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335Y1 -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 Google Patents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335Y1
KR200342335Y1 KR20-2003-0035761U KR20030035761U KR200342335Y1 KR 200342335 Y1 KR200342335 Y1 KR 200342335Y1 KR 20030035761 U KR20030035761 U KR 20030035761U KR 200342335 Y1 KR200342335 Y1 KR 200342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unit
unit
precast concrete
upp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암산업
Priority to KR20-2003-0035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조립되므로써 일체 구조물이 형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오수의 유입관과 유출관이 양측에 설치되며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31)로 이루어진 기초 벽체유닛(30)과, 상기 기초 벽체유닛(30)의 내외경에 대응되는 내외경을 가지며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1)로 이루어진 중간 벽체유닛(20)과, 상기 중간 벽체유닛(20)의 내외경에 대응되는 내외경을 가지며, 도로와 연통되는 개방구(12)를 제외하고 상단부는 슬래브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1)로 이루어진 최상부 벽체유닛(10)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되므로써 맨홀 본체가 구성되며;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의 벽체(11, 21, 31)에는 상기 벽체들을 관통하는 삽입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1)에는 벽체유닛(10, 20, 30)을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 강봉(40)이 삽입되고; 상기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의 벽체(21, 31) 각각의 상단부면에는 오목부(22, 32)가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및 중간 벽체유닛(20)의 벽체(11, 21) 각각의 하단부면에는 볼록부(14, 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이 차례로 적층되었을 때, 각각의 본체유닛(10, 20)의 벽체 하단부면과 그 하부의 본체유닛(20, 30)의 벽체 상단부면이 서로 맞닿게 됨과 동시에 각각의 오목부(22, 32)와 볼록부(14, 24)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볼록부(14, 24)가 오목부(22, 32)에 서로 대응되어 맞추어 지며;
상기 연결 강봉(40)이 삽입된 삽입공(41) 및 상기 오목부(22, 32)와 볼록(14, 24) 사이의 틈에 수밀을 위한 그라우팅 재료(60)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Fabricated Precast Concrete Sewerage Manhole}
본 고안은 오수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설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조립되므로써 일체 구조물이 형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에 관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하수관거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맨홀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b는 도 4a에서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맨홀(100)은 원통형의 벽체(10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벽체(101)의 하부 양 측면에는 각각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02)과, 오수가 유출되는 유출관(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101)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102)과 유출관(103) 사이에는 인버트(Invert)(104)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는 도로와 통하게 되는 개방구(1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구(105)에는 덮개(106)가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벽체(101)의 내측 벽면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맨홀(100)은 그 본체(101)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구조물로 구성되며, 하수관거와 도로 사이의 깊이에 맞추어 제작된다. 그런데, 하수관거와 도로 사이의 깊이는 장소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장소에 대해서는 그 깊이에 맞추어 별도로 본체(101)를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체(101)가 깊이에 맞추어 상당히 큰 크기를 갖게 되고 그 무게도 상당하므로, 본체(101)를 이동시켜 지중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본체(101)를 들어올릴 수 있는 소정 규모 이상의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며, 설치 작업 또한 상당히 어렵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본체가 하나의 일체로 된 구조물로 이루어진 종래의 맨홀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맨홀의 본체를 소정 높이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으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상기 유닛을 현장에 각각 이송하여 조립하여 본체를 이루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맨홀 전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맨홀을 이루는 최상부 본체유닛, 중간 본체유닛 및 최하부의 기초 본체유닛 각각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 B의 상세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하수관거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맨홀의 단면도로서, 도 4b는 도 4a에서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맨홀 10 : 최상부 본체유닛
20 : 중간 본체유닛 30 : 기초 본체유닛
40 : 연결 강봉 41 : 삽입공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수의 유입관과 유출관이 양측에 설치되며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기초 벽체유닛과, 상기 기초 벽체유닛의 크기에 대응되는(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중간 벽체유닛과, 상기 중간 벽체유닛의 크기에 대응되는(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도로와 연통되는 개방구를 제외하고 상단부는 슬래브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최상부 벽체유닛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되므로써 맨홀 본체가 구성되며;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 중간 벽체유닛 및 기초 벽체유닛의 벽체에는 상기 벽체들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벽체유닛을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 강봉이 삽입되고; 상기 중간 벽체유닛 및 기초 벽체유닛의 벽체 각각의 상단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 및 중간 벽체유닛의 벽체 각각의 하단부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 중간 벽체유닛 및 기초 벽체유닛이 차례로 적층되었을 때,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는 서로 대응되어 맞추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맨홀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 중간 벽체유닛 및 기초 벽체유닛을 적층하였을 때, 각각의 본체유닛의 벽체 하단부면과 그 