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112Y1 -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112Y1
KR200356112Y1 KR20-2004-0009505U KR20040009505U KR200356112Y1 KR 200356112 Y1 KR200356112 Y1 KR 200356112Y1 KR 20040009505 U KR20040009505 U KR 20040009505U KR 200356112 Y1 KR200356112 Y1 KR 200356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ll
front wall
pair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이.이엔.씨(주) filed Critical 대한이.이엔.씨(주)
Priority to KR20-2004-0009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전방벽체와; 상기 전방벽체의 배면 좌우측 양단영역으로부터 상기 전방벽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체와; 상기 측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체의 배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후방벽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후방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확장벽체와; 상기 전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벽체 및 상기 후방벽체의 저면을 연결하는 바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단계에서 식생공의 유효식생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생공에 채워진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층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면보호용 식생블록{Plantable Block for Inclined Plane}
본 고안은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침식을 방지하고 하천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하천 등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수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하천 정비공사가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 정비에는 식생공간을 확보하고 빗물이 하천경사면의 토양층을 통해 흡수시킬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블록을 사용하고 있다.
도4는 종래의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식생블록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장방형상단면의 식생공(130)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110)를 갖고 있다.
블록몸체(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몰탈요홈(110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블록몸체(11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측핀홈(110b)과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이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핀홈(110b)과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은 각각 연결선이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4개소에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10)의 전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부(110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생블록을 하천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층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각 층에 대응하여 블록몸체(110)의 폭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를 갖는 3종류의 식생블록이 다수개씩 제작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가장 큰 폭의 블록몸체(110)를 갖는 식생블록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안을 따라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천경사면에 잡석 등을 매설한 후 기초다지기를 한다.
다음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상에 가장 큰 폭의 블록몸체(110)를 갖는 식생블록을 하안길이에 따라 적정수를 설치한다. 이 때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기초콘크리트상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에 시멘트몰탈을 채워 넣어 식생블록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다음에 1층의 식생블록에 형성된 상측핀홈(110b)에 결합핀(111)을 삽입한다.
다음에 결합핀(111)이 삽입된 1층의 식생블록위에 중간 폭의 블록몸체(110)를 갖는 식생블록을 설치한다. 이 때 2층에 설치되는 식생블록은 1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식생공(130)의 전방영역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적층상태에서 2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하측핀홈(도시되지 않음)에는 결합핀(111)의 상부가 삽입된다.
다음에 2층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몰탈요홈(110a)에 시멘트몰탈을 채워 넣어 2층의 식생블록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다음에 결합핀(111)이 삽입된 2층의 식생블록위에 가장 작은 폭의 블록몸체(110)를 갖는 식생블록을 1층의 식생블록위에 2층의 식생블록을 설치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3층의 식생블록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식생공(130)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식물을 심는다.
그런데 종래의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따르면, 상층에 있는 식생블록이 하층에 있는 식생블록의 식생공(130)을 부분적으로 가리기 때문에, 식생공(130)의 유효식생면적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블록몸체(110)에는 식생공(130)에 채워진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식생공(130)이 채워진 흙이 유실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층에 있는 식생블록과 하층에 있는 식생블록상호간은 결합핀(111)에 의해 전방미끄러짐이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적층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생공의 유효식생면적을 유지할 수 있고, 식생공에 채워진 흙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층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종래의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종래의 식생블록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원식생블록 11 : 전방벽체
12 : 측벽체 13 : 후방벽체
14 : 확장벽체 15 : 바닥체
16 : 걸림턱 20, 130 : 식생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전방벽체와; 상기 전방벽체의 배면 좌우측 양단영역으로부터 상기 전방벽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체와; 상기 측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체의 배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후방벽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후방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확장벽체와; 상기 전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벽체 및 상기 후방벽체의 저면을 연결하는 바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적층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체는 상기 전방벽체로부터 이격폭이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체는 상기 전방벽체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전방벽체(11)와, 전방벽체(11)의 배면 좌우측 양단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체(12)와, 한 쌍의 측벽체(12)의 배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후방벽체(13)와, 후방벽체(13)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후방벽체(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확장벽체(14)와, 전방벽체(11), 한 쌍의 측벽체(12) 및 후방벽체(13)의 저면을 연결하는 바닥체(15)를 갖고 있다.
