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832B1 -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 Google Patents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832B1
KR101516832B1 KR1020097020550A KR20097020550A KR101516832B1 KR 101516832 B1 KR101516832 B1 KR 101516832B1 KR 1020097020550 A KR1020097020550 A KR 1020097020550A KR 20097020550 A KR20097020550 A KR 20097020550A KR 101516832 B1 KR101516832 B1 KR 10151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sliding
sliding resistance
resistan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322A (ko
Inventor
요시오 스에마츠
토시미츠 코마츠
노리유키 야스후쿠
Original Assignee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기초 지반상에 연속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로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하고,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하는 구조물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여 슬라이딩 기능이 뛰어난 옹벽을 제공한다.
옹벽, 지반, 슬라이딩 저항체

Description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Foundation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up-and-down boundary structure of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건성 쌓기 옹벽(Dry-walled retaining wall), L형 옹벽 등)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및 옹벽의 슬라이딩(slid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의 한 형태로서 지반에 기초부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한 것이 있다.
이러한 옹벽에서, 토압 등의 수평 외력에 의한 슬라이딩력은 기초부의 하면과 지반의 상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단 저항력(ΣV×tanφ)에 대응한다. 따라서, 통상은 기초부의 폭을 적절하게 산출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견고한 지반이나 암반을 제공하거나, 또는 지반을 흩뜨리지 않고 주변의 지반과 용착성을 확보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여, 기초부의 하면에 돌기 형태의 슬라이딩 저항체를 설치함으로써 기초부의 폭을 넓힐 수 없는 현장에 대응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L형 옹벽의 기초부로서의 저판의 하면에 별체로 형성한 슬라이딩 저항체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옹벽의 슬라이딩 방지를 도모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즉, 이러한 L형 옹벽을 구축할 때에는 지반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매설하기 위한 홈부를 굴삭하여 형성해 두고, 상기 홈부 중에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로서 미리 형성해 놓은 슬라이딩 저항체를 감입시켜서 배치한다. 이런 식으로 그 동일 슬라이딩 저항체를 L형 옹벽의 저판에 일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딩 저항체를 매설하기 위한 홈부는 지반의 일부를 굴삭하여 슬라이딩 저항체를 감입시키기 쉬운 크기로 형성해 놓고,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한 후에 홈부의 전·후벽과 슬라이딩 저항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중에 쇄석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에 수동 토압을 발휘시켜서 슬라이딩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기초부상에 복수의 옹벽 블록을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옹벽부에 있어서는, 기초부의 상단면 전부의 좌우측부에 좌우 한 쌍의 봉 형태의 슬라이딩 방지편을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하고, 양 슬라이딩 방지편에 최하단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의 전 벽 하부의 좌우측부를 당접시켜서 상기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각 옹벽 블록의 상단면 전부의 좌우측부에도 좌우 한 쌍의 봉 형태의 슬라이딩 방지편을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하고, 양 슬라이딩 방지편에 상단에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전벽 하부의 좌우측부를 당접시킨다, 이런 식으로 각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2669797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4-204669호 공보
(1) 상기 특허문헌 1의 옹벽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슬라이딩 저항체를 설치하는 경우의 토공사의 순서는 먼저 지반을 오목형태로 굴삭하고, 그 후에 다시 슬라이딩 저항체의 크기에 맞은 전용 매설 공간을 굴삭하는 이중굴삭을 실시하고 있다.
이때, 매설 공간이 되는 홈부의 내면벽 및 상기 홈부 근방의 수평부를 충분히 조이는 것이 어려워 주변의 지반과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지반이 원래 갖는 지반재로서의 공학적 특성능이 저하되고, 상기의 "지반을 흩뜨리지 않는다"라는 전제조건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 전제조건이 되는 견고한 지반이 아닌 경우, 특히 내부 마찰각이 작고, 배수성이 나쁜 점성토의 지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기초 저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설치하여도 슬라이딩 저항력의 증강에는 미치지 못한다.
(2) 상기의 특허문헌 2의 옹벽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옹벽 블록의 상단면 전부의 좌우측부에 좌우 한 쌍의 봉 형태의 슬라이딩 방지편을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하고, 양 슬라이딩 방지편에 상단에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전벽 하부의 좌우측부를 당접시켜서 각 옹벽 블록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에서는 각 옹벽 블록에 작용하는 외력이 커지는 만큼, 슬라이딩 방지편으로서의 효력을 발휘하나, 동시에 슬라이딩 방지편 및 이들을 지지하고 있는 주변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국부파괴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들 슬라이딩 방지편의 효력에는 자연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 곡선 시공에서는 각 단 마다 원호의 곡률 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옹벽 블록을 틈 없이 연속시켜서 상기 옹벽 블록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딩 방지편의 양방에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벽 하부를 당접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곡선 시공에 있어서는 옹벽 블록을 틈 없이 연속하여 부설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곤란하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기초 지반 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서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하는 구조물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블록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의 전·후벽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를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 보다 상방으로 늘려서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와 블록의 전·후벽과의 사이에 각각 전·후 공간을 형성하며, 각 전·후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전·후부 구속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전부 구속층과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켜서,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전부 구속층과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한 상기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여 기초부 또는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록을 배치하고, 상기 블록 내에 고화재를 투입·고화시켜서 상기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일체로 이루고, 블록과 일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저항체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고화재를 고화시켜서, 슬라이딩 저항체와 일체화한 고화 형성체를 형성하고, 상기 고화 형성체와 일체화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5)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치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구축된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기초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블록 또는 옹벽부를 단을 쌓아서 형성하는 블록은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slope)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 구속층을 상하방향으로 연속함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방향으로 연속시켜서,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6)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과는 비연결 상태로 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7)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옹벽의 상하 경계부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하단 블록의 하단 블록에 연결상태로 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8)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의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슬라이딩 저항체의 단부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용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합용 오목부를 통해 슬라이딩 저항체를 횡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9)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은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구축하는 옹벽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블록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각각의 블록을 단을 쌓아서 형성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단 블록의 전 벽과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 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의 좌우폭은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하부 좌우폭과 동일 또는 그보다도 폭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1)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딩 저항체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저항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를 상방으로 늘려서 형성하고, 상기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입자크기 재료 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 또는 구속층을 형성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2)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옹벽에 있어서,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저항체는 띠 형태의 계류체(anchorage)의 기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계류체의 선단부를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하는 지반에 대략 수평으로 늘려서 옹벽부의 배후의 지반 중에 매설 상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1)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지반상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하는 구조물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란, 단면이 대략 U자형태일 뿐 아니라, 단면이 대략 L자 형태도 포함하고 있다.
돌기 전용의 공간을 설치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기초 지반을 이중으로 굴삭하기 때문에 지반이 흩뜨려지고, 돌기와 그 주변 지반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또한 내부 마찰각이 작은 점성질 등의 지반에서는 수동 토압 계수(값)이 작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효율이 높은 수동 토압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저항체의 매설 공간이 되는 전용 홈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돌기 전용의 홈부를 굴삭하는 종래 기술과는 크게 다르다. 즉, 돌기 전용의 매설공간의 굴삭을 없애는 것으로 지반의 흩뜨려짐을 적게 하여, 지반이 원래 갖고 있는 물리특성을 가능한 한 손상주지 않도록 기초 지반을 확보하는 것을 본 발명의 근저로 하고 있다.
또, 오목부 내에 점성토 등보다도 큰 내부 마찰각을 갖는 입자크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큰 수동 토압을 발휘할 수 있는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효과적으로 효율 높은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하는 구조물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초 지반을 굴삭·롤링 다짐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전제가 된다. 예를 들면, 율석의 경우, 율석은 점토나 사질토보다도 큰 내부 마찰각을 갖기 때문에, 점토나 사질토보다도 큰 전단력을 발휘하고, 율석의 내부 마찰각에 준한 수동 토압을 발휘한다. 또, 점토 지반에서는 배수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비배수 조건 하에서는 유효 응력이 저하되어, 전단력 및 수동 토압이 다시 감소하나, 율석은 배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동 토압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저항체를 매설하는 전용 홈부를 없애고, 기초 지반상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설치하여, 적어도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면 측에 원래의 지반재보다도 큰 내부 마찰각을 갖는 입자크기 재료를 사용하여, 보다 큰 수동 토압(계수)을 발휘할 수 있는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경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으로서의 효과적인 수동 토압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하는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2)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블록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의 전·후벽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를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으로부터 상방으로 늘려서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와 블록의 전·후벽과의 사이에 각각 전·후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 전·후의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전·후부 구속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전부 구속층과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기 전부 구속층과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한 상기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블록이란 기초부 또는 옹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블록의 것이다. 또, 구속층 형성재는 입자크기 재료, 프리캐스트판, 레미콘, 토사나 쇄석을 충전한 토양 등, 또는 이들을 병용한 것이다.
따라서,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블록에 주동 토압이 작용하면, 상기 주동토는 블록의 후벽으로부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와의 사이에 형성한 후부 구속층을 거쳐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되고, 이 전파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면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부 구속층과 입자크기 재료층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구속층 형성재와 입자크기 재료가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하고,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블록, 즉, 입자크기 재료층 위에 설치하는 최하단 블록의 전방향으로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한다.
이때,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과 연결하지 않고 분리하여 설치되고, 슬라이딩 저항체와 블록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주변 전체를 입자크기 재료로 둘러싸는 비연결식 건성 쌓기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저항체에는 파괴로 이어지는 굽힘, 인장, 전단 응력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는 기본적으로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를 기초부와 일체화하는 종래 공법에서는 돌기 부분에 큰 굽힘, 인장, 전단 등의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번잡한 설계와 시공이 요구되고, 당연히 비용도 상승한다.
또, 반력을 발휘하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유효면적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일체·고정식의 슬라이딩 저항체보다도 큰 반력(수동)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좌·우의 소구면과 블록의 연결체의 사이에 좌·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좌·우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지진 등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해서 상기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을 발휘한다. 이는 상기 블록의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3)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여 기초부 또는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록을 배치하고, 상기 블록 내에 고화재를 투입·고화시켜서 상기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일체로 이루어, 블록과 일체화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블록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고, 또, 고화재로서는 예를 들면,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블록과 슬라이딩 저항체를 상기 블록 내에 고화재를 투입·고화시켜서 슬라이딩 저항체를 상기 블록과 일체화하고 있다.
