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39Y1 -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 Google Patents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39Y1
KR200406139Y1 KR2020050023618U KR20050023618U KR200406139Y1 KR 200406139 Y1 KR200406139 Y1 KR 200406139Y1 KR 2020050023618 U KR2020050023618 U KR 2020050023618U KR 20050023618 U KR20050023618 U KR 20050023618U KR 200406139 Y1 KR200406139 Y1 KR 200406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orous concrete
products
wall block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범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23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포러스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제조시 사용재료는 건설부산물인 폐콘크리트 순환골재 및 재생골재와 부순돌을 용도에 따라 부순돌 대체비로 혼용하고, 산업부산물인 석탄회(플라이애시)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 시멘트등을 주재료로 사용한 다공성 포러스콘크리트를 옹벽블록 몸체의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옹벽블록의 블록전면부는 포러스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정면부;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정면부의 배면 하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 소정부위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부; 및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바닥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리브;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블록의 시공을 옹벽용으로 구성하여 제방이나 사면을 보호함은 물론 구체 전면부가 다공성 콘크리트로 되어있는 블록을 다단식으로 축조함에 따라 초본류 및 다년생 목본류의 식재공간 확보는 물론 식물의 생육을 위한 뿌리의 착근과 성장이 용이하고 지중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건설부산물, 산업부산물, 친환경옹벽블록, 호안, 관통공, 배면부벽, 포러스콘크리트

Description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Environmental Friendly Porous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using Construction By-Products and Industrial By-Product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낸 조감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낸 조감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변형된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 을 나타낸 조감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시공조감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시공조감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시공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시공측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배면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평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 시공조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면부 11: 통공
12: 자연석 20: 바닥부
21: 고정홈 22a: 수직관통홀
22b: 수평관통홀
30: 보강리브 31: 돌출부
110: 정면부 111: 통공
112a,112b: 관통홈 113: 고정돌기
114: 고정홈 115a: 요부
115b: 철부 116: 수평관통홀
120: 배면부 121: 핀홀
210: 정면부 211: 배면부
212: 바닥판 213: 측벽
214: 수평관통홀 215: 측벽홀
216a: 고정돌기 216b: 고정홈
217: 배면관통홀 218: 상부홈
219: 바닥수직관통홀
100,200,300: 친환경 옹벽블록
본 고안은 건설부산물인 재생골재 및 부순돌과 산업부산물인 석탄회(플라이애시)를 이용하여 제조한 포러스콘크리트를 사용한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 및 절개지의 경사면 보호용으로 사용되며 포러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식생이 용이하도록 한 친환경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옹벽블록은 하천 및 도로의 제방과 절개지, 강, 수로, 여수로, 소형하천, 저수지, 공사구역의 사면 및 절개지의 경사면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기존의 하천 및 호안, 절개경사지의 정비 및 공사형태는 대부분이 일반콘크 리트로 된 구조물로만 축조되었다. 이러한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은 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공극이 거의 없으므로 생물이 생존하기에 부적합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이 되어 왔다.
따라서, 하천환경에 대한 고려 및 기존 자생생물의 자연스런 유입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의 주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식생 및 미생물, 지중생물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안정적인 식생 공간의 제공 등 환경부하 저하기능을 갖으면서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옹벽블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환경의 정비로 인해 야기할 수 있는 환경훼손의 문제점 해소 및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의 기능 이외에 초본류 및 다년생 목본류의 식재공간 확보는 물론 식물의 생육을 위한 뿌리의 착근과 성장이 용이하고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록의 특성상 그 재질이 주로 다공성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수중에 설치시 수중생물의 활성화 기능과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친환경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공성의 포러스콘크 리트 영향으로 주변소음저감 효과가 우수한 생태환경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구조는 양질의 보통콘크리트로 구성하여 블록상호간의 입체적 연결과 유공관 설치를 통한 배면토압, Surcharge Load 등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친환경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블록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재료는 포러스콘크리트 옹벽블록의 제조시 건설부산물로 비중 2.1~2.6, 흡수율 2.0~5.0%, 단위용적질량 1,300~1,600kgf/㎥인 폐콘크리트 순환골재 및 재생골재를 용도에 따라 부순돌 대체비로 1~60vol%까지 혼용하고, 비중 2.0~2.4, 분말도 3,200~3,500㎠/g의 물성을 갖는 석탄회(플라이애시)를 시멘트 대체비로 1~30wt%로 하며, 시멘트는 비중 3.10~3.16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나 비중 3.00~3.15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등을 주재료로 사용한 공극률 8~25%인 다공성 포러스콘크리트를 옹벽블록 몸체의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옹벽블록의 블록전면부는 포러스콘크리트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정면부;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정면부의 배면 하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 소정부위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부; 및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바닥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리브;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정면부는 