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606B1 -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606B1
KR100954606B1 KR1020090070032A KR20090070032A KR100954606B1 KR 100954606 B1 KR100954606 B1 KR 100954606B1 KR 1020090070032 A KR1020090070032 A KR 1020090070032A KR 20090070032 A KR20090070032 A KR 20090070032A KR 100954606 B1 KR100954606 B1 KR 10095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fastening
buil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억
Original Assignee
효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성토재의 유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과의 결속이 용이하고, 설치되는 장소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이 개시된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블록몸체, 및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의하면, 유실방지부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 옹벽, 식생, 호안, 강, 하천, 생태통로부

Description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BLOCK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안 또는 성토지, 절개지 등에 축조 시공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정비 형태는 단순히 홍수피해 등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구조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시멘트계 블록이나 석축,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을 정비해왔다.
이는 내구적,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일응 유리한 점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강이나 하천, 및 호안을 콘크리트 등으로 차단하여 생태계의 단절과 고수부지의 생태환경파괴, 자연미의 손상, 정화능력의 상실 등 환경적 측면에서 대단히 부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경제개발이 진행되어 전반적인 국민의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이제는 개인의 여가활동이나 생활하는 주변 환경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 연환경을 구성하는 수많은 생태적 요소들 가운데 생명체 부양능력을 가지는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이 우리 생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사람들이 인식하게 되었다.
결국, 이들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이 보다 나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현재 많은 대안책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점차 악화되는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으로부터 여러 형태로 나쁜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관해 새롭게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개활지가 갖고 있는 다양한 매력과 생태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사라져 가는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자연스런 모습을 되살리려는 복원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정비가 필요한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에 가급적 환경이 크게 훼손되지 않으면서 자연상태의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모습을 가깝게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식생블록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친환경 식생블록은 축조되는 장소가 직선인 경우와 달리 축조되는 장소가 곡선인 경우 축조시 시공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더불어, 축조되는 장소의 경사에 따라 친환경 식생블록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친환경 식생블록은 식물의 생육공간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식물의 생육공간의 구비로 인하여 축조되는 장소의 경사에 따라 다양한 구배로 친환경 식생블록을 축조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른다.
한편, 이러한 식생블록의 축조시 성토재를 식생블록 사이에 성토하는데, 성토재를 구성하는 세립토가 파랑과 우천시 식생블록간의 접촉면을 통해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성토재의 유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과의 결속이 용이하고, 설치되는 장소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블록몸체, 및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기 블록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블록몸체와의 결속을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블록몸체, 및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기 블록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블록몸체와의 결속을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와, 생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 중 적어 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생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의 일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부에 적층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결합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 하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하부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축조시 경사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가 다른 구배로 축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대응부보다 많은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대응부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축조시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블록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부재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축조시 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주름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식물의 식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는 상기 블록몸체에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축조시 상기 타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와 압착되어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가 곡면을 이루며 축조되는 경우 인접하는 블록몸체와의 결속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은 적어도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블록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끝단에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앵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럭의 시공방법은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가 타 블록몸체에 압착되도록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몸체 내부와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성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럭의 시공방법은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록몸체 내부와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성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럭의 시공방법은 블록몸 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가 타 블록몸체에 압착되도록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록몸체 내부와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성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럭의 시공방법은 상기 성토하는 단계 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를 상기 블록몸체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럭의 시공방법은 상기 하중분산부재를 적층하는 단계 후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 또는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상기 성토하는 단계, 및 상기 하중분산부재를 적층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축조시 상기 유실방지부가 타 블록몸체에 압착되도록 상기 블록몸체가 축조되는 경우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성토된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에 구비되는 체결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며, 각 열에 다수개의 상기 체결홈이 배치되어, 상기 블록몸체가 곡면을 이루며 축조되더라도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다수개의 블록몸체 중 생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몸체가 축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실방지부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축조시 블록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몸체 간의 결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체결부재가 앵커로 이루어짐에 따라, 블록몸체간의 결속시 앵커의 체결부와의 결속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이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체결부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적어도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되므로, 블록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간격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직선을 이루는 장소나 곡선을 이루는 장소 어디에나 자유롭게 블록몸체가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부와 결합대응부를 통해 축조시 경사에 따라 블록몸체가 다른 구배로 축조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부는 블록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결합대응부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므로,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가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태통로부를 통해 다단으로 블록몸체가 축조되더라도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생태환경을 보다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중분산부재를 통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하중분산부재가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부를 통해 블록몸체에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식생부를 통해 블록몸체가 축조되는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일예로서, 블록몸체(120)와, 유실방지부(130)를 포함한다.