따라서,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블록에 주동 토압을 작용하면, 상기 블록과 일체화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주동 토압이 전파되고, 상기 전파에 의해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입자크기 재료가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에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상기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4)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적어도 전면 측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원래의 지반재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입자크기 재료 층의 위에 고화재를 고화시키고 슬라이딩 저항체와 일체화한 고화 형성체를 형성하고, 상기 고화 형성체와 일체화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이 반력(수동)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기초부 또는 옹벽부의 일부로 이루어진 고화 형성체와 슬라이딩 저항체를 일체화하고 있다.
따라서,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고화 형성체에 주동 토압이 작용하면, 상기 고화 형성체와 일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저항체에 주동 토압이 전파되고, 상기 전파에 의해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입자크기 재료가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에 효과적인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배치한 고화 형성체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고화 형성체는 고화제로서 예를 들면,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고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5)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 위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여 구축하는 옹벽에 있어서, 기초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록 또는 옹벽부를 단을 쌓아서 형성하는 블록은,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시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법면이란 기반의 절토면이나 성토의 경사면 등, 옹벽의 배후 지면이다.
따라서, 주동 토압이 블록에 작용하면, 주동 토압은 블록의 후벽 및/또는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후부 구속층 형성재를 거쳐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되고, 이 전파에 의해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면 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양 전부 구속층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에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또, 주동 토압과는 반대 반향의 외력(지진)이 블록에 작용하면, 상기 외력은 블록의 전 벽에서부터 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를 거쳐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되고, 이 전파한 전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해 슬라이딩 저항체의 후면 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에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또,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후면과 블록의 전·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후부 공간과는 별도로 슬라이딩 저항체의 좌·우의 소구면과 블록의 연결체와의 사이에 좌·우 공간을 형성하고, 양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측의 구속층은 좌·우 방향으로부터 외력(지진 등)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반력을 발휘하여 상기 블록의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전·후·좌·우의 구속층 형성체가 슬라이딩 저항체에 발휘하는 반력(수동)에 의해, 각 단의 상하 경계면의 블록의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그에 의해, 2차원 방향(평면-360도)으로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구속층 형성재에 반력을 발휘시켜서 블록간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는 상기 슬라이딩 방지 구조는 슬라이딩 저항체에 작용하는 각 구속층 형성재의 무게 및 구속층 형성재에 작용하는 토지 커버 압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단을 쌓아 올린 블록의 안길이 방향으로의 어긋나는 폭이 보다 작아져서 필연적으로 내부가 채워진 재료의 토지 커버 압력이 증대하는 급경사 법면 만큼, 보다 큰 반력(수동)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법면이 급경사가 되는 만큼 슬라이딩 저항력이 강화되는 이상적인 슬라이딩 방지 구조가 된다.
(6)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과는 비연결 상태로 하여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과 연결하지 않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와 블록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주변 전체를 입자크기 재료로 감싸는 비연결식 건성 쌓기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저항체에는 파괴로 이어지는 굽힘, 인장, 전단 응력 등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슬라이딩 저항체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 돌기를 블록과 연결하는 종래의 돌기 공법은 블록 전면의 하부를 돌기면에 당접하여 상기 돌기의 전단력에 의해 블록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굽힘, 인장, 전단 응력 등이 발생하고, 돌기부가 파손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 이들의 돌기에서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이 발휘할 수 있는 방향은 전방향만으로, 좌·우 방향에서부터 외력에 대해서는 돌기 효력은 개무하다. 이 때문에, 블록의 양단부에서부터 내부가 채워진 재료가 튀어나오는 일이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돌기를 블록에 연결하는 종래 공법은 내력면·기능성에 과제를 남기고 있다.
(7)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는 상하 방향에 인접하는 상·하단 블록의 하단 블록에 연결상태로 하여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블록에 연결상태로 하여 배치한다"란, 블록에 형성한 감합용 오목부에 피구속부의 단부를 감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블록에 설치한 맞물리기용 돌기에 피구속부의 단부를 맞물리게 연결하거나 하는 등에 의해, 블록에 대해서, 슬라이딩 저항체의 배설위치를 대략(전후의 움직임에 유격을 주고)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와, 블록에 연결 볼트 등의 연결구를 통해 피구속부를 고정 상태로 연결하는 경우와, 블록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일체 성형하고 블록에 피구속부를 일체 연결상태로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하단의 블록의 하단 블록에 슬라이딩 저항체를 연결상태로 하여 배치함으로써, 구조면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중량과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에 상재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의 중량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하단 블록에 전파되어, 상기 블록의 연직방향의 중량이 증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저항체의 하부면적의 증가에 의해 구속층 형성재의 선단 강함(연직 성분)이 증대한다. 그 결과, 이들 중량 및 선단 강함이 증가한 만큼, 연직 방향의 외력에 대한 반력이 증가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8)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의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슬라이딩 저항체의 단부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용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합용 오목부를 통해 슬라이딩 저항체를 횡 배치 형태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공면에 있어서, 감합용 오목부에 슬라이딩 저항체의 단부를 감합시켜서 횡가 형태로 배치하는 것만으로 정확하면서도 간단하게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중에 슬라이딩 저항체가 전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9)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여 구축하는 옹벽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블록 위에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별개의 블록을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 걸치도록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활동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층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반면, 상단 블록의 전 벽과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구속층을 상하방향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최초에, 청구항 2항에 기재된 기초부 구조에 의해 토압이 가장 큰 최하단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최하단 블록과 상기 최하단 블록 위에 설치되는 블록과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여 옹벽의 상하 경계면 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 경계부 구조를 최하단 블록에서부터 차례대로 상단측으로 연속함으로써 각 단의 블록은 하단측의 블록이 상단측의 블록의 슬라이딩을 차례대로 방지하는 일련의 슬라이딩 방지구조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토압이 큰 블록(최하단)에 주동 토압이 작용하면, 상기 주동 토압은 상기 블록(최하단)의 후벽과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와의 사이에 형성한 후부 구속층을 통해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되고, 이 전파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입자크기 재료층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구속층 형성재와 입자크기 재료가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기 블록(최하단)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당연히, 상기 블록(최하단)보다 상단 위치의 각 단이 블록에도 주동 토압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들 주동 토압이 각 단의 블록의 후벽 및/또는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를 거쳐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되고, 이 전파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전면측의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양 전부 구속층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에 반력(수동)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부의 하단측의 블록이 상단측의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이때, 주동 토압은 상단 위치가 되는 만큼 작아지기 때문에, 주동 토압이 가장 큰 최하단 블록이 슬라이딩하지 않는 한, 각 단의 블록은 하단측의 블록이 상단측의 블록의 슬라이딩을 차례대로 방지하는 일련의 슬라이딩 방지구조를 완성한다.
따라서, 이 일련의 슬라이딩 방지 구조의 완성에 의해 상하 경계부 구조로 형성한 상하로 연속하는 양 전부 구속층 및 양 후부 구속층 형성재에 압축 응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구속층 형성재가 갖는 압축 강도가 반력이 되어 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된다. 이런 식으로, 구속층 형성재가 갖는 강도 중에서 가장 강한 압축강한 압축 강도를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슬라이딩 안전률(Fs)이 비약적을 향상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체(상하 경계면 배치용)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 내부 마찰각이 작은 크러셔 런(crusher run) 등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도 향상된다.
(10)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 좌우 폭은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하부 좌우 폭과 동등 또는 그것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는 예를 들면, 블록의 연결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좌우 폭, 또는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 가능한 좌우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저항체의 좌·우의 소구면과 블록의 연결체와의 사이에 좌·우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측의 구속층은 좌·우 방향에서부터의 외력(지진 등)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반력을 발휘하여 상기 블록의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또,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전·후·좌·우의 구속층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에 발휘하는 반력(수동)에 의해 각단의 상하 경계부의 블록의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함으로써 2차원 방향(평면-360도)으로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할 수 있다.
슬라이딩 저항체의 하부는 그 위에 블록의 좌·우측 연결체를 설치할 수 있는 좌우 폭 또는 가능한 큰 수동 토압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부보다도 폭 넓은 좌우 폭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11)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항체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함과 동시에,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를 상방으로 늘려서 형성하고, 전후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저항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입자크기 재료 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 또는 구속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전후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저항체 간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입자크기 재료 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 또는 구속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입자크기 재료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동 토압이 작용하면 대향하는 전후 슬라이딩 저항체 사이 내의 입자크기 재료에는 구속압이 발생하고, 상기 구속압에 의해 입자크기 재료의 수동 붕괴 미끄럼면의 발생 및 그 진행이 제어되어 입자크기 재료의 선단 저항력 및 수동 토압이 증대한다.
또, 이들 슬라이딩저항체는 복수를 연결 상태로서 입자크기 재료층 내에 매설하는 것으로 수동 토압이 발휘하는 슬라이딩 방지 기능과 함께, 지반 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 블록으로서의 지반 지지기능 병행을 갖는 입자크기 재료층(기초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저항체와 기초 블록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슬라이딩 저항체 (기초 블록으로 제공)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저항체(기초 블록으로 제공)의 내부 및 외부에 입자크기 재료층을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수동 토압을 발휘함과 동시에 지반 지지력을 담당하는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할 수 있다.
(12)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은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띠 형태의 계류체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계류체의 선단부를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된 지반 중에 대략 수평으로 늘린다. 이런 식으로, 상기 지반 중에 계류체를 매설 상태로 이루고 있다.
종래의 보강토 옹벽공은 옹벽부를 형성하는 옹벽 블록에 계류체에 직접 연결하고,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에 계류체를 대략 수평으로 늘려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론상은 주동 토압에 의해 블록이 전방으로 약간 슬라이딩하면 이 블록의 슬라이딩과 동시에 계류체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이 계류체가 발하는 인장 응력에 의해 상기 지반재의 선단 저항력이 강화되고,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재의 안정이 확보된다. 또한, 이 지반(재)의 안정에 의해 블록의 슬라이딩·전도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시공 등의 미스에 의해 예측 이상으로 이상의 블록이 움직인 경우는 옹벽 전체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블록에 계류체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설치한 슬라이딩 저항체에 계류체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이론상은 주동 토압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체의 약간의 움직임에 따라서 슬라이딩 저항체에 연결하고 있는 계류체 자체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지반재의 전단 저항력이 강화된다. 한편, 블록 자체는 각단의 상하 경계부의 양 전부 구속층의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발하는 반력(수동)에 의해 상기 블록의 슬라이딩·전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효과적으로 반력을 발휘하여,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방지효과와, 슬라이딩 저항체에 계류체를 연결하여 지반재를 보강하는 지반 보강효과를 유기적으로 일체화시킨다. 그 결과, 더욱 견실한 계류체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로서의 옹벽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는 옹벽의 하반부의 확대면 측면 설명도.
