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85Y1 -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85Y1
KR200396485Y1 KR20-2005-0018247U KR20050018247U KR200396485Y1 KR 200396485 Y1 KR200396485 Y1 KR 200396485Y1 KR 20050018247 U KR20050018247 U KR 20050018247U KR 200396485 Y1 KR200396485 Y1 KR 200396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d
pipe
tube
groundwat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배
채수근
Original Assignee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지에스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지에스이앤씨(주) filed Critical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 시공기준면을 재차 굴착하지 않고도 드레인보드 및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영구적으로 집수 및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최종 굴착면에 소정의 배열로 깔리는 토목섬유와; 상기 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드레인보드와; 상기 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레인보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과; 상기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소켓과; 상기 PDD관의 각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제2소켓과; 상기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 PDD관 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공면에 걸쳐 덮는 다수겹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Device for drain underground water for construction the same}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 시공기준면을 재차 굴착하지 않고도 드레인보드 및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영구적으로 집수 및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지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굴착이 종료된 지면(바닥면)이 기초 시공기준면이 되며, 이 기초 시공기준면을 기준으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기초 시공기준면에 지하수가 침투 유입 되는 경우, 지하수는 지하구조물(건축물)에 양압력으로 작용되며, 이 양압력은 지하구조물(건축물)의 바닥부와 그 주변 지하수위에 의한 수두차이에 의하여 발생되어 지하구조물(건축물)을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은 지하구조물(건축물)에 다음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지하수에 의해 발생되는 양압력이 지하구조물의 정하중(사하중+활하중)보다 크면 지하구조물(건축물)은 부상(뜸) 또는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양압력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메트(Mat)기초 또는 기초바닥슬래브 구역에 크랙(균열)이 발생되어, 결국 지하구조물(건축물)은 파괴된다.
또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이 지하구조물(건축물)의 정하중(사하중+활하중)보다 작더라도, 지하구조물(건축물)의 콘크리트 약화를 촉진하고, 시공접합부(조인트) 등을 통하여 지하수가 지하구조물(건축물) 내측으로 침투 유입되어 균열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층이 있는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에 대한 대책으로 지하구조물의 기초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락 앵커 등을 설치하여 양압력에 저항시키거나, 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구 및 배수시켜 양압력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의 공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460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지하층 지반을 굴착 완료후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에 별도의 트렌치를 소정 깊이로 더 굴착한 다음, 이 트렌치 내에 집수정과 연결되는 다발관과 자갈(쇄석) 등을 채우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초 시공기준면에 미리 배치된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를 통하여 지하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트렌치내의 다발관으로 지하수가 모여서 집수정으로 배수된 다음,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를 펌프로 강제 배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배수 시스템은 트렌치가 기초 시공기준면에 시공되고 또한 지하구조물과 간섭되므로,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이 감소되어 설계접지압에 미달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추가적인 트렌치 굴착은 시공성과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을 저하시키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과다 굴착에 따른 부분적으로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이 크게 감소될 수 있고, 트렌치와 트렌치 사이에 드레인보드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부분적으로 양압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보드와 다발관의 연결상태가 불량하여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키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양압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배수 구조 및 공법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을 재차 굴착하지 않고도 표준화된 자재로 개발되어 조립과 설치가 간단한 드레인보드 및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을 기초 시공기준면에 간편하게 시공함으로써, 굴착면 지반을 통해 침투 유입하는 지하수를 드레인보드를 통해 집수하는 동시에 집수 및 배수 역할을 하는 PDD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결국 지하수를 용이하게 영구적으로 집수 및 배수시켜 양압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한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PDD관은 그 구성이 내부와 외부 즉, 물이 흐르는 공간이 2중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은 배수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지하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외부배수로의 내측면의 연장을 극대화시켜 최소한의 단면으로도 외부배수로의 통수능력이 최대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하중에 가장 유리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원형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제작됨과 함께 내부와 외부 배수로를 연결판으로 강하게 직접 연결해줌으로써, PDD관의 굴곡강도와 충격강도를 극대화시켜 PDD관의 변형으로 인한 기초체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는:
