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092B1 -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092B1
KR100950092B1 KR1020090023392A KR20090023392A KR100950092B1 KR 100950092 B1 KR100950092 B1 KR 100950092B1 KR 1020090023392 A KR1020090023392 A KR 1020090023392A KR 20090023392 A KR20090023392 A KR 20090023392A KR 100950092 B1 KR100950092 B1 KR 10095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wall structure
concre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월
Original Assignee
김산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산월 filed Critical 김산월
Priority to KR102009002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블록 상부에 일렬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개의 열(列)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적층되는 콘크리트블록 간의 결합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계단형 또는 수직형 또는 수직 계단형의 옹벽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옹벽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이루는 바닥지지판에 의해 상부로 적층 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바닥 침하 및 우천시 콘크리트블록에 저장된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옹벽구조물의 후방에서 바닥지지판에 고정 및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식생홈에 의해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옹벽불록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 형성되는 부직포;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절토부의 벽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게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기초면을 이루며, 상부면 전방에 횡방향으로 복수열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지지봉삽입공을 갖는 바닥지지판;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부에 안착 및 적층 형성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관통된 복수개의 식생홈이 횡방향으로 양측 구획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치합되는 동일한 선상의 열(列)과 전방으로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식생홈의 사이 상부와 하부면 중앙에는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게 종방향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되는 "V"형의 배수홈을 마련하고,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을 마련하되, 상기 결합홈에 의해 바닥지지판의 고정돌기에 치합 고정 및 결합돌기와 어느 한열의 결합홈에 의해 상부로 다수층 적층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 상기 바닥지지판의 지지봉삽입공에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콘크리트블록의 후방에 면접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는 다수의 지지봉; 및 상기 적층 형성된 콘크리트블록과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 형성된 부직포 사이에 충진되는 잡석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옹벽구조물을 시공키 위해 도로의 경사면 또는 하천의 제방을 부분 절토하여 옹벽구조물이 시공되는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되는 부직포 설치단계; 상기 절토부의 바닥면에 바닥지지판을 설치하는 바닥지지판 설치단계;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부에서 식생홈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상부면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 선상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열을 갖는 하부면 결합홈의 치합에 의해 콘크리트블록을 계단식으로 적층 및 강봉으로 수평 지지하는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 상기 바닥지지판의 지지봉삽입공에 삽입 및 적층된 콘크리트블록의 후방과 면접 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 설치 및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봉설치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배면과 부직포가 부착된 벽면 사이에 충진 되는 잡석층충진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옹벽, 옹벽구조물, 지지봉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복수개의 색생홈이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시 치합가능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이 안착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으로, 바닥지지판에 의해 옹벽구조물의 바닥 침하를 방지하고,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의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블록의 식생홈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게 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로,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벽체를 말한다.
이런 옹벽은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 위해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옹벽은 성형 및 양생등 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기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응력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한편,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관상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블록형 옹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블록형 옹벽구조는 옹벽이 상호 결합 됨에 있어서,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이 불안정한 상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옹벽구조는 토사 등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이 지면과 수평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우천시 토사가 도로나 하천으로 쓸려 내려갈 가능성이 크며, 옹벽구조 내측에 있는 토사가 유실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측에 복수개의 색생홈이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시 치합가능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블록이 안착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으로, 바닥지지판에 의해 우천시 옹벽구조물의 바닥 침하 및 토사유실을 방지하고,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의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블록의 식생홈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게 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 형성되는 부직포;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절토부의 벽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게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기초면을 이루며, 상부면 전방에 횡방향으로 복수열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지지봉삽입공을 갖는 바닥지지판;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부에 안착 및 적층 형성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관통된 복수개의 식생홈이 횡방향으로 양측 구획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치합되는 동일한 선상의 열(列)과 전방으로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식생홈의 사이 상부와 하부면 중앙에는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게 종방향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되는 "V"형의 배수홈을 마련하고,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을 마련하되,