블록몸체(120)는 일단의 폭(W1)이 타단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몸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시 양측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120)와 일단부에서는 접촉되지 않고, 타단부에서 타 블록몸체(120)와 접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블록몸체(12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방향을 블록몸체(120)의 길이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폭(W1,W2) 방향, 즉 블록몸체(12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의 방향을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이라고 한다. 더불어, 블록몸체(12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으로의 방향을 블록몸체(120)의 높이방향이라고 한다.
한편, 블록몸체(120)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면을 후면, 블록몸체(120)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면을 전면, 블록몸체(120)의 바닥면을 저면, 블록몸체(120)의 상부면을 상면이라 한다. 그리고 블록몸체(120)의 나머지 두면을 측면이라고 한다.
한편, 블록몸체(12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는 블록몸체(120)의 일단부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블록몸체(120)의 타단부가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는 블록몸체(120)의 일단의 폭(W1)이 타단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130)가 타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130)에 접촉될 수 있는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유실방지부(13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120)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블록몸체(12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블록몸체(120)는 일단의 폭(W1)이 타단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시 타단부에서 블록몸체(120)는 타 블록몸체(120)와 접촉된다. 따라서, 유실방지부(130)는 블록몸체(12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며, 더불어 양측면 또는 하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실방지부(130)는 블록몸체(120)에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축조시 타 블록몸체(120)에 압착되도록 블록몸체(1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실방지부(130)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킬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실방지부(130)는 일예로서, 블록몸체(120)의 제조시 블록몸체(120)와 일체로 제조되거나(즉, 타설되어 장착되거나), 블록몸체(120)에 접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유실방지부(130)가 부직포로 이루어진 경우, 블록몸체(120)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직포를 삽입하기 위한 홈이 구비되어 부직포가 홈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실방지부(130)가 부직포로 이루어진 경우, 부직포를 블록몸체(120)의 적어도 일측면에 장착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130)는 축조시 타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130)와 압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몸체(120)와 타 블록몸체(120)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가 파랑 또는 우천에 의해 블록몸체(120)의 타단부 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성토재가 점착력이 없는 미세한 사질토(세립토)인 경우에도 유실방지부(130)가 압착되도록 블록몸체(120)가 축조되므로, 유실방지부(130)에 의해 블록몸체(120)의 사이에 성토되는 세립토가 블록몸체(120)의 타단부측, 즉 유실방지부(130)를 통과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블록몸체(1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축조시 블록몸체(1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블록몸체(120)와의 결속을 위해 체결부재(140, 도 2 참조)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0)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곡면을 이루며 축조되는 경우 인접하는 블록몸체(120)와의 결속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홈(152)을 구비하며, 다수개의 체결홈(152)은 적어도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체결부(150)는 블록몸체(120)의 일단부에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체결부(150a)와, 제1 체결부(150a)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체결부(1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2 체결부(150a)에는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홈(15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직선을 이루며 축조되는 경우 체결부재(140)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152)과는 다른 체결홈(152)에 체결부재(140)를 삽입 결합하여 블록몸체(120)가 곡면을 이루며 축조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50)는 체결부재(140)가 체결홈(152)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체결부재(140)가 블록몸체(12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홈(15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홈(152)은 삽입홈(15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140)는 체결홈(152)에 결합되어 블록몸체(120)를 결속하는 경우 삽입홈(154)의 내부에 배치되어 블록몸체(12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몸체(120)의 상부에 타 블록몸체(120)가 적층되는 경우 타 블록몸체(120)가 기울어져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체결부(150)는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20)의 일단측에 블록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2 체결부(150a,15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체결부(150a,150b)는 체결부재(140)가 블록몸체(12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154)을 각각 구비하며, 삽입홈(154)에는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체결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몸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뿐만 아니라 곡면을 이루도록 축조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끝단에 이탈방지턱(142)를 구비하는 앵커(anchor)일 수 있다. 즉, 체결부재(140)는 양단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턱(142)을 구비한다.
