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494A - 방토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방토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494A
KR20020027494A KR1020027000732A KR20027000732A KR20020027494A KR 20020027494 A KR20020027494 A KR 20020027494A KR 1020027000732 A KR1020027000732 A KR 1020027000732A KR 20027000732 A KR20027000732 A KR 20027000732A KR 20020027494 A KR20020027494 A KR 20020027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vertical
retaining wal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젠료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제무기주쓰시지무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제무기주쓰시지무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제무기주쓰시지무쇼
Publication of KR2002002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적층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이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음과 동시에 각 적층 블록의 상하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고, 또한 연통공 속에도 토사를 충전하여 토사끼리를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단으로 쌓은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이 블록 보호벽의 후면과 단으로 쌓아올린 적층 블록의 전면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하였다.
따라서, 옹벽으로서의 안정한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공사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토 옹벽 구조{RETAINING WALL STRUCTURE}
종래, 방토 옹벽의 한 형태로서 콘크리트제의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아 구축한 것이 있고, 이 방토 옹벽에서는 옹벽에 작용하는 배면 토압을 계산하고 그것에 견딜 수 있는 옹벽 두께나 철근량을 계산하여 시공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배면 토압을 발생시키는 옹벽의 토사를 발포 스티롤로 치환하는 공법이 개발되어 있고, 이 공법에서는 토사와 치환된 발포 스티롤의 중량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안식각상의 토사를 모두 치환하면 옹벽에 작용하는 배면 토압을 없앨 수가 있어 배면 토압에 견딜 수 있는 옹벽 두께나 철근량을 계산하거나 그것을 위한 콘크리트나 철근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전자의 콘크리트제 적층 블록을 사용한 공법의 경우는 시공비가 고액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발포 스티롤을 사용한 공법의 경우는 발포 스티롤 그 자체의 값이 비싸 공비가 비교적 고액이 되는데다가 발포 스티롤이 경량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폐해도 있어 일반에게 보급하기에는 곤란성이 있다.
본 발명은 옹벽으로서의 안정된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비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방토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의 단면 측면도.
도 2는 동 방토 옹벽의 일부 결절 정면도.
도 3은 동 방토 옹벽의 평면도.
도 4는 동 방토 옹벽의 보호 벽체의 평면도.
도 5는 앞벽 형성용 블록과 판상 블록의 사시 설명도.
도 6은 블록 보호벽의 정면도.
도 7은 동 블록 보호벽의 평면도.
도 8은 동 블록 보호벽의 배면도.
도 9는 동 블록 보호벽의 측면도.
도 10은 보호벽 지지체의 정면도.
도 11은 동 보호벽 지지체의 평면도.
도 12는 동 보호벽 지지체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의 단면 측면도.
도 14는 동 방토 옹벽의 평면도.
도 15는 전, 후측 블록 형성편의 연결 설명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의 단면 측면도.
도 17은 동 방토 옹벽의 일부 결절 정면도.
도 18은 동 방토 옹벽의 평면도.
도 19는 기본 블록과 반균열상 블록의 연결 설명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의 단면 측면도.
도 21은 보호 벽체의 단면 측면도.
도 22는 보호 벽체의 단면 평면도.
도 23은 방토 옹벽의 역학적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옹벽1: 기초 율석층
2: 기초 조정 블록3: 옹벽 본체
4: 보호 벽체5: 이입 쇄석
6: 이입토7: 필터재
8: 유공관9: 상측 배수관
10: 하측 배수관11: 도공 깔판
12: 천단콘크리트13: 포장층
C: 지산14: 법면
19: 적층 블록20: 앞벽 형성용 블록
20a: 앞벽 형성면부20b: 오목부
21: 판상 블록22: 충전 공간
23: 전압토층24: 접속 흙 기둥
25: 계지홈26: 연통공
28: 계합용 홈부31: 보호벽 지지체
42: 받게용 블록
본 발명은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을 법면을 따라 단으로 쌓아 올려 구축하는 방토 옹벽 구조로서 적층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이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아 올림과 동시에 각 적층 블록의 상하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고, 또한 연통공 속에도 토사를 충전하여 토사끼리를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단으로 쌓아 올린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이 블록 보호벽의 후면과 단으로 쌓아올린 적층 블록의 전면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도 특징을 갖는다.
(1) 적층 블록은 앞벽 형성용 볼록과 이 앞벽 형성용 볼록의 후단 테두리부에 전단 테두리부를 계합시켜 대략 수평 상태로 탑재하는 판상 블록을 구비하고, 이들 블록을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아올려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상 블록끼리의 사이에 편평한 토사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각 판상 블록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각 토사 충전 공간내에 충전한 토사를 각 연통공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앞벽 형성용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앞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여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한 것.
(2) 각 판상 블록의 안길이 폭은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광폭이 되도록 형성한 것.
