완충부재
320 : 끼움부 330 : 연장삽입부

Claims (4)

  1. 수평방향으로 연결을 이루는 제 1옹벽(10)과 제 2옹벽(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옹벽(10)의 일 측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1삽입홈(110)과, 상기 제 1삽입홈(1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1끼움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옹벽(20)의 타 측에는 수직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제 2삽입홈(210)과, 상기 제 2삽입홈(21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연장을 이루는 제 2끼움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삽입홈(110)과 제 2옹벽(20)의 제 2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제 1옹벽(10)의 제 1끼움홈(120)과 제 2옹벽(20)의 제 2끼움홈(220)에 끼움 되는 끼움부(320)로 형성된 옹벽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옹벽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삽입홈(110)에는 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제 1보조삽입홈(111)과, 상기 제 1보조삽입홈(1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 1삽입홈(110)의 끝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회동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삽입홈(210)에는 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제 2보조삽입홈(211)과, 상기 제 2보조삽입홈(2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 2삽입홈(210)의 끝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회동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옹벽결합부재(300)에는 제 1, 2보조삽입홈(111, 211)에 삽입되는 연장삽입부(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9353A 2019-10-17 2019-10-17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231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53A KR102316592B1 (ko) 2019-10-17 2019-10-17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53A KR102316592B1 (ko) 2019-10-17 2019-10-17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19A KR20210046119A (ko) 2021-04-28
KR102316592B1 true KR102316592B1 (ko) 2021-10-25

Family

ID=7572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53A KR102316592B1 (ko) 2019-10-17 2019-10-17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35B1 (ko) 2005-12-15 2007-03-28 신용호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100954606B1 (ko) * 2009-07-30 2010-04-26 효창건설 주식회사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8194B1 (ko) * 2014-05-12 2014-12-08 (주)솔프로이앤이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984B1 (ko) * 2005-01-12 2006-10-18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블록
KR20150098535A (ko) * 2014-02-20 2015-08-28 윤병엽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35B1 (ko) 2005-12-15 2007-03-28 신용호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100954606B1 (ko) * 2009-07-30 2010-04-26 효창건설 주식회사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8194B1 (ko) * 2014-05-12 2014-12-08 (주)솔프로이앤이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19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885B2 (en) Building element for making walls using filling material, particularly earth or the like
KR20160005115A (ko) 석재, 홍수 방지용 댐 및 이러한 홍수 방지용 댐을 구축하는 방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0366898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32490B1 (ko)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2316590B1 (ko) 결속력이 상승된 그리드가 구비된 옹벽연결구조
KR100574778B1 (ko) 식생 보강토 옹벽 블록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35115Y1 (ko) 반습식 조립식 옹벽
KR200369484Y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20060069805A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340959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050041736A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29934A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및 시공방법
JP5677813B2 (ja) 地下貯水構造物
KR100953572B1 (ko) 보강토구조물의 벽면 구조 및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