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716B1 - 측구 - Google Patents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716B1
KR100561716B1 KR1020030059726A KR20030059726A KR100561716B1 KR 100561716 B1 KR100561716 B1 KR 100561716B1 KR 1020030059726 A KR1020030059726 A KR 1020030059726A KR 20030059726 A KR20030059726 A KR 20030059726A KR 100561716 B1 KR100561716 B1 KR 10056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slope
support plate
coupl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498A (ko
Inventor
박이근
Original Assignee
박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근 filed Critical 박이근
Priority to KR102003005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7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사면, 터널갱부, 택지조성 등의 절·성토 토목공사에 있어서 강우시 사면하부지반 내로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로를 확보하므로서 사면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측구로서 배수관의 상부 경사면 측벽과 유공판에 부직포를 접착시킨 경사면 지지판을 지지결합봉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측구를 형성하므로서 경사면 지지판에 거의 경사면 지지판 높이만큼 토사를 메울 수 있게 되어 강우시 경사면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배수로의 측벽과 경사면과의 경계부를 침식할 수 없게 되어 배수로의 저면이나 주위에 세굴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부직포가 부착된 경사면 지지판은 상부 경사면으로 흘러 내려오는 흐름의 세기를 약화시키고 부직포를 통해 배수로로 스며 흘러 들어오게 하므로서 지반붕괴 및 대형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측구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측구{A DRAIN AT SLOPE}
도 1a는 종래 합성수지재의 측구
도 1b는 종래 콘크리트재의 측구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측구 분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측구의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측구 분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측구의 설치 상태도
본 발명은 도로 사면, 터널 입갱부, 택지조성 등의 절·성토 토목공사에 있어서 강우시 사면 하부 지반 내로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원활한 배수로를 확보하는 사면 안전대책공법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사면의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산마루 측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산마루 측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그 용도와 형태, 제작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PE 제품의 경우에는 도1a와 같이 본체(101), 바닥재(102), 걸림판(103), 본체보강재(104), 바닥보강재(105), 수밀보강바닥이음재(106), 버팀재(107), 수밀보강이음재(108)로 구성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제품의 경우에는 도1b와 같이 바닥부(201)와 양측벽부(202)로 구성되고 일측에 연결결합부(203)가 형성된 구조로서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다. 각 구성별 특징은 본체와 바닥재는 우수를 흘려 보내기 위한 용도로 누수와 부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장치가 대개 포함되어 있고, 기존 제품을 구성하는 부분품의 재질에 있어서 바닥재는 본체와 다른 재질인 보강섬유 혼합콘크리트로 제작되고 있으며, 버팀대와 바닥보강재는 측구의 사용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보존 유지하기 위한 재질이면 가능하고, 수밀보강이음재는 측구에 자연집수로 배수되는 과정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방수성 물질이 적합하다.