최종 굴착면에 소정의 배열로 깔리는 제1토목섬유와; 상기 제1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드레인보드와; 상기 드레인보드를 감싸는 제2토목섬유와; 상기 제1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레인보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과; 상기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소켓과; 상기 PDD관의 각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제2소켓과; 상기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 PDD관 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공면상에 걸쳐 까는 2겹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PDD관은 배수구멍이 형성된 내부관과, 집수로가 형성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외경면과 외부관의 내경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배수구멍은 내부관의 사방위치에 배치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집수로는 외부관의 사방위치에 형성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ㅡ"자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DD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의 형상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소켓은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결하는 소켓으로서, 상기 PDD관의 외부관의 외경에 제2소켓으로 직접 연결되는 "ㅡ"자형의 중공관과; 이 중공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통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어 드레인보드의 선단부가 인입되는 중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켓은 PDD관을 직접 연결하는 소켓으로서, "ㅡ"자형, "+"자형, "T"자형, "L"자형, "Y"자형으로 성형된 중공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켓은 기초시공면이 단차(높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PDD관이 기초시공면에 원활하게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연성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소켓 및 제2소켓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PDD관의 가려진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관의 노출된 부분을 제2토목섬유로 덮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사용되는 PDD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그 단면도로서, 원형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PDD관(10)은 원형 단면 뿐만아니라 타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 다양한 단면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된 구성인 상기 PDD(Permanent Double Drain)관(10)은 이중 배수관 형태의 관으로서, 내부관(12)과 외부관(14), 그리고 내부관(12)과 외부관(14)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16)으로 구성되며,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의 형상으로 선택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PDD관(10)의 내부관(12)은 중공관으로서, 그 사방위치에 배수구멍(18)이 관통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18)은 내부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계속 형성된다.
또한,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은 상기 내부관(12)의 외경면에 이격되어 배열되는 중공관으로서, 그 사방위치에 배수구멍(18)보다 큰 폭의 집수로(20)가 형성되고, 이 집수로(20)는 외부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ㅡ"자로 절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관(12)의 외경면과 외부관(14)의 내경면 간에 4개의 연결판(16)이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내부관(12)과 외부관(14)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 표면은 제2토목섬유(40)로 모두 감싸서 집수로(20)를 통해 토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오직 지하수만 유입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PDD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보드용 제1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켓(22)은 후술하는 드레인보드(28)와 PDD관(10)을 연결해주는 소켓으로서, 상기 PDD관(10)의 외부관 외경에 직접 연결되는 중공관(24)과, 이 중공관(24)의 일측면(도 3의 (a)참조) 또는 양측면(도 3의 (b) 참조)에 연통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어 드레인보드(28)의 선단부가 인입되는 중공판(26)으로 구성된다.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집배수장치인 PDD관에 연결되는 여러 형태의 연결용 제2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소켓(30)은 PDD관(10)을 직접 연결해주는 소켓으로서, "ㅡ"자형, "+"자형, "T"자형, "L"자형, "Y"자형 그리고 설계 조건 및 시공부지면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PDD관(10), 제1소켓(22) 및 제2소켓(30)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를 도 7을 참조하여 그 시공 방법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지하 부분을 시공하기 위하여 굴착작업을 시행하는 바, 굴착작업이 종료된 지표면 즉, 기초 시공기준면을 고르게 정리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 시공기준면의 설계 배치 기준에 따라 제1토목섬유(32)를 소정의 배열로 깔아주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제1토목섬유(32)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 유입되는 지하수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여 초기집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제1토목섬유(32)상에 지하수 침투해석을 시행하여 소정의 설계 배치 기준대로 드레인보드(28)를 배치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바, 상기 드레인보드(28)는 첨부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토목섬유(40)로 감싸여져 시공되며 제2토목섬유(40)로 흡수된 지하수를 집수하기 위한 중간 경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드레인보드(28)의 상부는 평평한 판체로 되어 있고, 이 판체의 저면에 볼록한 다수의 돌기(34)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써, 돌기(34)는 상부하중을 굴착면 바닥에 전달시키고, 또한 돌기(34) 사이로 지하수의 흐름이 유도된다.
그리고, 드레인보드(28)의 표면은 모두 제2토목섬유(40)로 감싸여져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지하수만 침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토목섬유(32)상에 지하수 침투해석을 시행하여 소정의 설계 배치 기준대로 PDD관(10)을 배치하는 동시에 각 조인트 부위를 제2소켓(30)으로 연통되게 연결한다.
즉, 지하수의 집수정까지 PDD관(10)을 연결함에 있어서, 직선 배열, 교차 배열, 또는 직각 배열, 또는 다양한 각도의 곡선 배열을 통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각 PDD관(10)의 조인트 부위를 상기 제2소켓(30)으로 연결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소켓(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ㅡ"자형, "+"자형, "T"자형, "L"자형, "Y"자형 등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PDD관(10)의 각 조인트 부위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연결하면 된다.
