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608A - 보강토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2608A KR20070082608A KR1020060015380A KR20060015380A KR20070082608A KR 20070082608 A KR20070082608 A KR 20070082608A KR 1020060015380 A KR1020060015380 A KR 1020060015380A KR 20060015380 A KR20060015380 A KR 20060015380A KR 20070082608 A KR20070082608 A KR 20070082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space
- space portion
- reinforcement
- wall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1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devices for breaking partially-cut or perforated webs, e.g. bur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적층 시공되어지는 보강토 옹벽 블럭(1)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0) 및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포함하는 제1공간부(12);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 및 상기 제1공간부(12)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은 블럭 자체의 배수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전면에 식생환경을 형성하여 친환경적인 외관을 제공하며, 보강재와 보강토 옹벽 블럭이 단단하게 고정되어 옹벽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보강토 옹벽, 블럭, 연결수단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지반 침하에 따른 종래와 본 발명의 보강재 변화를 비교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과 보강재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과 보강재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강토 옹벽 블럭 10: 중공부
11: 연결수단 장착홈 12: 제1공간부
13: 배수공 14: 제2공간부
15: 격벽부 16: 요철
17: 보강프레임 2: 보강재
21: 봉재 22: 단방향 지오그리드
23: 양방향 지오그리드 3: 연결수단
31: 삽입부 32: 걸림돌기
33: 걸림부 34: 삽입홀
4 : 쇄석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적층 시공되어지는 보강토 옹벽 블럭(1)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0) 및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포함하는 제1공간부(12);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 및 상기 제1공간부(12)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보강토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리거나 해안을 매울 때 주로 사용하며, 아파트 단지조성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그밖에 수로공사 등에 널리 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옹벽은 콘크리트를 씌우거나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한 후 그사이 공간을 토사로 채우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보강하고자 하는 토양의 표층에 접근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로부터의 균열에 취약하고, 높이 제한 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진, 폭우, 폭파 등 돌발적인 사고시 뒤채움 토사의 붕괴에 의한 옹벽의 안정성이 취약하였다. 한편, 철 구조물의 경우 토양으로부터의 전단저항에는 효과가 있으나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토목섬유(Geosynthetics) 보강재(특히, 지오그리드(geogrid)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시공이 증가하여 우수한 경제성, 전면 벽체의 자유로운 형상, 시공기간 단축, 지진에 강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의 구성은 옹벽을 블럭의 형식으로 쌓아서 형성하되 후방의 보강토에 일정 깊이 단위로 보강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보강재의 끝단은 블럭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도로, 철도 및 단지 조성시 용지확보 등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옹벽을 대체하여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토목섬유 보강재와 함께 다수의 블럭을 조립, 적재하여 옹벽을 축조하였다. 이때 후방의 보강토 층이 침하될 경우 블럭과 보강재와의 연결부분은 강한 인 장력을 받게 되어 연결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견고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나 반대로 시공시 블럭과 보강재를 연결하는 작업의 곤란함이 장애 요소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구조물에 대한 선호도가 급상승하고 있으나 기존의 단순한 블럭의 경우 문양이나 그림이 그려진 블럭으로 시공하거나 또는 시공 후 형성하는 방법은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외관상의 개선에 불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옹벽 블럭에 관한 종래 특허로는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한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4-0013688, 2004.02.27)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중공부에 식생환경만을 조성할 수 있어 현장의 쇄석을 처리할 수 없으며, 보강재와 블럭과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단한 축조가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보강토 옹벽 블럭의 시공시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고, 제1공간부에 현장의 쇄석을 채워넣어 처리가 용이하며, 제2공간부에 식생환경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조성할 수 있으며, 보강재와 블럭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지반의 침하에 따라 보강재가 침하할 때 연결수단이 같이 침하하도록 하여 보강재와 블럭과의 결합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고, 제1공간부에 현장의 쇄석을 채워넣어 처리가 용이하며, 제2공간부에 식생환경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조성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적층 시공되어지는 보강토 옹벽 블럭(1)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0) 