도 3은 옹벽의 기초부의 일부 절결 평면 설명도.
도 4a, 4b 및 4c는 옹벽 블록의 설명도(4a는 평면도, 4b는 4a의 Ⅰ-Ⅰ선 단면도, 4c는 단면 측면도).
도 5의 (1) 내지 (10)은 옹벽의 시공 설명도.
도 6의 (5') 내지 (7')은 타 실시예 1로서의 기초부 본체의 시공 설명도.
도 7a 내지 7d는 타 실시예 2로서의 기초부의 설명도(7a는 단면측면도, 7b는 일부 절결 평면도, 7c는 단면 배면도, 7d는 역학적 설명도.)
도 8a 내지 8는 타 실시예 3으로서의 기초부의 설명도(8a는 단면측면도, 8b는 일부 절결 평면도, 8c는 단면 배면도, 8d는 역학적 설명도.)
도 9는 변형예로서의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의 사시도.
도 10은 타 실시예 4로서의 기초부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5로서의 기초부의 설명도.
도 12a 및 12b는 타 실시예 6으로서의 기초부의 설명도(12a는 단면측면도, 12b는 역학적 설명도.)
도 13a 내지 13b는 타 실시예 1로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의 사용상태 설명도(13a는 평면 설명도, 13b는 13a의 Ⅱ-Ⅱ선 단면도, 13c는 단면측 설명도).
도 14a 내지 14c는 타 실시예 2로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의 사용상태 설명도(14a는 평명 설명도, 14b는 14a의 Ⅲ-Ⅲ선 단면도, 14c는 단면측 설명도).
도 15는 타 실시예 3으로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
도 16은 타 실시예 4로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측면도.
도 17은 타 실시예로서의 경계부 또는 옹벽의 설명도.
도 18은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의 단면측 설명도.
도 19는 도 18의 Ⅳ-Ⅳ선 단면 평면도.
도 20은 제2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로서의 옹벽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1은 제2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로서의 옹벽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2는 옹벽의 평면 설명도.
도 23은 슬라이딩 저항체와 계류체의 연결 상태 설명 사시도.
도 24는 제2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로서의 옹벽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5는 옹벽의 평면 설명도.
도 26은 제3 실시형태로서의 옹벽의 일부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7a 및 27b는 제4 실시형태로서의 옹벽의 일부 설명도(27a는 평면 설명 도, 27b는 27a의 Ⅴ-Ⅴ선 단면 설명도).
도 28a 및 28b는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의 옹벽의 일부 설명도(28a는 평면 설명도, 28b는 28a의 Ⅵ-Ⅵ선 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옹벽, 11: 지반, 12: 기초부,
13: 경계부, 14: 옹벽부, 20; 볼록조부
21: 단차부, 22: 저부층, 23: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
24: 전부 구속부, 25: 후부 구속부, 26: 기초부 본체,
27: 기초부 본체 형성편 28: 기초부 형성 고화편,
30: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 32: 옹벽 블록
40: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도 1에 나타내는 10은 제1 실시형태로서의 수평으로 쌓은 옹벽이다. 상기 옹벽(10)은 기초 지반(11)에 기초부(12)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12)상에 경계부(13)를 통해 옹벽부(14)를 고정하여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초부(12)와, 경계부(13), 및 옹벽부(14)에 각각 슬라이딩 저항체(후술하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 및 옹벽부용 슬라이딩 방지체(40))를 설치하여 각 부 (12, 13, 14)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기초부(12)의 양호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이 확보된다. 따라서, 그 기초부(12)상에 형성되는 경계부(13)의 양호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이 더 확보되고, 그 경계부(13)상에 형성되는 옹벽부(14)의 양호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이 한 층 더 확보된다. 이런 식으로, 각 부(12, 13, 14)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방지 기능은 그 효과들을 나타내기 위해 상호 일렬로 연결되어, 이른바 상승효과가 생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번호 15는 기반, 16은 법면으로서의 절토면, 17은 율석 등과 같은 채움 재료, 18은 매움재이다.
이어서, 기초 지반(11)에 있어서, 기초부(12)의 슬라이딩 방지 기능이 양호하게 확보되도록 구성한[기초부(12)의 구조], 기초부(12)와 옹벽부(1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13)의 구조], 및 [옹벽부(14)의 구조]에 대해서 차례대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초부(12)의 구조]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지반(11)에 오목부로서 옹벽 연속설치 방향으로 늘어나는 오목조부(trench: 20)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조부(20) 내에 기초부(12)를 배설 가능하게 이루고 있으며, 상기 오목조부(20)의 저부의 후부에는 옹벽 연속설치이 가능하게 늘어나는 단부 볼록조로 이루어진 단차부(21)를 형성하고 있다(도 5의 (1) 참조).
오목조부(20)의 저부의 전부, 즉, 오목조부(20)의 저부에서 단차부(21)보다 도 전방에 위치하는 저부에는 저부 지지재를 부설함과 동시에 롤링 다짐(rolling compaction)으로 저부층(22)을 형성하고 있다(도 5의 (2) 참조). 여기서, 저부 지지재로서는 내부 마찰각이 상기 기초 지반(11)을 형성하는 지반재와 동일 또는 보다 큰 입자크기 재료(예를 들면, 쇄석)를 사용한다.
저부층(22)상에는 단면 종장 사각형으로 옹벽 연속설치 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의 기초부용 슬라이딩 방지체(23)를 단차부(21)의 직방향으로 위치시켜서 배치하고 있다(도 5의 (3)참조).
이런 식으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입자크기 재료인 쇄석 등의 저부 지지재를 부설하여 형성한 저부층(22)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저부층(22)의 층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레벨 조정(상하 방향의 위치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저부층(22)상에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전방에 형성되는 오목조부(20) 내의 공간에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전부 입자크기 재료층(24)을 형성하는 한편, 기초부용 슬라이딩 방지체(23)의 후방 또는 단차부(21)상에 형성되는 오목조부(20) 내의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5)을 형성하고 있다(도 5의 (4) 참조). 여기서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을 형성하는 입자크기 재료로서는 내부 마찰각이 상기 기초 지반(11)을 형성하는 지반재와 동등 또는 그것보다도 큰 입자크기 재료(예를 들면, 모래가 섞인 자갈, 쇄석, 율석, 콘크리트 파쇄편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오목조부(20) 내에 저부층(22)과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 체(23)와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으로 이루어지는 기초부 형성층(1)을 형성하고 있다(도 2 및 도 5의 (4) 참조).
따라서, 이러한 기초부 형성층(1)에 있어서, 슬라이딩시의 저항면이 되는 가상 전 단면(45)은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하단면의 위치인 저부층(22)과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마찰각이 작은 점성토의 기초 지반(11)에 있어서도, 쇄성 등의 저부 지지재에 의해 점섬토의 약점인 작은 내부 마찰각을 강화하여 보충할 수 있고, 슬라이딩시의 가상 전 단면(45)의 전단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입자크기 재료가 갖는 내부 마찰각에 준한 전단력 및 수동 토압을 상기 입자크기 재료에 발휘시킬 수 있고,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높일 수가 있다.
특히, 입자크기 재료로서 예를 들면, 율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율석은 점토나 사질토보다도 내부 마찰각이 크고 또한 수동 붕괴각이 작기 때문에, 점토나 사질토보다도 큰 전단력을 발휘하여 율석의 내부 마찰각에 준한 수동 토압을 발휘한다.
점토 지반에서는 배수성이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비배수 조건하에서는 유효 응력이 더욱 저하하여 전단 저항력이나 수동 토압이 더욱 감소한다. 그러나, 입자크기 재료인 율석과 저부 지지재인 쇄석은 배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율석의 내부 마찰각에 맞는 안정적인 전단력 및 수동 토압을 기대할 수 있다.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21)는 기반(15)과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가상 전 단면(45)에서부터 단차부(21)의 상면까지 의 높이 H((도 2 참조)의 분만큼, 기반(15)으로부터 옹벽(10)에 작용하는 토압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1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기초부 형성층(1)의 위에는 기초부 본체(26)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초부 본체(26)를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와 일체화시켜서 기초부(12)를 형성하고 있다(도 5의 (5) 참조).
또한, 기초부 본체(26)는 전·후부 구속층(24, 25)상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사각형 틀 형태의 블록으로서의 기초부용 본체 형성편(27)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에 고화재를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대략 절반 높이까지 투입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평판 형태의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도 5의 (6)을 참조).
여기서, 블록으로서의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벽(83, 84)과 이 양 전·후벽(83, 84)을 연결하는 연결체로서의 좌·우 측벽(85, 86)으로부터 상·하면 개부부를 갖는 횡장(laterally-long) 사각형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85, 86)의 전부에는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측 접속용 돌출부(85a, 86a)를 형성하고, 좌측 접속용 돌출부(85a)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감합(fitting) 오목부(85b)를 형성하는 한편, 우측 접속용 돌출부(86a)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감합 볼록부(86b)를 형성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좌측의 옹벽 블록(32)의 감합 오목부(86b)와, 우측의 옹벽 블록(82)의 감합 오목부(85b)가 감합하여 좌우 방향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좌·우 측벽(85, 86)의 각각의 상부 간에는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가설하고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85, 86)의 내측 면에 있어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된 감합용 오목부(87, 88)를 좌우 방향으로 대향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각 감합용 오목부(87, 88)는 좌·우 측벽(85, 86)의 내측면을 상방 및 내측이 개구되는 역 사다리꼴 오목부 형상으로 하고 있다.
좌·우 측벽(85, 86)에 감합용 오목부(87, 88)를 통해 후술하는 경계부용 슬라이딩 방지체(30)를 횡으로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감합용 오목부(87, 88)의 전후폭은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전후폭보다도 약간 폭넓게 형성하고,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전후 움직임의 유격을 갖게 하고 있다.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은 전·후부 구속층(24, 25)의 상면 및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상면과 일체로 고화시켜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은 대략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참조번호 29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 앵커 바(anchor bar)이다(도 5의 (6) 참조).
