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088B1 -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088B1
KR101052088B1 KR1020110008076A KR20110008076A KR101052088B1 KR 101052088 B1 KR101052088 B1 KR 101052088B1 KR 1020110008076 A KR1020110008076 A KR 1020110008076A KR 20110008076 A KR20110008076 A KR 20110008076A KR 101052088 B1 KR101052088 B1 KR 10105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drain board
soft ground
horizontal drain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600A (ko
Inventor
이하나
Original Assignee
이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612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20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나 filed Critical 이하나
Priority to KR102011000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0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에 관한 것으로, 주변에서 쉽게 공급이 가능한 저가의 흙(85)과 수평 드레인보드(1)를 이용해 수분이 함유된 연약지반인 지층(81)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수평 드레인보드(1)를 구성하는 파이프부재(10)를 이용해 지층(81)의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을 보다 많이 그리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약지반인 지층(81)밖으로 충분히 배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 원가의 절감과 공사 효율 및 완성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는, 수분을 함유한 지층에 평행하게 수평 설치되고 원형 단면 및 개구된 양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와; 인접한 상기 파이프부재(1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리브(20)와;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바깥 테두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30)와;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HORIZONTAL DRAIN-BOARD FOR THE SOFT 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내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서 지층의 표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택지 등의 토목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지층을 충분히 건조시켜서 단단하게 다져야 한다.
따라서, 지층의 수분 배출은 택지를 조성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공사이고, 이를 위해 종래에는 수직 드레인보드를 이용하여 수분을 배출하였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지층을 다지지 위해 수분이 함유된 지층속에 수직으로 드레인보드를 꽂아서 설치하고, 지층의 표면에 모래나 자갈 등을 덮어서 지층에 압력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지층에 압력이 형성되면 지층내에 함유된 수분은 수직 드레인보드의 통로를 통해 지층의 표면으로 올라오게 되게 되고, 지층으로 올라와서 모래나 자갈 사이에 쌓이는 수분을 연약지반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지층을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을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층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 모래나 자갈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자재 구입비용에 따른 공사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지층으로 올라와서 모래나 자갈 사이에 쌓인 수분을 연약지반 밖으로 배출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분의 배출 또한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약지반인 지층의 표면에 수평 드레인보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 드레인보드에 일반적인 흙을 쌓아서 덮어두고, 지층을 뚫고 나온 수직 드레인보드의 끝단을 상기 수평 드레인보드에 덮혀진 흙과 대면하도록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안은 모래나 자갈 같은 고가의 자재 대신 쉽게 공급이 가능한 저가의 흙과 수평 드레인보드를 이용해 지층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방안이고, 또한 수직 드레인보드를 이용해 지층내에 함유된 수분을 지층의 표면으로 이동시킨 다음 계속해서 수평 드레인보드를 이용해 지층의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을 연약지반 밖으로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상기와 같은 공법은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최초의 공법에 해당하며, 수직 드레인보드와 수평 드레인보드를 혼합한 신규 공법에 의해 공사 원가의 절감과 공사 효율 및 완성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수분의 수평배출을 위해 최적화된 수평 드레인보드의 개발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지층의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의 수평방향 배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더불어 충분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는, 수분을 함유한 지층에 평행하게 수평 설치되고 원형 단면 및 개구된 양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와; 인접한 상기 파이프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리브와; 상기 파이프부재마다 상기 파이프부재의 바깥 테두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와; 상기 파이프부재마다 상기 파이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면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면적을 상하로 양분하는 수평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측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상측리브 및 하측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하측리브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측리브와 상기 하측리브는 상기 수평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2개의 상측리브 및 상기 2개의 하측리브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면 중심을 수직하게 통과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면적으로 좌우로 양분하는 수직선에 대해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는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부재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부재와의 공간을 수분이동통로로서 형성하며 수분침투가 용이한 기능을 갖춘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에서 쉽게 공급이 가능한 저가의 흙과 수평 드레인보드를 이용해 수분이 함유된 연약지반인 지층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수평 드레인보드를 구성하는 파이프부재를 이용해 지층의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을 보다 많이 그리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약지반인 지층밖으로 충분히 배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 원가의 절감과 공사 효율 및 완성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드레인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이프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배수홀의 형성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파이프부재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배수홀의 형성위치를 실시예별로 보여주기 위한 파이프부재의 평면도,