하부의 본체유닛의 벽체 상단부면이 서로 맞닿게 되고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강봉이 삽입된 삽입공 및 상기 오목부와 볼록 사이의 틈에 그라우팅 재료가 충전되는 특징을 더 구비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특징에 더하여,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 중간 벽체유닛 및 기초 벽체유닛을 적층하였을 때, 각각의 본체유닛의 벽체 하단부면과 그 하부의 본체유닛의 벽체 상단부면이 맞닿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벽체유닛의 벽체 상단부면에서 상기 오목부의 전후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특징을 더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이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인버트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맨홀(1) 전체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 내지 도 2c에는 각각 맨홀(1)을 이루는 최상부 본체유닛(10), 중간 본체유닛(20) 및 최하부의 기초 본체유닛(30) 각각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맨홀(1)은, 소정 높이로 분할된 다수개의 본체유닛(10, 20, 30)이 조립되어 전체 본체를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여 맨홀(1) 본체의 최상부를 이루는 최상부 본체유닛(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 본체유닛(10)은 소정 두께의 벽체(11)를 가지며 하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은, 도로와 연통하게 되는 개방구(12)를 제외하고는 슬래브(13)에 의하여 그 최상부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벽체(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강봉(40)이 삽입되는 삽입공(41)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의 벽체(11) 하단부면에는 아래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14)는 벽체(11) 하단부면의 원주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도 2b에는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 본체유닛(20)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부분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본체유닛(20)은 상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중간 본체유닛(20)의 외경 및 내경은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의 외경 및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벽체(21)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연결 강봉(40)이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의 상세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상단부면에는,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의 볼록부(14)에 대응되는 오목부(2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22)에는,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이 중간 본체유닛(20)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최상부 본체유닛(10)의 볼록부(14)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볼록부(14)와 오목부(22) 사이의 공간에는 무수축 모르타르와 같은 그라우팅 재료가 충전된다.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본체(21) 하단부면에는, 최상부 본체유닛(10)과 마찬가지로 그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된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22)의 내외로는 홈(25)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25)에는 밀봉링과 같은 밀봉부재(42)가 설치된다. 상기 밀봉부재(4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는 도 2c를 참조하여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기초 본체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본체유닛(30)은 그 하부면이 기초판(35)에 의하여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벽체(31)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31)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강봉(40)이 삽입되는 삽입공(41)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체(31)의 상단부면에는, 앞서 설명한 중간 본체유닛(20)의 하단부면에 형성된 볼록부(24)에 대응되는 오목부(3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32)에는,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이 그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볼록부(24)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볼록부(24)와 상기 오목부(32) 사이의 공간에는 무수축 모르타르와 같은그라우팅 재료가 충전된다. 도 2c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본체유닛(30)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32)의 내외로는 홈(35)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35)에는, 중간 본체유닛(20)과 마찬가지로 밀봉부재(42)가 설치된다. 도 2c에서 부재번호 34는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를 이어주는 인버트(34)이다. 상기 기초 본체유닛(30)의 하부에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유출관 및 유입관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한 최상부 본체유닛(10), 중간 본체유닛(20) 및 기초 본체유닛(30)의 결합에 의하여 맨홀(1)을 형성하는 구조 및 단계를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1의 원B의 상세도로서 본체유닛의 결합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구조는 최상부 본체유닛(10)과 중간 본체유닛(20)의 결합부분 뿐만 아니라, 중간 본체유닛(20)과 기초 본체유닛(30)의 결합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에서 괄호속의 부재번호는 중간 본체유닛(20)과 기초 본체유닛(30)이 결합될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한 최상부 본체유닛(10), 중간 본체유닛(20) 및 기초 본체유닛(30)은 모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된 후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맨홀(1)을 설치하도록 형성된 지중의 굴착공에 기초 본체유닛(30)을 설치한다. 기초 본체유닛(30)을 설치한 후에 그 상부에는 중간 본체유닛(20)을 설치한다. 상기 기초 본체유닛(30)과 중간 본체유닛(20)은 그 내경과 외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제작되며, 각각의 상단부면과 하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2) 및 볼록부(2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각각의벽체(31, 2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41)도 그 위치가 일치하도록 상기 본체유닛(10, 20, 30)이 설치된다.
중간 본체유닛(20)이 기초 본체유닛(30)의 상단부에 놓일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본체유닛(20)의 벽체(21) 하단부면과 기초 본체유닛(30)의 벽체(31) 상단부면이 서로 맞닿게 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4)와 오목부(3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간 본체유닛(20)의 볼록부(24) 일부가 기초 본체유닛(30)의 오목부(32)에 삽입된다.