즉, 체결부재(140)가 체결홈(152)에 삽입되면, 체결홈(152)에는 충진재(예를 들어 몰탈, 콘크리트)가 충진되고, 충진재의 응고시 이탈방지턱(142)에 의해 체결부재(140)는 체결홈(15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40)를 통해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를 결속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블록몸체(120)의 결속을 위한 다른 장치의 사용없이 체결부재(140)만을 통해 블록몸체(120)를 결속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보다 용이하게 블록몸체(120)를 축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블록몸체(120)의 일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부에 적층되는 타 블록몸체(12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결합부(160)와, 블록몸체(120)의 타단부 하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하부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부(160)와 결합되는 결합대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록몸체(120)가 적층되는 경우 결합부(160)와 결합대응부(170)가 결합되어 블록몸체(120)가 축조된다.
또한, 축조시 경사에 따라 블록몸체(120)가 다른 구배로 축조될 수 있도록 결합부(160)는 결합대응부(170)보다 많은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 어, 결합부(160)는 제1,2 결합부(162,16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대응부(170)는 제1,2,3 결합대응부(172,174,17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2 결합부(162,164)가 제1,2 결합대응부(172,174)에 결합되는 경우보다, 제1,2 결합부(162,164)가 제2,3 결합대응부(174,176)에 결합되는 경우 적층되는 블록몸체(120)가 이루는 구배가 완만할 것이다.
즉, 경사도가 완만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결합부(162,164)가 제2,3 결합대응부(174,176)에 결합되고, 경사도가 급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결합부(162,164)가 제1,2 결합부(172,174)에 결합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결합부(162,164)가 제2,3 결합대응부(174,176)에 결합되는 경우 1:3의 구배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결합부(162,164)가 제1,2 결합대응부(172,176)에 결합되는 경우 1:2의 구배로 축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160)와 결합대응부(170)를 통해 블록몸체(120)가 적층되는 경사에 따라 다양한 구배로 블록몸체(120)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일예로서, 결합부(160)는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결합대응부(170)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60)가 결합대응부(170)에 결합되는 경우 적층되는 블록몸체(120)가 블록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블록몸 체(120)가 블록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으며, 결국 블록몸체(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블록몸체(16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부(160)는 체결부(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블록몸체(120)에 내측에 구비되어 식물의 식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생부(180)는 일예로서, 제1,2,3 식생부(182,184,18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2,3 식생부(182,184,186)는 블록몸체(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식생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와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는 경우, 다시 말해, 하부에 배치되는 두개의 블록몸체(120) 사이에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적층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의 제3 식생부(186)를 통해 초목이 블록몸체(120)를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두개의 블록몸체(120)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에 뿌리내릴 수 있다.
결국, 식생부(180)를 통해 초목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식생부(180)에 식물을 생장하게 하여 블록몸체(120)가 축조된 강이나 하천, 및 호안 등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시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블록몸체(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하중분산부재(190)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중분산부재(190)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킬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록몸체(120)를 적층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의 상부에는 하중분산부재(190)인 부직포가 적층되고, 하중분산부재(190)의 상부에 블록몸체(120)가 적층된다.
이에 따라,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며, 또한 하중분산부재(190)에 의해 성토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은 축조시 전면에 노출되도록 블록몸체(12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주름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의 축조가 완료되면, 원형주름부(192)가 전면에 배치되므로 보다 수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실방지부(130)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120)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0)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재(140)를 통해 축조시 블록몸체(120)의 양측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120)와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몸체(120) 간의 결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체결부재(140)가 앵커로 이루어짐에 따라, 블록몸체(120)간의 결속시 체결부재(140)의 체결부(150)와의 결속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더하여, 체결부(150)는 다수개의 체결홈(152)이 적어도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되므로, 블록몸체(120)의 양측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120)와의 간격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을 이루는 장소나 곡선을 이루는 장소 어디에나 자유롭게 블록몸체(120)가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부(160)와 결합대응부(170)를 통해 축조시 경사에 따라 블록몸체(120)가 다른 구배로 축조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60)는 블록몸체(12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결합대응부(170)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므로,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생부(180)를 통해 블록몸체(120)에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연출할 수 있다.
