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76B1 -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76B1
KR100789976B1 KR1020060121750A KR20060121750A KR100789976B1 KR 100789976 B1 KR100789976 B1 KR 100789976B1 KR 1020060121750 A KR1020060121750 A KR 1020060121750A KR 20060121750 A KR20060121750 A KR 20060121750A KR 100789976 B1 KR100789976 B1 KR 10078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board
drainage
soft groun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권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윤영권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권, 김용수 filed Critical 윤영권
Priority to KR102006012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드레인보드의 연약지반 타설시 발생되는 잔여길이를 연결함에 있어서 조인트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드레인보드의 유공관과 배수공간이 끊김 없이 연속되도록 연결하고, 코어를 구성하는 유공관 및 유공관과 유공관보호부재가 형성하는 외부배수공간에 의해 2중의 배수가 이루어져 보다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부배수 기능을 위한 원형관 형태의 코어를 넣어서 토압에 의해 코어재의 형상이 함몰 또는 절곡되지 않도록 하여 배수공간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배수기능 및 외부배수기능에 의한 이중의 배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지중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는 유공관과, 이 유공관이 일정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양측면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형 단면형상을 가진 보호부재로 이루어진 코어재를 포함한 드레인보드를 케이싱의 내부에 관입하는 드레인보드 관입단계; 상기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여 케이싱의 선단을 밀봉하되,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의 끝단을 상기 드레인슈에 끼워지도록 고정한 상태로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는 드레인슈 설치단계; 상기 케이싱을 드레인 압입장치로 연약지반에 압입하여 드레인슈와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의 심도 끝까지 매설하는 케 이싱 압입단계; 상기 드레인보드의 매설시 미리 타설된 드레인보드 및 연결하고자 하는 드레인보드를 조인트부재로 연결하여 각 드레인보드의 유공관과 배수공간을 연통시켜 줌으로써 연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보드 연결단계;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여 드레인 슈와 드레인보드의 설치가 완료되면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싱만을 지상으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드레인슈 및 드레인보드를 계획된 배공간격대로 설치한 후 연약지반의 상부에 성토용 토사를 포설하여 상재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드레인보드, 코어재, 여과부직포, 유공관, 외부배수공간, 보호부재, 조인트부재, 드레인슈, 걸림톱니

Description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The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with drain board having consecutive drainage space}
도 1 은 종래의 드레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플라스틱 드레인보드가 지중 토압의 영향으로 인하여 배수공간이 줄어드는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에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플라스틱 코어재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드레인보드를 형성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의 배수공간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의 측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구비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구비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의 배수공간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의 배수공간 단면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유공관에 형성된 천공홀이 서로 관통되지 아니하고 X자형으로 교차구성된 것을 보인 실시예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 은 도 15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이용한 드레인보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이용한 드레인보드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레인보드 (20) : 코어재
(21) : 유공관 (21a) : 육각형 단면 유공관
(21b) : 사각형 단면 유공관 (22) : 천공홀
(23) : 보호부재 (23a) : 수직부재
(23b) : 수평부재 (23c) : 보강재
(24) : 외부 배수공간
(25) : 사선라인 (30) : 여과부직포
(40) : 조인트부재 (41) : 몸체부
(42) : 상부판 (43) : 하부판
(44) : 측면판 (45) : 삽입공
(46)(46a) : 걸림톱니 (47) : 배수공
(50) : 드레인슈 (51) : 수평플레이트
(52) : 수직플레이트 (53) : 고정틀
(54) : 이격공간
(100) : 연약지반 (101) : 표층부
(102) : 드레인 압입장치 (103) : 롤
(104) : 케이싱 (200) : 코어재
(201) : 여과부직포
