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37Y1 -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37Y1
KR200435137Y1 KR2020060023050U KR20060023050U KR200435137Y1 KR 200435137 Y1 KR200435137 Y1 KR 200435137Y1 KR 2020060023050 U KR2020060023050 U KR 2020060023050U KR 20060023050 U KR20060023050 U KR 20060023050U KR 200435137 Y1 KR200435137 Y1 KR 200435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frame
casing
draina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권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윤영권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권, 김용수 filed Critical 윤영권
Priority to KR2020060023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성토 지반에 인공적으로 연직의 배수층을 설치하여 압밀 기간을 단축시키는 연직배수공법에서 판형 모형의 배수재를 압입 등의 방식으로 지반에 타입 시 타입용 강관 케이싱과 배수재를 일정하게 지지하고, 소요 깊이로 타설된 후, 강관 케이싱을 제거할 때, 분리가 용이하며, 타입된 배수재가 강관 케이싱과 함께 끌려오는 현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앵커플레이트에 대한 것이다.
연약지반, 개량공사, 판형배수재, 톱니형태, 앵커플레이트, 연직배수공법, 강관케이싱,

Description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Anchor plate fixed with saw teeth shaped plate}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수직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직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수직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도3의 원A부분을 확대하여 걸림톱니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 투시도이다.
도 5는 수평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수평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수평플레이트에 고정틀이 부착된 앵커플레이트의 좌측면도이며,
도 8은 도7의 원A-1부분을 확대하여 걸림톱니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플레이트
(2) : 수직플레이트
(3) : 고정틀
(4) : 걸림톱니
(5) : 이격공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점성토 지반에 인공적으로 연직의 배수층을 설치하여 압밀 기간을 단축시키는 연직배수공법에서 판형 모형의 배수재를 압입 등의 방식으로 지반에 타입 시 타입용 강관 케이싱과 배수재를 일정하게 지지하고, 소요 깊이로 타설된 후, 강관 케이싱을 제거할 때, 분리가 용이하며, 타입된 배수재가 강관 케이싱과 함께 끌려오는 현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앵커플레이트에 대한 것이다.
강 또는 호수, 늪지대 및 해안 등을 매립한 매립지나 연약지반의 경우 토층 내부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지반이 약함으로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건설하기에 부적합 함으로, 이러한 곳에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시행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이 시행된다.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연직배수공법은 점성토 지반에서는 수평투수계수가 수직투수계수보다 높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고함수 지반에 흡수율이 높은 섬유 필터재와 플라스틱 재질의 코어재를 결합한 배수재를 수직으로 타입하여 수평방향 배수를 유도함으로써 무처리 지반보다 배수거리를 단축시켜 단기간에 소요 강도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이다. 연직배수공법을 이용하여 배수를 유도하는 경우, 배수재 주변에는 타입과 인발시에 배수재 주위에 지반교란 영역이 발생하게 되며, 인발시 앵커플레이트의 불충분한 작용에 의해 배수재가 딸려 올라가게 되어 소요 설계 깊이까지 일정하게 타입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지반교란 영역 내 원지반의 투수계수는 감소하게 되고, 인발시 따라 올라간 배수재는 수직으로 지지되지 못해 그만큼 배수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배수재를 타설할 때는 교란영역을 최소화 하는 형태를 가지고 인발시 타설된 배수재를 타설 깊이로 고정 가능한 앵커플레이트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연직배수 공법에서 배수재 타입시 사용되는 앵커플레이트의 형태는 사각형 플레이트 상부에 배수재 걸이용 철사를 ‘ㄷ’자 모양으로 구부려 엎어 놓은 형태를 부착한 모형으로서, 배수재 끝단을 철사가 형성하는 공간안으로 넣어서 꺽은 후 배수재 끝단과 타입되는 배수재를 단순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강관 케이싱 인발시 플레이트와 철사의 접합 부위와 배수재 끝단을 결합한 곳에서 인발시 발생하는 힘을 모두 받게 되어 접합 품질이 상당히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배수재 타입 시 작업자가 다수의 작업을 거쳐 배수재를 