전면 일부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며 후면은 일반 콘크리트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정면부의 전면 일부는 포러스 콘크리트의 전면에 자연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중앙에 반원형태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적층되는 블록의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의 수직 하방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된 정면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상기 정면부의 배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정면부의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홈과 각각 연접하여 같은 형상으로 된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배면부;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상기 고정돌기 및 고정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2~4개의 수직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정면부의 각 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을 고정결합되도록 요부와 철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상기 배면부의 돌출된 부벽의 단부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되며 각도는 지형에 따라 30 내지 90 °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전면방향으로 30 내지 80° 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전면판; 포러스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블록의 적층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에 고정돌기가, 하부에는 고정홈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수평관통홀과 측벽홀이 형성되는 측벽; 포러스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며 블록의 시공시 블록 배면으로부터 식물생육에 필요요소인 토양 및 수분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면관통홀이 형성된 배면판; ; 포러스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상하부 블록의 적층 후 토양생물이나 식물의 뿌리, 수분, 영양분등이 자유로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수직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판; 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낸 조감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시공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100)은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정면부(10); 상기 정면부(10)의 배면 하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된 바닥부(20); 및 상기 정면부(10)와 상기 바닥부(20)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30);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면부(10)는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공(11)은 블록배면과 빈 공간의 다짐토의 배면토압과 과재하중에 대한 전단력 및 응력 집중작용의 감소를 위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면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면 일부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며 후면은 일반 콘크리트 재질로 되도록 하여 포러스 콘크리트가 구조적으로 강도가 작은 약점을 개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포러스콘크리트의 두께는 5~10cm이다.
또한, 상기 정면부(10)의 배면부벽은 바닥부(20)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로부터 소정의 각도, 대략 30~90° 정도의 각을 이루게 된다.
도 3에서는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이 상기 정면부(10), 바닥부(20) 및 보강리브(30)가 모두 포러스콘크리트를 이용한 것을 나타내며, 정면부(10)가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4에서는 상기 정면부(10)의 전면 일부를 포러스 콘크리트의 전면에 자연석(12)이 부착되도록 하여 자연석형태의 모양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바닥부(20)는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정면부(10)의 배면 하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 소정부위에 고정홈(21) 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의 수직관통홀(22a)과 수평관통홀(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관통홀(22a)와 수평관통홀(22b)는 블록상하부간의 식물의 생장에 필수요소인 수분의 이동이나 영양분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바닥부(20)의 하부에는 상하연결이 용이하도록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리브(30)에 형성된 돌출부(31)와 블록시공시 상하연결되도록 하여 블록간의 안정적 연결로 배면토압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31)는 상기 고정홈(21)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블록시공시 도 5에서와 같이 다단식 식생블록의 옹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리브(30)는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고정홈(21)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부(10)와 상기 바닥부(2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3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홈(21)에 대응되는 돌출부(31)가 상기 고정홈(21)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중앙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1)은 블록내부에 채워진 토사내의 수분이나 지중생물, 식물의 뿌리들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변형을 나타낸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 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낸 조감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변형된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낸 조감도이며, 도 13 과 도 1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을 나타내는 시공조감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하여 친환경 옹벽블록의 시공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200)은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113)가 각각 구비되며, 수직 하방에 고정홈(114)이 각각 형성된 정면부(110); 상기 정면부(110)의 배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배면부(120);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면부(110)는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중앙에 반원형태의 관통홈(112a,112b)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113)가 각각 구비되고, 적층되는 블록의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113)의 수직 하방에 고정홈(114)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정면부(110)가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관통홈(112a,112b)은 블록시공시 상하로 직접 연결되어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도 반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블록의 상하 적층시에 상부 양측에 구비된 고정돌기(113)가 적층되는 블록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삽입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배면부(120)는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상기 정면부(110)의 배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정면부(110)의 상기 고정돌기(113) 및 상기 고정홈(114)과 각각 연접하여 같은 형상으로 된 고정돌기(113)와 고정홈(114)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면부(110)와 배면부(120) 부벽의 상기 고정돌기(113) 및 고정홈(114)에는 지형여건에 따라 필요시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블록을 연결로드(rod)로 연결하기 위한 2~4개의 연직핀홀(121)이 형성되게 된다. 