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59Y1 -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59Y1
KR200340959Y1 KR20-2003-0033661U KR20030033661U KR200340959Y1 KR 200340959 Y1 KR200340959 Y1 KR 200340959Y1 KR 20030033661 U KR20030033661 U KR 20030033661U KR 200340959 Y1 KR200340959 Y1 KR 200340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vegetation
connecting rod
veget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20-2003-0033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양 측벽부의 저면 및 상면 중 어느 일면의 후방영역에는 안착키가 형성되고 타면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안착키에 형상 맞춤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블록몸체와;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을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앵커판과 블록몸체가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형성된 전방스토퍼 및 후방스토퍼를 갖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앵커부를 마련하여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의해 블록몸체가 적층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블록의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면보호용 식생블록{Plantable Block for Inclined Plane}
본 고안은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침식을 방지하고 하천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하천 등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수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하천 정비공사가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 정비에는 식생공간을 확보하고 빗물이 하천경사면의 토양층을 통해 흡수시킬 수 있도록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블록을 사용하고 있다.
도6는 종래의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식생블록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장방형상단면의 식생공(130)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110)를 갖고 있다.
블록몸체(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몰탈요홈(110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블록몸체(11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측핀홈(110b)과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이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핀홈(110b)과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은 각각 연결선이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4개소에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10)의 전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부(110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생블록을 하천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블록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안을 따라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천경사면에 잡석 등을 매설한 후 기초다지기를 한다.
다음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상에 하안길이에 따라 적정수의 식생블록을 설치한다. 이 때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기초콘크리트상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에 시멘트몰탈을 채워 넣어 식생블록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다음에 1층의 식생블록에 형성된 상측핀홈(110b)에 결합핀(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한다.
다음에 결합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된 1층의 식생블록위에 2층의 식생블록을 설치한다. 이 때 2층의 식생블록은 1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식생공(130)의 전방영역이 개방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켜 설치된다. 적층상태에서 2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에는 결합핀(도시되지 않음)의 상부가 삽입된다.
다음에 2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에 시멘트몰탈을 채워 넣어 2층의 식생블록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다음에 3층 이상의 식생블록은 1층의 식생블록위에 2층의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상층의 식생블록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식생공(130)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식물을 심는다.
그런데 종래의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따르면, 블록몸체(110)의 자체하중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경사면의 토사압력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몸체(110)의 하중이 작아지는 경우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의해 블록몸체(110)가 적층위치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체하중이 커서 콘크리트나 레미콘을 사용하여 하루 이상 양생시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대항하여 블록몸체의 이탈을 저지하는 앵커부를 갖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좌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종래의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블록몸체 11 : 키홈
12 : 안착키 13 : 연결공
20 : 앵커부 21 : 연결봉
22 : 앵커판 23 : 전방스토퍼너트
24 : 후방스토퍼링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양 측벽부의 저면 및 상면 중 어느 일면의 후방영역에는 안착키가 형성되고 타면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안착키에 형상 맞춤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블록몸체와;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을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앵커판과 블록몸체가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형성된 전방스토퍼 및 후방스토퍼를 갖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적층설치상태에서 하부에 있는 식생블록으로부터 상부에 있는 식생블록의 측방향 이탈이 제한되도록, 상기 안착키는 상기 블록몸체의 측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방스토퍼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스토퍼는 상기 연결봉에 일체로 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종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의 블록몸체(10)와, 블록몸체(10)의 후방벽부에 연결된 연결봉(21)을 구비한 앵커부(20)를 갖고 있다.
블록몸체(10)는 양 측벽부의 상면 후방영역에 우측키홈(11a)과 좌측키홈(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 측벽부의 저면 전방영역에 우측키홈(11a)과 좌측안착키홈(11b)에 각각 형상 맞춤되는 우측안착키(12a) 및 좌측안착키(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키홈(11a)과 좌측키홈(11b)은 각각 블록몸체(10)의 측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몸체(10)는 후방벽부에 연결공(13)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 배수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블록몸체(10)의 내부는 식생공(15)으로 형성한다.
앵커부(20)는 장방형상의 앵커판(22)과, 연결봉(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전방스토퍼너트(23) 및 후방스토퍼링(24)을 갖고 있다.
앵커판(22)은 블록몸체(10)의 후방벽부에 나란하도록 연결봉(2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21)의 전단영역에는 전방스토퍼너트(23)에 대응하는 수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스토퍼링(24)은 연결봉(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판(22)을 연결봉(21)의 전단으로부터 삽입한 후, 후방스토퍼링(24)에 접촉하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에 연결봉(21)을 블록몸체(10)의 후방벽부에 형성된 연결공(13)을 통해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블록몸체(10)의 전방벽부와 후방벽부사이공간을 통해 연결봉(21)의 전단에 전방스토퍼너트(23)를 나사 결합시킨다.