여기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좌우폭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폭보다도 폭넓게 형성하고 있어,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좌·우측 단부(23a, 23b)는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 상기 고화재로서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상에 설치한 기초부 본체 형 성편(27)과,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상·하면 개구부내에서 고화재를 고화시켜서 일체적으로 형성한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에 의해 기초부 본체(2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은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의 상면 및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상면과 일체적으로 고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초부(12)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하여 강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채용하고,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고화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쉽게 기초부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의 전면에, 평판 형태의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에 후술하는 옹벽 블록(32)내와 전·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4, 25)을 연통시키는 상하 방향 연통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옹벽 블록(32)을 식생 블록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식생 블록에 식생한 식물이 그 뿌리를 상하 방향 연통부 안을 통하여 기초 지반(11)까지 늘릴 수가 있다.
[경계부(13)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은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횡 배치하고 있다.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는 단면 종장(vertivally long) 사각형으로 옹벽 연속설치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 측벽(85, 86)에 형 성한 감합용 오목부(87, 88)에 좌·우측 단부가 감합하여 빔(beam)형태로 횡 배치되는 피구속부(30a)와, 상기 피구속부(30a)의 상단 연부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속설치하여 형성한 구속부(30b)로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 측벽(85, 86)에 형성한 감합용 오목부(87, 88)에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좌·우측 단부를 감합하여 빔 형태로 횡 배치함으로써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에서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상에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안정적인 상태로 쉽게 배치(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방지체(30)는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의 전후폭 중앙부보다도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에서 후벽(84)과 대략 평행시켜서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에 연결하고 있다(도 5의 (7)을 참조).
다음에,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에서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전후에 형성되는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상의 공간에는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함과 동시에,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상단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롤링 다짐하여 전·후부 구속층(90, 91)을 형성하고 있다(도 5의 (7)을 참조).
그 결과,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에 가교(laterally acess)한 경계부용 슬라이딩 방지체(30)의 피구속부(30a)는 전·후 구속층(90, 91)을 각각 형성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상호 연동하여 전후 방향에서부터 지지되는 한편,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구속부(30b)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로서 는 예를 들면, 쇄석, 율석, 콘크리트 파쇄편 등의 괴상물, 또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의 고화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후술하는 옹벽부(1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으로서의 옹벽 블록(32)을 복수 단을 쌓아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옹벽블록(3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벽(33, 34)과, 양 전·후벽(33, 34)을 연결하는 연결체로서의 좌·우측벽(35, 36)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후벽(34)은 전벽(33)의 대략 절반 높이로 낮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후벽(34)의 높이는 전벽(33)의 대략 절반 이하의 높이라면 좋고, 본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옹벽부(14)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32)은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형성한 전·후부 구속층(90, 91)의 상에 설치하고, 상기 옹벽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사이에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구속부(30b)를 배치하여 상기 옹벽(33)과 구속부(30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상기 옹벽블록(32)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속부(30b)와 상기 옹벽부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상기 옹벽블록(3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하고 있다.
또, 후벽(34)의 상단보다도 대략 상방위치의 롤링 다짐 라인(39)까지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함과 동시에 롤링 다짐하고, 기초부(12)와 최하단 옹벽 블 록(32)과의 사이에 경계부(13)를 형성하고 있다(도 5의 (8)의 참조).
여기서, 롤링 다짐 라인(39)은 도 2 및 도 5의 (8) 및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 블록(32) 내에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와, 상기 옹벽 블록(32)의 배후에 충전한 뒤 채움 재료(17)를 롤링 다짐하는 작업라인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옹벽 블록(32)의 대략 절반의 높이 위치(후벽보다도 높은 위치)와, 상기 옹벽 블록(32)의 상단면의 높이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기초부(12)와 최하단의 옹벽 블록(32)과의 사이에 경계부(1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구속부(30b)의 전후에 형성한 전·후부 구속층(92, 93)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상호 연동하여(기초부(12)가 슬라이딩하지 않고,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가 파괴하지 않는 한), 옹벽 블록(32)의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구조로 이룰 수가 있다.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통해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형성한 전·후 구속층(90, 91)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에 슬라이딩에 대한 반력을 발휘시키는 본 기술은 상하단의 옹벽 블록 경계부에 있어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 등의 전단력으로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종래의 건성 쌓기 옹벽과는 전혀 다른 건성 쌓기 옹벽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벽체 중량과 상기 경계부(13)에 있어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마찰각(μ=tanΦ)에 의해 지배되는 종래의 건성 쌓기 옹벽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기초부(12)가 슬라이딩하지 않는 한, 또, 경계부용 슬라이딩 방지체(30)가 파괴하 지 않는 한, 최하단의 옹벽 블록(32)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을 견실하게 구속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건성 쌓기 옹벽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구속부(30b)와,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는 일이 없고, 상기 구속부(30b)를 상기 후벽(34)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한 경우에도 상기 구속부(30b)에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이 후방에서 전방에 맞물리는 상태가 되어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방지력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에 충전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로서 괴상물로 바꾸어 고화재를 투입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평판 형태의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기초부 본체 형성편(27) 및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의 피구속부(30a)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옹벽부(14)의 구조]
옹벽부(1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옹벽 블록(32)을 단을 쌓아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옹벽 블록(3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벽(33, 34)과, 양 전·후벽(33, 34)의 좌·우측단부간을 연결하는 좌·우측벽(35, 36)에서부터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사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후벽(34)을 전벽(33)의 절반 이상의 높이로 낮게 형성하고 있다.
좌·우측벽(35, 36)의 전부에는 그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측 접속용 돌출부(35a, 36a)를 형성하고, 좌측 접속용 돌출부(36a)에는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감합 오목부(35b)를 형성하는 한편, 좌측 접속용 돌출 부(36a)에는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감합 볼록부(36b)를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좌측의 옹벽블록(32)의 감합 볼록부(36b)와, 우측의 옹벽 블록(32)의 감합용 오목부(35b)가 감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좌·우측벽(35, 36)의 상부 사이에는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횡 배치하여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과 동일하게 연결하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35, 36)의 내측면에 있어서, 상부 및 후부에 위치시켜서 감합용 오목부(37, 38)를 좌우방향으로 대향 상태로 형성하고 있으며, 각 감합용 오목부(37, 38)는 좌·우측벽(35, 36)의 내측면을 상방 및 내측이 개구하는 역 사다리꼴 오목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는 단면 종장 사각형으로 옹벽 연속설치 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반부를 상기 감압용 오목부(37, 38)에 좌·우측 단부가 감합하여 빔 형태로 횡 배치되는 피구속부(40a)와, 상기 피구속부(40a)의 상단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태로 연속설치한 구속부(40b)로 형성하고 있다.
구속부(40b)는 좌우 폭을 피구속부(40a)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하고, 상기 구속부(40b)의 좌우측방으로 그리고 피구속부(40a)의 좌우측 단부 상방으로 간섭 회피용 공간(41, 42)을 형성하고 있다.
즉,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는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좌우 폭, 또한, 상기 간섭 회피용 공간(41, 42)을 확보하여 각 간섭 회피용 공간(41, 42)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 함으로써 좌·우측 구속층(43, 44)을 형성가능한 좌우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사이에, 감합용 오목부(37, 38)를 통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를 횡 배치하여 위치 결정하고, 동일 상태로 옹벽 블록(32) 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전부 구속층(92)과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하고, 상기 옹벽 블록(32)의 상단면과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상면이 대략 같이 높이가 되도록 롤링 다짐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는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내에 매설됨과 동시에, 구속부(40b)는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어 상기 구속부(40b)의 좌우측방에는 간섭 회피용 공간(41, 42)이 확보되어 있다. 이 때,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횡 배치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는 전·후부 구속층(92, 93)을 각각 형성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상호 연동하여 전후 방향에서부터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옹벽 블록(32) 상에 상단용 옹벽 블록(32)을 설치한다. 이 때, 하단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5)사이에 횡 배치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가 상단에 설치하는 옹벽 블록(32)의 전·후벽(33, 34)사이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속부(40b)의 좌우측방에는 간섭 회피용 공간(41, 42)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옹벽 블록(32)은 좌·우측벽(35, 36)을 상기 구속부(40b)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설치 자세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단으로 쌓아진 옹벽 블록(32)내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하단에 옹벽 블록(32)에 설치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속부(40b)와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한다(도 5의 (9)를 참조).
또, 상단의 옹벽 블록(32)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구속부(40b)의 좌측방으로 확보되어 있는 간섭 회피용 공간(41)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고,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우측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좌측부 구속층(43)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속부(40b)의 우측방으로 확보되어 있는 간섭 회피용 공간(42)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좌측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우측 구속부층(44)을 형성한다.
그 후, 후벽(34)의 상단보다도 약간 상방 위치의 롤링 다짐 라인(39)까지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와 뒤채움 재료(17)를 동시에 충전·롤링 다짐한다(도 5의 (9) 참조).
이 후,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감합용 오목부(37, 38)를 통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를 횡 배치하고, 동 상태에서 옹벽 블록(32)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 배후에 뒤채움 재료(17)를 충전하여, 상기 옹벽 블록(32)의 상단면과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 및 뒤채움 재 료(17)의 상면이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롤링 다짐한다(도 5의 (10) 참조).
이하, 소요 단수까지 상기의 순서로 반복함으로써 각 상·하단의 옹벽 블록(32, 32)사이에 옹벽 블록간 경계부(94)를 형성하면서 옹벽부(14)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하단의 옹벽 블록(32)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를 횡 배치하여 연결함으로써 토압 등이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배후에서부터 작용한 때에는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후부 구속측(93)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하단 옹벽 블록(32)에 작용력이 전파되어 이 전파와 대략 동시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후면측의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반력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이 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또, 지진 등에 의해 슬라이딩력으로서 상단 블록의 전벽에 전방에서부터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상단 블록(32)의 전벽(33)→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하단 옹벽 블록(32)에 전파되고, 이 전파와 거의 동시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전면측의 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반력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이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동일하게, 지진 등에 의해 상단 옹벽 블록(32)에 좌(우)방향의 슬라이딩력이 작용한 때에는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통해 상기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좌·우측의 좌·우측 구속층(43, 44)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서로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슬라이딩력에 대해 반력을 발휘한다.
즉, 슬라이딩력은 상단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상단 좌(우)측의 구속층 형성재(내부가 채워진 재료(31))→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전파된다.