상기 결합홈에 의해 바닥지지판의 고정돌기에 치합 고정 및 결합돌기와 어느 한열의 결합홈에 의해 상부로 다수층 적층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
상기 바닥지지판의 지지봉삽입공에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콘크리트블록의 후방에 면접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는 다수의 지지봉; 및
상기 적층 형성된 콘크리트블록과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 형성된 부직포 사이에 충진되는 잡석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옹벽구조물을 시공키 위해 도로의 경사면 또는 하천의 제방을 부분 절토하여 옹벽구조물이 시공되는 절토부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되는 부직포 설치단계;
상기 절토부의 바닥면에 바닥지지판을 설치하는 바닥지지판 설치단계;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부에서 식생홈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상부면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 선상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열을 갖는 하부면 결합홈의 치합에 의해 콘크리트블록을 계단식으로 적층 및 강봉으로 수평 지지하는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
상기 바닥지지판의 지지봉삽입공에 삽입 및 적층된 콘크리트블록의 후방과 면접 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 설치 및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봉설치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배면과 부직포가 부착된 벽면 사이에 충진 되는 잡석층충진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블록 상부에 일렬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개의 열(列)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적층되는 콘크리트블록 간의 결합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계단형 또는 수직형 또는 수직 계단형의 옹벽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옹벽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이루는 바닥지지판에 의해 상부로 적층 형성된 옹벽구조물의 바닥 침하 및 우천시 콘크리트블록에 저장된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옹벽구조물의 후방에서 바닥지지판에 고정 및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에 의해 옹벽구조물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측에 형성된 식생홈에 의해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옹벽불륵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은,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되는 부직포(100)와, 옹벽구조물(1)의 기초를 이루는 바닥지지판(200)과,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부에 적층 시공되는 다수의 콘크리트블록(300)과, 상기 적층된 콘크리트블록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400)과,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의 배면에 충진되는 잡석층(5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물지로 이루어지며, 절토부(2)의 벽면(3)에 고정핀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 시공되는 것으로, 절토부(2)의 벽면(3)으로부터 옹벽구조물(1) 측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닥지지판(2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재로 구성되어 절토부(2)의 벽면(3)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되게 바닥면(4)에 형성되어 옹벽구조물(1)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면 전방에 최하단층의 콘크리트블록(300)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210)(210')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지지봉삽입공(220)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전방에 적층되어 옹벽구조물(1)을 이루며 다수개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에 무늬면(310)과, 내측에 수직관통된 식생홈(320)과, 상부면에 결합돌기(330)와, 하부면에 결합홈(340)(340')과, 상부면과 하부면의 배수홈(350)과 배수면(350')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무늬면(310)은, 콘크리트블록(300)의 전면에 형성된 것으로, 주변 환경과 수려한 자연석의 무늬를 가지며, 하천, 도로사면, 단지사면 등의 시공시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유도하며, 특히, 도심부 등 시가지 시공시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식생홈(320)은, 콘크리트블록(300)의 내측에 사각형상으로 수직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양측 복수개가 구획 형성되어 토사의 충진 및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결합돌기(330)는,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1열(列)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결합홈(340)(340')은, 콘크리트블록(3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30)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330)와 수직 동일선상을 이루는 열과, 콘크리트블록(300)의 전방으로 소정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게 복수열(列)로 구성되며, 최하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결합홈(340)(340')에 의해 바닥지지판(200)의 고정돌기(210)(210')에 치합되어 고정 및 지지 되고, 그 최하단의 콘크리트블록(300)으로부터 상부로 결합돌기(330)와 어느 한열의 결합홈(340)(340')에 의해 치합 결합함으로 적층 시공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배수홈(350) 및 배수면(350')은,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옹벽구조물(1)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양측 식생홈(320)의 사이 상부와 하부면 중앙에는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게 종방향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되는 "V"형의 배수홈(350)이 마련되고,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350')을 마련된 것이며, 콘크리트블록(300) 적층 시공시 그 상부와 하부 또는 양측면의 콘크리트블록(300)과 결합되어 마름모 형상의 배수공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의 측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강봉삽입공(360)을 더 마련하되, 그 강봉삽입공(360)에 횡방향으로 시공된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300)을 연결하는 강봉(370)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블록(300)의 수평상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은, 평면상 외주면 양측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옹벽구조물(1) 시공시 만곡한 곡선으로의 시공 또한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봉(40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갖는 