이 연직핀홀(121)에 블록 적층시 연결로드를 이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안전한 시공 및 설계서 상에 명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배면부(120)의 돌출된 단부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되며 각도는 45 내지 90 ° 를 이루도록 하여 시공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부(110)의 각 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을 고정결합되도록 요부(115a)와 철부(115b)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요부(115a)와 철부(115b)가 직선형 돌기형태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블록의 좌우연결 형태를 식생블록의 시공시 블록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간의 맞물림 현상으로 인하여 시공의 용이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요부(115a)와 철부(115b)가 도 9의 변형으로 곡선형태로 된 것을 나타낸다. 블록의 좌우연결 형태를 곡면식으로 배치하여 공사구간의 곡선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천의 흐름이 직선부 이외의 완곡선 흐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 역시 블록간의 맞물림 효과를 제공하여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수직식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조감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옹벽블록의 변형예를 이용하여 계단식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조감도이다. 도 12에서는 옹벽블록의 정면부(110)가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연직핀홀(121)을 설치하여 상하블록을 고정시키는 연결로드를 사용하여 시공을 하게 되면 구조적 안정성 확보는 물론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설계서 상에 명시된 바와 같이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0은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30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태로 되며, 전면부는 5mm~10cm 두께의 포러스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배면부는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상단이 하단부에 비해 일정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친환경 옹벽블록(300)은 돌출된 각도는 30 내지 80°를 이루는 정면부(210); 상기 정면부(210)의 양측에 후방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고정돌기(216a)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고정돌기(216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홈(216b)이 구비되며 수평관통홀(214) 및 측벽홀(215)이 형성된 측벽(213); 측벽(213)의 후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배면관통홀(217)이 형성된 배면부(211); 정면부(210), 측벽(213) 및 배면부(211)의 하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관통홀(219)이 형성된 바닥판(212);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면부(210)는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블록의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전면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그 각도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30 내지 80°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그 재질은 포러스콘크리트나 일반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측벽(213)은 측벽(213)의 상단에 고정돌기(216a)와 하단에 고정홈(216b)이 형성되어 블록의 적층시 상호 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수개의 수평관통홀(214), 측벽홀(215)이 형성되어 블록연결 후 블록간 좌우에서의 수분의 이동 통로 및 지중생물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포러스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배면부(211)에는 블록 배면의 토양으로부터 수분이나 양분, 지중생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면관통홀(217)이 이루어지며, 포러스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로 재질이 형성된 바닥판(212)에는 바닥수직관통홀(219)이 형성된다.
도 20은 블록의 정면부(210)에 자연석형(220)의 모양이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친환경 옹벽블록은 하천 및 도로의 제방과 절개지, 호안, 경사면 등에 수직 및 일정경사를 이루는 다단식의 포러스콘크리트를 이 용한 친환경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의 시공을 옹벽용으로 구성하여 제방이나 사면을 보호함은 물론 구체 전면부가 다공성 콘크리트로 되어있는 블록을 다단식으로 축조함에 따라 초본류 및 다년생 목본류의 식재공간 확보는 물론 식물의 생육을 위한 뿌리의 착근과 성장이 용이하고 지중생물 및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면부를 구성하는 포러스콘크리트에 의한 녹화식생기능의 제공과 함께 다공질내의 흡음기능에 의한 소음저감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하천환경에 인접하여 수중생물의 활성화와 수질정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 일반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환경저해요소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질감이 자연석형으로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생태환경을 복원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사용 주재료를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리싸이클형 옹벽으로 구체내 관통부위의 채움부위에 콘크리트(빈배합 콘크리트도 가능)를 이용함에 의해 중력식 옹벽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화 시공에 의하여 안전성과 에너지 절감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Claims (9)

  1. 친환경 옹벽블록의 제조시 건설부산물인 비중 2.1~2.6, 흡수율 2.0~5.0%, 단위용적질량 1,300~1,600kgf/㎥인 폐콘크리트 순환골재 및 재생골재를 부순돌, 시멘트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의 부순돌 대체비로 1~60vol%까지 혼용하고, 비중 2.0~2.4, 분말도 3,200~3,500㎠/g의 물성을 갖는 석탄회(플라이애시)를 시멘트 대체비로 1~30 wt%로 하며, 시멘트는 비중 3.10~3.16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나 비중 3.00~3.15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한 공극률 8~25%인 다공성 포러스콘크리트를 친환경 옹벽블록(100) 몸체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적용하되,
