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525A -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525A
KR20220012525A KR1020200091395A KR20200091395A KR20220012525A KR 20220012525 A KR20220012525 A KR 20220012525A KR 1020200091395 A KR1020200091395 A KR 1020200091395A KR 20200091395 A KR20200091395 A KR 20200091395A KR 20220012525 A KR20220012525 A KR 2022001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network
box
trail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주형신
Original Assignee
이주희
주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주형신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20009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525A/ko
Publication of KR2022001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연속벽체에 사용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철근망 조립체는, 선행패널과 후행패널이 교대로 연속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행패널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횡철근과 종철근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선행철근망; 및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에 각각 끼워져 설치되며, 선행철근망의 중앙부가 배치된 제1영역과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가 배치된 제2영역을 상호 격리시키는 한 쌍의 차단박스;를 구비하되, 차단박스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박스의 내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대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WIRE MESH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하부의 외벽체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속벽체와, 그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철근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하 연속벽체는 건축 하부 기초 공사시 흙막이나 차수를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한 후 철거하는 가시설이 아니라, 건축 구조물 완공시 지하층의 외벽으로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벽체를 말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1은 지하 연속벽이 설치될 영역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평면도이다. 여기서 A로 표시된 부분은 선행패널부이며, B로 표시된 부분은 후행패널부이다. 지하 연속벽체를 시공시 먼저 건물의 지하 외벽이 설치될 영역을 따라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가 상호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획한다.
그리고 선행패널부(A1,A2,A3)에 대하여 하방으로 굴착을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표면에 가이드월(미도시)를 설치하고, 굴착기를 이용하여 선행패널부를 정해진 심도까지 굴착한다. 이 과정에서 굴착에 의해 형성되는 공벽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굴착과 함께 공벽 유지를 위한 안정액(일반적으로 벤토나이트액)을 주입하여 굴착부를 충진한다.
선행패널부에 대한 굴착이 완료되면 안정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횡철근(1)과 종철근(2)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철근망을 굴착부에 근입하고, 트래미 파이프 등의 주입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굴착부에 주입한다. 콘크리트가 안정액보다 무거우므로 안정액은 상부로 올라가게 되며 안정액은 펌핑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충진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벽체가 형성된다. 모든 선행패널부(A1,A2,A3)를 동시에 굴착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A1에서 A3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선행패널부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선행패널부 사이의 후행패널부(B1,B2,B3)에 대하여 굴착 및 벽체 형성작업이 수행된다. 그 과정은 선행패널부의 시공과 동일하다.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속벽체가 완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연속벽체는 구조적 강도가 문제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하 연속벽은 선행패널부를 만든 후 후행패널부를 만들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의 횡철근(1)이 상호 이어지지 않는다. 철근이 연속벽체 전체에 걸쳐서 이어져 있어야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일체화되어 강도에서 유리한데, 종래의 연속벽체에서는 철근이 패널 단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에 있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특히 최근과 같이 내진설계가 강화되는 조건에서는 패널들 사이의 철근 연결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에 D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선행패널부의 철근과 후행패널부의 철근이 상호 겹쳐지게 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즉 선행패널부(A)의 철근망 중 양측 단부를 제외하고 중앙 부분에만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그리고 후행패널부를 굴착한 후 후행철근망의 단부를 D로 표시된 것과 같이 선행철근망의 단부와 겹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양측 단부의 철근 부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행패널부를 굴착하고, 후행패널부의 철근과 선행패널부의 철근을 상호 겹친 상태에서 후행패널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도 3과 같은 형태가 된다. 선행철근망과 후행철근망이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었고, 콘크리트에 의하여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의 철근이 상호 일체화되었으므로 벽체의 강도가 강화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시공방법을 실제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참조번호 g는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의 굴착부 경계를 표시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미공개 상태)에는 상기한 방식의 시공을 위하여 철근망의 양측에 차단박스를 끼워 넣는다. 차단박스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차단박스의 내측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한다. 한 쌍의 차단박스 사이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후행패널부를 굴착한 후 차단박스를 개방하여 후행패널의 철근망과 선행철근망을 겹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과 같은 시공방법은 매우 유용하다. 다만 차단박스는 적어도 10m 이상, 수십 m까지 길게 형성되는데, 차단박스를 스틸 소재로 형성한다고 해도 이렇게 길이가 길어지면 시공 과정에서 쉽게 뒤틀리며 수직도를 맞추기 어려워진다. 