금속봉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지지봉삽입공(220)에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과 면접되어 큰크리트블록(300)이 후방으로 처지거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봉(400)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장형의 제1수직부(410)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 연장되는 단형의 제1수평부(420)와, 상기 제1수평부(420)의 단부에 연장되는 단형의 제2수직부(430)와, 상기 제2수직부(430)의 상단부에 연장되는 단형의 제2수직부(430)를 이루게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수직부(410) 또는 제1,2수직부(410)(43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의 배면에 밀착 지지하거나, 옹벽구조물(1)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수평부(42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 저면부를 추가 지지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400)의 제1수직부(410)와 제2수평부(440)에 각각 나사부(411)(441)를 형성하되, 상기 제1수직부(410)의 나사부(411)에는 바닥지지판(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플랜지너트(412)를 결합하여 지지봉(400)이 지면으로 침하 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수평부(440)에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400)을 연결하는 연결판(450)이 삽입 및 너트(442) 체결되게 구성함으로, 지지봉(400)의 평행 유지 및 콘크리트블록(300)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잡석층(500)은, 적층 형성된 콘크리트블록(300)과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 형성된 부직포(100) 사이에 충진되는 것으로, 옹벽구조물(1)의 견고한 시공 및 우천시 블록 내부 및 후면으로 유입되는 물의 배수유도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면 마무리를 이루며, 상기 콘크리트블록(300)과 동일하게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310)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관통된 1개의 식생홈(320)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30)와 동일한 선상의 열(列)과 전방으로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340)(340')이 형성되며,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350')을 마련된 측면마감블록(600)을 별도 구비하되,
콘크리트블록(300)의 전면상 그 안정성을 높여주기 위해 지그재그로 시공시 어느 층의 옹벽구조물(1)의 양측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인바, 그 공간부를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최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310)이 형성되고, 하부에 횡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330)와 치합되는 안착홈(710)이 형성된 상부마감블록(700)을 별도 구비하되,
최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 결합돌기(330)와 안착홈(710)에 의한 치 합으로 콘크리트블록(300) 상부의 선택적인 마감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옹벽구조물의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옹벽구조물(1)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
그 시공단계를 살펴보면, 옹벽구조물(1)을 시공키 위한 절토단계와, 상기 절토부의 벽면에 부착되는 부직포설치단계와, 상기 절토부의 바닥면에 시공되는 바닥지지판설치단계와, 상기 바닥지지판 상부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블록을 후방 지지키 위한 지지봉설치단계와, 절토부의 벽면과 콘크리트블록의 사이에 충진 되는 잡석층충진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먼저, 도 6a의 도시와 같이 도로면의 경사면 또는 하천의 제방에는 옹벽구조물(1)의 시공을 위해 그 시공부위의 절토부(2)를 형성키 위한 절토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절토부(2)는, 바닥면(4)과 벽면(3)을 직각 또는 벽면(3)을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경사상으로 절토하면 되는 것으로, 별도의 중장비 등에 의해 절토 가능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각절토 상태를 적용한 것이다.
이후, 도 6b의 도시와 같이 절토부(2)의 벽면(3)에는 부직포(100)가 부착 시공되는 것으로, 고정핀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 시공되는 것이며, 절토부(2)의 벽면(3)으로부터 옹벽구조물(1) 측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물에 혼합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후, 도 6c의 도시와 같이 옹벽구조물(1)의 바닥 기초를 이루는 바닥지지판(200)이 시공되는 바닥지지판 설치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도로변의 경사면 및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바닥지지판(200)은, 절토부(2)의 벽면(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되게 바닥면(4)에 시공되는 것으로, 그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10)(210')측이 전방을 향하게 바닥면(4)에 횡방햐으로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도 6d의 도시와 같이 옹벽구조물(1)의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블록(300)이 축조 시공되는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콘크리트블록(300)은, 바닥지지판(200)의 상부에 안착 및 적층 되어 축조되는 것으로, 최하단층의 콘크리트블록(300)은 그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340)(340')에 의해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상부면 전방에 형성된 고정돌기(210)(210')에 안착 치합 되어 고정되는 것이며, 안착된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에는 또 다른 콘크리트블록(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340)(340')중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340')이 하단의 콘크리트블록(300)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330)에 안착 치합 되게 적층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조되는 콘크리트블록(300)은 그 측면에 관통형성된 강봉삽입공(360)에 강봉(370)을 삽입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강봉(37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 서로 간의 지지 및 수평상 안정된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부로 연속되게 적층 되는 콘크리트블록(3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계단식으로 축조되는 것이며, 각단을 축조시 그 내측에 형성된 식생홈(320)에는 토사를 메우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 축조되는 콘크리트블록(300)은 정면상 하단의 콘크리트블록(300)과 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을 지그재그 상으로 적층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축조되는 콘크리트블록(300)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블록(300)을 지그재그 상으로 축조시 축조된 콘크리트블록(300)의 양측 마감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단이 발생 되는 것인바, 이때에는 측면마감블록(600)을 적용함으로 양측면의 마무리 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축조된 최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에는 상부마감블록(700)을 덮어 상부의 마감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6e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이 하부로 처짐 및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지지봉(400)이 