(3) 앞벽 형성용 블럭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보호벽 지지체를 삽입시켜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한 것.
(4) 적층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전후 한쌍의 세로벽과 양쪽 세로벽의 중앙부 사이에 가설하여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가설 세로벽으로 형성한 기본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세로벽과 이 세로 벽의 중앙부에 돌출 설치되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한 반균열상 블록을 구비하고, 기본 블록의 세로벽과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을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합 상태로 계합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기본 블록의 세로벽 사이에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을 배치하여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고, 각 기본 블록의 앞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각 기본 블록의 가설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각 구멍 속에 토사를 충전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흙 기둥을 형성하고,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각 세로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한 것.
(5) 안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기본 블록과 반균열상 블록의 개수는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많게 한 것.
(6)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 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한 것.
(7)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한 것.
(8) 앞벽의 전면을 따라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배치하고,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와 블록 보호벽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한 것.
(9)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블록과 동일한 발포 수지 소재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한 것.
(10) 옹벽 구축 현장에 기초겸상판을 부설하고, 이 기초겸상판상에서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음과 동시에 단으로 쌓은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기초겸상판은 전면부를 블록 보호벽보다도 전방으로 내민 상태로 만든 것.
(11) 기초겸상판은 옹벽 구축 현장에 매설한 전후 한 쌍의 지수벽과 양쪽 지수벽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가설하고 옹벽 구축 현장에 노출시킨 천정벽을 구비하여 이들 지수벽과 천정벽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문 형태로 형성한 것.
(12) 기초겸상판상의 거의 중앙부에 블록 보호벽을 탑재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기초겸상판의 접합부를 지수재에 의해 전방부터 밀폐한 것.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A는 제1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토 옹벽이고, 이 방토 옹벽(A)은 옹벽 구축 현장(B)에 기초 율석층(1)을 부설하고, 이 기초 율석층(1) 위에 합성 수지제 기초 조정 블록(2)을 부설하고, 이 기초 조정 블록(2) 위에 적층 블록(19)을 단으로 쌓아 옹벽 본체(3)를 구축함과 동시에 이 옹벽 본체(3)의 전면에 보호 벽체(4)를 설치하고 있다. 5는 이입 쇄석, 6은 이입토, 7은 필터재, 8은 유공관, 9는 상측 배수관, 10은 하측 배수관, 11은 도공 깔판, 12는 천단콘크리트, 13은 포장층, C는 지산, 14는 지산(C)을 굴삭하여 형성한 법면이다.
그리고, 옹벽 본체(3)는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벽 형성용 블록(20)과 이 앞벽 형성용 블록(20)의 후단 테두리부에 전단 테두리부를 계합시켜 거의 수평 상태로 탑재하는 판상 블록(21)과 이 판상 블럭(2l)의 후단 테두리부에 탑재한 받게용 블록(42)으로부터 적층 블록(19)을 형성하고, 이 적층 블록(19)을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아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상 블록(21)(21)끼리의 사이에 편평한 토사 충전 공간(22)을 형성하고, 각 판상 블록(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26)을 형성하고, 각 토사 충전 공간(22)내에 토사를 전압 상태에서 충전하여 샌드위치상의 전압토층(23)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연통공(26) 속에도 토사를 충전하여 상하 방향의 전압토층(23)(23)을 접속하는 접속 흙 기둥(24)을 형성하고 있다.