및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포함하는 제1공간부(12);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 및 상기 제1공간부(12)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12)에 형성된 중공부(10)는 쇄석(4)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12)의 중공부(10)를 두 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부(14)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경계를 이루는 제1공간부 의 전면부에 요철(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0) 및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포함하는 제1공간부(12);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 및 상기 제1공간부(12)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럭의 제1공간부는 후면 상단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T'형 연결수단 장착홈(11)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을 포함하는 후면과, 전면 및 측면이 막힌 중공부(10)를 형성하여 내부에 쇄석(4)을 채우고, 상기 쇄석(4)은 1mm ~ 150m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모래부터 작은 골재의 범위의 현장 쇄석으로, 배수효과가 뛰어나며, 기본적인 옹벽의 내력을 위하여 필요한 중량으로 채워지며, 이때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상기 제1공간부의 양측면에 다수의 배수공(13)을 형성한다.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에는 토양을 충진하고, 상기 토양에 식생환경을 형성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제공한다. 상기 제2공간부(14)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공간부(12) 내벽에 수직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보강프레임(17)은 몸체에 작용하는 수직방향 응력에는 기본적인 저항능력이 작용하나 설치 구조의 특성상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4는 지반 침하에 따른 종래와 본 발명의 보강재의 변화를 비교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이 블럭에 고정된 연결수단(3)의 경우 지반과 함께 보강재(2)가 침하하면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연결수단(3)이 끊어지거나 블럭(1)과 연결수단(3) 또는 연결수단(3)과 보강재(2)와의 연결부가 이탈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의 상기 제1공간부(12)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은 'T'형상이고, 이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강재와 블럭과의 결합이 용이하며,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은 제1공간부의 후면에 블럭 하단의 인접한 부분까지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어 지반의 침하에 따라 보강재가 침하할 때 연결수단이 같이 침하하도록 하여 보강재와 블럭과의 결합이 단단하게 이루어져 블럭과 보강재의 연결수단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옹벽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2)를 연결하는 걸림돌기(32)는 보강재(2)의 끝단을 끼우기에는 매우 용이하나 지반의 침하 등 기타 요인에 의하여 아 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매우 강하게 보강재를 연결하게 되어 보강재 연결작업이 용이하며, 매우 단단하게 연결된다. 이에 보강토 옹벽 블럭 시공시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이 하나 형성되어, 상기 블럭(1)의 배면 상단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많은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또는 블럭의 형상을 작게 형성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간부(12)의 중공부(10)에 격벽부(15)를 형성하여 두 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블럭의 수직 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경계를 이루는 제1공간부의 전면부에 요철(16)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요철을 어떤 문양모양으로 형성하거나 타일을 부착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또한 녹생토를 취부하여 식물이 용이하게 붙어 자랄 수 있어 제2공간부(14)이외에도 식생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과 보강재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결수단(3)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2)는 걸림부(33)가 형성되어 "ㄱ" 형상으로 양측 끝단에 두 개씩 맞대어 형성되며, "ㄱ" 형상의 걸림돌기는 보강재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며, 도 6에 나타낸 보강재는 단방향 지오그리드(22)로서, 일측 방향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과 보강재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결수단(3)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2)는 삽입홀(34)이 형성되어 원통 형상으로 양측 끝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보강재의 끝단 마감부를 일정 길이 겹치도록 접어, 사이 공간에 봉재(21)가 삽입되도록 한 경우, 상기 봉재(21)가 삽입되는 삽입홀(34)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보강재는 격자형의 것으로, 양방향 지오그리드(23)의 한 종류이다. 도 6과 도 7의 예와 같이 상기 보강재의 경우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진 제품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의 안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면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고, 제1공간부에 현장의 쇄석을 채워넣어 처리가 용이하며, 제2공간부에 식생환경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조성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은 보강재와의 결합 이 용이하고 단단하게 이루어져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옹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지반의 침하에 따라 보강재가 침하할 때 연결수단이 같이 침하하여 연결수단의 절단 또는 연결부가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하여 지반 침하에 따른 