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879A -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879A
KR20080108879A KR1020070058366A KR20070058366A KR20080108879A KR 20080108879 A KR20080108879 A KR 20080108879A KR 1020070058366 A KR1020070058366 A KR 1020070058366A KR 20070058366 A KR20070058366 A KR 20070058366A KR 20080108879 A KR20080108879 A KR 2008010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ground
pit
hebbing
reinforcement
preven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730B1 (ko
Inventor
송기용
Original Assignee
송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용 filed Critical 송기용
Publication of KR2008010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2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있어서 중량구조물인 팽이말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연약지반의 표층에 일정간격으로 반구형의 구덩이를 파는 단계와,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히빙방지부재를 상기 구덩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근입시키고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부근에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상에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은 연약지반의 표면 위로 돌출되어 연약지반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철근에 결속되어, 지지력 보강부재로서 히빙방지부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설치 및 시공할 수 있으며, 보강구조물을 경량이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에 비하여 경량이고 숙련도가 낮아도 설치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으면서 동시에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에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약지반, 히빙, 지지력, 보강구조물

Description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REINFORCING METHOD OF BEARING POWER FOR SOFT GROUND AND REINFORCING APPARATUS USED IN THE SAM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 보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그 평면도, 도 1b는 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된 지반위에 기초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침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침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 보강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예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된 지반위에 기초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지력 보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력 보강구조물
2 : 제 1 히빙방지부재
3 : 결속부재
4 : 와이어메쉬
5 : 제 1 침하방지부재
6 : 제 2 침하방지부재
8 : 제 2 히빙방지부재
8a : 세로부재
8b : 가로부재
9 : 철망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있어서 중량구조물인 팽이말뚝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연약지반에서는 지지말뚝을 설치하기 용이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연약지반의 표층을 처리하는 얕은 기초의 강성 매트 공법으로서 팽이기초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팽이기초를 이용한 공법은, 구조물의 기초지반표면에 팽이형상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파일을 부설하는 공법으로 연약지반에서 기초의 일부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지반에 대한 보강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하중을 분산시켜 지반에 부드럽게 전달함으로써, 기초부분과 그 부근지반을 개량하는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법은 기초지반표면에 파일의 위치확보도 겸한 정방형으로 된 위치철근을 깔고 그 위에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60)을 나란히 부설한 후, 파일을 걸기 위해 묻어둔 철근고리에 연결철근(61)을 정방형으로 결속하며, 파일의 하부공간은 쇄석(62)으로 충진시키고 충분히 다짐한다.
상기한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원형의 상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 형성된 팽이부와 상기 팽이부의 중앙 하부에 길게 연장 설치된 파일본체부와 상기 파일본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원추형 저면을 갖는 파일선단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팽이형 파일 형상을 제작하는데 따른 부지 및 플랜트 시설에 대한 비용부담이 크고,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이 60-80Kg의 중량 구조체로 되어 숙련된 성인기술자와 기중기에 의한 운반 및 설치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운반 및 현장 설치비용이 비교적 고가이며, 일일 설치량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기초지반 하부의 지반을 추 가로 보강할 경우나 편심기초 및 응력집중부 기초보강을 위한 팽이형 파일의 파일부의 길이 연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팽이기초를 이용한 공법은 주로 흙의 측방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만을 얻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은 실정이다.
흙막이나 흙파기를 할 때 아래쪽의 지반이 약하면 흙막이 바깥쪽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 자체의 중량 때문에 바닥면에 압력이 가해져 바닥의 흙이 붕괴된다. 이때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 불룩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히빙(heaving)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히빙현상은 연약 지반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흙막이벽의 근입(밑둥넣기) 깊이가 부족할 경우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설계하중이 작은 구조물의 경우에, 상술한 히빙현상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가이고 숙련도를 요하며 설치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는 팽이기초 대신에 간단하게 시공가능하면서도 히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보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히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연 약지반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강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을 경량이고 숙련도가 낮아도 설치가 간단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은, 연약지반의 표층에 일정간격으로 반구형의 구덩이를 파는 단계와,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상에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히빙방지부재를 상기 구덩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근입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부근에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은 연약지반의 표면 위로 돌출되어 연약지반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철근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약지반의 표층에 일정간격으로 반구형의 구덩이를 파고,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킨 후, 상기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는 철근 또는 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히빙방지부재는 상기 구덩이에 근입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세로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세로부재에 결속되는 복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에 결속되는 철망이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부재의 길이는 상기 구덩이의 깊이의 2배 내지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제 1 침하방지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는 복수의 가로철선과 복수의 세로철선이 서로 결속되어 격자모양을 형성하는 철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로철선의 가장 위쪽의 가로철선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민길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제 2 침하방지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림콘크리트 및 상기 히빙방지부재가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끝단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민길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 보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그 평면도, 도 1b는 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된 지반위에 기초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은, 우선 연약지반의 표층에 반구형의 구덩이를 판다. 상기 반구형의 구덩이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하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는 반구형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이나 직방형 등의 홈 형상이거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굴착된 구덩이더라도 좋다.