앞벽 형성용 블록(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 형성한 앞벽 형성면부(20a)와 이 앞벽 형성면부(20a)의 전측 하단 테두리부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단이 부착된 오목부(20b)와 이 위치 결정용 단이 부착된 오목부(20b)의 후측에 형성한 계합용 받게부(20c)를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앞벽 형성면부(20a)에는 후술하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2개의 계지홈(25)(25)을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있고, 각 게지홈(25)은 좌우 방향 연신홈(25a)과 이 좌우 방향 연신홈(25a)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신하는 전방 연신홈(25b)으로, 평면으로 보아 거의 T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위치 결정용 단이 부착된 오목부(20b)는 하단에 위치하는 앞벽 형성용 볼록(20)의 앞벽 형성면부(20a)의 상단부에 감합하여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최하단의 앞벽 형성면부(20a)는 상기 기초 조정 블록(2)의 상면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볼록부(2a)에 감합하여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판상 블록(2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21a)를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하고, 이 블록 본체(21a)의 좌우 중심선상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연통공(26)(26)(26)을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좌우측 테두리부에 각각 반원호상의 3개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27)(27)(27)를 형성하고, 전면부 하면에 앞벽 형성용 블록(20)의 계합용 받게부(20c)에 위쪽부터 계합하는 계합용 홈부(2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블록 본체(21a)와 받게용 블록(42)은 필요에 따라 일체 성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본체(21a)(21a)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27)(27)는 좌우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연통공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블록 본체(21a)는 좌우 폭을 전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점차 가느다란 폭으로 형성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블록 본체(21a)의 전단을 만곡하는 법면(14)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각 판상 블록(21)은 안길이 폭(W)이 다른 것을 복수 종류 준비하여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소정 단수마다 안길이 폭(W)이 큰 것을 단으로 쌓음으로써 옹벽 본체(3)의 측면 형상이 하단측보다도 상단측을 향하여 점차 광폭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받게용 블록편(42)은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봉상이며, 단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상 블록(21)(21)의 후단부 사이에 개설하고, 양쪽 판상 블록(21)(21) 사이에 형성되는 토사 충전 공간(22)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옹벽 본체(3)는 하단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상부가 점차 후방으로 내민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른바 톱 헤비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심 위치를 후측 상부로 설정할 수가 있고, 배면 토압에 적정하게 대항할 수가 있어 평상시 나아가 지진시에도 이 옹벽 본체(3)가 배면 토압을 받았을 때의 활동 안전률 및 전도 안전률을 안전측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보호 벽체(4)는 앞벽 형성용 블록(20)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29)의 전방에블록 보호벽(30)을 보호벽 지지체(31)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30)과 앞벽(29) 사이에 충전 공간(32)을 형성하고, 이 충전 공간(32)내에 충전물(33)을 충전하고 있다.
그리고, 블록 보호벽(30)은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한 측단면 L자형으로 형성한 보호벽 본체(30a)와 이 보호벽 본체(30a)의 중앙부를 일부 전방으로 팽출시켜 형성한 식재용의 포트부(30b)와, 이 포트부(30b)를 보강하는 좌우 한 쌍의 보강용 리브(30c)(30c)를 섬유가 들어간 모르타르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있다.
여기에서 보호벽 본체(30a)는 앞벽 형성용 블록(20)의 좌우폭보다도 약간 광폭이며, 앞벽 형성용 블록(20) 높이의 거의 절반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
또, 보호벽 지지체(13)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벽 형성용 블록(20)에 형성한 계지홈(25)에 감입시켜 계지하기 위하여 평면에서 보아 거의 T자형으로 형성한 기단부(31a)와 이 기단부(31a)의 전단 테두리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내민 형태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 Y자형으로 형성한 선단부(31b)를 섬유가 들어간 모르타르에 의해 일체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보호벽 지지체(31)는 앞벽 형성용 블록(20) 높이의 거의 절반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31)(31)의 선단부(31b)(31b) 사이에 블록 보호벽(30)을 개설하고, 이 블록 보호벽(30)과 앞벽 형성용 블록(20) 사이에 충전 공간(3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 충전물(33)은 충전 공간(32)내에 충전하여 자외선이나 불(열) 또는 충격 등에 약한 발포 수지제의 앞벽(20)을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식재를 하는 경우에는 식재토를 충전하고, 또 지수 옹벽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하여 앞벽(29)에 수밀성을 갖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13 및 도 14는 제2실시에로서의 방토 옹벽(A)을 나타내고 있고, 이 방토 옹벽(A)은 기본적 구조를 상기 제1 실시예의 방토 옹벽(A)과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있는데, 판상 블록(21)을 이분할하여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판상 블록(21)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블록 형성편(40)과 이 전측 블록 형성편(40)의 후단부에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후측 블록 형성편(41)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블록 형성편(40)은 블록 형성편 본체(40a)를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하고, 이 블록 형성편 본체(40a)의 좌우 중심선상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연통공(43)(43)을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좌우측 테두리부에 각각 반원호상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44)(44)를 형성하고, 전면부 하단에 앞벽 형성용 블록(20)의 계합용 받게부(20c)에 위쪽부터 계합하는 계합용 홈부(45)를 형성하고, 후면부 상면의 좌우측부에 감합용 볼록부(46)(46)를 형성하고 있다.