더불어, 식생부(180)를 통해 블록몸체(120)가 축조되는 강이나 하천, 및 호 안 등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중분산부재(190)를 통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하중분산부재(190)가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지 생태통로부(295)만이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에 구비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생태통로부(295)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은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토록 블록몸체(12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태통로부(295)는 블록몸체(120)의 하단부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95a)를 구비하며, 경사면(295a)의 양측에 측벽(295b)을 구비할 수 있다. 생물,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은 동물, 곤충 등은 생태통로부(295)의 경사면(295a)과 측벽(295b)을 따라 이동하여 세 방향을 통해 블록몸체(120)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생태통로부(295)를 통해 크기가 작은 동물 등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된 구조체(즉, 다수개의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이 축조된 구조체)(10) 사이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은 식생부(180)가 제1,2 식생부(182,184)만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생태통로부(295)를 구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의 제3 식생부(186)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강이나 하천 또는 호안 등에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200)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물막이, 터파기, 베이스부 축조, 및 제방(또는 법면) 형성의 기초토목공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초토목공사는 상기한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200)의 축조를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며,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기초토목공사가 완료되면, 상기한 베이스부(미도시) 상부에 블록몸 체(120)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130)가 타 블록몸체(120)에 압착되도록 블록몸체(120)를 축조한다.
이때, 배열되는 블록몸체(120)는 축조되는 장소에 따라 직선 또는 곡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강이나 하천 또는 호안의 형상이 직선인 경우 블록몸체(120)는 직선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강이나 하천 또는 호안의 형상이 곡면인 경우 블록몸체(120)는 곡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블록몸체(120)를 배열하는 단계 전에 베이스부의 상면에 블록몸체(120)의 하부를 통해 성토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분산부재(190)를 먼저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블록몸체(120)의 축조가 완료되면, 블록몸체(120)의 체결부(150)에 체결부재(140)를 결합하여 블록몸체(120) 상호간을 결속시킨다.
그런데, 체결부(150)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곡면을 이루며 배열되는 경우 인접하는 블록몸체(120)와의 결속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홈(152)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52)은 적어도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즉, 체결부(150)는 일예로서 제1,2 체결부(150a,15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2 체결부(150a,150b) 각각에는 다수개의 체결홈(15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는 2개의 체결부재(140)가 제1,2 체결부(150a,150b)에 결합됨으로써 결속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직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경우 2개의 체결부재(140)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 각 각의 제1,2 체결부(150a,150b)에 구비되는 체결홈(152)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52)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즉, 체결부재(140) 하나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 각각의 제1 체결부(150a)에 구비되는 체결홈(152)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52)에 삽입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체결부재(140)는 블록몸체(120) 각각의 제2 체결부(150b)에 구비되는 체결홈(152)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52)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가 곡면을 이루며 배열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2개의 체결부재(140) 중 하나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 각각의 제1 체결부(150)에 구비되는 체결홈(152)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52)에 삽입 결합된다.
하지만, 나머지 하나의 체결부재(140)는 일측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블록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120)의 제2 체결부(150b)에 구비되는 최외측 체결홈(152)에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블록몸체(120)의 제2 체결부(150b)에 구비되는 두번째 체결홈(15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블록몸체(120)가 직선을 이루며 배열되거나 곡면을 이루며 배열되는 경우에도 체결부재(140)를 통해 블록몸체(120)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블록몸체(120)의 결속이 완료되면, 블록몸체(120)에 내측에 식물의 식재를 위해 구비되는 식생부(180)와, 배열된 블록몸체(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성토재(예를 들어, 세립토를 포함한 준설토)를 성토한다.
성토재의 성토 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 재(190)를 블록몸체(120)의 상부에 적층한다. 이에 따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몸체(120)와 성토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에 전달될 수 있다.
더불어, 성토재가 블록몸체(120)의 하부를 통해 블록몸체(120)의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하중분산부재(190)의 상면에 다시 블록몸체(120)를 축조하고, 블록몸체(120)를 결속시키고, 성토재를 성토하고, 이후 하중분산부재(190)를 적층한다.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하중분산부재(190)의 상면에 블록몸체(120)를 배열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결합대응부(170)와 하부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20)에 구비되는 결합부(160)가 결합되도록 블록몸체(120)를 배열한다.
이때, 결합부(160)와 결합대응부(170)를 통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20)가 축조되는 장소의 경사에 따라 블록몸체(120)가 서로 다른 구배를 가지도록 축조될 수 있다.