본 발명은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적으로 배열된 유공관과 이 유공관을 연결하는 보호부재에 의한 2중구조의 배수공간이 구비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유공관의 변형을 막아주고, 드레인보드의 배수공간이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배수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드레인보드와 드레인슈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용이하고, 케이싱의 인발시 드레인보드의 공상현상을 최소화하여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을 최소화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 또는 호수, 늪지대 및 해안 등을 매립한 매립지나 연약지반의 경우 토층 내부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지반이 약함으로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건설하기에 부적합함으로, 따라서 이러한 수분을 제거하여 연약한 지반을 단단하게 개량시키는 공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연직배수공법에는 보통 드레인보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드레인 보드로서 도 1에는 종래의 부직포를 씌운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이고, 도 2에는 종래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가 지중 토압의 영향으로 인하여 배수공간이 줄어드는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서 발생하는 토압으로 인하여 "+++++"형 평단면형상을 가진 코어 재(200)를 둘러싸고 있는 여과부직포(201)가 토압에 의하여 코어재의 배수공간을 막아 배수 단면을 축소시킴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드레인 보드 코어재는 좌, 우 대칭의 비워진 배수 공간만을 확보하고 있어 토압에 의한 배수 막힘 현상을 유발시키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드레인보드는 과재하중 재하시 압밀침하로 인한 토압으로 인해 국부적 응력이 발생하여 지중에서 절곡 또는 절단 현상이 발생하고, 지중 횡압 및 측압에 의하여 드레인 보드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Filter)가 밀려들어 배수 통로 단면적이 축소되어 배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혹은 그 기능을 상실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상시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드레인보드 중 상기와 같은 "+++++"형 코어재 말고 유공관으로 이루어진 드레인보드는 그 형상이 다수개의 유공관을 연속 또는 독립된 유공관을 연결재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 드레인보드는 유공관을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없어 과재하중 재하 시 압밀침하로 인한 토압으로 지중에서 절곡 또는 절단 현상에 대한 저항이 부족하고, 지중 횡압 및 측압에 의하여 드레인 보드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Filter)가 유공관의 천공홀로 밀려들어 배수 통로 단면적이 축소되어 배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혹은 그 기능을 상실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유공관을 가진 드레인보드 중 연속되는 유공관의 바깥부분으로 상기 "+++++"형과 같은 보강구조가 개시된 것이 있는데, 이러한 보강구조가 비록 유 공관 구조의 바깥쪽으로 보강구조가 보충되어 있지만 독립되지 않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유공관 구조에 상기 "+++++"형과 같은 보강부재가 바깥쪽으로 설치된 형상으로 상기 "+++++"형 드레인보드의 단점인 과재하중 재하 시 압밀침하로 인한 토압으로 지중에서 절곡 또는 절단 현상이 발생하고, 지중 횡압 및 측압에 의하여 드레인 보드를 감싸고 있는 부직포(Filter)가 배수로 내부로 밀려들어 배수 통로 단면적이 축소되어 배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그대로 재현되었다.
한편 상기 드레인보드는 한 롤의 길이가 보통 200~300M 로 구성되어 있어, 시공깊이에 따라 드레인보드의 잔여길이가 모자랄 경우에는 다른 롤의 드레인보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재비가 과다 소요되며, 잔여 부분은 환경훼손의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시공의 편의상 작업자가 임의로 드레인보드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스테이플러(stapler)를 이용하여 결속시키고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분에서 물의 흐름이 막혀버리므로 원하는 통수능력을 얻을 수 없어 연약지반의 개량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드레인슈에 드레인보드를 묶어 드레인보드와 드레인슈를 연결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드레인보드를 드레인슈에 연결할 경우에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워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묶여진 부분이 손쉽게 풀려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드레인보드의 연약지반 타설시 발생되는 잔여길이를 연결함에 있어서 조인트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드레인보드의 유공관과 배수공간이 끊김 없이 연속되도록 연결하고, 코어를 구성하는 유공관 및 유공관과 유공관 보호부재가 형성하는 외부배수공간에 의해 2중의 배수가 이루어져 보다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토압에 의해 코어재의 형상이 함몰 또는 절곡되지 않도록 하여 배수공간이 막히지 않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수가 배수되는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감싸 토사의 유입을 방지해주는 여과부직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탈수방법에 있어서, 내부배수기능 및 외부배수기능에 의한 이중의 배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지중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는 유공관과, 이 유공관이 일정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양측면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형 단면형상을 가진 보호부재로 이루어진 코어재를 포함한 드레인보드를 케이싱의 내부에 관입하는 드레인보드 관입단계; 상기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여 케이싱의 선단을 밀봉하되,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의 끝단을 상기 드레인슈에 끼워지도록 고정한 상태로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는 드레인슈 설치단계; 상기 케이싱을 드레인 압입장치로 연약지반에 압입하여 드레인슈와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의 심도 끝까지 매설하는 케이싱 압입단계; 상기 드레인보드의 매설시 미리 타설된 드레인보드 및 연결하고자 하는 드레인보드를 조인트부재로 연결하여 각 드레인보드의 유공관과 배수공간을 