또, 후측 블록 형성편(41)은 블록 형성편 본체(41a)를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하고, 이 블록 형성편 본체(41a)의 좌우 중심선상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연통공(47)(47)을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좌우측 테두리부에 각각 반원호상의 2개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48)(48)을 형성하고, 전면부 하면에 앞측 블록 형성편(40)의 감합용 볼록부(46)(46)에 위쪽부터 감합하는 감합공(49)(49)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형성편 본체(40a)(40a)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44)(44) 및 블록 형성편 본체(41a)(41a)의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48)(48)는 좌우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연통공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블록 형성편 본체(40a)(41a)는 좌우 폭을 전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점차 가는 폭으로 형성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블록 형성편 본체(40a)(41a)의 전단을 만곡하는 법면(14)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면 블록 형성편(41)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측 블록 형성편(40)(40)의 후단부에 걸치도록 감합공(49)(49)을 감합용 볼록부(46)(46)에 감합시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받게용 블록편(42)은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봉상이며, 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후측 블록(41)(41)의 후단부 사이에 개설하고 상하의 전, 후측 블록형성편(40)(40)(41)(41) 사이에 형성되는 토사 충전 공간(22)을 양호하게 확보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방토벽(A)에서는 판상 블록(21)의 안길이 폭(W)을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옹벽이나 톱 헤비의 상태를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 블록(21)을 이분할하여 형성하고 있는데, 이 판상 블록(21)의 분할 개수는 이것으로 안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공성이나 판상 블록(21)의 안길이 폭(W)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3분할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할 형성된 각 블록 형성편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로 전후 방형으로 접속하여 판상 블록(21)을 형성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16 및 도 18은 제3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A)을 나타내고 있고, 이 방토 옹벽(A)은 기본적 구조를 상기 제1, 제2 실시예의 방토 옹벽(A)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는데, 옹벽 본체(3)를 이하와 같이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15는 법선(14)을 형성하기 전의 지산(C)의 외형선이다.
즉, 옹벽 본체(3)는 기본 블록(60)과 반균열상 블록(61)을 조합하여 형성한 적층 블록(19)을 단으로 쌓음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본 블록(6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62)(63)을 갖는 전후 한 쌍의 세로벽(64)(65)과 두 세로벽(64)(65)의 중앙부 사이에 가설하여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66)을 가짐과 동시에 좌우측 테두리부에 각각 연통공 형성용 오목부(67)(67)를 갖는 가설 가로벽(68)을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설 가로벽(68)의 상하폭은 상하 동일폭으로 한 두 세로벽(64)(65)의 상하폭의 약 3분의 1로 하고, 또한 가설 가로벽(68)의 전후 폭은 전후 동일폭으로 한 두 세로벽(64)(65)의 거의 2배로 하고 있다.
그리고, 후측 세로벽(65)의 좌우폭은 전측의 세로벽(64)의 좌우폭보다도 약간 가는 폭으로 형성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 블록(60)(60)의 전단을 만곡하는 법면(14)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반균열상 블록(61)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70)을 갖는 세로벽(71)과 이 세로벽(71)의 중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72)을 갖는 돌출 설치 가로벽(73)을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있다.
여기에서, 세로벽(71)은 기본 블록(60)의 세로벽(64)(65)과 상하폭 및 전후폭을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돌출 설치 가로벽(73)의 상하폭은 기본 블록(60)의 가설 가로벽(68)의 상하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상하 동일폭으로 한 두 세로벽(64)(65) 상하폭의 거의 3분의 1로 하고, 또한 가설 가로벽(68)의 전후폭은 전후 동일폭으로 한 두 세로벽(64)(65)의 전후폭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64)과 돌출 설치 구조(73)에는 보호벽 지지체(31)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25)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25)에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31)(31)끼리 사이에 블록 보호벽(30)을 가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옹벽 본체(3)를 구축할 때는 기본 블록(60)의세로벽(64)(65)과 반균열상 블록(61)의 세로벽(71)을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합 상태로 계합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기본 블록(60)(60)의 세호벽(64)(64)사이에 반균열상 블록(61)의 돌출 설치 가로벽(73)을 배차하여 순차 단을 쌓는다.
이때, 각 기본 블록(60)의 세로벽(64)(65)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62)(63)과 각 반균열상 블록(61)의 돌출 설치 가로벽(73)에 형성한 연통공(72)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각 기본 블록(60)의 가설 가로벽(68)에 형성한 연통공(66)과 각 반균열상 블록(61)의 세로벽(71)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70)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각 구멍 속에 토사를 충전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흙 기둥(74)을 형성한다.
또한, 안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기본 블록(60)과 반균열상 블록(61)의 개수는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많게 하여 톱 헤비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64)과 돌출 설치 가로벽(73)으로 형성되는 앞벽(29)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30)을 보호벽 지지체(31)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31)과 앞벽(29) 사이에 충전 공간(32)을 형성하여 이 충전 공간(32)내에 충전물(33)을 충전한다.
[제4 실시예]
도 20은 제4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A)을 나타내고 있고, 이 방토 옹벽(A)은 기본적 구조를 상기 제1 실시예의 방토 옹벽(A)과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있으나 지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16은 측면홈이다.