상기 구덩이와 인접한 구덩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구덩이의 깊이d의 2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덩이의 깊이는 대략 50cm ~ 1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덩이의 깊이가 50cm인 경우에는 상기 구덩이의 끝단과 인접한 구덩이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대략 5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각각의 반구형의 구덩이에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지력 보강구조물(1)로서 제 1 히빙방지부재(2)를 근입시킨다.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는 철근 또는 강봉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의 직경은 대략 20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의 근입은 복수의 히빙방지부재를 상기 구덩이를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근입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의 근입길이는 상기 구덩이의 끝단과 인접한 구덩이의 끝단까지의 거리, 즉 상기 구덩이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의 길이d는 상기 구덩이의 깊이d의 2배 내지 3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는 구덩이의 깊이에 상응하는 깊이 만큼 근입되고, 연약지반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약지반에서의 히빙은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한 구덩이까지의 거리로부터 가상의 반원선 내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구덩이에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상기 구덩이의 깊이에 상응하는 깊이로 근입되므로, 복수의 히빙방지부재에 의해 흙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이러한 히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부근에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를 결속부재(3)에 의해 결속한다. 상기 결속부재(3)는 널리 이용되는 가느다란 철선인 결속선이어도 좋고, 클램프 등의 결속기구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런 다음, 상기 복수의 제 1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때, 상기 구덩이에 콘크리트가 매입되어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와 상기 콘크리트가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는 버림콘크리트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다. 또한, 연약지반의 상부에는 상기 구덩이를 덮는 와이어메쉬(4)를 더욱 배치하고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를 상기 와이어메쉬(4)에 결속하여,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와 상기 와이어메쉬와 상기 버림콘크리트가 서로 결속되어 연약지반, 특히 수분이 많은 연약지반의 지반침하를 더욱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덩이에는 제 1 침하방지부재(5)를 더욱 배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메쉬나 철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는 복수의 가로철선(5a)와 복수의 세로철선(5b)이 서로 격자 모양으로 결속, 접합되어 있으며, 격자의 크기는 3 ~ 10cm 정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덩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5)는 그 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가로철선의 가장 위쪽의 가로철선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민길이부(5c)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내민길이부(5c)와 상기 와이어메쉬(4)를 복수의 개소에서 서로 결속하여 연약지반의 침하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내민길이부는 상기 복수의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과 동일 재질로 구성되며 격자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5)의 가로철선 및 세로철선은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덩이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평평한 형태의 와이어 메쉬나 철망을 하부금형이 오목한 반구형상으로 이루 어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평평한 와이어메쉬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를 반구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연약지반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메쉬(4)에 복수개소에서 결속한 후, 상기 히빙방지부재(2)를 설치 시공한다.
그런 다음, 상기 버림콘크리트 상에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을 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이다. 이 때, 상기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배치되는 철근에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를 더욱 결속하여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침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구성요소 및 보강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침하방지부재의 구성이 실시예 1과 다르다.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제 1 침하방지부재는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침하방지부재(6)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사출성형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6)는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6)에는 복수의 구멍(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 멍의 크기는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를 배치한 후에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6)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2)를 방사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이외의 구멍은 상기 구덩이에 타설되는 상기 버림콘크리트가 삽입관통하여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6)의 표리에 위치하여 침하방지부재와 상기 버림콘크리트가 서로 부착되어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6)는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민길이부(6b)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내민길이부(6b)에도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하여 연약지반에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메쉬(4)와 결속선 등을 이용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실시예의 보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된 지반위에 기초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구성요소 및 보강방법은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지지력 보강부재로서의 히빙방지부재의 구성이 실시예 1 및 2와 다르다.