한편, 서로 마주 접하고 있는 중간 본체유닛(20)의 하단부면과 기초 본체유닛(30)의 상단부면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기초 본체유닛(30)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홈(35)에는 밀봉부재(42)가 설치된다. 상기 밀봉부재(42)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봉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은 맨홀(1) 본체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초 본체유닛(30)과 최상부 본체유닛(10) 사이에 한 개의 중간 본체유닛(20)만이 설치되어 있으나, 맨홀(1)의 설치 깊이에 맞추어 2개 이상 다수개의 중간 본체유닛(2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초 본체유닛(30)의 상부에 중간 본체유닛(20)이 놓여진 후에,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상부에는 최상부 본체유닛(10)이 놓여진다. 앞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최상부 본체유닛(10)의 벽체(11) 하단부면에 형성된 볼록부(14)와 중간 본체유닛(20)의 벽체(21) 상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22)가 서로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중간 본체유닛(20)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홈(25)에도 밀봉을 위하여 밀봉부재(42)가 설치된다.
최상부 본체유닛(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각의 본체유닛(10, 20, 30)에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는 삽입공(41)에 연결 강봉(40)을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본체유닛이 단순한 적층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본체유닛(10, 20, 30)을 관통하도록 연결 강봉(40)이 삽입되므로써 본체유닛이 서로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기초 본체유닛에는 연결 강봉(4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음은 앞서 설명하였다). 상기 연결 강봉(4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삽입공(41)에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그라우팅 재료(60)를 부어 삽입공(41)을 채워 그라우팅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라우팅 재료(60)를 가압하여 충진할 수도 있다. 상기 그라우팅 재료(60)는 삽입공(41) 내부만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4, 24)와 오목부(22, 32) 사이의 공간도 채우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밀봉부재(42)는 이와 같이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팅 재료(60)가 충진될 때, 그라우팅 재료(60)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밀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각 본체유닛 사이에 그라우팅 재료(60)가 채워지게 되어 상하부의 본체유닛이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될 뿐만 아니라 밀봉효과도 발휘하게 되어 우수한 수밀성을 가지게 된다.
위에서는 본체유닛(10, 20, 30)을 모두 적층한 후에 그라우팅 재료(60)를 삽입공(41)을 통하여 충진하여 상기 볼록부(14, 24)와 오목부(22, 32) 사이의 틈을 채우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라우팅 재료(60)를 주입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체유닛의 각 설치단계마다 오목부(22, 32)에 그라우팅 재료(60)를 채울 수 있는 것이다. 요컨대, 기초 본체유닛(30)을 설치한 후에, 기초 본체유닛(30)의 삽입공(41)과 오목부(32)에 그라우팅 재료(60)를 채운 다음에 그 상부에 중간 본체유닛(20)을 설치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간 본체유닛(20)을 설치한 후에 그 삽입공(41)과 오목부(22)에 그라우팅 재료(60)를 채우고 최상부 본체유닛(10)을 설치하며, 최종적으로 전체 본체유닛(10, 20, 30)의 삽입공(41)으로 연결 강봉(4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물론, 연결 강봉(40)을 삽입한 후에 최상부 본체유닛(10)의 삽입공(41)에 그라우팅 재료(60)를 채워도 되고, 최상부 본체유닛(10)의 삽입공(41)에도 미리 그라우팅 재료(60)를 채운 후에 마지막으로 연결 강봉(40)을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각 본체유닛의 벽체 내면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2개의 연결 강봉(4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강봉(40)은 본체유닛의 벽체 원주를 따라 2개 이상 다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벽체유닛(10, 20, 30)을 적층하였을 때, 상기 삽입공(41)이 상하로 서로 일치하도록 벽체유닛(10, 20, 30)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추기 위하여 상기 벽체유닛(10, 20, 30)의 외부 벽면에 표식을 해둘 수 있으며, 기타 추가적인 위치맞춤용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통형상의 본체유닛으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진 것을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통형상의 본체유닛은 반드시 그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원통형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 등 그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에서는, 맨홀의 본체가, 소정 높이를 가지는 통형상의 본체유닛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각의 본체유닛은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사전 제작되고, 현장으로 이송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맨홀 본체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본체를 형성할 때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즉, 종래의 맨홀은 큰 규모의 본체를 지중으로 이송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시공작업에는 상당한 장비와 인력이 요구되고, 작업도 어려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본체를 작은 크기의 본체유닛으로 제작하여 이송하므로, 이송 작업 및 설치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종래의 경우처럼 큰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전체 본체유닛을 관통하도록 연결 강봉이 설치되어 고정되므로, 조립에 의하더라도 전체 맨홀 본체의 구조적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중간 본체유닛의 개수를 임의로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맨홀의 설치 깊이에 맞추어 맨홀 본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상하의 본체유닛은 볼록부와 오목부로 맞물려지되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에 소정 공간이 존재하고 그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와 같은 그라우팅 재료(충진재료)가 충진되므로써, 상하의 본체유닛 간의 접착에 의한 일체성이 더욱 강화될 뿐만 아니라, 완전한 밀봉상태를 이루게 되어 더욱 우수한 수밀성을 발휘하게 된다.