즉, 제4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A)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보호벽(30)은 지수성을 양호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보호벽 본체(30a)에 포트부(30b)와 보강용 리브(30c)(30c)를 마련하지 않고, 보호벽 본체(30a)만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앞벽(29)의 전면을 따라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를 배치하고,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와 블록 보호벽(30)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공간(32)내에 수밀용 충전물(80)을 충전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밀용 충전물(80)로서는 예를 들면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유리 섬유 등을 혼련한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는 각 블록과 동일한 발포 수지 소재,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밀용 충전물(80)은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와 블록 보호벽(30)에 밀착되는데,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와 앞벽(29)은 테두리 절단 상태에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앞벽(29)과 블록 보호벽(30)의 상하 방향의 변이량이 다른 경우라도 블록 보호벽(30)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 보호벽(30)과 수밀용 충전물(80)에 의한 지수 효과는 양호하게 확보되어 호안 옹벽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이 때,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는 앞벽(29)의 표면에 밀착되어 지수 기능을 함으로써 이 점에서도 지수 효과는 양호하게 확보되어 호안 옹벽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는 각 블록과 동일한 발포 수지 소재에 의해 성형되고,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를 경량화함으로써 벽체 자중의 증대를 적게 함과 동시에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앞벽(29)과의 테두리 절단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하여 앞벽(29)에서 블록 보호벽(30)으로의 응력의 전달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4실시예의 방토 옹벽(A)에서는 지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초 조정 블록(2) 대신에 기초겸상판(82)을 마련한 구조에도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기초겸상판(82)은 현장 타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하고 있고, 옹벽 구축 현장(B)에 전후 한 쌍의 지수벽 매설용 홈부(M1)(M2)를 옹벽 구축 방향으로 연신시켜 형성하고, 각 지수벽 매설용 홈부(M1)(M2)중에 전후 지수벽(83)(84)을 입설하고, 두 지수벽(83).(84)과 현지반(G) 사이에 다시 묻을 흙(85)을 묻음과 동시에 두 지수벽(83)(84)의 상단 사이에 천정벽(86)을 현지반(G) 위에 노출 상태로 가설하여 측면에서 보아 문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초겸상판(82)의 천정벽(86)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87)를 돌출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용 볼록부(87)상에 앞벽(29)과 블록 보호벽(30)을 배치하고, 이 블록 보호벽(30)의 하단면과 기초겸상판(82)상에 형성한 위치 결정 볼록부(87)의 상면 사이의 접합부를 지수제(88)에 의해 전방에서 밀폐하여 밀봉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지수재(88)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87)의 근방에 위치하는 천정벽(86)의 위에서 블록 보호벽(30)의 전체 신장폭에 걸쳐 후타하여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수재(88)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등을 혼입시킨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제4 실시예로서의 방토 옹벽(A)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고, 이 방토 옹벽(A)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기초겸상판(82)의 전면부를 블록 보호벽(30)보다도 전방으로 내민 상태로 하고 기초겸상판(82)의 옹벽 구축 현장(B)으로의 접지 면적을 지열의 N값에 반비례(표준 관입 시험의 N값이 작으면 접지 면적을 크게 설정한다)시킴으로써 적재 하중 압력을 분산시킬 수가 있어 지반 지지력을 대폭 안정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연약 지반 위에도 방토 옹벽(A)을 축조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19)과 토사를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옹벽 자체의 비중을 흙이나 콘크리트의 절반(예를 들면 1.1)으로 설정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종래 연약 지반상에 방토 옹벽(A)을 축조할 때에 필요했던 기초 처리가 불필요해져 그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앞벽(29)의 전면을 따라 배치한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81)와 블록 보호벽(30)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공간(32)내에 수밀용 충전물(80)을 충전하고, 블록 보호벽(30)에 지수성을 갖게 함과 동시에, 이 블록 보호벽(30)의 전면 하단부를 기초겸상판(82)상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볼록부(87) 사이의 접합부를 지수재(88)에 의해 밀폐하여 밀봉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방토 옹벽(A) 전면의 수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고, 이러한 방토 옹벽(A)을 저수지(D) 등의 지수벽 또는 호안 옹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호안 시공의 공기와 공비를 대폭 삭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블록 보호벽(30)의 전방에서 후타한 지수재(88)에 의해 이 블록 보호벽(30)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A)의 구조상의 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기초겸상판(82)은 옹벽 구축 현장(B)에 매설한 전후 한 쌍의 지수벽(83)(84)과 두 지수벽(83)(84)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가설하여 옹벽 구축 현장(B)에 노출시킨 천정벽(86)을 구비하고, 이들 지수벽(83)(84)과 천정벽(86)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문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침투수에 대한 지수 효과를 