특히, 상기 제2소켓(30)은 강성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제작되기도 하지만, 기초시공면의 단차 발생 구간에 PDD관(10)의 밀착 설치가 원활하게 되도록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드레인보드(28)와 PDD관(10)을 제1소켓(22)으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단계도 진행된다.
즉, 상기 PDD관(10)은 제2소켓(30)을 통해 중공관과 연결하는 동시에 이 중공관(24)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판(26)에 드레인보드(28)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면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토목섬유(32,40), 드레인보드(28), PDD관(10) 및 소켓(22,30)들이 시공된 기초 시공기준면상에 전체적으로 2겹의 폴리에틸렌 필름(36)을 깔아주어 지하수가 기초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36)의 상면에 걸쳐 버림콘크리트(38)를 타설하는 등의 후속공정을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시공된 본 고안의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의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 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기초 시공기준면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는 상기 제1토목섬유(32)에서 흡수되어, 드레인보드(28)를 통해 제1소켓(22)의 중공판(26)을 지나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쪽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의 집수로(20)을 통하여 지하수가 유입되는 동시에 배수되며, 상기 드레인보드(28)를 통해 집수된 물이 합쳐지면서 많아지면 상기 PDD관(10) 내부관(12)의 배수구멍(18)을 통해 내부관(12)의 내부 및 또 다른 외부관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즉,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과 집수로(20)와 드레인 보드(28)을 통해 집수된 지하수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PDD관(10)의 내부관(12)과 외부관(14) 내부를 따라 최종적으로 집수정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지하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기초 지반으로 침투 유입되는 지하수가 드레인 보드(28) 및 PDD관(10)을 통하여 용이하게 집수되어 집수정으로 배수된다.
한편, 첨부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켓(22) 및 제2소켓(30)에 의하여 상기 PDD관(10)의 가려진 부분을 제외한 외부관(14)의 노출부분을 제2토목섬유(40)로 직접 덮어줌으로써, 제2토목섬유(40)를 통해 집수로로 유입된 지하수가 곧바로 상기 PDD관(10)의 외부관(14)의 집수로(20) 뿐만아니라 내부관(12)의 배수구멍(18)을 통하여 신속하게 집수 및 배수되어,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에 침투 유입하는 지하수의 집배수 장치에 의하면, 표준화된 자재인 드레인보드와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을 기초 시공기준면에 간편하게 시공함으로써, 굴착면 지반을 통해 침투하는 지하수를 드레인보드를 통해 집수하는 동시에 집수 및 배수 역할을 하는 PDD관을 통해 집수정까지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특히, 집수 및 배수장치의 규격이 작기 때문에 버림콘크리트 내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므로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을 재차 굴착하여 트렌치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PDD관은 그 구성이 내부와 외부 즉, 물이 흐르는 공간이 2중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은 배수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지하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외부배수로의 내측면의 연장을 극대화시켜 최소한의 단면으로도 외부배수로의 통수능력이 최대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PDD관은 외부하중에 가장 유리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원형의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와 외부 배수관를 연결판으로 강하게 직접 연결해줌으로써, PDD관의 굴곡강도와 충격강도를 극대화시켜 PDD관의 변형으로 인한 기초체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지하구조물(건축물) 하부지반으로 침투 유입하는 지하수의 집배수 장치는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의 감소 없이 지하수를 영구적으로 용이하게 집수 및 배수시켜 양압력을 배제함으로써, 토목 및 건축의 지하구조물 뿐만아니라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사용되는 PDD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사용되는 PDD관으로서, 원형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사용되는 PDD관으로서, 원형 단면 형상 외에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PDD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보드용 제1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PDD관에 연결되는 여러 형태의 연결용 제2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따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도 5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5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의 드레인보드 및 제2토목섬유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DD관 12 : 내부관
14 : 외부관 16 : 연결판
18 : 배수구멍 20 : 집수로
22 : 제1소켓 24 : 중공관
26 : 중공판 28 : 드레인보드
30 : 제2소켓 32 : 제1토목섬유
34 : 돌기 36 : 폴리에틸렌 필름
38 : 버림 콘크리트 40 : 제2토목섬유

Claims (8)

  1.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에 있어서,
    최종 굴착면에 소정의 배열로 깔리는 제1토목섬유와;
    상기 제1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드레인보드와;
    상기 드레인보드를 감싸는 제2토목섬유와;
    상기 제1토목섬유상에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레인보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중 배수관 형태의 PDD관과;
    상기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소켓과;
    상기 PDD관의 각 조인트 부분을 연결하는 제2소켓과;
    상기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 PDD관 등을 포함하는 전체 시공면상에 걸쳐 까는 2겹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DD관은 배수구멍이 형성된 내부관과;