이상과 같은 기존 측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측구설치를 위해 소요공간을 굴착 , 측구의 설치(기성제품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제작), 굴착부의 측구 설치 후 잉여 굴착부 되메우기와 다짐 실시 순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기존 측구제품 및 현장타설 측구를 설치하는 일련의 시공공정에서는 측구 측벽부 상단까지만 되메움 할 수 있고 측구 하부 및 주변지반의 되메움토의 다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강우시 상부 사면의 지표면을 따라 흘러 내려온 우수가 측구 내로 전량 유입되지 못하고 주변지반의 세굴로 인해 측구와 지반의 연결부에서 단차가 발생하여 우수의 상당량이 측구 측면부와 하부를 통해 사 면 하부 지반 내로 유입되게 된다. 우수가 사면 내로 유입되면 지반의 단위중량이 증가되고,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어 사면 전체의 안전율이 크게 떨어지므로 사면의 붕괴를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측구 시공시에 작업자에게 충분히 숙지시키고 있으나, 작업자의 이해부족과 이론적 배경 결핍으로 인한 시공의 불확실성 등으로 측구가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측구 주변에 실시한 식생 등도 주변지반의 세굴로 인해 무용지물이 되는 등 완전한 시공관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현재 권장하고 있는 현장 타설의 경우, 높은 사면과 대규모 사면의 경우에는 시공이 거의 불가능하고 공기와 많은 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절취사면 상부로 현장타설용 장비를 이동하여야 하는 등 원활한 작업마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며 기존 측구의 시공 후의 문제는 강우시 경사면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우수의 대부분이 측구로 유입되지만, 측구주변의 약한 지반을 우선적으로 세굴시키고, 또한 다짐이 원활하지 않아 측구 주변지반의 침식이 유발되어 측구와 지반의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우수는 결국 측구 하부로 유입되고 이는 사면을 이루는 지반의 단위중량을 증가시키고, 지반강도는 저하시켜 사면의 붕괴가 유발되는 매몰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 측구 설치 후 발생하는 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사면쪽의 측구벽 상단에 유공벽과 세립분 유실을 방지시켜줄 배수용 매트(부직포)를 간단하게 현장에서 조립·설치해두고 유공벽 상단까지 되메움 높이를 증가시켜 둠으로써 향후 측구 주변지반의 침식·세굴, 다짐 등에 의해서도 측구와 지반의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대형의 사면붕괴 사고를 방지하자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목적으로는 기존에 설치된 측구에 유공벽과 배수용 매트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부착 시공하고, 토사 되메움 및 식생을 추가 실시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 시공된 측구의 보수·보강대책으로도 활용될 수 있어 기존의 사면에 대한 측구의 안정확보대책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는 그 활용성이 크게 기대되는 측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로 사면, 터널 입갱부, 택지조성 등의 절·성토 토목공사에 있어서 강우시 사면 하부 지반 내로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로를 확보하므로서 사면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측구로서 도 2a 및 도 2b 도면에서와 같이 하측부에는 저면(A1)과 양측벽(A2)으로 구성되고 양측벽(A2)의 상측부 내측으로 뚜껑 걸림턱(A3)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벽(A2)의 돌출부(A2')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삽입구멍(A4)이 뚫어져 있는 배수관(A)과 상측부에는 상측 수평프레임(B1)과 결합홈(B3')을 갖는 하측 수평프레임(B3) 사이에는 각각 아래측에 지지봉 삽입구멍(B')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수직프레임(B2)으로 구획되고 구획부에는 유공판(B4)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부에는 결합돌출부(B5)와 결합홈(B6)이 형성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부직포(B7)가 부착된 경사면지판(B)을 결합하되 돌출부(A2') 위에 결합홈(B3')을 안치함과 동시에 지지결합봉(A5)을 지지봉 삽입구멍(A4) 및 지지봉 삽입구멍(B')에 삽입 결합하여서 되는 측구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3a 및 도3b에서와 같이 저면(C1)과 양측벽(C2)으로 구성되고 양측벽(C2)의 상부 내측으로 뚜껑걸림턱(C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경사면쪽으로 향하는 측벽(C2)의 외측면에 수개의 볼트(C4)가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C)의 볼트(C4)에 상하측 수평프레임(D1, D2)에 수직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수직프레임(D3)으로 구성된 구획부에는 유공판(D4)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 수직프레임(D3)의 상판부에는 각각 결합돌출부(D5)와 결합홈(D6)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프레임(D3)의 하반부의 각각에는 2개의 결착공(D7)이 뚫어져 있고 유공판(D4)의 일측면에 부직포(D8)를 접착시킨 경사면지지판(D)에 형성된 결착공(D7)을 끼워 넣어 너트(C4')로 결착 결합시켜서 되는 측구라 할 수 있다.
앞의 실시예는 배수관(A)에 형성된 구멍(A4)과 경사지지판(B)에 형성된 구멍(B2')에 지지결합봉(A5)으로 연결하는 수단이고 후자는 배수관 외측면에 고정시킨 볼트를 경사지지판(B)의 수직프레임 하반부에 형성된 결착공을 끼워 넣어 너트로 결착하는 수단이다.