연통시켜 줌으로써 연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보드 연결단계;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여 드레인 슈와 드레인보드의 설치가 완료되면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싱만을 지상으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드레인슈 및 드레인보드를 계획된 배공간격대로 설치한 후 연약지반의 상부에 성토용 토사를 포설하여 상재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보드 연결단계의 조인트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드레인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드레인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단부에서 하부판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타측단부에서 상부판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끝단이 몸체부의 내부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져 있는 다수의 걸림톱니와;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에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되어 수분 유입을 유도하는 다수의 배수공; 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두 드레인보드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걸림톱니에 걸려짐으로써, 유공관과 배수공간을 연통하여 연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와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는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하여 드레인보드 전체에 가해지는 고정력이 균등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과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은 서로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고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지중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슈는 케이싱의 관경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싱의 단부를 덮어주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소정의 이격공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가 이격공간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단에서 수직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하부방향으로 향해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톱니; 로 구성되어, 고정틀과 수직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진 드레인보드가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의 폭은 드레인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공관의 외경보다 1mm(일측 0.5mm) 크게 구성하여, 판형 드레인의 대표적 취약점인 절곡과 꺽임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에 형성된 천공홀은 이웃하는 다수개의 유공관과 일측면 상에서 사선라인을 형성하고, 일측면상과 대향하는 타측면상에는 일측면상에 형성된 사선라인과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도록 X자형으로 교차되어 반대방향에서 사선라인을 가지게 가공함으로써 코어재의 휨 강성을 높이고 상호 변형에 강한 저항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면상의 유공관에 가공된 천공홀은 양측면상에 사선라인을 구 성하여 천공하되, 각 측면의 사선라인이 중첩되지 않도록 가공하여 측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배수재의 전단강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의 단면 형상은 횡압 및 측압에 강하게 저항하도록 원형단면, 사각형단면, 육각형단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횡압 및 측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의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천공홀의 간격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천공홀과 개별 천공홀의 직경 기준 천공홀 3~4개의 직경길이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킴으로써 유공관의 길이방향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휨 강도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재의 각 유공관 사이에는 보호부재를 배치시켜 유공관을 지지해주고, 측압에 의한 필터재인 여과부직포가 밀려옴을 방지하여 보다 넓은 통수단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 단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기 각 수직부재의 상하 양 끝단에 보강재를 추가하여 외부응력에 대한 보호부재의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하며, 상기 보강재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수직부재의 상하 양끝단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재의 좌, 우측 양 끝단에 위치하는 보호부재의 수평부재 외측 단부에도 보강재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에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플라스틱 코어재에 부직포를 부착하여 드레인보드를 형성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코어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의 배수공간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단면의 유공관이 구비된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연약지반(100)상에서 드레인 압입장치(102)나 기타 건설장비의 주행과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층부(101)를 형성한 후 드레인 압입장치(102)를 이용해 연약지반(100)의 내부에 드레인보드(10)를 타설하여 연약지반(100)을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보드(10)를 연약지반(100)에 타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드레인보드 