본 실시예의 제 2 히빙방지부재(8)는, 철근 또는 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8)는 복수의 세로부재(8a)와 복수의 가로부재(8b)가 용접이나 결속부재 등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8a)는 상기 구덩이에 근입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8b)는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세로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에 결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제 1 히빙방지부재는 상기 구덩이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근입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8)는 상기 구덩이에 연약지반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가 미리 조립되어 있고, 상기 조립된 제 2 히빙방지부재를 인력에 의해 또는 별도의 근입장비(예를 들면, 백호우 등)에 의해 근입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의 근입은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8)의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8b)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에 결속되는 철망(9)을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와이어 메쉬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구덩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철망내의 콘크리트는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 및 복수의 세로부재와 함께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에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 중 최상단의 가로부재는 버림콘크리트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배근되는 철근에 더욱 결속됨으로써 상기 제 2 히빙방지부재(8)를 더욱 결속하여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력 보강부재로서 히빙방지부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설치 및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간단한 보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히빙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을 경량이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에 비하여 경량이고 숙련도가 낮아도 설치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으면서 동시에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파일에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연약지반의 표층에 일정간격으로 반구형의 구덩이를 파는 단계와,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상에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은 연약지반의 표면 위로 돌출되어 연약지반위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철근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히빙방지부재를 상기 구덩이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근입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히빙방지부재의 상측 끝단부근에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키기 이전에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침하방지부재를 상기 구덩이에 배치하고, 연약지반에 와이어 메쉬를 배치하며, 상기 침하방지부재와 상기 와이어메쉬를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5. 연약지반의 표층에 일정간격으로 반구형의 구덩이를 파고, 상기 반구형 구덩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히빙방지부재를 근입시킨 후, 상기 히빙방지부재가 근입된 연약지반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히빙방지부재는 철근 또는 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히빙방지부재는, 상기 구덩이에 근입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세로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세로부재에 결속되는 복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가로부재에 결속되는 철망이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의 길이는 상기 구덩이의 깊이의 2배 내지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제 1 침하방지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1 침하방지부재는 복수의 가로철선과 복수의 세로철선이 서로 결속되어 격자모양을 형성하는 철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로철선의 가장 위쪽의 가로철선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민길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제 2 침하방지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침하방지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림콘크리트 및 상기 히빙방지부재가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끝단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내민길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구조물.
KR1020070058366A 2007-06-11 2007-06-14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1401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04 2007-06-11
KR20070056704 2007-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79A true KR20080108879A (ko) 2008-12-16
KR101401730B1 KR101401730B1 (ko) 2014-05-30

Family

ID=4036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366A KR101401730B1 (ko) 2007-06-11 2007-06-14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7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33A (ko) 2014-05-08 2015-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약지반 상에 부유식 말뚝을 이용하여 조성되는 성토체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105350559A (zh) * 2015-11-27 2016-02-2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型厂房的金刚砂结构地面的施工方法
WO2018194279A1 (ko) * 2017-04-20 2018-10-25 (주)삼일이엔씨 현장 타설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0513075A (ja) * 2017-04-05 2020-04-30 サミレン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ilenc Co., Ltd.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609793B1 (ko) * 2023-07-06 2023-12-05 주식회사 태신이앤씨 연약지반용 매립지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274A (ja) * 1997-09-30 1999-04-20 Nkk Corp 拡底杭の先端部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4044198A (ja) * 2002-07-11 2004-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ジャケット式基礎
JP2004169485A (ja) * 2002-11-22 2004-06-17 Yondenko Corp 地盤改良工法
KR100603741B1 (ko) * 2004-04-12 2006-07-25 시지이엔씨주식회사 팽이말뚝 조립틀에 단위팽이형 말뚝용기로 다수개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 유니트판넬을, 지반상에다수개 연결설치하여서 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 및이의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33A (ko) 2014-05-08 2015-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연약지반 상에 부유식 말뚝을 이용하여 조성되는 성토체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105350559A (zh) * 2015-11-27 2016-02-2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型厂房的金刚砂结构地面的施工方法
CN105350559B (zh) * 2015-11-27 2017-12-1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型厂房的金刚砂结构地面的施工方法
JP2020513075A (ja) * 2017-04-05 2020-04-30 サミレン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ilenc Co., Ltd.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WO2018194279A1 (ko) * 2017-04-20 2018-10-25 (주)삼일이엔씨 현장 타설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0517844A (ja) * 2017-04-20 2020-06-18 サミレン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amilenc Co., Ltd. 現場打設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609793B1 (ko) * 2023-07-06 2023-12-05 주식회사 태신이앤씨 연약지반용 매립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730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70073434A (ko) 사면녹화안정용 보강토옹벽
KR20080108879A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CN210658419U (zh) 一种太阳能路灯用深埋式地基
KR100939311B1 (ko) Pc블록과 스틸파이프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안벽 및그 시공방법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0910884B1 (ko) 다단 콘 기초
CN2892973Y (zh) 强夯置换挡墙结构
CN110939142A (zh) 用于边坡的路基结构
CN216739655U (zh) 一种遇有地下构筑物的基坑支护
US20150135612A1 (en) Apparatur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adstones
CN212316951U (zh) 用于边坡的路基结构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76277B1 (ko)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100992076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582775B1 (ko) 지지력이 향상된 지지 구조물
KR101415248B1 (ko) 팽이말뚝 스탬프를 이용한 팽이말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