갖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 23의 개념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겸상판(82)이 현지반(G) 및 다시 묻을 흙(85)에 위쪽부터 감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활동 방지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방토 옹벽(A)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기초겸상판(82)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른바 프라이의 침투로 길이(L)를 길게 설정할 수 있고, 이 기초겸상판(82)과 상기 바와 같이 지수 효과를 갖게 한 블록 보호벽(30)에 의해 저수지(D) 등의 물이 침투수가 되어 방토 옹벽(A)의 저면에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겸상판(82)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침투수 등에 의한 부력(P1)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만약 약간이기는 하지만 부력(P1)이 작용했다고 해도 자중의 크기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지산(C)에서 발생하는 용출수는 유공관(8) 또는 상하측 배수관(9)(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기초겸상판(82)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부력(P1)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토 옹벽(A)에서는 기초 조정 블록(2) 또는 기초겸상판(82)과 접촉하는 최하단의 적층 블록(19) 하단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상단에 위치하는 적층 블록(19)은 점차 후방으로 내민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른바 톱 헤비의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심 위치를 후측 상부에 설정할 수가 있고 배면 토압(P2)에 적정하게 대항하는 지지력(P3)을 작용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평상시 나아가 지진시에도 방토 옹벽(A)이 배면 토압(P2)을 받았을 때에는 배면 토압(P2)측에 모먼트(M)가 작용하고 이 방토 옹벽(A)의 활동 안전률 및 전도 안전률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톱 헤비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바닥 굴착량을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방토 옹벽(A)에 대하여 경제적인 단변 설계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의 지수 기능을 갖는 방토 옹벽(A)의 옹벽 본체(3)는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의 방토 옹벽(A)의 옹벽 본체(3)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에서는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을 법면을 따라 단으로 쌓아 올려 구축하는 방토 옹벽 구조로서, 적층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형성하고, 이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아 올림과 동시에 각 적층 블록의 상하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고, 또한 연통공 속에도 토사를 충전하여 토사끼리를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켜 단으로 쌓아 올린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이 블록 보호벽의 후면과 단으로 쌓아올린 적층 블록의 전면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토 옹벽 구조에서는 법면을 따라 단으로 쌓아올린 적층 블록 사이에 토사를 충전함과 동시에 각 토사를 각 적층 블록에 형성한 연통공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접속시키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경량인 발포 수지제의 블록과 비교적 중량이 있는 토사를 일체화시켜 협동시킬 수가 있어 옹벽으로서의 안정된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충전하는 흙량에 의해 벽체의 총중량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으로 설정할 수가 있어 벽체의 침하 방지와 벽체 자체의 배면 토압에 의한 붕괴 방지를 도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블록 구조물에 요청되는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블록 보호벽의 후면과 단으로 쌓아 올린 적층 블록의 전면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충전물에 의해 자외선이나 불(열) 또는 충격 등에 약한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을 보호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을 반영구적 구조물로 할 수가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적층 블록은 앞벽 형성용 볼록과 이 앞벽 형성용 볼록의후단 테두리부에 전단 연부를 계합시켜 대략 수평 상태로 탑재하는 판상 블록을 구비하고, 이들 블록을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아올려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상 블록끼리의 사이에 편평한 토사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각 판상 블록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각 토사 충전 공간내에 충전한 토사를 각 연통공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앞벽 형성용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앞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앞벽 형성용 블록의 후단 테두리부에 판상 블록의 전단 테두리부를 계합시키면서 이들 블록을 법면을 따라 거의 수평 상태로 탑재하여 단으로 쌓아올림과 동시에 판상 블록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여 편평한 토사층을 샌트위치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토사층을 각 판상 블록에 형성한 연통공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접속시키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경량인 발포 수지제의 블록과 비교적 중량이 있는 토사를 신속하며 확실하게 층상으로 일체화시켜 협동시킬 수가 있고, 옹벽으로서의 안정한 기능을 양화하게 확보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공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수지제의 앞벽 형성용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장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앞벽의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 보호벽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구축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의 구축 능률을 향성시킬 수가 있다.
