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684B1 -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684B1
KR101844684B1 KR1020160147448A KR20160147448A KR101844684B1 KR 101844684 B1 KR101844684 B1 KR 101844684B1 KR 1020160147448 A KR1020160147448 A KR 1020160147448A KR 20160147448 A KR20160147448 A KR 20160147448A KR 101844684 B1 KR101844684 B1 KR 10184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roove
block
dispos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홍우
Original Assignee
남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홍우 filed Critical 남홍우
Priority to KR102016014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부와 하부면 각각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 각각의 중간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제2 홈이 형성되며, 중간부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과 교차하여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2 배수홀이 형성되는 옹벽 블록; 상기 제1 홈으로 배치되는 제1 연결 블록; 상기 제2 홈으로 배치되는 제2 연결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옹벽 블록 상부의 상기 제1 홈에 상기 제1 연결 블록이 배치된 후, 상부로 상기 옹벽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 제2 홈에 상기 제2 연결 블록이 배치된 후, 상기 옹벽 블록이 양측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옹벽 블록(110)이 좌우와 상하로 복수로 적층되고, 옹벽 블록(110)과 옹벽 블록(110)은 제1 및 제2 연결 블록(130, 140)에 의해 연결되므로, 옹벽 구조(100)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블록(130, 140)에 의해 옹벽 블록(110) 간의 사이를 통한 토사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옹벽 구조{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 블록의 적층 시 옹벽 블록 사이에 연결 블록을 배치하여 옹벽 블록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간지역 등에 건설되는 도로구간에는 도로 측면의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이 설치된다.
옹벽은 현장 시공을 통한 옹벽이나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 블록을 복층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하고 있다.
현장 시공을 통한 옹벽은 비탈면에 콘크리트를 씌우거나 거푸집을 사용하여 소정의 옹벽 구조를 형성한 후 그 사이 공간을 토사로 채우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보강하고자 하는 토양의 표층에 접근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로부터의 균열에 취약하고, 높이 제한 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진, 폭우, 폭파 등 돌발적인 사고 시 뒤채움 토사의 붕괴에 의한 옹벽의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옹벽 블록을 복층으로 적층하는 방식을 통한 옹벽은 별도의 옹벽 생산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된 옹벽 블록을 시공 현장에서 비탈면에 적층하고, 옹벽 블록의 사이에 토사를 채워넣어 옹벽을 형성한다. 그러나, 옹벽 블록의 적층 시 옹벽 블록 사이의 틈이 생겨 그 틈을 통해 토사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옹벽 블록 사이의 토사가 유출되면 옹벽 블록간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180848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부면과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 옹벽 블록의 적층 시, 옹벽 블록의 홈이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연결 블록을 배치하여 옹벽 블록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되는 옹벽 블록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어 옹벽 블록의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부와 하부면 각각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 각각의 중간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제2 홈이 형성되며, 중간부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과 교차하여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2 배수홀이 형성되는 옹벽 블록; 상기 제1 홈으로 배치되는 제1 연결 블록; 상기 제2 홈으로 배치되는 제2 연결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옹벽 블록 상부의 상기 제1 홈에 상기 제1 연결 블록이 배치된 후, 상부로 상기 옹벽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 제2 홈에 상기 제2 연결 블록이 배치된 후, 상기 옹벽 블록이 양측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옹벽 블록 상부면의 상기 제1 홈 상에 배치되는 블록 인양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입구의 폭이 저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블록과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단면은 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블록과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단면은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블록의 길이는 상기 제1 홈의 길이의 1/2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길이는 상기 제2 홈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하부면과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 옹벽 블록의 적층 시, 옹벽 블록의 홈이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연결 블록을 배치하여 옹벽 블록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 블록의 사이에 연결 블록이 배치되어, 옹벽 블록의 사이를 통해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옹벽 블록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연결 블록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옹벽 블록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옹벽 블록(11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옹벽 블록(110)의 상부면 중간부에는 옹벽 블록(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옹벽 블록(110)의 하부면 중간부에도 옹벽 블록(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홈(112)의 양단은 개방된다.