이상에서 배수관(A)은 통상 사용되는 콘크리트재 또는 프라스틱재가 될 수 있고 경사면 지지판(B)은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한 것이 경비, 설치면에서 유리하며 지지결합봉은 철재, 부직포는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측구의 시공방법은 우선 배수관 설치를 위해 경사면을 가로질러 배수관 크기와 시공성을 고려하여 일정크기의 도랑을 굴착하고 배수관을 설치 또는 현장타설한 후 상부 경사면측 배수관(A)의 측벽(A2)에 있는 구멍(A4)에 지지결합봉(A5)의 일부를 끼워 넣고 나머지 부분에 경사지지판(B)의 수직프레임(B2) 밑에 형성된 여러 개의 구멍(B2')을 끼워 경사면 지지판을 설치 연결한 다음 굴착부의 측구 설치 후 잉여 굴착부 되메우기와 상부 경사면측의 경사면 지지판(B)에 토사를 채우면서 다짐을 실시한 후 식생을 실시하면 시공이 끝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측구의 설치 상태도)
이와 같은 측구는 배수로의 상부 경사면쪽의 측벽에 경사면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어 경사면 지지판에 거의 경사면 지지판 높이만큼 토사로 메움 다짐하므로서 강우시 경사면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배수로의 측벽과 경사면과의 경계부를 침식할 수 없게 되어 배수로의 저면이나 주위에 세굴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부직포가 부착된 경사면 지지판은 또한 상부 경사면으로 흘러 내려오는 물흐름의 세기를 약화시켜 부직포를 통해 배수로로 물이 스며 흘러 들어오게끔 하므로서 지반붕괴 및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측구는 강우시에도 경사면에서 측구로 유입되는 우수가 측구 하부지반으로 스며들지 않아 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대형 매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유공벽 높이만큼 토사를 채움하여 시공해 둠으로써, 시공시 다소 불량하게 측구 주변지반이 다짐되었다 할지라도 상부 경사면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는 지표면을 따라 유공벽을 통하여 측구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측구 주변지반이 유실되고, 하부지반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공벽 배면에는 배수용 매트를 설치해 두기 때문에 세립분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에 의한 토사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사면의 녹화에도 큰 도움이 되므로 환경친화적인 측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시공방법에서 유공벽을 배면토사보다 약간 높게 시공해 둠으로써 상부사면으로부터 굴러 내려온 토사, 작은 돌멩이 등이 측구 배수로를 막아 배수를 지연·불량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측구의 유지관리에도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시공방법이 간단한데 비하여 그 기능은 우수하므로 사면의 안전대책공법으로서 적용성이 높은 측구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측부에는 저면(A1)과 양측벽(A2)으로 구성되고 양측벽(A2)의 상측부 내측으로 뚜껑 걸림턱(A3)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벽(A2)의 돌출부(A2')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삽입구멍(A4)이 뚫어져 있는 배수관(A)과 상측부에는 상측 수평프레임(B1)과 결합홈(B3')을 갖는 하측 수평프레임(B3) 사이에는 각각 아래측에 지지봉 삽입구멍(B')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수직프레임(B2)으로 구획되고 구획부에는 유공판(B4)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부에는 결합돌출부(B5)와 결합홈(B6)이 형성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부직포(B7)가 부착된 경사면지판(B)을 결합하되 돌출부(A2') 위에 결합홈(B3')을 안치함과 동시에 지지결합봉(A5)을 지지봉 삽입구멍(A4) 및 지지봉 삽입구멍(B')에 삽입 결합하여서 되는 측구.
  2. 저면(C1)과 양측벽(C2)으로 구성되고 양측벽(C2)의 상부 내측으로 뚜껑걸림턱(C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경사면쪽으로 향하는 측벽(B2)의 외측면에 수개의 볼트(C4)가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C)의 볼트(C4)에 상하측 수평프레임(D1, D2)에 수직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수직프레임(D3)으로 구성된 구획부에는 유공판(D4)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 수직프레임(D3)의 상판부에는 각각 결합돌출부(D5)와 결합홈(B6)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프레임(D3)의 하반부의 각각에는 2개의 결착공(D7)이 뚫어져 있고 유공판(D4)의 일측면에 부직포(D8)를 접착시킨 경사면지 지판(D)에 형성된 구성(D7)을 끼워 넣어 너트(C4')로 결착 결합시켜서 되는 측구.
KR1020030059726A 2003-08-28 2003-08-28 측구 KR10056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26A KR100561716B1 (ko) 2003-08-28 2003-08-28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26A KR100561716B1 (ko) 2003-08-28 2003-08-28 측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498A KR20030077498A (ko) 2003-10-01
KR100561716B1 true KR100561716B1 (ko) 2006-03-20

Family

ID=3238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726A KR100561716B1 (ko) 2003-08-28 2003-08-28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0B1 (ko) *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KR200448790Y1 (ko) * 2009-10-28 2010-05-20 김흥진 친환경 흙막이 수로관
KR100965522B1 (ko) * 2010-03-04 2010-06-24 주식회사 비엔디코퍼레이션 경사면 측구를 위한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측구 구조
KR200457803Y1 (ko) * 2011-05-27 2012-01-03 주식회사 이케이 코프레이션 방충 기능을 갖는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498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1886151B1 (ko)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258622B (zh) 桩板式挡墙及其施工方法
KR100561716B1 (ko) 측구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0655384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JP5975726B2 (ja) 地盤構造および地盤改良方法
JP2000144769A (ja) 宅地等造成のための山止め工事工法
CN210658431U (zh) 桩板式挡墙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224758Y1 (ko) 사각콘크리트 케이슨 흙막이구조
KR20060063827A (ko) 조립식 배수 관과 이를 이용한 속성 배수공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20000041500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20020017880A (ko) 측구의 시공법
JP3709550B2 (ja) コンクリ−ト擁壁
KR102571803B1 (ko) 토류 프레임을 이용한 관매설 방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7026767U (zh) 一种明挖隧道上跨既有涵洞结构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