(3) 본 발명에서는 각 판상 블록의 안길이 폭은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광폭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토 옹벽에서는 지반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상부가 점차 후방으로 내민 형태가 되도록 하여 이른바 톱 헤비의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심 위치를 후측 상부에 설정할 수가 있어 배면 토압에 적정하게 대항하는 지지력을 작용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평상시, 나아가 지진시에도 방토 옹벽(A)이 배면 토압을 받았을 때에는 배면 토압측에 관성 모먼트가 작용하고 이 방토 옹벽의 활동 안전률 및 전도 안전률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톱 헤비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바닥 굴착량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방토 옹벽에 대하여 경제적인 단면 설계를 할 수가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앞벽 형성용 블럭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보호벽 지지체를 삽입시켜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록 보호벽을 구조가 간단하게 하여 간단히 부착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의 축조 작업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적층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전후 한쌍의 세로벽과 두 세로벽의 중앙부 사이에 가설하여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가설 세로벽으로 형성한 기본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세로벽과 이 세로 벽의 중앙부에 돌출 설치되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한 반균열상 블록을 구비하고, 기본 블록의 옹벽과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을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합 상태로 계합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기본 블록의 세로벽 사이에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을 배치하여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고, 각 기본 블록의 앞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각 기본 블록의 가설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각 구멍 속에 토사를 충전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흙 기둥을 형성하고,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각 세로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각 구멍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흙 기둥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블록끼리의 전후 좌우 방향의 결합을 강고하게 하여 일체화된 벽체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충전하는 흙량에 따라 벽체의 총중량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으로 설정할 수가 있어 벽체의 침하 방지와 벽체 자체의 배면 토압에 의한 붕괴 방지를 도모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블록 구조물에 요청되는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수지제의 앞벽 형성용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앞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충전물에 의해 자외선이나 불(열) 또는 충격 등에 약한 발포 수지제의 앞벽을 보호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을 반영구적 구조물로 할 수가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안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기본 블록과 반균열상 블록의 개수는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많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지반과 접촉하는 하단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상부를 점차 후방으로 내민 상태로 함으로써 이른바 톱 헤비의 상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심 위치를 후측 상부에 배치할 수가 있고, 배면 토압에 대항시킬 수가 있어, 평상시 나아가 지진시에도 이 방토 옹벽이 배면 토압을 받았을 때의 활동 안전률 및 전도 안전률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 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 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블록 보호벽을 구조가 간단하게 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어 작업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서는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방토 옹벽의 전면의 수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고, 이러한 방토 옹벽을 저수지 등의 지수벽 또는 호안 옹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가 있어 호안 시공의 공사 기간과 공사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가 있다.
(9) 본 발명에서는 앞벽의 전면을 따라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배치하고,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와 블록 보호벽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밀용 충전물은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와 볼록 보호벽에 밀착하는데,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와 블록은 테두리 절단 상태에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과 블록 보호벽의 상하 방향의 변이량이 다른 경우라도 블록 보호벽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 보호벽과 수밀용 충전물이 되는 지수 효과는 양호하게 확보되어 호안 옹벽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이 때,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는 블록의 앞벽면에 밀착되어 지수 기능을 함으로써 이 점에서도 지수 효과는 양호하게 확보되어 호안 옹벽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10) 본 발명에서는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블록과 동일한 발포 수지 소재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경량으로 함으로써 벽체 자중의 증대를 적게 함과 동시에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블록과의 테두리 절단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하여 블록에서 블록 보호벽으로의 응력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1) 본 발명에서는 옹벽 구축 현장에 기초겸상판을 부설하고, 이 기초겸상판상에서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음과 동시에 단으로 쌓은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기초겸상판은 전면부를 블록 보호벽보다도 전방으로 내민 상태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기초겸상판의 옹벽 구축 현장으로의 접지 면적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적재 하중 압력을 분산시킬 수가 있어 지반 지지력을 대폭 안정화시킬 수가 있고, 그 결과 연약 지반상에도 방토 옹벽을 구축할 수가 있다.
또한,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과 토사를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옹벽 자체의 비중을 흙이나 콘크리트의 절반(예를 들면 1.1)으로 설정할 수가 있어 연약 지반의 기초 처리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12) 본 발명에서는 기초겸상판은 옹벽 구축 현장에 매설한 전후 한 쌍의 지수벽과 두 지수벽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가설하여 옹벽 구축 현장에 노출시킨 천정벽을 구비하고 이들 지수벽과 천정벽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문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기초겸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른바 프라이의 침투로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가 있고, 방토 옹벽의 저면에서 침투하는 침투수를 기초겸상판과 상기 지수 효과를 갖게 한 블록 보호벽에 의해 확실하게 지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초겸상판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침투수 등에 의한 부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만약 약간이기는 하지만 부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자중의 크기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13) 본 발명에서는 기초겸상판상의 거의 중앙부에 블록 보호벽을 탑재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기초겸상판의 접합부를 지수재에 의해 전방에서 밀폐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블록 보호벽과 기초겸상판 접합부의 수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방토 옹벽은 자중이 보통의 경량이기 때문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할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가 있어 부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토 옹벽은 저수지 등의 호안 옹벽으로서도 기능시킬 수가 있어 호안 시공의 공기와 공비를 대폭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블록 보호벽의 전방에서 밀폐한 지수재에 의해 이 블록 보호벽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방토 옹벽의 구조상의 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발포 수지제의 적층 블록을, 법면을 따라 단으로 쌓아 올려 구축하는 방토 옹벽 구조로서,