또한, 블록몸체(120)의 배열시 배열되는 블록몸체(12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블록몸체(120)의 타단부로부터 체결부(150)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29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태통로부(295)를 구비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200)이 생태통로부(295)를 구비하지 않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100)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축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에 체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제1 적층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제2 적층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적층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이 직선을 이루도록 축조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이 곡면을 이루도록 축조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20 : 블록몸체
130 : 유실방지부
140 : 체결부재
150 : 체결부
160 : 결합부
170 : 결합대응부
180 : 식생부
190 : 하중분산부재
192 : 원형주름부
295 : 생태통로부

Claims (22)

  1.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블록몸체;
    인접하게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사이에 성토되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
    상기 블록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기 블록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블록몸체와의 결속을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복수개의 블록몸체가 곡면을 이루도록 축조되는 경우 인접하는 블록몸체와 곡면을 형성하면서 결속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열을 이루며 각각의 열에 적어도 세 개의 체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생태통로부는 생물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블록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면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일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상부에 적층되는 타 블록몸체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결합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 하면에 구비되어 축조시 하부에 배치되는 타 블록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축조시 경사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가 다른 구배로 축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대응부보다 많은 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대응부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축조시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블록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재는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축조시 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주름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식물의 식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생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방지부는
    상기 블록몸체에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축조시 상기 타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 또는 타 블록몸체와 압착되어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블록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끝단에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
  15. 삭제
  16. 삭제
  17.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가 타 블록몸체에 압착되도록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록몸체 내부와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성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는 이웃하는 블록몸체가 직선을 형성하도록 결속시키는 단계와, 이웃하는 블록몸체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결속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이웃하는 블록몸체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결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에 적어도 두 개의 열을 이루며 각각의 열에 적어도 세 개가 형성되는 체결홈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곡면을 형성하도록 결속시키되,
    상기 체결부재는 이웃하는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열에 배치되는 상기 체결홈에 결합하며, 각각의 열에 배치되는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재는 삽입 결합되는 상기 체결홈 간의 거리가 다르도록 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블록몸체 상호간을 곡면을 형성하도록 결속시키며,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는 생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상기 블록몸체의 타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생태통로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생태통로부는 생물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블록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면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생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토하는 단계 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를 상기 블록몸체 상부에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재를 적층하는 단계 후
    상기 블록몸체를 축조하는 단계 또는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상기 성토하는 단계, 및 상기 하중분산부재를 적층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시공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방지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축조시 상기 유실방지부가 타 블록몸체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부 또는 타 블록몸체에 압착되도록 상기 블록몸체가 축조되는 경우 상기 블록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성토된 성토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의 시공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090070032A 2009-07-30 2009-07-30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32A KR100954606B1 (ko) 2009-07-30 2009-07-30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32A KR100954606B1 (ko) 2009-07-30 2009-07-30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606B1 true KR100954606B1 (ko) 2010-04-26

Family

ID=4222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032A KR100954606B1 (ko) 2009-07-30 2009-07-30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19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봉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284B1 (ko) * 2003-12-17 2004-12-04 김갑중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KR20050030754A (ko) * 2003-09-26 2005-03-31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43331B1 (ko) * 2008-03-11 2008-07-03 문희성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754A (ko) * 2003-09-26 2005-03-31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38163B1 (ko) * 2003-09-26 2005-12-22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60284B1 (ko) * 2003-12-17 2004-12-04 김갑중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KR100843331B1 (ko) * 2008-03-11 2008-07-03 문희성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19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봉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2316592B1 (ko) * 2019-10-17 2021-10-25 주식회사 봉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CN103114559A (zh) 一种防滑的生态砌块及其应用
CN202023175U (zh) 全向互锁型护坡砌块
KR100322868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954606B1 (ko)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10080662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CN102071665B (zh) 全向互锁型护坡砌块及其搭接互锁方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1131897B1 (ko) 사면용 섬유대와 하천용 섬유대의 연결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대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KR100709103B1 (ko) 메가그린블럭
KR200406139Y1 (ko)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CN109098145A (zh) 一种生态网格砌块结构
CN214940371U (zh) 一种水利工程组合挡土墙结构
KR101354694B1 (ko)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CN203270605U (zh) 一种植草挡土块及采用该挡土块干垒的挡土墙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