설치되는 지지봉설치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지봉설치단계는 각단의 콘크리트블록(300) 시공시 병행하여 시공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지지봉(400)은, 한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이 시공된 상태에서 제1수직부(410)에 의해 바닥지지판(20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공(220)에 삽입 및 플랜지너트(412)에 의해 바닥지지판(200) 상부에서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너트(412)는 지지봉(400)이 지면으로 침하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봉(4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400)은, 그 제1수직부(41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의 배면에 면접되게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그 제1수직부(410)와 연장되게 형성된 제1수평부(420)의 외주면 상부는 배면 지지된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봉(400)이 설치되면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에는 또 다른 콘크리트블록(300)이 적층 시공되는 것으로, 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은 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결합홈(340)과 하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결합돌기(330)에 의해 치합되고, 그 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 저면부는 지지봉(400)의 제1수평부(420)에 안착 지지 및 제2수직부(430)에 의해 배면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블록(300)의 적층 및 지지봉(400)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설치된 지지봉(400)중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봉(400)은 각각의 지지봉(400)의 제2수평부(440)에 삽입되는 연결판(450)에 의해 연결 및 너트(442)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각 층의 콘크리트블록(300)을 지지하는 지지봉(400)의 수평유지 및 안정된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후, 도 6f의 도시와 같이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된 부직포(100)와 옹벽구조물(1)의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블록(300)의 사이에 잡석층(500)을 충진하기 위한 잡석층충진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잡석층(500)은, 옹벽구조물(1)의 견고한 시공 및 우천시 블록 내부 및 후면 으로 유입되는 물의 배수유도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7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에서, 적층 되는 콘크리트블록(300)간의 적층방식을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면 결합돌기(330)와 하부 결합홈(340)(340') 중 상기 결합돌기(330)와 동일 수직선상을 이루는 후방의 결합홈(340)과 치합 되게 척증 축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옹벽구조물(1)의 수직형 축조가 가능한 것이며, 이때 지지봉(400)의 지지는 제1수직부(410)에 의해 다수층의 콘크리트블록(300)의 지지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직형과 계단형을 병행하여 시공 또한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블록(300)의 양측면을 소정 경사지게 형성함으로 옹벽구조물(1) 시공시 평면상 만곡한 볼록형 곡률을 가지게 시공 또한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옹벽구조물은, 옹벽구조물(1)을 콘크리트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열의 결합홈에 의해 계단형 또는 수직형 또는 수직 계단형을 선택적으로 축조 가능하여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옹벽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바닥지지판에 콘크리트블록의 고정 지지 및 배면에서 지지봉에 의해 지지함으로, 보다 견고한 옹벽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블록의 내측에 형성된 식생홈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의 시공 및 각각의 콘크리트블록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공에 의 해 우천시나 토사에 함유된 물의 효과적인 배수가 가능하게 하는 등 옹벽구조물의 안전성의 향상 및 시공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콘크리트옹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지지봉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내지 도 6f는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의 수직형 시공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옹벽구조물의 수직형 및 계단형의 병행 시공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콘크리트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옹벽구조물 100 : 부직포
200 : 바닥지지판 210 : 지지봉삽입공
300 : 콘크리트옹벽 310 : 무늬면
320 : 식생홈 330 : 결합돌기
340,340 : 결합홈
400 : 지지봉 500 : 잡석층
600 : 측면마감블록 700 : 상부마감블록

Claims (9)

  1. 도로변의 경사면 또는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1)에 있어서,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 형성되는 부직포(100);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절토부(2)의 벽면(3)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게 바닥면(4)에 형성되어 바닥기초면을 이루며, 상부면 전방에 횡방향으로 복수열의 고정돌기(210)(210')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지지봉삽입공(220)을 갖는 바닥지지판(200);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상부에 안착 및 적층 형성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310)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관통된 복수개의 식생홈(320)이 횡방향으로 양측 구획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30)와 치합되는 동일한 선상의 열(列)과 전방으로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340)(340')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식생홈(320)의 사이 상부와 하부면 중앙에는 전면에서 후면에 이르게 종방향으로 상부와 하부가 대칭되는 "V"형의 배수홈(350)을 마련하고,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350')을 마련하되,
    상기 결합홈(340)(340')에 의해 바닥지지판(200)의 고정돌기(210)(210')에 치합 고정 및 결합돌기(330)와 어느 한열의 결합홈(340)(340')에 의해 상부로 다수층 적층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300);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지지봉삽입공(220)에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에 면접되어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는 다수의 지지봉(400); 및