    집수로가 형성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외경면과 외부관의 내경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DD관의 내부관의 배수구멍은 내부관의 사방위치에 배치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외부관의 집수로는 외부관의 사방위치에 형성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ㅡ"자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DD관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의 형상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은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결하는 소켓으로서, 상기 PDD관의 외부관의 외경에 제2소켓으로 직접 연결되는 "ㅡ"자형의 중공관과; 이 중공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통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어 드레인보드의 선단부가 인입되는 중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소켓은 PDD관을 직접 연결하는 소켓으로서, "ㅡ"자형, "+"자형, "T"자형, "L"자형, "Y"자형으로 성형된 중공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소켓은 기초시공면이 단차(높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PDD관이 기초시공면에 원활하게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연성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 및 제2소켓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PDD관의 가려진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관의 노출된 부분을 제2토목섬유로 덮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20-2005-0018247U 2005-06-24 2005-06-24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200396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47U KR200396485Y1 (ko) 2005-06-24 2005-06-24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47U KR200396485Y1 (ko) 2005-06-24 2005-06-24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759A Division KR100616123B1 (ko) 2005-06-24 2005-06-24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85Y1 true KR200396485Y1 (ko) 2005-09-23

Family

ID=4369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47U KR200396485Y1 (ko) 2005-06-24 2005-06-24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8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72B1 (ko) * 2007-01-03 2008-04-07 박옥교 공극로를 이용한 배수로 구조 시공방법
KR200445948Y1 (ko) * 2007-07-03 2009-09-11 엄기형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KR100926694B1 (ko) * 2007-09-18 2009-11-17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KR101100364B1 (ko) 2009-09-23 2011-12-30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KR101420821B1 (ko) 2012-12-06 2014-07-17 엄기형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의 흡배수재
WO2020019060A1 (en) * 2018-07-23 2020-01-30 Tarapaski William Ernest Rods and assemblies of rod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wat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72B1 (ko) * 2007-01-03 2008-04-07 박옥교 공극로를 이용한 배수로 구조 시공방법
KR200445948Y1 (ko) * 2007-07-03 2009-09-11 엄기형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KR100926694B1 (ko) * 2007-09-18 2009-11-17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KR101100364B1 (ko) 2009-09-23 2011-12-30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KR101420821B1 (ko) 2012-12-06 2014-07-17 엄기형 지하 주차장 슬라브 상부의 인공지반 조경 배수시스템의 흡배수재
WO2020019060A1 (en) * 2018-07-23 2020-01-30 Tarapaski William Ernest Rods and assemblies of rod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water
CN112888825A (zh) * 2018-07-23 2021-06-01 威廉·欧内斯特·塔拉帕斯基 用于收集和输送水的杆和杆组件
CN112888825B (zh) * 2018-07-23 2023-08-08 威廉·欧内斯特·塔拉帕斯基 用于收集和输送水的杆和杆组件
US11987945B2 (en) 2018-07-23 2024-05-21 William Ernest TARAPASKI Rods and assemblies of rod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8186127B1 (en) Basement water drainage method for use with a foundation having no footing
US8590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0659599B1 (ko)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20140096731A (ko) 굴착지반의 지하수 배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로시공 방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JP2006336338A (ja) 水抜管及び水抜管を用いた排水方法
JP2923498B1 (ja) 水抜き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土留め用支保工
KR100926694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JP4862706B2 (ja) 地中壁構造物内に井戸を構築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井戸の利用方法
KR100317530B1 (ko)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313164Y1 (ko)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JP2004278287A (ja) 透水性鋼管山留め式擁壁構造
KR200431569Y1 (ko) 판형 배수재
KR20150108342A (ko) 굴착지반의 지하수 배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로시공 방법
JP4590196B2 (ja) 雨水貯溜槽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524136B1 (ko)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그의 구축방법
KR200434601Y1 (ko)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20090029530A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용 드레인관
CN217734108U (zh) 新型可接入大埋深电缆的室外电缆沟构造
KR102600671B1 (ko) 배수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