차단박스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형상이 뒤틀리고 수직도가 맞지 않으면 시공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차단박스는 매우 길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조된 뒤 시공 현장까지 이송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도 노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행패널의 철근망과 후행패널의 철근망이 상호 겹쳐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함께 매설되어 구조적 강도가 증진된 지하 연속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 연속벽체에 내부에 매설되는 독특한 구조의 철근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망 조립체를 이용하여 지하 연속벽체를 매우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는 선행패널과 후행패널이 교대로 연속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연속벽체에서 상기 선행패널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횡철근과 종철근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선행철근망; 및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에 각각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선행철근망의 중앙부가 배치된 제1영역과 상기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가 배치된 제2영역을 상호 격리시키는 한 쌍의 차단박스;를 구비하되, 상기 차단박스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단박스의 내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대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박스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는 박스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분리판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전면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박스본체는 복수의 박스분절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박스분절은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박스분절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보강대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박스분절들은 보강대들을 상호 볼트-너트 체결하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박스분절에는 상기 전면판과 한 쌍의 측면판 사이를 차단하는 바닥판이 형성되며, 상기 최하단에 배치되는 박스분절은 다른 박스 분절에 비하여 높이가 2~2.5배 범위로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하 연속벽체는, 앞에서 설명한 선행 철근망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차단박스 사이에 타설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체를 구비하는 복수의 선행패널; 및 횡철근과 종철근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각각 인접한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후행철근망과, 상기 후행철근망과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가 함께 매설되도록 타설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체를 구비하며 상기 선행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행패널;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a)먼저 굴착시공을 하는 선행패널부와, 뒤에 굴착시공을 하는 후행패널부가 연속벽이 시공되는 영역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획하는 단계; (b)상기 선행패널부를 굴착하고, 상기한 선행철근망 조립체를 굴착된 선행패널부에 근입한 후, 상기 한 쌍의 차단박스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선행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후행패널부를 굴착하고, 상기 차단박스의 외측면을 분리시켜 상기 제2영역을 개방하는 단계; (d)횡철근과 종철근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후행철근망을 굴착된 후행패널부에 근입하되 상기 후행철근망의 단부가 개방된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e)상기 후행철근망과 선행철근망의 단부가 함께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후행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행패널의 철근망과 후행패널의 철근망을 상호 겹친 상태로 연속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연속벽체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높게 발현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최근 건물 설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내진 설계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선행철근망과 후행철근망을 상호 겹친 상태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 즉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분할, 격리하는 문제를 차단박스를 통하여 해결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단박스를 복수의 분절로 제작하여 차단박스의 제조 및 이송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차단박스의 내측에 보강대를 형성함으로써 차단박스가 매우 높게 형성되더라도 차단박스의 형상이 뒤틀리지 않고 수직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연속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는 선행 및 후행패널부에 철근을 근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에서 철근을 상호 겹친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의 차단박스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를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a-a선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차단박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선행철근망 조립체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의 하단부의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두 종류의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지하 건물의 지하 외벽, 즉 지하 연속벽체 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연속벽체는 터파기 시공시 토류벽 또는 차수벽으로 일시적으로 사용한 후 철거하는 가시설이 아니라 영구 벽체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 철근망 조립체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후,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의 구성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의 차단박스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를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a-a선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선행철근망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8은 선행철근망 조립체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의 하단부의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50)는 선행철근망(10)과 차단박스(20)를 구비한다.
선행철근망(10)은 복수의 횡철근(11)과 종철근(12)이 격자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본 예에서 횡철근(11)과 종철근(12)은 모두 이형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선행철근망(1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차단박스(20)가 설치된다.