Claims (2)

  1. 오수의 유입관과 유출관이 양측에 설치되며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31)로 이루어진 기초 벽체유닛(30)과, 상기 기초 벽체유닛(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1)로 이루어진 중간 벽체유닛(20)과, 상기 중간 벽체유닛(2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도로와 연통되는 개방구(12)를 제외하고 상단부는 슬래브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1)로 이루어진 최상부 벽체유닛(10)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되므로써 맨홀 본체가 구성되며;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의 벽체(11, 21, 31)에는 상기 벽체들을 관통하는 삽입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1)에는 벽체유닛(10, 20, 30)을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 강봉(40)이 삽입되고;
    상기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의 벽체(21, 31) 각각의 상단부면에는 오목부(22, 32)가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및 중간 벽체유닛(20)의 벽체(11, 21) 각각의 하단부면에는 볼록부(14, 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이 차례로 적층되었을 때, 각각의 본체유닛(10, 20)의 벽체 하단부면과 그 하부의 본체유닛(20, 30)의 벽체 상단부면이 서로 맞닿게 됨과 동시에 각각의 오목부(22, 32)와 볼록부(14, 24)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볼록부(14, 24)가 오목부(22, 32)에 서로 대응되어 맞추어 지며;
    상기 연결 강봉(40)이 삽입된 삽입공(41) 및 상기 오목부(22, 32)와 볼록(14, 24) 사이의 틈에 수밀을 위한 그라우팅 재료(60)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벽체유닛(10), 중간 벽체유닛(20) 및 기초 벽체유닛(30)을 적층하였을 때, 각각의 본체유닛(10, 20)의 벽체 하단부면과 그 하부의 본체유닛(20, 30)의 벽체 상단부면이 맞닿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벽체유닛(20, 30)의 벽체(21, 31) 상단부면에서 상기 오목부(22, 32)의 전후로 오목한 홈(25, 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25, 35)에는 밀봉부재(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KR20-2003-0035761U 2003-11-15 2003-11-15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KR200342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61U KR200342335Y1 (ko) 2003-11-15 2003-11-15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61U KR200342335Y1 (ko) 2003-11-15 2003-11-15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301A Division KR100617526B1 (ko) 2004-02-24 2004-02-24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335Y1 true KR200342335Y1 (ko) 2004-02-18

Family

ID=4934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761U KR200342335Y1 (ko) 2003-11-15 2003-11-15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33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93B1 (ko) * 2008-12-08 2009-04-08 (주)한성 조립식 맨홀
KR100939824B1 (ko) 2008-02-28 2010-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말뚝과 그 시공방법
KR101067745B1 (ko) 2009-03-17 2011-09-28 이엑스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적층조립식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469712B1 (ko) * 2014-01-27 2014-12-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상수도용 프리캐스트 폴리머 콘크리트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6413A (ko)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4B1 (ko) 2008-02-28 2010-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말뚝과 그 시공방법
KR100892593B1 (ko) * 2008-12-08 2009-04-08 (주)한성 조립식 맨홀
KR101067745B1 (ko) 2009-03-17 2011-09-28 이엑스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적층조립식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469712B1 (ko) * 2014-01-27 2014-12-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상수도용 프리캐스트 폴리머 콘크리트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6413A (ko)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526B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 맨홀
CN210887523U (zh) 一种预制混凝土装配式雨水井
CN108951611B (zh) 渠式切割装配式地下连续墙及施工方法
JP3208379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KR200342335Y1 (ko)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오수맨홀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411659B1 (ko)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200423070Y1 (ko) 일체화된 조립식 맨홀의 구조
US10941537B2 (en) Prefabricated former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chamber
KR20070076560A (ko) 각도조절형 조립식 맨홀
KR101318655B1 (ko) 블럭 조립식 밸브실 맨홀
US20220042268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le foundations
KR200428388Y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KR20100063979A (ko) 연속벽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KR101676997B1 (ko) 캡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20026396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100740052B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KR200221895Y1 (ko) 맨홀암거
KR101511172B1 (ko) Cft 합성기둥과 rc 와이드 보의 접합부 구조
KR100747597B1 (ko) 복선 매설관의 밸브실 조립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CN217439120U (zh) 一种预制框架式可调管径检查井
CN220565281U (zh) 地下室的叠合式外墙施工缝处的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