    적층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이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아 올림과 동시에, 각 적층 블록의 상하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고, 또한 연통공 속에도 토사를 충전하여 토사끼리를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단으로 쌓아 올린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이 블록 보호벽의 후면과 단으로 쌓은 적층 블록의 전면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블록은, 앞벽 형성용 볼록과, 이 앞벽 형성용 블록의 후단 테두리부에 전단 테두리부를 계합시켜 대략 수평 상태로 탑재하는 판상 블록을 구비하고, 이들 블록을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아올려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상 블록끼리의 사이에 편평한 토사 충전 공간을 형성하고, 각 판상 블록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여, 각 토사 충전 공간내에 충전한 토사를 각 연통공 속에 충전한 토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앞벽 형성용 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앞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여,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상 블록의 안길이 폭은,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광폭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벽 형성용 블럭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보호벽 지지체를 삽입시켜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전후 한쌍의 세로벽과 두 가로벽의 중앙부 사이에 가설하여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가설 가로벽으로 형성한 기본 블럭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세로 구멍을 갖는 세로벽과, 이 세로 벽의 중앙부에 돌출 설치되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을 갖는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한 반균열상 블록을 구비하고,
    기본 블록의 세로벽과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을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합상태로 계합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기본 블록의 세로벽 사이에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을 배치하여 위쪽으로 순차 단으로 쌓고, 각 기본 블록의 앞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돌출 설치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각 기본 블록의 가설 가로벽에 형성한 연통공과 각 반균열상 블록의 세로벽에 형성한 연통 세로 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각 구멍 속에 토사를 충전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흙 기둥을 형성하고,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으로 형성되는 앞벽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보호벽 지지체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각 세로벽 사이에 충전 공간을 형성하여, 이 충전 공간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기본 블록과 반균열상 블록의 개수는,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앞쪽열에 위치하는 세로 벽과 돌출 설치 가로벽에는, 보호벽 지지체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홈을 상하 방향으로 결절하여 형성하고, 각 계지홈에 계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호벽 지지체 끼리의 사이에 블록 보호벽을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벽의 전면을 따라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배치하고, 이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와 블록 보호벽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공간내에 수밀용 충전물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절단용 개설체를 블록과 동일한 발포 수지 소재에 의해 얇은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옹벽 구축 현장에 기초겸상판을 부설하고, 이 기초겸상판상에서 적층 블록을 단으로 쌓음과 동시에 단으로 쌓은 적층 블록의 전방에 블록 보호벽을 입설하고,
    기초겸상판은 전면부를 블록 보호벽보다도 전방으로 내민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겸상판은, 옹벽 구축 현장에 매설한 전후 한 쌍의 지수벽과 두 지수벽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가설하여 옹벽 구축 현장에 노출시킨 천정벽을 구비하고, 이들 지수벽과 천정벽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겸상판상의 거의 중앙부에 블록 보호벽을 탑재하고, 이 블록 보호벽과 기초겸상판의 접합부를 지수재에 의해 전방에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토 옹벽 구조.
KR1020027000732A 1999-07-19 1999-07-19 방토 옹벽 구조 KR200200274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3881 WO2001006064A1 (fr) 1999-07-19 1999-07-19 Structure de paroi de soutèn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494A true KR20020027494A (ko) 2002-04-13

Family

ID=1423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732A KR20020027494A (ko) 1999-07-19 1999-07-19 방토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027494A (ko)
CN (1) CN1361841A (ko)
WO (1) WO2001006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342A1 (ja) * 2007-03-02 2008-09-12 Toeishokou Kabushiki Kaisha 擁壁等の構造物の基礎部構造及び擁壁の上下境界部構造並びに擁壁
KR100872836B1 (ko) * 2008-05-22 2008-12-09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9675B2 (ja) * 1989-07-29 1998-03-18 全良 佐藤 ブロック積法止工法
JP3676860B2 (ja) * 1995-08-17 2005-07-27 有限会社ゼム技術士事務所 土止擁壁
JPH11148138A (ja) * 1997-11-17 1999-06-02 Masayoshi Sato 発泡スチロール保護ブロック及び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06064A1 (fr) 2001-01-25
CN1361841A (zh)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289B2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JP3164495B2 (ja) もたれ式擁壁の築造法
KR102131653B1 (ko)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US6371700B1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20027494A (ko) 방토 옹벽 구조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JP6860895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CN112267447A (zh) 装配式桥下下沉式亲水步道及亲水步道施工方法
JPS5952025A (ja) 急勾配斜面を有する地山または既設盛土の安定工法
EP2672015A1 (en) Retaining module
KR200216362Y1 (ko) 보강토 옹벽
CN215715242U (zh) 一种变截面t型桩板墙结构
JP2957995B1 (ja) 擁壁裏込め枠体
JPH0533355A (ja) 擁壁築造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擁壁ブロツク
KR200258944Y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직립식 도로 옹벽구조
JP4966758B2 (ja) 傾斜地用べた基礎
CN211948494U (zh) 边坡挡土组合构件及包含该边坡挡土组合构件的公路
JP5130563B2 (ja) 軽量擁壁用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軽量擁壁構造
KR20100001736U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JPS6015774B2 (ja) よう壁
JPS634121A (ja) ブロツクの布積による直立状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