이 때, 하단 옹벽 블록(32)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층(40a)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단 옹벽 블록(32)의 좌우측 구속층 형성재가 서로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의 반력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의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이런 식으로 각 상·하단의 옹벽 블록(32, 32)사이에 옹벽 블록간 경계부(94)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옹벽부(14)를 형성하는 옹벽 블록(32, 32)끼리가 옹벽 블록간 경계부(94)에 있어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전후에 형성한 전·후 구속층(92, 9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단을 쌓은 각 옹벽 블록(32)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에 대한 반력을 발휘시킴과 동시에, 좌·우측 구속층(43, 44)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각 옹벽 블록(32)의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에 대한 반력을 발휘시키는 구조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끼리의 사이의 전단력으로 슬라이딩력에 대항하는 종래 의 건성 쌓기 옹벽과는 전혀 다른 건성 쌓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기초부(12)와 옹벽부(14)와의 사이에 형성된 경계부(13)와 동일하게 상·하단의 옹벽 블록(32)사이에 형성되는 옹벽 블록간 경계부(94)에도 슬라이딩에 대한 반력을 발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종래의 건성 쌓기 옹벽의 옹벽부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성이 뛰어나는 옹벽부(14)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각 옹벽 블록(32)은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형성한 전·후부 구속층(92, 93) 및 좌·우측부 구속층(43, 44)에 의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을 구속한 상태에서 옹벽부(14)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옹벽 블록(32)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단하면서도 견실하게 옹벽부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 회피용 공간(2, 3, 41, 42)을 형성함으로써 옹벽 연속설치 방향의 블록 설치 어긋남폭을 허용하고, 옹벽(10)의 곡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와, 상단에 단을 쌓은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는 일 없이, 상기 구속부(40b)를 상기 후벽부(34)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한 경우에도 상기 구속부(40b)에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이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맞물리는 상태로 되어 상단 옹벽 블록(32)의 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방지력을 높일 수 있다.
제1 실시형태로서의 옹벽(10)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전·후 구속부(24, 25)에 발휘되 는 수동 토압을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기초부(12)의 슬라이딩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경계부(13)에 있어서는 기초부(12)의 위에 설치된 최하단 옹벽블록(32)의 전후 및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을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에 의해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최하단 옹벽 블록(32)의 위에 단을 쌓은 옹벽 블록(32)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을,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의해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옹벽(10)의 기초부(12)→경계부(13)→상하방향으로 단을 쌓아서 옹벽부(14)를 형성하는 각 옹벽 블록(32)끼리 사이의 옹벽 블록 사이 경계부(94)와 같이 옹벽(1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를 향해서 각부의 슬라이딩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옹벽(10)자체의 슬라이딩을 일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옹벽(10)은 상기와 같이 최하부의 기초부(12)에서 최상부의 옹벽 블록(32)까지 일체적으로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방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에도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를 도모하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지진시에 있어서 효력을 발휘한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1]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1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기초부(12)의 기초부 본체(26)는 기초부 형성층(1)의 전·후부 구속층(24, 25)상에 고화재로서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등을 직접 타설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 시공 순서를 설명한다. 도 6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기초부 형성층(1)의 전·후부 구속층(24, 25)을 형성하고, 상기 전·후부 구속층(24, 25)의 위에 형틀(50)을 배치하고, 상기 형틀(50) 내에서 전·후부 구속층(24, 25)상에 지지대(5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51)상에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지지시킨다.
이어서, 도 6의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틀(50) 내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기초부 본체(26)를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와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전·후부 구속층(24, 25)의 상면부를 일체화시켜서 형성한다.
그 후, 도 6의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형한 후 옹벽 블록(32)을 설치한다.
이런 식으로, 기초부 본체(26)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등을 고화시켜서 형성함으로써 대형에서도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강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2]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기초부(12)에 있어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단면 종장 사각형으로 옹벽 연속설치 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반부를 형성하는 피구속부(23a)와 상기 피구속부(23a)의 상단 연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속설치하여 형성한 구속부(23b)로 형성하고 있다. 구속부(23b)는 좌우폭을 피구속부(23a)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하여 상기 구속부(23b)의 좌우측방으로 그리고 피구속부(23a)의 좌우측 단부 상방으로 간섭 회피용 공간(2, 3)을 형성하고 있다.
즉,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는 도 7a 내지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으로서의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좌우내면폭, 또한, 상기 간섭 회피용 공간(2, 3)을 확보하여 각 간섭 회피용 공간(2)내에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함으로써 좌·우측 구속층(4, 5)을 형성 가능한 좌우내면폭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피구속부(23a)는 그 위에 상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좌우 내면폭, 또는 가능한 큰 수동 토압이 발휘되도록 그 보다도 폭 넓은 좌우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저부층(22)상에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피구속부(23a)의 전면측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전부 입자크기 재료층(24)을 형성함과 동시에, 피구속부(23a)의 후면측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후부 입자크기 재료층(25)을 형성하고, 상기 전·후부 구속층(24, 25)을 통해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을 구속하도록 기초부 형성층(1)을 구성하고 있다.
기초부 형성층(1)의 위에, 옹벽 블록(32;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을 설치하고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후벽(33, 34) 사이에 기초부 형성층(1)으로부 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를 배치하고,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상기 구속부(23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전부 구속층(92; 또는 전부 구속층(9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속부(23b)와 상기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후부 구속층(93; 또는 후부 구속층(91))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 형성층(1)의 위에 설치한 옹벽 블록(32)에 주동 토압(Ph) 등에 의해 슬라이딩력이 발생한 때에는 그 슬라이딩력이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와의 사이에 형성한 후부 구속층(93; 또는 후부 구속층(91))에 작용하고, 상기 작용력이 후부 구속층(93; 또는 후부 구속층(91))을 통해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전파되면, 이 전파와 거의 동시에,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방지체(23)의 전면측의 구속층 형성재가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수동 토압(Pp)을 발휘하여 기초부 형성층(1)상에 설치한 옹벽 블록(32)의 슬라이딩에 대한 저항력을 증감할 수 있다. 도 7d에 나타내는 Ss는 구속층 형성재의 수동 붕괴 미끄럼면, θ는 수동 붕괴각이며, θ=45°-φ/2, φ는 구속층 형성재의 내부 마찰각이다. R1, R2는 전단저항력이다.
지진 등에 의해 슬라이딩력으로서 기초부 형성층(1)상에 설치한 옹벽 블록(32)의 전벽(33)에 전방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그 외력은 옹벽 블록(32)의 전벽(33)→전부 구속층(92; 또는 전부구속층(90))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 성재→기초부용 슬라이딩 방지체(23)에 전파되고,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로부터 그 후면측의 구속층 형성재에 전파되고, 이 전파와 거의 동시에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후면측의 구속층 형성재가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발휘하여, 옹벽 블록(32)이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이런 식으로, 옹벽 블록(32)내에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를 통해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고, 전부 구속층(92; 또는 전부 구속층(90))과 후부 구속층(93; 또는 후부 구속층(91))을 각각 형성한다. 양 전·후부 구속층(92, 93; 또는 양 전·후부 구속층(90, 91)의 구속층 형성재가 서로 연동하여 옹벽 블록(32)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또, 지진 등에 의해 옹벽 블록(32)의 좌(우)방향의 슬라이딩력이 작용한 때에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통해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좌·우측 구속층(4, 5)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가 서로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슬라이딩력에 대해서 반력을 발휘한다.
즉, 슬라이딩력은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좌·우측 구속층(4, 5)의 구속층 형성재→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에 작용력으로서 전파한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3]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기초부(12)는 상기 타 실시예 2의 기초부(12)와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있으나,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가 변형된다.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도 8a 내지 8c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형상으로 하부를 형성하는 복수(타 실시예 3에서는 2개)의 피구속부(23a, 23b)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양 피구속부(23a, 23b)를 좌우 한 쌍의 연결체(23c, 23c)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프레임 형태(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로 형성한다. 동시에, 후측의 피구속부(23a)에 상부를 형성하는 구속부(23b)를 형성하고, 전후에 대향하는 피구속부(23a, 23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중간부 구속층(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전후에 대향하는 피구속부(23a, 23a)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중간부 형성층(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속층 형성재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즉,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전후의 피구속부(23a, 23a)사이에 충전한 구속층 형성재에 구속압을 증대시켜서 상기 구속층 형성재의 수동 붕괴 미끄럼면(Ss)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고, 상기 구속층 형성재의 전단력을 증대하여 수동 토압(Pp)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라이딩 저항력(R)을 증강할 수 있다.
2개의 피구속부(23a, 23a)를 연결 상태로서 기초부 형성층(1) 내에 매설하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수동 토압을 발휘하는 기능과, 옹벽(10)의 기초부(12) 본래의 역할인 지지력을 담당하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으로서의 기능(기 초 블록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형성하는 2개의 피구속부(23a, 23a)의 좌우측부 위에, 최하단의 옹벽 블록(32)을 직접 설치하고, 그 위에 차례대로 소요개수의 옹벽 블록(32)의 단을 쌓음으로써 옹벽부(14)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타 실시예 3에 관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슬라이딩 저항체와 기초 블록으로서의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슬라이딩 저항체 겸용 기초 블록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내부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중간부 구속층(6)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에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전·후부 구속층(24, 25)을 형성함으로써 기초부 형성층(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기초부 형성층(1)의 위에 옹벽부(14)를 직접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베드 드릴링(bed drilling)의 깊이는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높이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이지, 필연적으로 그 만큼은 옹벽(10)의 직고(direct height)가 낮아져서 최대 토압을 저감하여 슬라이딩 안전율을 향상시킨다. 또, 옹벽(10)의 시공도 간소화되어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
후방의 피구속부(23a)와, 피구속부(23a)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구속부(23b)는 기초부 형성층(1)의 위에 직접 설치한 최하단의 옹벽 블록(32)의 대략 중간부, 즉 전벽(33)과 후벽(34)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상기 후방의 피구속부(23a)와 구속부(23b)에 작용하는 토압이 경감되어 최하단의 옹벽블록(32)에 최대 토압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전측의 피구속부(23a)는 기초부 형성층(1)상에 설치하는 옹벽 블록(32)의 전벽(33) 근방, 즉, 옹벽 블록(32)내에 충전되는 구속층 형성재의 입경 보다도 작은 간격이 되도록 근방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조는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피구속부의 좌우폭을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 또는 옹벽 블록(32)의 좌·우 측벽(35, 36))사이에 배치 가능한 좌우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구속부의 좌우폭을 피구속부의 좌우폭과 동등 또는 폭이 좁게 형성한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4]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4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기초부(12)는 상기 타 실시예 2의 기초부(12)와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있으나,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변형시키고 있어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는 동일 형상으로 하부를 형성하는 복수(타 실시예 3에서는 2개)의 피구속부(23a, 23a)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양 피구속부(23a, 23a)를 좌우 한쌍의 연결체(23c, 23c)를 통해 연결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평면에서 볼때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전측의 피구속부(23a)에 상부를 형성하는 구속부(23b)를 형성하고, 전후에 대향하는 피구속부(23a, 23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중간부 구속층(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전후에 대향하는 피구속부(23a, 23a)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는 구속층 형성재를 충전하여 중간부 구속층(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속층 형성재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즉, 대향하는 전후 피구속부(23a, 23a)사이에 충전한 구속층 형성재에 구속압을 증대시키고, 상기 구속층 형성재의 수동 붕괴 미끄럼면(Ss)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고, 상기 구속층 형성재의 전단력 저항력 및 수동 토압(Pp)을 증대시켜서 보다 효과적으로 슬라이딩 저항력을 증강할 수 있다.