압입장치(102)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싱(104)의 내부에 드레인보드(10)를 관입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싱(104)의 선단에 드레인슈(50)를 설치하되, 케이싱(104)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10)와 드레인슈(50)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압입장치(102)를 이용하여 연약지반(100)의 심도 끝까지 케이싱(104)을 압입함으로써 드레인슈(50)와 드레인보드(10)가 연약지반(100)의 내부에 타설되는 케이싱 압입단계와, 상기 케이싱(104)을 압입하여 드레인슈(50)와 드레인보드(10) 의 연약지반(100) 설치가 완료되면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싱(104)만을 지상으로 인발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드레인슈(50) 및 드레인보드(10)를 계획된 배공 간격대로 설치한 후 연약지반(100)의 상부에 성토용 토사를 포설하여 상재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토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드레인보드(10)의 연약지반 타설시에, 드레인보드(10)는 롤(103)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케이싱(104)의 시공 깊이에 상응하도록 풀려지면서 지중으로 타설되는데, 이때 드레인보드(10)의 한 롤(103)의 잔여 길이가 케이싱(104)이 압입되는 시공깊이보다 짧을 경우 케이싱(104)의 내부에 타설되고 있는 드레인보드(10)와 연결하고자 하는 별도의 롤(103)에 감겨진 드레인보드(10)를 조인트부재(40)로 연결하여 드레인보드(10)의 배수작용이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보드(10)는 지중수 유입용 천공홀(22)이 구비된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유공관(21)과, 상기 원형단면을 가진 유공관(21) 사이에서 드레인보드(10)의 외부 돌출 고정 지지대인 "+"형 단면형상을 가진 유공관 보호부재(23)로 이루어진 코어재(20)와, 상기 코어재(20)를 감싸 코어재(20)의 내부로 토사의 유입일 방지하도록 하는 여과부직포(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공관(21)과, "+"형 단면형상을 가진 유공관 보호부재(23)가 연속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드레인보드(10)의 강도가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수분 유입용 천공홀(22)이 이웃하는 유공관(21)의 동일면상에 형성된 천공홀(22)과 사선 라인(25)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지중에서 발생되는 토압에도 천 공홀(22)로 인한 코어재(20)의 절곡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과부직포(30)를 이용하여 코어재(20) 전체를 덮어줌으로써 원형 단면 유공관(2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배수공간과 여과부직포(30)와 코어재(20)를 보호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유공관 보호부재(23)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외부 배수공간(24)이 확보됨으로써 2중의 배수구조가 형성되고, 이러한 2중의 배수구조에 의해 연약지반 내부의 지중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구비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구비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코어재(20)를 형성하는 상기 유공관(21)과 보호부재(23)의 배치시에 코어재(20)의 양끝단으로는 보호부재(2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호부재(23)가 코어재(20)의 양끝단에 배치됨으로써 유공관(21)을 지지해주고, 양단에 유공관(21)이 배치되었을 경우보다 넓은 배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코어재(20)의 양끝단에 유공관(21)이 위치할 경우에는 여과부직포(30)가 유공관(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유공관(21)과 여과부직포(30) 사이로는 배수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나, 본 발명과 같이 코어재(20)의 양끝단에 보호부재(23)가 배치됨으로써 보호부재(23)의 "+"단면형상에 의해 여과부직포(30)와 보호부재(23) 사이에 배수공간이 형성되어 보다 넓은 통수단면을 가지게 되며, 코 어재 양 끝단에서 보호부재가 유공관을 보호하게 함으로써 유공관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호부재(23)는 "+" 단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23a)와 수평부재(2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재(23a)의 상하 양단으로는 외부응력을 분산시켜 휨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보강재(23c)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재(23c)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수직부재 양 끝단의 보강재(23c)는 수직부재에 가해지는 측압을 분산시켜 코어재의 전단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강재(23c)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코어재(20)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호부재(23)의 수평부재(23b) 외측 단부에 보강재(23c)가 더 구비됨으로써 코어재(20)의 끝단에 위치한 유공관을 보호하고, 보다 많은 통수단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단면의 유공관을 가진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의 배수공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코어재(20)에서 내부 배수 기능을 수행하는 유공관(21)의 형상을 상호 저항강도에 강한 육각형 단면의 유공관(21a) 구조로 성형하여 지중에서 토압에 의한 형상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단면의 유공관을 가진 플라스틱 드레인보드 코어재의 배수공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코어재(20)에서 내부 배수 기능을 수행하는 유공관(21)의 형상을 상호 저항 강도에 강한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 단면 유공관(21b) 구조로 성형하여 지중에서 토압에 의한 형상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도 12 는 본 발명 유공관에 형성된 천공홀이 서로 관통되지 아니하고 X자형으로 교차구성된 것을 