여기서, 제1 홈(112)의 단면 구조는 저부에서 입구인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1 홈(112)에 후술하는 제1 연결 블록(130)을 배치할 때, 입구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제1 연결 블록(13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옹벽 블록(110)의 적층에 의해 제1 홈(112)이 서로 맞닿으면 제1 홈(112)과 제1 홈(112) 사이에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홈(112)은 단면이 반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 홈(112)이 서로 맞닿으면 제1 홈(112)과 제1 홈(112) 사이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옹벽 블록(110)의 양측면 각각의 중간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제2 홈(114)이 형성된다. 제2 홈(114)의 양단은 제1 홈(112)의 개방된 단부와 각각 연결된다. 제2 홈(114)은 단면 구조는 제1 홈(112)의 단면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홈(112)의 폭은 제2 홈(11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옹벽 블록(110)의 중앙부 전면에서 후면으로는 제1 배수홀(118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배수홀(118A)의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제1 배수홀(118A)로는 비탈면을 흐르는 지표수 또는 지하수가 배수된다.
또한, 옹벽 블록(1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는 제2 홈(114)을 교차하여 관통하는 제2 배수홀(118B)이 형성된다. 제2 배수홀(118B)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제2 배수홀(118B)로는 비탈면을 흐르는 지표수 또는 지하수가 배수된다.
블록 인양 고리(120)는 옹벽 블록(110) 상부의 제1 홈(112) 중간부에 배치되어, 옹벽 블록(110)의 이동 및 적층 시 옹벽 블록(110)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블록 인양 고리(120)는 "∩" 형태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30)은 소정의 길이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 블록(130)은 제1 홈(112)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옹벽 블록(110)의 적층 시 상부와 하부의 옹벽 블록(110)의 적층 위치가 일치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연결 블록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블록(1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육각 로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블록(130)은 제1 홈(112) 상에 배치된 후, 그 외주면이 제1 홈(112)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 블록(130)의 형태는 제1 홈(112)의 단면이 저부에서 입구인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경우이다. 제1 홈(112)의 단면이 반원형일 경우, 제1 연결 블록(130)의 형태는 원형 로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연결 블록(130)의 형태는 제1 홈(112)의 단면 형태에 대응한다.
제2 연결 블록(140)은 소정의 길이와 크기를 갖는 육각 로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제2 연결 블록(140)은 제2 홈(114) 상에 배치되어, 옹벽 블록(110)의 적층 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옹벽 블록(11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제2 연결 블록(140)은 도 2에 도시된 제1 연결 블록(130)의 경우와 같이 제2 홈(114)의 단면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 블록(130)과 제2 연결 블록(140)은 적층되는 옹벽 블록(110)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한편, 옹벽 블록(110)과 옹벽 블록(110) 사이를 통한 토사의 유출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옹벽 블록이 적층되어 옹벽 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옹벽 블록(110)을 적층한다. 즉, 사용자는 소정의 도구를 블록 인양 고리(120)에 걸어, 옹벽 블록(110)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옹벽 블록(110)이 배치되면, 옹벽 블록(110) 상부의 제1 홈(112)에 제1 연결 블록(130)을 배치한다. 여기서, 제1 연결 블록(130)의 길이는 제1 홈(112) 길이의 1/2 보다 짧으므로, 제1 연결 블록(130)은 블록 인양 고리(120)의 양측으로 배치하되, 제2 연결 블록(140)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 블록(130)의 배치 후, 옹벽 블록(110)의 상부로는 다른 옹벽 블록(110)을 적층한다.