결합하는 공정을 하고 있으므로, 일정한 접합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고, 번거로운 여러번의 작업으로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와 상관없이 높은 접합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와 공정을 단순화 시킨 앵커플레이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다수 공정을 요하는 접합 방식을 탈피하여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앵커플레이트에 부착시켜 인발시 발생하는 장력에 근본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고정력을 증대시켰으며, 종래의 배수재 타입 현장에서 작업자가 밀어 넣기, 꺾기, 접합하기 등의 다중 작업으로 배수재를 결합시키던 다수의 작업 공정을 배수재를 걸림톱니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밀어 넣는 한번의 공정으로 단순화 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본 톱니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는 케이싱의 관경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싱의 단부를 덮어주는 수평플레이트(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2)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 혹은 수직플레이트(2)와 소정의 이격공간(5)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배수재가 이격공간(5)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틀(3)과 상기 고정틀(3)의 상단에서 수직플레이트(2)를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하부방향으로 향해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톱니(4) 로 구성되어, 고정틀(3)과 수직플레이트(2) 사이로 끼워진 배수재가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톱니 형태의 고정틀(3)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는 수평플레이트(1) 상단면 중앙에 수직플레이트(2)를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키고, 수직플레이트(2)에 고정틀(3)을 부착하여 케이싱 관입시 수직플레이트(2)와 고정틀(3)로 배수재를 지지하고 수평플레이트(1)로 점토의 유입을 방지하며, 케이싱 인발시 수평플레이트(1)의 선단저항성과 고정틀(3)에 부착된 걸림톱니(4)의 고정력으로 타설된 배수재를 시공심도에 안착시키도록 하는 형태와 수직플레이트(2)의 좌측 혹은 우측 한쪽 면 중앙에 고정틀(3)을 부착하여 케이싱 관입시 수직플레이트(2)와 고정틀(3)이 배수재를 지지하고, 케이싱 인발시 고정틀(3)에 부착된 걸림톱니(4)의 고정력으로 타설된 배수재를 시공심도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톱니(4)의 끝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1) 혹은 수직플레이트(2)를 향해 소정의 각도(25~30도)로 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틀(4)과 수평플레이트(1) 혹은 수직플레이트(2)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 끼워지는 배수재의 삽입 시 걸림톱니(4)에 걸림없이 용이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 인발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걸림톱니에 배수재와 부직포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케이싱을 압입한 다음 케이싱을 회수할 때 걸림톱니(4)의 저항성으로 배수재의 공상(따라오름)현상을 최소화하여 케이싱의 인발시 배수재의 유동공간으로 침투하는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틀(3)에 부착된 걸림톱니(4)는 고정틀(3)의 수직방향 중 지상방향인 상단부에 설치하여 케이싱 인발시 배수재의 공상현상(따라오름)에 걸림톱니(4)가 배수재의 보다 넓은 부분으로 고정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는 케이싱의 지중 관입 시 케이싱의 선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며, 또한 케이싱을 인발할 경우 지중에 고정되어 배수재의 따라 오름을 방지하는 앵커역할을 하여 배수재가 압입된 심도에 자리 잡으면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수평플레이트(1), 수직플레이트(2)와 고정틀(3)은 스폿트(spot) 방식으로 상호 접합시켜 인발시 발생하는 응력집중에 충분히 저항하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앵커플레이트는 걸림 톱니(4)에 의한 배수재의 고정효과를 증대시키고, 배수재와 앵커플레이트를 결합 시, 단순히 배수재를 고정틀(4)과 수평플레이트(1) 혹은 수직플레이트(2) 사이의 이격공간(5)으로 끼워 넣는 단순공정으로 완성되어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앵커플레이트의 고정틀에 부착된 걸림톱니의 저항성으로 배수재의 공상(따라오름)현상을 최소화하여 케이싱의 인발시 배수재의 유동공간으로 침투하는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한 번의 공정으로 손쉽게 앵커플레이트와 판형 배수재를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판형 배수재가 시공심도에서 안전하게 수직으로 고정 될 수 있도록 지탱해 줌으로써 배수재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삭제