보인 실시예도를 보이고 있는데, 일측면상에 형성된 사선 라인(25)의 천공홀(22)과 반대측면인 타측면상에는 상기 일측면상에 형성된 사선라인(25)과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도록 X자형으로 교차되어 반대방향에서 사선라인(25)을 가지게 천공홀(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일측면과 타측면상에 천공홀(22) 형성시 천공홀(22)이 동일축상에 형성되지 않게 가공함으로써 유입된 지중수가 일측에서 들어와 타측으로 빠져 나가는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배수효율이 현저하게 증진함을 알 수 있고, 또한 마주보고 천공홀(22)이 형성시 발생되는 횡압이나 측압에 의한 유공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드레인보드(10)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최종침하량은 같다는 가정 하에 무처리 조건과 배수재가 타설된 조건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침하경향을 통해 압밀도를 분석해 보면, 시험 종료 시 무처리 상태의 경우 95%압밀도에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68시간이 반면, 본 발명의 코어재를 구비한 드레인보드일 경우에는 228시간 정도로 상당히 감소되는 결과를 보인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통수능 변화에 대해 본 발명의 드레인보드와 도1의 드레인보드의 통수능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표1을 통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
본 발명의 드레인보드 도 1 의 드레인보드
상재압 0.5kg/cm2 의 구속조건에서의 초기 통수능 60.7~63.9 cc/sec 44.9~50.3 cc/sec
상재압 1kg/cm2의 구속조건에서의 통수능 57.3~58.7 cc/sec 40.2~41.3 cc/sec
상재압 2kg/cm2의 구속조건에서의 통수능 42.1~43.6 cc/sec 31.7~33.8 cc/sec
상재압 3kg/cm2의 구속조건에서의 통수능 34.8~37.6 cc/sec 25.1~28.3 cc/sec
상재압 4kg/cm2의 구속조건에서의 통수능 31.2~33.5 cc/sec 20.4~23.5 cc/sec
상재압 5kg/cm2의 구속조건에서의 통수능 24.4~26.1 cc/sec 15.3~16.8 cc/sec
상기 표1과 같은 시험결과 본 발명의 유공관(21) 및 유공관(21)과 "+" 형 보호부재(23)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배수공간(24)을 통한 2중배수구조에 의해 종래의 드레인보드 보다 현저한 통수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높은 상재압을 가지는 장심도에서도 탁월한 통수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드레인보드(10)에 2중배수구조에 의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다수의 유공관(21)과 보호부재(23)로 인해 강도가 증대되어 장심도에서도 절곡되지 않고 여과부직포(30)에 의해 배수로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통수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 은 도 15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를 이용한 드레인보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조인트부재(40)는, 전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삽입공(45)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삽입공(45)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5)을 통해 끼워지는 드레인보드(10)를 고정하는 다수의 걸림톱니(46)와, 상기 몸체부(41)에서 삽입공(45)으로 천공되어 몸체부(41)의 내부로 수분 유입을 유도하는 다수의 배수공(47)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부(41)의 삽입공(45) 일측으로는 미리 타설되어 있는 드레인보드(10)가 삽입되고 삽입공(45)의 타측으로는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드레인보드(10)를 삽입한 후 두 드레인보드(10)를 서로 맞닿도록 하여 고정해주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41)는 서로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42) 및 하부판(43)과, 상기 상부판(42)과 하부판(43)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측면판(44)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되는 삽입공(45)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톱니(46)는 상기 상부판(42)의 일측단부에서 하부판(43)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부판(43)의 타측단부에서 상부판(42)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삽입공(45)을 통해 몸체부(41)의 내부에 끼워지는 드레인보드(10)를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톱니(46)는 돌출된 끝단이 몸체부(41)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져 있어, 드레인보드(10)가 조인트부재(40)의 몸체부(41)에 형성된 삽입공(45)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걸림톱니(46)의 휘어진 방향에 의해 저항이 최소화되어 드레인보드(1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케이싱(104)의 인발시에는 드레인보드(10)가 휘어진 걸림톱니(46)의 끝단에 걸려져 저항력이 최대가 되어 드레인보드(10)가 조인트부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4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46)와, 하부판(4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46)는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미리 타설된 드레인보드(10)와 연결하고자하는 다른 드레인보드(10) 전체에 균등하게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톱니(46) 끝단의 휘어진 부분은 몸체부(41)의 내측 방향을 향해 25˚~ 30˚의 각도로 휘어져 있어 드레인보드(10)가 삽입될 경우는 걸림톱니(46)에 저항 없이 삽입되고, 삽입된 드레인보드(10)는 휘어져 있는 걸림톱니(46)에 의해 걸려져 조인트부재(40)에서 이탈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톱니(46)의 각도가 25˚미만일 경우에는 걸림톱니(46)가 드레인보드(10)에 잘 걸려지지 않게 되고 30˚초과일 경우에는 걸립톱니(46)의 휨 과정에서 제조 원가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25˚~ 30˚각도로 한정한다.