그리고, 옹벽 블록(110)의 양측으로 옹벽 블록(1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옹벽 블록(110)의 제2 홈(114)으로는 제2 연결 블록(140)을 배치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블록(140)의 단부 측면이 제1 연결 블록(130)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옹벽 블록(110)의 양측으로 옹벽 블록(110)을 배치한 후, 제2 연결 블록(140)을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옹벽 블록(110)의 제2 홈(114)에 제2 연결 블록(140)을 배치한 후 옹벽 블록(11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블록(140)의 길이는 제2 홈(11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제2 연결 블록(140) 간의 연결 부위는 제2 홈(114)의 연결 부위와 엇갈리며, 옹벽 블록(110)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지하수 또는 우천 시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제1 배수홀(118A)과 제2 배수홀(118B)을 통해 옹벽 블록(110)의 전면으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옹벽 블록(110)이 좌우와 상하로 복수로 적층되고, 옹벽 블록(110)과 옹벽 블록(110)은 제1 및 제2 연결 블록(130, 140)에 의해 연결되므로, 옹벽 구조(100)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배치된 제1 및 제2 연결 블록(130, 140)에 의해 옹벽 블록(110) 간의 사이를 통한 토사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옹벽 구조
110: 옹벽 블록 120: 블록 인양 고리
130: 제1 연결 블록 140: 제2 연결 블록

Claims (7)

  1.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부와 하부면 각각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홈의 양단은 개방되고, 양측면 각각의 중간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되 하단부와 상단부가 상기 제1 홈의 개방된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중간부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1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과 교차하여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제2 배수홀이 형성되는 옹벽 블록;
    상기 제1 홈의 길이의 1/2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홈으로 배치되는 제1 연결 블록;
    상기 제2 홈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홈으로 배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제1 연결 블록의 단부에 접하는 제2 연결 블록;
    상기 옹벽 블록의 상부의 상기 제1 홈 중간부에 배치되는 블록 인양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 블록 상부의 상기 제1 홈에 상기 제1 연결 블록이 배치된 후, 상부로 상기 옹벽 블록이 적층되되, 상기 옹벽 블록 하부의 상기 제1 홈으로 상기 제1 연결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홈에 상기 제2 연결 블록이 배치되되,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단부 측면이 상기 제1 홈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연결 블록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옹벽 블록의 양측단으로는 상기 옹벽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블록이 양측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옹벽 블록의 상기 제2 홈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 연결 블록 간의 연결 부위는 상기 제2 홈의 연결 부위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옹벽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입구의 폭이 저부의 폭보다 넓은 옹벽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블록과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단면은 육각형인 옹벽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블록과 상기 제2 연결 블록의 단면은 원형인 옹벽 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160147448A 2016-11-07 2016-11-07 옹벽 구조 KR10184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48A KR101844684B1 (ko) 2016-11-07 2016-11-07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48A KR101844684B1 (ko) 2016-11-07 2016-11-07 옹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684B1 true KR101844684B1 (ko) 2018-04-02

Family

ID=6197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448A KR101844684B1 (ko) 2016-11-07 2016-11-07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6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09Y1 (ko) * 2004-06-04 2004-09-07 서재화 옹벽블럭
KR101314556B1 (ko) * 2013-04-12 2013-10-07 최은경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363557B1 (ko) * 2013-07-01 2014-02-27 주식회사 이앤앤이 식생 옹벽 축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09Y1 (ko) * 2004-06-04 2004-09-07 서재화 옹벽블럭
KR101314556B1 (ko) * 2013-04-12 2013-10-07 최은경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363557B1 (ko) * 2013-07-01 2014-02-27 주식회사 이앤앤이 식생 옹벽 축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9309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дводной блочной бето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97103B1 (ko) 일측 캠버형 합성 파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 방법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0617526B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KR101300785B1 (ko)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1844684B1 (ko) 옹벽 구조
JP4862706B2 (ja) 地中壁構造物内に井戸を構築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井戸の利用方法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JP2012057442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CN204040163U (zh) 电缆沟排水结构
KR101201796B1 (ko) 빗물 저류조
KR200342335Y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101742565B1 (ko) 내진 강화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JP2010209528A (ja) 側方流動対策構造
JP6679287B2 (ja) 地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CN104153452A (zh) 电缆沟排水结构及电缆沟施工方法
CN219386394U (zh) 一种微型钢管灌注桩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