측벽체(12)는 전방벽체(1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전방벽체(11)로부터 점점 이격폭이 증가하도록 전방벽체(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방벽체(11)와 각 측벽체(12)의 접촉영역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후방벽체(13)는 측벽체(1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전방벽체(11)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벽체(13)는 측벽체(12) 및 전방벽체(11)와 협조하여 식생공(20)을 형성하게 된다.
확장벽체(14)는 후방벽체(13)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체(15)의 중앙영역에는 배수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이하 "본원식생블록"이라고 함)을 하천의 경사면에 적층 설치하는 방법을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지반다지기, 기초 콘크리트 타설을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실시한다.
다음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상에 본원식생블록(10)을 하안길이에 따라 적정수 설치한다. 이 때 1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중 인접하는 본원식생블록(10)은 확장벽체(14)의 측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1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의 측벽체(12) 및 확장벽체(14)가 형성하는 공간을 흙과 자갈을 혼합하여 메운다.
다음에 1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위에 엇쌓기 방식으로 적층한다. 즉, 1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의 2개에 대하여 하나의 본원식생블록(10)이 얹혀지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2층에 설치되는 본원식생블록(10)은 그 전방벽체(11)가 1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의 전방벽체(11)와 측벽체(12)의 접촉영역에 형성된 걸림턱(16)에 후방에서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2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 중 인접하는 본원식생블록(10)은 확장벽체(14)의 측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다(도2 참조).
다음에 2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위에 1층의 본원식생블록(10)위에 2층의 본원식생블록(10)을 설치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원식생블록(10)을 설치한다.
다음에 각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의 식생공(20)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식물을 심는다(도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벽체(13)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확장벽체(14)를 형성하여 식생공(20, 후방벽체와 측벽체 및 전방벽체와 협조하여 형성함)을 가리지 않고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단계에서 식생공(20)의 유효식생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벽체(12)를 전방벽체(11)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전방벽체(11)와 각 측벽체(12)의 접촉영역에 걸림턱(16)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식생공(20)이 채워진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11)와 각 측벽체(12)의 접촉영역에 형성된 걸림턱(16)에 의해 상층에 있는 본원식생블록(10)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측벽체(12)를 전방벽체(11)로부터 이격폭이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하고 후방벽체(13)를 전방벽체(11)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하층에 설치된 본원식생블록(10)의 중첩영역을 증가시키고 후방벽체(13)에 가해지는 배압의 유효성분(전방벽체의 전면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층설치상태를 더욱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후방벽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확장벽체를 형성하여 식생공을 가리지 않고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단계에서 식생공의 유효식생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와 각 측벽체의 접촉영역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식생공에 채워진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층에 있는 식생블록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어 적층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경사면을 따라 적층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에 있어서,
    장방형상의 전방벽체와;
    상기 전방벽체의 배면 좌우측 양단영역으로부터 상기 전방벽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체와;
    상기 측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체의 배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후방벽체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기 후방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확장벽체와;
    상기 전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벽체 및 상기 후방벽체의 저면을 연결하는 바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체는 상기 전방벽체로부터 이격폭이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체는 상기 전방벽체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2004-0009505U 2004-04-07 2004-04-07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0356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05U KR200356112Y1 (ko) 2004-04-07 2004-04-07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05U KR200356112Y1 (ko) 2004-04-07 2004-04-07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112Y1 true KR200356112Y1 (ko) 2004-07-12

Family

ID=4943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05U KR200356112Y1 (ko) 2004-04-07 2004-04-07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1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200356112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664705B1 (ko)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448B1 (ko)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200340959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0340898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KR200395276Y1 (ko) 하상 보호용 블록
KR200404659Y1 (ko) 옹벽축조블록
KR200429690Y1 (ko)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KR100586469B1 (ko) 엇쌓기용 축조블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CN219364491U (zh) 一种河道治理联锁式护坡结构
JP3234557B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による擁壁
JP2010209528A (ja) 側方流動対策構造
KR101844684B1 (ko) 옹벽 구조
KR20040098434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02389Y1 (ko) 옹벽축조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