    상기 적층 형성된 콘크리트블록(300)과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 형성된 부직포(100) 사이에 충진되는 잡석층(5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에, 측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강봉삽입공(360)을 더 마련하되, 그 강봉삽입공(360)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300)을 연결하는 강봉(370)이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은, 평면상 외주면 양측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00)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장형 제1수직부(410)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 연장되는 단형 제1수평부(420)와, 상기 제1수평부(420)의 단부에 연장되는 단형 제2수직부(430)와, 상기 제2수직부(430)의 상단부에 연장되는 단형 제2수평부(440)를 이루게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제1수직부(410) 또는 제1,2수직부(410)(43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의 배면에 밀착 지지하거나, 상기 제1수평부(42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 저면부를 더 지지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00)은, 제1수직부(410)와 제2수평부(440)에 각각 나사부(411)(441)를 형성하되, 상기 제1수직부(410)의 나사부(411)에는 바닥지지판(200)의 상부에 위치되게 플랜지너트(412)를 결합하여 지지봉(400)의 하부 침하를 방지하며,
    제2수평부(440)에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봉(400)을 연결하는 연결판(450)이 삽입 및 너트(442)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면 마무리를 이루며, 콘크리트블록(300)과 동일하게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310)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관통된 1개의 식생홈(320)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30)와 동일한 선상의 열(列)과 전방으로 이격된 또 다른 열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340)(340')이 형성되며, 양단부 상.하 4부분의 모서리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게 종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모따기 형상의 경사형 배수면(350')을 마련된 측면마감블록(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의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전면에 자연석 무늬면(310)이 형성되고, 하부에 횡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330)와 치합되는 안착홈(710)이 형성되어,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마감블록(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8. 도로변의 경사면 및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구조물을 시공키 위해 도로의 경사면 또는 하천의 제방을 부분 절토하여 옹벽구조물이 시공되는 절토부(2)를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부(2)의 벽면(3)에 부착되는 부직포설치단계;
    상기 절토부(2)의 바닥면(4)에 바닥지지판(200)을 설치하는 바닥지지판 설치단계;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상부에서 식생홈(320)을 갖는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면 결합돌기(330)와 상기 결합돌기(330)와 동일 선상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열을 갖는 하부면 결합홈(350')의 치합에 의해 콘크리트블록(300)을 계단식으로 적층 및 강봉(370)으로 수평 지지하는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
    상기 바닥지지판(200)의 지지봉삽입공(220)에 삽입 및 적층된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과 면접 되어 콘크리트블록(300)의 후방 처짐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 설치 및 연결판(450)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봉설치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300)의 배면과 부직포(100)가 부착된 벽면(3) 사이에 충진 되는 잡석층충진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 축조단계에, 시공된 콘크리트블록(3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측면마감블록(600) 및 적층 축조된 최상단 콘크리트블록(300)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상부마감블록(700)을 포함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KR1020090023392A 2009-03-19 2009-03-19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5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392A KR100950092B1 (ko) 2009-03-19 2009-03-19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392A KR100950092B1 (ko) 2009-03-19 2009-03-19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092B1 true KR100950092B1 (ko) 2010-03-29

Family

ID=4218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392A KR100950092B1 (ko) 2009-03-19 2009-03-19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211A (ko) * 2018-03-20 2019-09-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14Y1 (ko) 2003-12-17 2004-06-23 주식회사 삼성산업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60033698A (ko) * 2005-08-03 2006-04-19 최경문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KR100590411B1 (ko) 2005-12-01 2006-06-19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단지내에서의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
KR100599979B1 (ko) 2005-12-16 2006-07-12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배수시설물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14Y1 (ko) 2003-12-17 2004-06-23 주식회사 삼성산업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60033698A (ko) * 2005-08-03 2006-04-19 최경문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KR100590411B1 (ko) 2005-12-01 2006-06-19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단지내에서의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
KR100599979B1 (ko) 2005-12-16 2006-07-12 (주)세일엔지니어링 도로 비탈면의 배수시설물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211A (ko) * 2018-03-20 2019-09-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0948B1 (ko) * 2018-03-20 2020-05-1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에코포켓이 구비된 식생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2112388B1 (ko)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CN110306589B (zh) 一种形成装配式加筋土挡墙的方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750703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CN110306588B (zh)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US20230295894A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210263127U (zh)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JP4227356B2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0696297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20070082608A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20010073245A (ko)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20110086930A (ko)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253377Y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JP4147090B2 (ja) 地下貯水槽用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49642B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