Claims (5)

  1. 케이싱의 관경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싱의 단부를 덮어주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 혹은 수직 플레이트와 소정의 이격공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관입된 배수재가 이격공간의 내부로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단에서 수직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하부방향으로 향해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톱니 로 구성되어, 고정틀과 수직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진 배수재가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틀에 부착된 걸림톱니의 끝단은 상기 수평플레이트 혹은 수직플레이트를 향해 소정의 각도(25~30도)로 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틀과 수평플레이트 혹은 수직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 내로 끼워지는 배수재의 삽입 시 걸림톱니에 걸림없이 용이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 인발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걸림톱니에 배수재와 부직포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케이싱을 압입한 다음 케이싱을 회수할 때 걸림톱니의 저항성으로 배수재의 공상(따라오름)현상을 최소화하여 케이싱의 인발시 배수재의 유동공간으로 침투하는 점성토의 섞임에 의한 교란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플레이트 상단면 중앙에 수직플레이트를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키고, 수직플레이트에 고정틀을 부착하여 케이싱 관입시 수직플레이트와 고정틀로 배수재를 지지하고 수평플레이트로 점토의 유입을 방지하며, 케이싱 인발시 수평플레이트의 선단저항성과 고정틀에 부착된 걸림톱니의 고정력으로 타설된 배수재를 시공심도에 안착시키도록 하는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플레이트의 좌측 혹은 우측 한쪽면 중앙에 고정틀을 부착하여 케이싱 관입시 수직플레이트와 고정틀이 배수재를 지지하고, 케이싱 인발시 고정틀에 부착된 걸림톱니의 고정력으로 타설된 배수재를 시공심도에 안착시키는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틀에 부착된 걸림톱니를 고정틀의 수직방향 중 지상방향인 상단부에 설치하여 케이싱 인발시 배수재의 공상현상(따라오름)에 걸림톱니가 배수재의 보다 넓은 부분으로 고정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고안한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KR2020060023050U 2006-08-28 2006-08-28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KR200435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050U KR200435137Y1 (ko) 2006-08-28 2006-08-28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050U KR200435137Y1 (ko) 2006-08-28 2006-08-28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37Y1 true KR200435137Y1 (ko) 2007-01-09

Family

ID=4155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050U KR200435137Y1 (ko) 2006-08-28 2006-08-28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76B1 (ko) 2006-12-04 2008-01-02 윤영권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1060590B1 (ko) 2009-09-07 2011-08-31 주식회사 준건설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76B1 (ko) 2006-12-04 2008-01-02 윤영권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1060590B1 (ko) 2009-09-07 2011-08-31 주식회사 준건설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7385A (en) Drainage apparatus for concrete block walls
JP6262814B1 (ja) 盛土法面の保護工法
JP5823009B1 (ja) モルタル吹付による擁壁の構築工法
KR20100100093A (ko) 식생 옹벽패널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200435137Y1 (ko) 톱니 형태의 고정틀을 부착한 앵커플레이트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JP2011080195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の施工法
KR101314080B1 (ko)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100495093B1 (ko) 옹벽의 뒷채움구조
KR20080108879A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1609761B1 (ko) 망목 결속구 정착 고정핀을 이용한 스톤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JP2016008445A (ja) 排水構造
JP5057940B2 (ja) 打継埋め込み部材および水平打継部の構造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JP2012197653A (ja) 排水機能付き鋼矢板
KR100905661B1 (ko)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CN110468834A (zh) 一种钢管混凝土抗震桥梁桩基及桩基施工方法
KR101717248B1 (ko) 침투형 배수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JPS6232290B2 (ko)
US8465230B1 (en) Silt fence support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CN113863428B (zh) 一种大型软体水窖的固定方法
CN217580208U (zh) 道路用边坡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