또, 기초부 형성층(1)상에 기초 블록인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에 충전한 구속층 형성재상에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통해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상에 옹벽 블록(32) 또는 격자 블록 등을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조는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피구속부의 좌우폭을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 또는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배치가능한 좌우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구속부의 좌우폭을 피구속부의 좌우폭과 동등 또는 폭이 좁게 형성한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는 전측의 피구속부(23a)에 상부를 대신하여 후측의 피구속부(23a)에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5]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기초부(12)는 상기 타 실시예 4의 변형예이며, 상기 타 실시예 4와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하나, 기초부 형성층(1) 상에 설치한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상에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일체화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본 타 실시예 5에 있어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속부(23b)는 전측 피구속부(23a)에 상부를 대신하여 후측의 피구속부(23a)에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6]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6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기초부(12)는 옹벽(10)의 전면의 뒤채움토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즉 기초부 매설을 위한 지반 굴삭이 불가능한 지형에 있어서는 기초 지반(11)에 오목조부(20)를 형성하지 않고, 또, 기초부 형성층(1)상에 설치하는 옹벽 블록(32;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전면에 뒤채움토를 실시하는 일 없이, 상기 타 실시예 3의 기초부 형성층(1)과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한 기초부 형성층(1)을 기초 지반(11) 상에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한 옹벽(10)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기초부 형성층(11)상에 옹벽 블록(32;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을 배치할 때에는 상기 기초부 형성층(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측의 피구속부(23a)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상기 옹벽 블록(32; 또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전벽(33; 또는 전측(83))을 근접 배치한다. 이런 식으로, 피구속부(23a, 23a)사이에 중간부 구속층(6)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를 붕괴시키지 않게 유지시킬 수 가 있다. 그 결과, 구속층 형성재에 반력(R)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견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 타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타 실시예 1]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타 실시예1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전후 간격이 큰 경우에는 후벽(34)과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의 사이에 좌우 한쌍의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 55)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는 좌우폭이 상기 구속부(40b)의 전후폭(두께)와 대략 동일하고, 높이가 구속부(40b)와 대략 동일하고, 후방으로 늘어나는 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의 전단면(55a)을 상기 구속부(40b)의 후면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위에 설치하고, 상기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의 후단면(55b)을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근방 배치한다.
이런 식으로,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의 후단면(55b)을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근방 배치함으로서, 상기 후단면(55b)과 상기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의 슬라이딩력을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를 통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에 견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와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사이의 스판이 넓은 경우에도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타 실시예 2]
이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타 실시예2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6)는 상기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의 변형예이며, 상기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6)는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로 형성한 전후 방향 연장판(57)과, 좌우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로 형성한 좌우 방향 연장판(58)으로 대략 역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와 동일하게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6)는 전후 방향 연장판(57)의 전단면(57a)을 상기 구속부(40b)의 후면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좌우 방향 연장판(58)의 후면(58a)을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근접 배치하여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위에 설치한다.
이런 식으로 좌우 방향 연장판(58)의 후면(58a)을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근접 배치함으로서 상기 후면(58a)과 상기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여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의 슬라이딩력을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6)를 통하여 옹벽부용 슬라 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에 견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6)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접수면이 되는 좌우 방향 연장판(58)의 후면(58a)의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증설 슬라이딩 저항체(55) 이상에 상기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타 실시예 3]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배설 위치(부착 위치)의 타 실시예3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높이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후벽(34)의 상부에 배후로부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인 하부를 설치하여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는 충전한 뒤채움 재료(17)에 매설된다. 또한, 피구속부(40a)를 하단 옹벽 블록(32)에 연결하여 충전한 뒤채움 재료(17)에 매설하는 한편, 구속부(40b)를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후벽(33, 34)사이에 배치하는 상태는 상기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식으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를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근접 배치함으로써, 전방으로의 슬라이딩력을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에 작용시킬 수 있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또 다른 타 실시예]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면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배설위치(부착 위치)의 또 다른 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의 높이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후벽(34)의 상부에 내측에서부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인 하부를 부착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를 상단의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당접시킴으로써, 전방으로의 슬라이딩력을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에 견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옹벽 블록(32)의 후벽(34)을 상방으로 늘리고,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일체 성형하고, 옹벽 블록(32)에 피구속부(40a)를 일체 연결상태로 이루어 옹벽부용 슬라이딩 방지체(40)의 구속부(40b)가 상단에 설치된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속부(40b)의 전측에 전부 구속층(92)이 형성됨과 동시에, 후측에 후부 구속층(93)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경계부(13) 또는 옹벽부(14)의 타 실시예]
이어서, 도 17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의 경계부(13) 또는 옹벽부(14)의 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경계부(13)에서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에 감합용 오목부(87, 88)를 통해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를 횡 배치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본 타 실시예에서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에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을 연결하는 일 없이 구성하고 있다.
즉,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는 감합용 오목부(87, 88)에 좌우측 단부 를 감합시키는 일 없이,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상에 설치하고,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형성한 전부 구속측(90)과 후부 구속층(91)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옹벽부(14)에서는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에 감합용 오목부(37, 38)를 통해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횡 배치하여 연결하고 있으나, 본 타 실시예에서는 옹벽 블록(32)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연결하는 일 없이,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의 옹벽 블록(32)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옹벽 블록(32)측과 상단 옹벽 블록(32)측에 걸치도록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는 감합용 오목부(37, 38)에 좌우측 단부를 감합시키는 일 없이 중도까지 롤링 다짐한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상에 설치하고, 그 후, 옹벽 블록(32)의 상단면까지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와의 사이에 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와 후벽(34)과의 사이에 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하고, 이들 전부 구속층(92)과 후부 구속층(93)에서 상기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는 상단에 설치된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구속부(40b) 의 전측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에 의한 전부 구속층(92)이 형성됨과 동시에, 후측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에 의한 후부 구속층(93)이 형성된다. 이는 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런 식으로, 상·하단에 옹벽 블록(32, 32)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 구속층(92, 92)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93, 93)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전부 구속층(92, 92)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93, 93)이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통해 반력(수동)을 발휘하여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옹벽 블록(32)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동 토압(Ph) 등이 슬라이딩력으로서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배후로부터 작용한 때에는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후부 구속층(93)을 형성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전파되고, 상기 옹벽부용 스라이딩 저항체(40)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로부터 그 전면측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92, 92)를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에 전파된다. 이 전파와 거의 동시에,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전면측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이 전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또, 지진 등에 의해 슬라이딩력으로서 상단 옹벽 블록(32)의 전벽에 전방에 서부터 외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상단 옹벽 블록(32)의 전벽(33)→전부 구속층(92)을 형성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슬라이딩 저항체에 전파된다.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할 때, 그 슬라이딩력이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로부터 그 후면측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93, 93)을 형성하는 구속층 형성재)에 전파된다. 이 전파와 거의 동시에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후면측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에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이 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식으로, 상하단 블록(32, 32)의 경계부에 있어서는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의 전후면측에 전부 구속층(92)과 후부 구속층(93)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전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의 전후면측에 전부 구속층(92)과 후부 구속층(93)을 각각 형성하고, 상단 전·후부 구속층(92, 93) 및 하단 전·후부 구속층(92, 93)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서로 연동하여 상단 블록(32)이 하단 블록(32)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하단 옹벽 블록(32)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를 연결시키지 않고, 하단 구속층을 형성하는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에 의해 옹벽부용 슬라이딩 구속체(40)의 피구속부(40a)가 구속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단 경계부에 형성하는 상단의 상기 좌·우측 구속측(43, 44) 및 하단 상기 좌·우측 구속측(43, 44)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서로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반 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발휘하여 상단 옹벽 블록(32)이 하단 블록(32)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는 하단 옹벽 블록(32)의 배후에 이써서, 중도까지 롤링 다짐한 뒤채움 재료(17)의 상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옹벽 블록(32)의 상단면의 위치까지 옹벽 블록(32)내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그 배후에는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뒤채움 재료(17)를 일괄로 충전·롤링 다짐하고,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피구속부(40a)의 전후 좌우측에 내부가 채워진 뒤채움 재료(17)에 의한 전·후·좌·우부 구속층(92, 93, 43, 44)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위에 상단 옹벽 블록(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사이에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구속부(40b)의 전후 좌우측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에 의한 전·후·좌·우부 구속층(92, 93, 43, 44)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단 경계부의 양전·후부 구속층(92, 93) 및 양 좌·우부 구속층(43, 44)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31)가 서로 연동하여 전후 좌우방향으로 반력으로서의 수동 토압(Pp)을 발휘하고, 상단 옹벽 블록(32)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한다.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도 18에 나타내는 60은 제2 실시형태로서의 연직벽으로서의 옹벽이며, 상기 옹벽(60)은 기본적 구조를 상기 제1 실시형태로서의 옹벽(10)과 동일하게 하고 있 으나, 경계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와 옹벽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를 설치함으로서, 슬라이딩 방지 기능에 더하여, 연직벽의 전도면에 있어서의 약점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도 1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사이에 횡 배치하는 경계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와, 옹벽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횡가하는 옹벽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는 기본적 구조는 동일함으로서 이하에 옹벽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옹벽부용 연속설치용 슬라이딩 저항체(62)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횡장 사각형으로 옹벽 연속설치 방향으로 늘어나는 판 형태의 가설부(63)와, 상기 가설부(63)의 전단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는 판 형태의 구속부(64)와, 상기 가설부(63)의 후단연부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조부(65)로 측면에서 보면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구속부(64)는 좌우폭을 피구속부(63)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하고, 상기 구속부(64)의 좌우측방에서 또한 구속부(63)의 좌우측 단부 상방에 간섭 회피용 공간(66, 67)을 형성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칸막이 벽(68)을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피구속부(63)의 상방과 구속부(64)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을 복수로 칸막이하고 있다.