전술한 방법으로 조립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이하 "본원식생블록"이라고 함)을 하천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하는 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식생블록들은 블록몸체(1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일자쌓기형태와 블록몸체(10)가 격자상으로 배체되는 엇쌓기형태가 모두 가능하나 보다 복잡한 엇쌓기형태로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도4 참조).
먼저 기초지반다지기, 기초 콘크리트 타설을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실시한다.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시 본원식생블록의 우측안착키(12a)와 좌측안착키(12b)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도5 참조).
다음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상에 하안길이에 따라 적정수의 본원식생블록을 설치한다. 이 때 본원식생블록은 우측안착키(12a)와 좌측안착키(12b)사이의 이격거리만큼 분리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1층에 설치된 각 본원식생블록의 블록몸체(10)의 후방영역을 보강토로 뒷채움한다. 보강토의 뒷채움이 완료되면 앵커판(22)의 앵커작용에 의해 블록몸체(10)가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1층에 설치된 각 본원식생블록의 블록몸체(10)의 식생공(15)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식물(31)을 심는다.
다음에 1층에 설치된 각 본원식생블록의 상부에 2층의 본원식생블록을 설치한다. 이 때 2층의 본원식생블록이 1층의 본원식생블록에 엇갈리게 즉, 2층의 본원식생블록에 형성된 좌측안착키(12b)는 1층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중 좌측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의 우측키홈(11a)에 수용되고, 2층의 본원식생블록에 형성된 우측안착키(12a)는 1층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중 우측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의 좌측키홈(11b)에 수용되도록 설치한다(도4 참조). 이 때 우측키홈(11a)과 좌측키홈(11b)은 각각 블록몸체(10)의 측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설치상태에서 1층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으로부터 2층에 있는 본원식생블록의 측방향 이탈이 제한된다.
다음에 2층에 설치된 각 본원식생블록의 블록몸체(10)의 후방영역을 보강토로 뒷채움하고, 식생공(15)에 흙을 채워 넣고 식물(31)을 심는다.
다음에 3층 이상의 본원식생블록은 1층의 본원식생블록위에 2층의 본원식생블록을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도4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몸체(10)의 후방벽부에 앵커부를 마련함으로써,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의해 블록몸체(10)가 적층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봉(21)과 앵커판(22)은 별도로 제작하고 블록몸체(10)는 형틀에 몰탈을 넣어 압축제작(블록몸체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더라도 앵커부에 의해 토사압력에 견딜 수 있음)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 진다.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앵커판(22)을 장방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원형 등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블록몸체(10)의 양측벽부 저면 전방영역에 안착키(12a , 12b)를 설치하고 양 측벽부의 상면에 키홈(11a, 11b)을 형성하고 있으나, 블록몸체(10)의 양측벽부 상면에 안착키를 형성하고 블록몸체(10)의 양측벽부의 저면에 키홈을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후방스토퍼링(24)을 연결봉(21)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연결봉(21)의 후단에 철선으로 링을 형성한 후 압착링을 사용하여 연결봉(21)의 후단에 결합시키는 등 다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앵커부를 마련하여 경사면의 토사압력에 의해 블록몸체가 적층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블록의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양 측벽부의 저면 및 상면 중 어느 일면의 후방영역에는 안착키가 형성되고 타면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안착키에 형상 맞춤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블록몸체와;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을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벽부에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앵커판과 블록몸체가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형성된 전방스토퍼 및 후방스토퍼를 갖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키는 상기 블록몸체의 측벽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토퍼는 상기 연결봉에 일체로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2003-0033661U 2003-10-28 2003-10-28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0340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61U KR200340959Y1 (ko) 2003-10-28 2003-10-28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61U KR200340959Y1 (ko) 2003-10-28 2003-10-28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59Y1 true KR200340959Y1 (ko) 2004-02-05

Family

ID=4942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61U KR200340959Y1 (ko) 2003-10-28 2003-10-28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66B1 (ko) * 2013-01-04 2014-10-06 주식회사 에코밸리 식생블럭, 이를 이용한 벽구조물 및 입면녹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66B1 (ko) * 2013-01-04 2014-10-06 주식회사 에코밸리 식생블럭, 이를 이용한 벽구조물 및 입면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1516832B1 (ko)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KR20110033650A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100936668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100980860B1 (ko)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200340959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254145B1 (ko) 전단키와 연결철근을 활용한 중력식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러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공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755744B1 (ko) 보강토 옹벽 공법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KR200356112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101132697B1 (ko)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200340898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80508B1 (ko) 친환경 개거수로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1201796B1 (ko) 빗물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