도 7은 걸림리브를 보여주기 위한 파이프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평 드레인보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드레인보드(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을 함유한 지층 표면에 평행하게 수평 설치되고 원형 단면 및 개구된 양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와, 인접한 상기 파이프부재(1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리브(20)와,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바깥 테두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30)와,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홀(40)과,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리브(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부재(10)와의 공간을 수분이동통로(51)로서 형성하며 수분침투가 용이한 기능을 갖춘 필터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파이프부재(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일자형 평판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적을 상하로 양분하는 수평선(L1)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리브(20)가 파이프부재(10)의 중간인 수평선(L1)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수분이동통로(51)의 깊이를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충분히 형성하여 원활한 수분의 배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리브(30)는 상기 수평선(L1)을 기준으로 상측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상측리브(31) 및 하측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하측리브(33)로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부재(10)의 형상유지를 위해 강성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하측리브(33)는 상기 수평선(L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2개의 상측리브(31) 및 상기 2개의 하측리브(33)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 중심을 수직하게 통과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적으로 좌우로 양분하는 수직선(L2)에 대해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하측리브(33)가 각각 2개씩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필터부재(50)와의 사이공간에 수분이동통로(51)를 형성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하측리브(33)가 상기 수직선(L2)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수분이동통로(51)가 수직선(L2)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수분이동통로(51)를 통해 보다 안정되게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리브(30)도 상기 파이프부재(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일자형 평판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리브(20)와 상기 가이드리브(30)가 파이프부재(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수분이동통로(51)를 파이프부재(10)의 끝까지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밖으로 수분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배수홀(40)은 도 3과 같이 상기 2개의 상측리브(31)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고,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연결리브(20) 사이의 테두리에 위치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과 도 4의 구조가 혼합된 구조 즉 2개의 상측리브(31) 사이의 위치 및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연결리브(30) 사이의 테두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는 바, 상기 배수홀(40)의 구조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수홀(40)은 필터부재(50)를 투과한 수분이 파이프부재(10)의 내부공간에 포집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10)를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배수홀(4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뾰족한 타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를 도 5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배수홀(40)을 연결한 선(L3)이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선모양이 되도록 상기 배수홀(40)이 상기 파이프부재(10)에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고, 또는 도 6과 상기 배수홀(40)을 연결한 선(L4)이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마름모가 연결된 모양이 되도록 상기 배수홀(40)이 상기 파이프부재(10)에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부재(10)에 형성된 배수홀(40)의 모양이 사선모양이나 또는 다수개의 마름모가 연결된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배수홀(40)이 수평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가 어느 한 수평라인(L6)을 기준으로 절곡되거나 굽혀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어느 한 파이프(10)의 배수홀(40)이 막히게 되더라도 측부에 인접한 다른 파이프(10)의 배수홀(40)은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원활한 배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수홀(40)의 한쪽 끝단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판상의 걸림리브(6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리브(60)는 돌맹 또는 자갈과 같이 부피가 큰 이물질(71)이 상기 배수홀(40)을 통해 파이프부재(10)속으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이물질(71)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리브(60)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사선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리브(60)의 경사각도(θ1)는 상기 배수홀(40)로부터 15도(˚) 내지 30도(˚)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60)의 돌출깊이(M)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내경(D)의 반지름(r)에 대해 r/2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걸림리브(60)의 경사각도(θ1)가 15도(˚)보다 작으면서 돌출깊이(M)가 r/2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이면 이물질(71)은 상기 걸림리브(60)에 의해 더욱 잘 걸러지게 되지만 이에 반해 수분이 상기 배수홀(40)을 통해 파이프부재(10)속으로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상기 걸림리브(60)의 경사각도(θ1)가 30도(˚)보다 크면서 돌출깊이(M)가 r/2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이면 수분이 상기 배수홀(40)을 통해 파이프부재(10)속으로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지만 이물질(71)도 함께 통과할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우려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리브(60)의 경사각도(θ1)는 15도(˚) 내지 30도(˚)로 형성되면서 돌출깊이(M)는 r/2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수평 드레인보드(1)는 상기 파이프부재(10)와 상기 연결리브(20) 및 상기 가이드리브(30)가 부식이 방지되는 플라스틱 또는 동 또는 합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필터부재(50)는 수분 침투가 용이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수평 드레인보드(1)의 설치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바, 수분이 함유된 연약지반인 지층(81)속에 다수개의 수직 드레인보드(83)를 꽂아서 설치하고, 지층(81)의 표면에 파이프부재(10)가 필터부재(50)로 감싸여진 수평 드레인보드(1)를 설치한 다음, 상기 필터부재(50)위에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통상의 흙(85)을 덮어주게 되는데, 이때 지층(81)위로 돌출된 수직 드레인보드(83)의 단부(83a)를 수평 드레인보드(1)상에 덮여진 흙(85)과 대면하도록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흙(85)과 수평 드레인보드(1)의 압력에 의해 지층(81)속에 함유된 수분은 수직 드레인보드(83)를 통해 상승 이동해서 수직 드레인보드(83)의 단부(83a)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단부(83a)를 통해 배출된 수분은 흙(85)과 필터부재(50)를 통과해서 수평 드레인보드(1)를 구성하는 파이프부재(10)로 낙하된다.
상기 파이프부재(10)로 낙하된 수분(W)의 일부는 파이프부재(10)의 바깥 둘레면과 상측리브(31)와 연결리브(20) 및 필터부재(50)에 의해 형성된 상단의 수분이동통로(51)를 따라 이동해서 연약지반인 지층(81)밖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재(10)로 낙하된 나머지 일부의 수분(W)은 배수홀(40)을 통해 파이프부재(10)속으로 낙하된 후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내부통로를 따라 이동해서 연약지반인 지층(81)밖으로 배수된다.
한편, 지층(81)속에 함유된 수분 중 일부는 흙(85)과 수평 드레인보드(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층(81)의 표면으로 바로 올라와서 지층(81)과 접촉한 필터부재(50)를 직접 통과하는 수분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층(81)의 표면을 통해 필터부재(50)를 직접 통과한 수분은 파이프부재(10)의 바깥 둘레면과 하측리브(33)와 연결리브(20) 및 필터부재(50)에 의해 형성된 하단의 수분이동통로(51)를 따라 이동해서 연약지반인 지층(81)밖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모래나 자갈 같은 고가의 자재 대신 쉽게 공급이 가능한 저가의 흙(85)과 수평 드레인보드(1)를 이용해 수분이 함유된 연약지반인 지층(81)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수평 드레인보드(1)를 구성하는 파이프부재(10)를 이용해 지층(81)의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을 보다 많이 그리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약지반인 지층(81)밖으로 충분히 배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공사 원가의 절감과 공사 효율 및 완성도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 - 담장 21 - 기초블록
21a - 윗면 21b - 바닥면
21c - 원호돌기부 21d - 원호홈부
21e - 측면부 21f - 바닥홈
21i - 운반용 손잡이홈 21j - 지지홈
21k - 블록구멍 23 - 담장블록
31 - 블록가이드 31a - 지지돌기