한편 상기 배수공(47)은 몸체부(41)의 상부판(42) 및 하부판(43)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41)의 삽입공(45)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하여 조인트부재(40)에 의한 드레인보드(10)의 연결부위에서도 지중수가 유입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공(47)은 상부판(42) 및 하부판(43)에 형성시 서로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고 교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판(42)의 배수공(47)을 통해 유입되는 지중의 지중수가 하부판(43)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47)을 통해 빠져나가는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효율이 현저하게 증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인트부재(40)는 두 드레인보드(10)의 서로 맞닿도록 연결해줌으로써 두 드레인보드(10)에 형성되어 있는 유공관(21)과 외부 배수공 간(24)이 연통되어 드레인보드(10)의 연결부분에서도 연속적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드레인슈를 이용한 드레인보드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드레인슈(50)는 케이싱(104) 삽입시 케이싱(104)의 선단을 덮어줄 수 있도록 케이싱(104)의 관경보다 넓은 크기로 제작되는 수평플레이트(5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51)의 상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52)와,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일측면에서 소정의 이격공간(54)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04)의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10)가 이격공간(54)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틀(53)과, 상기 고정틀(53)의 상단에서 수직플레이트(52)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고정틀(53)과 수직플레이트(52) 사이의 이격공간(54)으로 끼워진 드레인보드(10)를 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걸림톱니(46a)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톱니(46a)의 끝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51)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틀(53)과 수직플레이트(51) 사이로 끼워진 드레인보드(1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코어재(20)와 여과부직포(30)에 걸려지게 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고, 케이싱(104)을 타설한 다음 케이싱(104)을 회수할 경우 걸림톱니(46a)의 저항성으로 드레인보드(10)의 공상(따라오름)현상을 최소화하여 케이싱(104)의 인발시 드레인보드(10)의 유동공간으로 침투하는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플레이트(51)는 케이싱(104)의 지중 삽입이 케이싱(104)의 선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며, 또한 케이싱(104)을 인발할 경우 지중에 고정되어 끌려 올려짐을 방지하는 앵커역할을 하여 드레인보드(10)가 압입된 심도에 자리 잡으면서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드레인슈(50)는 드레인보드(10)의 연결시, 드레인보드(10)를 단순히 고정틀(53)과 수직플레이트(52)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끼워넣음으로써 걸림톱니(46a)에 의해 드레인보드(10)를 고정할 수 있어 드레인보드(10)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배수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레인보드(10)의 안전한 지중 타설이 가능하도록 드레인 압입장치(102)에 구비된 케이싱(104)의 내부에 드레인보드(10)를 관입한다.
그런 다음 케이싱(104)의 선단에 드레인슈(50)를 설치하여 케이싱(104)의 선단을 밀봉하되, 케이싱(104)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10)를 드레인슈(50)의 수직플레이트(52)와 고정틀(53) 사이의 이격공간(54)으로 삽입하여 걸림톱니(46a)에 걸려지도록 고정한 상태로 드레인슈(50)를 설치하여 케이싱(104)의 선단을 밀봉한다.
그런 다음 드레인 압입장치(102)를 이용하여 케이싱(104)을 지중에 압입하여 드레인슈(50)와 드레인보드(10)가 연약지반(100)의 심도 끝까지 매설되도록 한다.