옹벽 블록(32)의 좌·후측벽(35, 36)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방 및 내측방이 개구하는 역 사다리꼴 오목형태의 감합용 오목부(69,70)를 좌우 방향으로 대향 상태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감합용 오목부(69, 70)는 상기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피구속부(63)의 측단부를 감합 가능하게 형성하고, 좌·우측벽(35, 36)사이에 감합용 오목부(69, 70)를 통해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빔부(63)를 횡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옹벽 블록(32)에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를 충전하고, 상기 옹벽 블록(32)의 상단면과,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상면이 대략 높이가 같아지도록 롤링 다짐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피구속부(63)는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내에 매설됨과 동시에, 구속부(64)는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편, 돌조부(65)의 상단면은 충전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의 상면과 대략 높이가 같아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속부(64)의 좌우측방에는 간섭 회피용 공간(66, 67)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를 부착한 옹벽 블록(32)의 위에 개별 옹벽 블록(32)을 설치한다. 이 때 상단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벽(34)과의 사이에, 하단 옹벽 블록(32)에 부착된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구속부(64)가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 옹벽 블록(32)의 후벽(34)의 하면은 하단 옹벽 블록(32)에 부착된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돌조부(65)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런 식으로,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피구속부(63)와 구속부(64)와 돌조부(65)와 칸막이벽(68)과 직상단에 단을 쌓은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의해 상면 개구의 충전 공간(71)을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형성하고, 상기 충전 공간(71)내에 콘크리트 등의 고화재(72)를 충전함과 동시에,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고화재(72)에 의해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방지체(62)와 직상단의 옹벽 블록(32)과 최하단의 옹벽 블록(32)을 일체적으로 연속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조번호 73은 고정근(fixor)이다.
또, 경계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옹벽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와 동일하게, 매설부(74;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의 피구속부(63)에 상당한다.)와 구속부(75)와 돌조부(76)와 칸막이벽(77)이 충전 공간(78)으로 형성하고 있다. 참조 번호 79는 고정근이다.
또한, 경계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는 기초부 본체 형성편(27)내의 후부에 횡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고화시킴으로써,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 형성 고화편(28)내에 매설부(74)를 매설하여 일체화함과 동시에, 구속부(75)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한편, 돌조부(76)의 상단면은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의 상면과 대략 높이가 같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형성 고화편(28) 위에 옹벽부(14)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32)을 설치하고,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벽(33)과 후 벽(34)과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75)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후벽(34)의 하면은 상기 돌조부(76)의 상면에 당접시키고 있다.
이런 식으로,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의 매설부(74)와 구속부(75)와 돌조부(76)와 칸막이벽(77)과 최하단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32)의 후벽(34)에 의해 상면 개구의 충전 공간(78)을 복수 형성하고, 상기 충전 공간(78)내에 콘크리트 등의 고화재(72)를 충전함과 동시에,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고화재(72)에 의해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와 최하단을 형성하는 옹벽 블록(32)과 기초부 형성 고화편(28)을 일체적으로 연속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옹벽(60)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옹벽(10)과 동일하게 기초부(12)와 경계부(13)와 옹벽부(14)의 상·하단의 옹벽 블록(32, 32)사이에 형성되는 옹벽 블록간 경계부(94)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옹벽(60)이 기반(15)으로부터 주동 토압을 받은 때에는 직벽을 형성하는 각 옹벽 블록(32)에는 하단 전단연부를 지점으로서 후단측이 도 18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모멘트가 발생하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계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와 옹벽부용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단을 쌓고 있는 각 옹벽 블록(32, 32)끼리를 연속설치하여 일체로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들 옹벽 블록(32)을 일체로 이룬 기반(15)의 토압에 대항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 62)와 상단에 단을 쌓는 옹벽 블록(32)의 후벽(34)과의 사이에 충전 공간(71)이 형성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옹벽 블록(32)의 전벽(33)사이에 충전 공간(71)이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제1 변형예]
도 20은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60)의 제1 변형예이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로서 상기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3에서 설명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채용함과 동시에,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 62)를 대신하여 상기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6에서 채용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의 구조를 경계부용 슬라이딩 저항체(30)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조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구속부(23b)의 좌우폭은 기초부 본체 형성편(27)의 좌·우측벽(85, 86; 또는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배치 가능한 좌우폭에 형성함과 동시에, 피구속부(23a)의 좌우폭은 구속부(23b)의 좌우폭과 동등 또는 폭 넓게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제2 변형예]
도 21은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60)의 제2 변형예이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로서 상기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채용함과 동시에,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 62)를 대신하여 상기 타 실시예로서의 경계부(13) 또는 옹벽부(14)에서 채용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옹벽 블록(32)은 도 2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측벽(35, 36)의 상부 후반의 절반을 잘라내어 후벽(34)보다도 상방 위치에 단을 갖는 오목부(35a, 36a)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단을 갖는 오목부(35a, 36a)사이에 좌·우측벽(35, 36)의 외측면폭 보다도 폭 넓은 횡장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횡단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딩 저항체(23, 40)의 후면 도중부에 클램프(106)를 통해 띠 형태로 계류체(107)의 기단연부(108)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계류체(107)는 선단부를 옹벽부(14)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지반(미도시)중에 대략 수평하게 늘려서 배치하고, 후부 구속층(93), 뒤채움 재료(17)를 충전하여 형성되는 뒤채움 재료층 중에, 또한, 지반중에 매설 상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계류체(107)는 소요 장력을 갖고 있다면 포재에서도 망재에서도 채택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여 후부 구속층(93), 뒤채움 재료층 중에, 또한 지반중에 매설 상태로 이루어진 띠 형태의 계류체(107)의 지반연부(108)에 각 슬라이딩 저항체(23, 40)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상은 주동 토압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체(23(40))의 약간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23(40))에 연결하고 있는 계류체(107)자체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지반재의 전단 저항력이 강화된다. 한편, 옹벽 블록(32)자체는 각 단의 상하 경계부의 양 전부 구속층(92, 92)의 형성재가 슬라이딩 저항체(23(40))을 통해 발생된 반력(수동)에 의해 상기 옹벽 블록(32)의 슬라이딩·전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 저항체(23(40))를 통해 효과적인 반력을 발휘하고, 옹벽 블록(32)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방지 효과와, 슬라이딩 저항체(23(40))에 계류체(107)를 연결하여 지반재를 보강하는 지반 보강효과를 유기적으로 일체화시킬 수가 있고, 보다 견실한 계류체(107)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공법을 이룰 수가 있다.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의 제3 변형예]
도 24는 제2 실시형태로서의 옹벽(60)의 제3 변형예이며,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로서 상기 기초부(12)의 타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기초부용 슬라이딩 저항체(23)를 채용함과 동시에, 연속설치형 슬라이딩 저항체(61, 62)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옹벽부(14)의 구조로 채용한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옹벽 블록(32)의 좌·우측벽(35, 36)사이에, 감합용 오목부(37, 38)를 통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횡 배치하고 있다. 각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상측 방향으로 늘리는 상기 동일 가상선상에 배치하고 있다.
옹벽 블록(32)의 후벽(34)의 직상방 위치에는 토사나 쇄석 등의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한 토양(109)을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벽(34)의 상단보다도 약간 상방 위치에서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나 뒤채움 재료(17)를 롤링 다짐한 롤링 다짐 라인(39)상에 토양(109)을 후벽(34)의 전방과 후방을 걸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그 위에서부터 내부가 채워진 재료(31)나 뒤채움 재료(17)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매설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런 식으로, 하단측의 각 옹벽 블록(32)의 각 후벽(34)의 위에 토양(109)을 적재하여 옹벽(60)이 전방에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도 26은 제3 실시형태로서의 경사지게 쌓아 올린 옹벽인 옹벽(80)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옹벽(80)에서는 옹벽 블록(32)을 형성하는 전벽(33)과 후벽(34)이 전저후고의 후경사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 블록(32)에는 제1 실시형태의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40)와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하는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81)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81)는 부착되는 옹벽 블록(32)의 전·후벽(33, 34)에 대략 평행시켜서 경사진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이러한 옹벽용 슬라이딩 저항체(8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의 옹벽용 슬라이딩 방지체(40)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 기능이 생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제3 실시형태로서의 옹벽(10, 60, 80)에 각각 채용하고 있는 각 슬라이딩 저항체(30, 40, 61, 62, 81)는 필요한 경우, 타 실시형태로서의 옹벽(10, 60, 80)에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4 실시형태로서의 옹벽]
도 27a는 제4 실시형태로서의 옹벽(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27b는 그 Ⅴ-Ⅴ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 설명도이다. 상기 옹벽(100)에서는 블록으로서의 옹벽 블록(101)을 이른바 비접착(매우 단순한) 쌓기식으로 직접 쌓아올려 구축하고 있다.
옹벽 블록(101)은 전벽(102)과 후벽(103)을 연결체로서의 연결벽(104)에 의해 연결하여 평면에서 볼 때 「H」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결벽(104)의 좌우 측면에는 대략 중앙부 또는 상부에 위치시켜서 감합용 오목부(37, 38)를 형성하고,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인접하는 다른 옹벽 블록(101)에 감합한 감합용 오목부(37, 38) 즉, 좌우에 대향하는 역 사다리꼴 오목형상의 감합용 오목부(37)와 감합용 오목부(38)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좌우측 단부를 각각 감합시켜서 좌우에 인접하는 연결벽(104, 104)사이에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를 횡 배치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좌우측방에 인접하는 옹벽 블록(101, 101)의 연결벽(104, 104)에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미도시)를 충전·롤링 다짐하고, 옹벽부용 슬라이딩 방지체(40)가 제1 실시형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타 실시예로서의 옹벽부(14)와 같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는 연결벽(104, 104)사이에 횡 배치하는 일 없이, 간단히 연결벽(104, 104)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가 도 17에 나타내는 타 실시예로서의 옹벽부(14)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의 옹벽]
도 28a는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의 옹벽(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28b는 그 Ⅵ-Ⅵ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 설명도이다. 상기 옹벽(100)에서는 블록으로서의 옹벽 블록(101)을 상호 상부에 직접 쌓아올려 구축하고 있다. (이른바 브레이킹 조인트 시스템(breaking joing system)).