옹벽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옹벽의 전면에 식생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진 옹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제공하여 용이하고, 단단하게 보강재를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적층 시공되어지는 보강토 옹벽 블럭(1)에 있어서,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0) 및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포함하는 제1공간부(12); 상기 제1공간부(12)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면이 개방된 제2공간부(14); 및 상기 제1공간부(12)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수단 장착홈(11)으로 구성되고,상기 연결수단 장착홈(11)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말단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32)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에 의해 보강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12)에 형성된 중공부(10)는 쇄석(4)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12)의 중공부(10)를 두 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부(14)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경계를 이루는 제1공간부의 전면부에 요철(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380A KR100758601B1 (ko) | 2006-02-17 | 2006-02-17 | 보강토 옹벽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380A KR100758601B1 (ko) | 2006-02-17 | 2006-02-17 | 보강토 옹벽 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2608A true KR20070082608A (ko) | 2007-08-22 |
KR100758601B1 KR100758601B1 (ko) | 2007-09-13 |
Family
ID=3861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380A KR100758601B1 (ko) | 2006-02-17 | 2006-02-17 | 보강토 옹벽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86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0236A (ko) | 2015-09-09 | 2017-03-1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료전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
KR102215477B1 (ko) * | 2020-09-25 | 2021-02-16 |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 복합포대 및 다기능 일체형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393B1 (ko) | 2009-11-20 | 2012-05-15 | 김성례 |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
KR101354694B1 (ko) * | 2009-12-22 | 2014-01-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2473A (ja) * | 1993-04-08 | 1994-10-21 | Pariteii Jipangu:Kk | 緑化擁壁及び緑化擁壁用積みブロック |
JP3712311B2 (ja) | 1997-04-09 | 2005-11-02 | 株式会社高特 | コンクリ−ト法面緑化用植栽方法及びその装置 |
KR100549792B1 (ko) | 2004-09-02 | 2006-02-08 | 문희정 | 옹벽 블럭구조 |
-
2006
- 2006-02-17 KR KR1020060015380A patent/KR1007586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0236A (ko) | 2015-09-09 | 2017-03-17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료전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
KR102215477B1 (ko) * | 2020-09-25 | 2021-02-16 |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 복합포대 및 다기능 일체형 상자를 이용한 식생 활착용 게비온 옹벽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8601B1 (ko) | 2007-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0379B1 (ko) |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 |
KR20210119861A (ko) |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
KR20220012525A (ko) |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
KR100758601B1 (ko) | 보강토 옹벽 블럭 | |
KR101397432B1 (ko) | 보강토 옹벽 패널 | |
KR100665022B1 (ko) |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 |
CN209555948U (zh) | 一种拼装式生态桩间挡土板构造 | |
KR100644795B1 (ko) | 조립 패널 옹벽 | |
KR100663091B1 (ko) |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 | |
KR102178399B1 (ko) |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07195Y1 (ko) |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 |
KR101119651B1 (ko) |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 |
KR100696297B1 (ko) |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 |
KR101328027B1 (ko) | 절토부 옹벽 및 사면보호를 위한 구조 | |
KR102062534B1 (ko) |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 |
KR200448481Y1 (ko) |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 |
KR100592721B1 (ko) | 도로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 | |
JP3643114B2 (ja) |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 |
KR100950092B1 (ko) |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35475B1 (ko) |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770559B1 (ko) | 옹벽축조 구조물 | |
KR102285192B1 (ko) |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 |
KR102371284B1 (ko) |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
KR100745010B1 (ko) | 철근 콘크리트 옹벽 | |
KR102371639B1 (ko) |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