이렇게 드레인보드(10)와 드레인슈(50)가 지중에 매설되면 상기 케이싱(104) 만을 지상으로 인발하게 되며, 이때 상기 드레인슈(50)가 앵커역할을 하여 지중에 견고히 고정되어 드레인보드(10)의 공상현상을 최소화하여 케이싱(104)의 인발시 유동공간으로 침투하는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넓은 부지의 연약지반(100)에 미리 계획된 배공간격대로 다수의 드레인보드(10)를 설치하고, 연약지반(100)의 상부에 성토용 토사를 포설하여 상재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드레인보드(10)의 지중 타설시 타설되는 드레인보드(10)의 잔여길이가 시공깊이보다 짧을 경우 타설되는 드레인보드(10)와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드레인보드(10)를 조인트부재(40)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케이싱(10)을 관입하여 드레인보드(10)를 설치한다. 이때 조인트부재(40)에 의해 연결되는 두 드레인보드(10)는 선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연결되어 유공관(21)에 의한 내부배수공관과 유공관(21)과 보호부재(23)에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배수공간(24)이 연통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재(40)는 삽입공(45)으로 삽입되는 드레인보드(10)가 유동되지 않고 유공관(21)과 외부 배수공간(24)이 보다 정확하게 맞닿아 연통될 수 있도록 드레인보드(10)가 꽉 물려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유공관을 통한 내부배수 및 유공관과 보호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외부배수공간을 통한 2중의 배수가 가능하여 원활한 지중수의 배수가 가능하고,
불변형 유공관과 이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어 지중에서 발생하는 토압에 의한 부직포의 밀림현상에도 배수 단면적이 확보되고, 외부 압력에 대한 높은 저항 강도로 인하여 지중에서 종래의 코어재들이 가지는 잦은 형상의 변형으로 인한 배수능력 저하를 억제하며,
조인트부재의 걸림톱니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두 드레인보드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드레인보드 연결시 유공관을 통한 내부배수공간과 외부배수공간을 연통시켜줌으로 연결부위에서 끊김 없는 지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고, 드레인보드의 드레인슈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코어재의 양끝단에 보호부재가 배치되도록 하여 유공관을 보호하고 통수단면이 확장되며 보호부재에 보강재가 더 구비되어 외력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외부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4)

  1. 지중수가 배수되는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를 감싸 토사의 유입을 방지해주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탈수함에 있어서,
    내부배수기능 및 외부배수기능에 의한 이중의 배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지중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는 유공관과, 이 유공관이 일정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양측면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형 단면형상을 가진 보호부재로 이루어진 코어재를 포함한 드레인보드를 케이싱의 내부에 관입하는 드레인보드 관입단계;
    상기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여 케이싱의 선단을 밀봉하되,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의 끝단을 상기 드레인슈에 끼워지도록 고정한 상태로 케이싱의 선단에 드레인슈를 설치하는 드레인슈 설치단계;
    상기 케이싱을 드레인 압입장치로 연약지반에 압입하여 드레인슈와 드레인보드를 연약지반의 심도 끝까지 매설하는 케이싱 압입단계;
    상기 드레인보드의 매설시 미리 타설된 드레인보드 및 연결하고자 하는 드레인보드를 조인트부재로 연결하여 각 드레인보드의 유공관과 배수공간을 연통시켜 줌으로써 연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보드 연결단계;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여 드레인 슈와 드레인보드의 설치가 완료되면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싱만을 지상으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드레인슈 및 드레인보드를 계획된 배공간격대 로 설치한 후 연약지반의 상부에 성토용 토사를 포설하여 상재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보드 연결단계의 조인트부재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드레인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드레인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일측단부에서 하부판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타측단부에서 상부판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끝단이 몸체부의 내부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져 있는 다수의 걸림톱니와;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에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되어 수분 유입을 유도하는 다수의 배수공; 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두 드레인보드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걸림톱니에 걸려짐으로써, 유공관과 배수공간을 연통하여 연속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와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톱니는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하여 드레인보드 전체에 가해지는 고정력이 균등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과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은 서로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고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지중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슈는 케이싱의 관경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싱의 단부를 덮어주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소정의 이격공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드레인보드가 이격공간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단에서 수직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하부 방향으로 향해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톱니; 로 구성되어, 고정틀과 수직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진 드레인보드가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폭은 드레인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공관의 외경보다 1mm(일측 0.5mm) 크게 구성하여, 판형 드레인의 대표적 취약점인 절곡과 꺽임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에 형성된 천공홀은 이웃하는 다수개의 유공관과 일측면 상에서 사선라인을 형성하고, 일측면상과 대향하는 타측면상에는 일측면상에 형성된 사선라인과 동일축상에서 마주보지 않도록 X자형으로 교차되어 반대방향에서 사선라인을 가지게 가공함으로써 코어재의 휨 강성을 높이고 상호 변형에 강한 저항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상의 유공관에 가공된 천공홀은 양측면상에 사선라인을 구성하여 천공하되, 각 측면의 사선라인이 중첩되지 않도록 가공하여 측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배수재의 전단강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의 단면 형상은 횡압 및 측압에 강하도록 원형단면, 사각형단면, 육각형단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횡압 및 측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의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천공홀의 간격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천공홀과 개별 천공홀의 직경 기준 천공홀 3~4개의 직경길이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시킴으로써 유공관의 길이방향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휨 강도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양끝단으로는 보호부재를 배치시켜 유공관을 지지해주고 넓은 통수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 단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 양 끝단에 보강재가 더 구비되어 외부응력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코어재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보호부재의 수평부재 외측 단부에 보강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배수방법.