본 변형예의 기본적 구조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고 있으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의 중앙부에 연결벽 배치용 오목부(105)를 형성하고, 상단에 브레이킹 조인트식으로 단을 쌓는 옹벽 블록(101)의 연결벽(104)이 연결벽 배치용 오목부(105)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속부(40b)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연결벽 배치용 오목부(105) 내에 배치된 연결벽(104)의 측면과, 구속부(40b)의 측단면과의 사이에는 간섭 회피용 공간(41, 42)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간섭 회피용 공간(42, 42)내, 또는 좌우방향에 인접하는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의 구속부(40b)의 측단면 사이에도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미도시)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좌우측 구속층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좌우측방에 인접하는 옹벽 블록(101, 101)의 연결벽(104, 104)사이에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내부가 채워진 재료(미도시)를 충전·롤링 다짐하여 옹벽부용 슬라이딩 방지체(40)가 제1 실시형태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옹벽부(14)와 같이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는 연결벽(104, 104)사이에 횡 배치하는 일 없이, 단순히 연결벽(104, 104)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가 도 17에 나타내는 타 실시예로서의 옹벽부(14)의 옹벽부용 슬라이딩 저항체(40)와 동일하게 슬라이딩 방지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구조가 간단하여 슬라이딩 저항력을 견실하게 강화할 수 있는 기초부 구조로서,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여 주동 토압이나 지진 등의 외력을 받는 옹벽 등의 구조물의 기초물 구조로서 유효한 것이다.

Claims (12)

  1. 지반의 법면에 걸쳐 기초 지반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옹벽의 기초부 구조에 있어서,
    기초 지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모래가 섞인 자갈, 쇄석, 율석, 콘트리트 파쇄편 등의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고,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블록을 배치하고, 하방의 입자크기 재료층 중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지반의 법면에 대면하는 상태로 판 형태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하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방의 블록의 전·후벽의 사이에는 판 형태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를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 보다 상방으로 늘려서 배치하고, 블록과 입자크기 재료층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블록측과 입자크기 재료층측에 걸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의 상부와 블록의 전·후벽과의 사이에는 각각 전·후 공간을 형성하고, 각 전·후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전·후부 구속층을 형성하여, 전부 구속층과 그 하방의 기초 지반의 오목부내에 충전한 입자크기 재료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형성하는 상기 입자크기 재료의 내부 마찰각은 상기 입자크기 재료층을 지탱하는 기초 지반의 구성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전부 구속층과 입자크기 재료층이 지반의 토압에 대한 반력을 생기게 하여 입자크기 재료층의 위에 설치한 상기 블록의 토압에 의한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기초부 구조.
  2. 지반의 법면에 걸쳐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치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구축된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기초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록 또는 옹벽부를 단을 쌓아서 형성하는 블록은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후방에 위치하는 지반의 법면에 대면하는 상태로 판 형태의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모래가 섞인 자갈, 쇄석, 율석, 콘크리트 파쇄편 등의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단 블록의 전벽과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 구속층을 상하방향으로 연속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방향으로 연속시키고,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지반의 토압에 대한 반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토압에 의한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과는 비연결 상태로 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체는 블록의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에 슬라이딩 저항체의 단부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용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감합용 오목부를 통해 슬라이딩 저항체를 횡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5. 지반의 법면에 걸쳐 기초 지반상에 기초부를 배설하고, 상기 기초부상에 옹벽부를 고정하여 설치하여 구축하는 옹벽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블록 위에,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각각의 블록을 단을 쌓아서 형성되는 각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치도록 후방에 위치하는 지반의 법면에 대면하는 상태로 판 형태의 슬라이딩 저항체를 배치하고,
    하단 블록의 전벽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모래가 섞인 자갈, 쇄석, 율석, 콘크리트 파쇄편 등의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또는 상기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단 블록의 전벽과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 구속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의 부분과 상단 블록의 후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입자크기 재료를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 구속층을 형성하고,
    상·하단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 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 구속층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를 통해 지반의 토압에 대한 반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토압에 의한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6. 청구항 5에 있어서,
    블록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딩 저항체에 띠 형태의 계류체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계류체의 선단부를 옹벽부의 배후에 형성된 지반중에 수평으로 늘려서, 상기 지반중에 계류체를 매설 상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7020550A 2007-03-02 2008-03-03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KR101516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3367 2007-03-02
JPJP-P-2007-053367 2007-03-02
JP2007246027 2007-09-21
JPJP-P-2007-246027 2007-09-21
PCT/JP2008/053788 WO2008108342A1 (ja) 2007-03-02 2008-03-03 擁壁等の構造物の基礎部構造及び擁壁の上下境界部構造並びに擁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322A KR20090127322A (ko) 2009-12-10
KR101516832B1 true KR101516832B1 (ko) 2015-05-04

Family

ID=3973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550A KR101516832B1 (ko) 2007-03-02 2008-03-03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1228B2 (ko)
JP (2) JP4809431B2 (ko)
KR (1) KR101516832B1 (ko)
CN (1) CN101668899B (ko)
WO (1) WO2008108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8279B2 (en) * 2010-11-17 2013-05-28 Terrace W. COOK Ecologically-sound waterway culvert restoration
US8584408B1 (en) * 2011-07-01 2013-11-19 ARM Group, Inc. Panel mounting system for berms, solar energy farm using th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ystem
JP2016003441A (ja) 2014-06-13 2016-01-12 株式会社トッコン 擁壁構造
USD787089S1 (en) * 2015-09-10 2017-05-16 Hanforce, Co., Ltd. Reinforcing strip for retaining wall
USD785819S1 (en) * 2015-10-23 2017-05-02 Hanforce, Co., Ltd. Reinforcing strip for retaining wall
JP6950944B2 (ja) * 2017-09-29 2021-10-13 東栄商興株式会社 空積みブロック擁壁の基礎部構造
JP2020033761A (ja) 2018-08-30 2020-03-05 株式会社トッコン 長軸と短軸を備えたブロックと等軸長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CN109555146B (zh) * 2018-12-27 2023-11-10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岩溶塌陷区桩板地基处理桩基础防护组合结构及施工方法
CN110878561A (zh) * 2019-10-31 2020-03-13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阶梯型连续可变式悬臂挡墙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670A (ja) 2002-06-07 2004-07-22 Toei Shoko Kk 擁壁ブロック
JP2004204669A (ja) 2002-06-07 2004-07-22 Toei Shoko Kk 擁壁ブロック及び同擁壁ブロックの段積み工法
JP2005171478A (ja) * 2003-12-05 2005-06-30 Toei Shoko Kk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659A (en) * 1980-09-05 1983-04-12 Steiner Silidur A.G. Building blocks
JPS58156636A (ja) * 1982-03-15 1983-09-17 Kensetsu Kogaku Kenkyusho:Kk 擁壁用ブロツク
JPS61146923A (ja) * 1984-12-20 1986-07-04 Jgc Corp 高温タンクの基礎構造
US4930939A (en) * 1985-09-12 1990-06-05 Jaecklin Felix Paul Wall with gravity support structure, building el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DE68910631T2 (de) * 1988-09-30 1994-05-19 Jean Louis Rossi Bepflanzbare Stützmauer mit Nischen, welche als verlorene Schalung benutzt werden können.
JPH0392244A (ja) * 1989-08-31 1991-04-17 Suzuki Motor Corp 工具ホルダ
JP2920856B2 (ja) * 1992-07-23 1999-07-19 株式会社フジタ プレキャスト擁壁組立ブロック
JP2794397B2 (ja) * 1995-02-22 1998-09-03 藤林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土留用擁壁ブロックの設置法
JPH1181346A (ja) * 1997-07-18 1999-03-26 Paritei Jipangu:Kk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20020027494A (ko) * 1999-07-19 2002-04-13 유겐가이샤 제무기주쓰시지무쇼 방토 옹벽 구조
JP2001059223A (ja) * 1999-08-23 2001-03-06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擁壁構造
FR2828901A1 (fr) * 2001-08-22 2003-02-28 Promo Brevet Borg Bac paysager, associes a une clavette, en beton colore, prefabrique a la presse, destine a creer des soutenements paysagers inclines ou verticaux, des murs de cloture paysagers, des jardinieres composees
JP4711618B2 (ja) * 2003-12-16 2011-06-29 株式会社箱型擁壁研究所 擁壁
JPWO2006021987A1 (ja) * 2004-08-24 2008-05-08 東栄商興株式会社 植生用擁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670A (ja) 2002-06-07 2004-07-22 Toei Shoko Kk 擁壁ブロック
JP2004204669A (ja) 2002-06-07 2004-07-22 Toei Shoko Kk 擁壁ブロック及び同擁壁ブロックの段積み工法
JP2005171478A (ja) * 2003-12-05 2005-06-30 Toei Shoko Kk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9163A1 (en) 2010-05-27
WO2008108342A1 (ja) 2008-09-12
CN101668899A (zh) 2010-03-10
JP2011202499A (ja) 2011-10-13
JP5309295B2 (ja) 2013-10-09
CN101668899B (zh) 2011-10-12
KR20090127322A (ko) 2009-12-10
JP4809431B2 (ja) 2011-11-09
JPWO2008108342A1 (ja) 2010-06-17
US8721228B2 (en)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832B1 (ko) 옹벽의 기초부 구조와, 옹벽의 상하 경계부 구조 및 옹벽
CA2306130C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JP3817676B2 (ja) モジュール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構成要素
US6565289B2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20110086689A (ko) 옹벽용 블록 및 옹벽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JP5146117B2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101544756B1 (ko) 석재가 부착된 옹벽블록 시공 방법
JP3315100B2 (ja) 補強土構造体
JP3643114B2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KR102302181B1 (ko) 활동 및 전도 방지 기능을 갖는 옹벽블록
KR20090028184A (ko) 금속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구조
JP3247652B2 (ja) 構造物沈下抑制工法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20210131295A (ko) 바닥 마찰 증대 케이슨
KR100923073B1 (ko) 교대 구조물 급속 시공방법
JPH0627945U (ja) 擁壁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210087009A (ko) 마찰 증대 오픈 셀 케이슨
KR200369484Y1 (ko)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200340959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JP2024025590A (ja) 土留用杭、土留壁構造体、及び、土留構造の構築方法
JP2004092016A (ja) 軽量盛土工法と、土砂による法面構築工法との組み合わせ工法における不同沈下の軽減方法
JP2005098095A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802

Effective date: 201403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09

Effective date: 201412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15

Effective date: 201503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