Claims (15)

  1. 수분을 함유한 지층에 평행하게 수평 설치되고 원형 단면 및 개구된 양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
    인접한 상기 파이프부재(1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리브(20);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바깥 테두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30); 및
    상기 파이프부재(10)마다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홀(4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30)는 파이프부재(10)의 상측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상측리브(31) 및 하측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2개의 하측리브(33)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홀(40)은 2개의 상측리브(31) 사이에 위치하면서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단면적을 상하로 양분하는 수평선(L1)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0)은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연결리브(20) 사이의 테두리에 위치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0)은
    상기 2개의 상측리브(31) 사이의 위치 및 상기 상측리브(31)와 상기 연결리브(20) 사이의 테두리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배수홀(40)을 연결한 선(L3)이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선모양이 되도록 상기 배수홀(40)이 상기 파이프부재(10)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배수홀(40)을 연결한 선(L4)이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마름모가 연결된 모양이 되도록 상기 배수홀(40)이 상기 파이프부재(10)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0)은 원형 또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뾰족한 타원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0)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판상의 걸림리브(60)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60)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사선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리브(60)의 경사각도(θ1)는 상기 배수홀(40)로부터 15도(˚) 내지 30도(˚)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리브(60)의 돌출깊이(M)는 상기 파이프부재(10)의 내경(D)의 반지름(r)에 대해 r/2이 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20)와 상기 가이드리브(30)는 상기 파이프부재(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일자형 평판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10)와 상기 연결리브(20) 및 상기 가이드리브(30)는 부식이 방지되는 플라스틱 또는 동 또는 합금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부재(10)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리브(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부재(10)와의 공간을 수분이동통로(51)로서 형성하며 수분침투가 용이한 기능을 갖춘 필터부재(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50)는 부직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KR1020110008076A 2011-01-27 2011-01-27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KR10105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76A KR101052088B1 (ko) 2011-01-27 2011-01-27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76A KR101052088B1 (ko) 2011-01-27 2011-01-27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600A KR20110050600A (ko) 2011-05-16
KR101052088B1 true KR101052088B1 (ko) 2011-07-27

Family

ID=4436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076A KR101052088B1 (ko) 2011-01-27 2011-01-27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71B1 (ko) 2015-09-02 2016-12-09 박재헌 연약지반 배수재
CN114525706A (zh) * 2022-03-31 2022-05-24 山东路德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型定向排水复合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76B1 (ko) * 2006-12-04 2008-01-02 윤영권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76B1 (ko) * 2006-12-04 2008-01-02 윤영권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600A (ko) 201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157B1 (ko) 배수형 브레이싱 및 보강수로가 설치된 터널
US8590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US8459896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JP5845132B2 (ja) 排水側溝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227275B1 (ko) 도로포장용 블록,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52088B1 (ko)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JP2012031593A (ja) トンネル内の湧水排水構造
KR101665326B1 (ko) 직투수공을 갖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 및 저류 포장시스템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JP2004019122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20150001093U (ko) 옹벽용 배수파일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KR100949478B1 (ko)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4271B1 (ko) 연약지반 배수재
JP5167498B1 (ja) 地盤改良構造
JP2011174292A (ja) オーバーフロー管を備えたu字形側溝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道路側溝
KR101332203B1 (ko) 보도블록용 배수통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9

Effective date: 201206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