KR1020060121750A 2006-12-04 2006-12-04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078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750A KR100789976B1 (ko) 2006-12-04 2006-12-04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750A KR100789976B1 (ko) 2006-12-04 2006-12-04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976B1 true KR100789976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750A KR100789976B1 (ko) 2006-12-04 2006-12-04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9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88B1 (ko) * 2011-01-27 2011-07-27 이하나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KR101208704B1 (ko) * 2010-05-28 2012-12-06 홍성필 암거 집배수관
KR101292185B1 (ko) * 2011-07-18 2013-08-01 조경호 수평 드레인 보드용 연결재
KR20160130571A (ko) 2015-05-04 2016-11-14 이동욱 간극수 배출이 용이한 연약지반용 배수재
KR101684271B1 (ko) * 2015-09-02 2016-12-09 박재헌 연약지반 배수재
KR101976087B1 (ko) * 2019-01-21 2019-05-07 건진건설 주식회사 토압저항형 수평배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8U (ko) * 1990-04-16 1992-01-08
JPH08260451A (ja) * 1995-03-20 1996-10-08 Bando Chem Ind Ltd ドレーン材
KR19990080636A (ko) * 1998-04-20 1999-11-15 임철웅 부직포를 피착시킨 중공보드드레인을 이용한 연약지반의탈수촉진 공법 및 그 물건
KR20040111250A (ko) * 2004-11-25 2004-12-31 임철웅 탈수환산 단면적을 크게 한 요철형 날개 주름배수관
KR200435137Y1 (ko) 2006-08-28 2007-01-09 윤영권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KR100711500B1 (ko) 2006-05-19 2007-04-24 윤영권 유공관 보호부재가 구비된 드레인 보드 코어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8U (ko) * 1990-04-16 1992-01-08
JPH08260451A (ja) * 1995-03-20 1996-10-08 Bando Chem Ind Ltd ドレーン材
KR19990080636A (ko) * 1998-04-20 1999-11-15 임철웅 부직포를 피착시킨 중공보드드레인을 이용한 연약지반의탈수촉진 공법 및 그 물건
KR20040111250A (ko) * 2004-11-25 2004-12-31 임철웅 탈수환산 단면적을 크게 한 요철형 날개 주름배수관
KR100711500B1 (ko) 2006-05-19 2007-04-24 윤영권 유공관 보호부재가 구비된 드레인 보드 코어재
KR200435137Y1 (ko) 2006-08-28 2007-01-09 윤영권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04B1 (ko) * 2010-05-28 2012-12-06 홍성필 암거 집배수관
KR101052088B1 (ko) * 2011-01-27 2011-07-27 이하나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KR101292185B1 (ko) * 2011-07-18 2013-08-01 조경호 수평 드레인 보드용 연결재
KR20160130571A (ko) 2015-05-04 2016-11-14 이동욱 간극수 배출이 용이한 연약지반용 배수재
KR101684271B1 (ko) * 2015-09-02 2016-12-09 박재헌 연약지반 배수재
KR101976087B1 (ko) * 2019-01-21 2019-05-07 건진건설 주식회사 토압저항형 수평배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0910576B1 (ko) 매입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972381B1 (ko) 지오튜브와 매트를 이용한 일체형 블럭보강 현장타설 말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18021383A (ja) 盛土法面の保護工法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CN109577380B (zh) 一种用于喀斯特地貌条件下地下室底板渗水的施工方法
US6669404B2 (en) Foundation drain system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200352267Y1 (ko) 배수와 보강기능을 동시에 갖는 소일네일링 사면보강구조
KR102210048B1 (ko) 침투수의 선택적 배출 기능이 구비된 옹벽 시스템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5384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823980B1 (ko) 배수겸용 패커식 가압 그라우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향식지반보강공법
KR101789450B1 (ko) 겹침 말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313164Y1 (ko)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100954527B1 (ko)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KR100593190B1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벽체 배수구조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61716B1 (ko) 측구
KR200434601Y1 (ko)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101790249B1 (ko)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0905661B1 (ko)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