    전방부는 포러스콘크리트로 되고, 후방부는 포러스콘크리트 또는 일반콘크리트로 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정면부(10);
    전체가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정면부(10)의 배면 하부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 소정부위에 고정홈(21)이 각각 형성되며 다수의 수직관통홀(22a)이 형성된 바닥부(20); 및
    전체가 일반 콘크리트 또는 포러스 콘크리트로 되고, 상기 고정홈(21)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부(10)와 상기 바닥부(20)를 서로 연결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홈(21)에 대응되는 돌출부(31)가 상기 고정홈(21)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중앙에는 수평관통홀(22b)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각도가 30 내지 90°를 이루도록 형성된 보강리브(30);
    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전면 일부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며 후면은 일반 콘크리트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전면 일부는 자연석 모양(12)의 포러스콘크리트 요철부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4.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중앙에 반원형태의 관통홈(112a)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121)가 각각 구비되고, 적층되는 블록의 상기 고정돌기(12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121)의 수직 하방에 고정홈(114)이 각각 형성되며,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된 정면부;
    포러스 콘크리트 재질로 되고, 상기 정면부(110)의 배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상기 정면부(110)의 상기 고정돌기(113) 및 상기 고정홈(114)과 각각 연접하여 같은 형상으로 된 고정돌기(113)와 고 정홈(114)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평관통홀(115)이 형성된 배면부;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와 배면부의 상기 고정돌기(113) 및 고정홈(11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형조건에 따라 상하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블록의 배면부의 벽에 연결로드(rod)용 다수의 연직핀홀(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각 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을 고정결합되도록 요부(115a)와 철부(115b)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의 돌출된 단부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돌출되며 각도는 지형조건에 따라 30 내지 90 °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 옹벽블록.
  8.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태로 되며, 전면부는 5mm~10cm 두께의 포러스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배면부는 일반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상단이 하단부에 비해 일정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된 각도는 30 내지 80°를 이루는 정면부(210);
    상기 정면부(210)의 양측에 후방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고정돌기(216a)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고정돌기(216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홈(216b)이 구비되며 수평관통홀(214) 및 측벽홀(215)이 형성된 측벽(213);
    측벽(213)의 후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배면관통홀(217)이 형성된 배면부(211);
    정면부(210), 측벽(213) 및 배면부(211)의 하단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관통홀(219)이 형성된 바닥판(212);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옹벽블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전면 일부는 자연석 모양(220)의 포러스콘크리트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옹벽블록.
KR2020050023618U 2005-08-16 2005-08-16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KR200406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18U KR200406139Y1 (ko) 2005-08-16 2005-08-16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18U KR200406139Y1 (ko) 2005-08-16 2005-08-16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39Y1 true KR200406139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18U KR200406139Y1 (ko) 2005-08-16 2005-08-16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15B1 (ko) 2012-08-27 2013-05-06 주식회사 하은산업 친환경 옹벽블록
AU2017202174B2 (en) * 2016-04-11 2022-02-24 Clarke, Robert John MR Modular Cantilever Masonry Block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15B1 (ko) 2012-08-27 2013-05-06 주식회사 하은산업 친환경 옹벽블록
AU2017202174B2 (en) * 2016-04-11 2022-02-24 Clarke, Robert John MR Modular Cantilever Masonry Bloc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14039Y (zh) 河道滨岸带生态恢复型护岸结构型式
KR100582770B1 (ko) 폐콘크리트 미분말 및 순환골재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친환경 옹벽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친환경 옹벽블록
KR100460284B1 (ko)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KR100923428B1 (ko)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CN205276215U (zh) 一种卡锁式堆叠的生态砌块
CN205116096U (zh) 一种交错嵌式生态砌块
KR200406139Y1 (ko) 건설부산물과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친환경옹벽블록
CN207828908U (zh) 一种生态挡土墙
KR100503878B1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하천 호안 시공방법
CN202359724U (zh) 一种砌块及多功能墙体
CN202610831U (zh) 一种类h形砌块及挡土墙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1097055B1 (ko) 주철 판넬로 축조된 사방댐과 골막이 및 그 축조방법
KR20090085317A (ko) 식생블록 및 그 식생블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200321367Y1 (ko) 비탈사면 생태블럭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CN101429755A (zh) 框架结构生态河道堤岸的构筑方法
CN203891041U (zh) 中字形护坡混凝土砌块
KR200315799Y1 (ko) 폐석회석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단위블럭과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연결핀
CN217923660U (zh) 再生连锁护坡砖及其砌筑结构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100997520B1 (ko)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