차단박스(20)는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 번째 기능은 거푸집 기능이다. 즉 선행패널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양측의 경계를 확정한다. 선행패널부의 굴착된 공간을 제1영역(D1)과 제2영역(D2)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1영역(D1)이란 선행철근망(10)의 중앙 부분으로서 두 개의 차단박스(20) 사이의 공간(영역)을 의미한다. 즉 콘크리트가 먼저 타설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제2영역(D2)이란 선행철근망(10)의 양측 단부가 배치된 영역(공간)으로서, 후행패널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함께 타설되는 영역이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선행철근망(10)의 양단부는 각각 차단박스(20)에 끼워져서 차단박스(20) 내부의 격리된 공간(21)에 배치되는데, 이 공간이 제2영역을 형성한다. 차단박스(20)의 두 번째 기능은 제2영역을 제1영역과 완전히 차단시키는 것이다. 제1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제2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2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차단박스(20)는 스틸 소재로 선행철근망(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차단박스(20)는 상하로 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데, 전면판(22)과, 전면판(22)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판(23)과, 전면판(22)의 하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바닥판(24)을 구비한다. 전면판(22), 바닥판(24), 한 쌍의 측면판(23)이 박스본체를 형성한다. 특히 바닥판(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철근(11)의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시공방법을 설명할 때 다시 부연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면판(22)과 마주하는 면에는 분리판(25)이 한 쌍의 측면판(23)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이 분리판(25)은 박스본체로부터 탈락/분리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23)에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홈부(23a)가 형성되며, 분리판(25)의 양측에도 삽입부(25a)가 형성되어, 삽입부(25a)가 삽입홈부(23a)에 끼워짐으로써, 분리판(25)이 한 쌍의 측면판(23)에 결합된다. 삽입홈부(23a) 내에는 고무 팩킹(미도시) 등이 개재되어 분리판(25)이 삽입홈부(23a)에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다만, 분리판(25)은 추후 제거될 것이므로 분리판이 차단박스에 너무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판을 차단박스에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도 4a, 도 4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삽입홈부(23b)를 측면판(23)의 내측에 상호 마주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차단박스(20)가 굴착된 선행패널부에 안착된 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분리판(25)을 인상시켜 박스본체로부터 분리, 반출할 수 있다. 분리판(25)이 반출되면, 차단박스(20)의 외측면이 제거되어 제2영역(D2)이 개방된다. 참고로 분리판이 차단박스로부터 분리, 반출되더라도 고무 팩킹은 삽입홈부(25a)에 남아 있으므로, 추후 연속벽체가 완공시 후술하는 지수막(41,4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단박스(20)는 10m 이상 수십m 수준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뒤틀림이 발생하고, 수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연속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인상하여 지반 굴착부에 삽입하게 되는데, 크레인으로 철근망을 들고 이동할 때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차단박스가 뒤틀릴 수 있다. 차단박스가 뒤틀리면 수직도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굴착부에 설치된 후에도 거푸집으로서 정확하게 기능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길이가 길기 때문에 공장에서 차단박스를 제조한 후에도 시공 현장까지 이송이 어렵다는 문제가 남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가지 구성을 도출하였다.
첫 째, 차단박스 내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보강대를 설치하여 차단박스의 뒤틀림을 억지하고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수직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 째, 차단박스를 복수의 분절(박스분절)을 적층 결합하는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박스분절을 현장에서 볼트-너트 체결방식 등으로 적층 결합시켜 이송상의 어려움을 해결하였다. 또한 보강대를 박스분절을 상호 결합하는 볼트-너트 체결영역으로 활용하였다.
위의 2가지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차단박스의 뒤틀림 방지 및 수직도 유지가 용이해지므로, 시공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차단박스의 이송에도 유리하다.
개선된 차단박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4a 및 4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차단박스(20)는 복수의 박스분절(210)을 상하방향으로 적층결합하여 형성된다. 각 박스분절(210)은 전면부(211), 전면부(211)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212)로 이루어진다. 전면부(211)의 양면에는 지수막(41,42)이 설치된다. 또한 각 박스분절의 한 쌍의 측면부에는 차단박스(20)의 삽입홈부(23a)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들이 각각 마련된다.
위와 같이 박스분절(210)들이 적층결합되면, 각 박스분절(210)의 전면부들이 차단박스(20)의 전면판(22)을 형성하고, 측면부들이 차단박스(20)의 측면판(23)이 되며, 측면판에는 길게 이어진 삽입홈부(23a)가 형성된다.
복수의 박스분절(21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박스분절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와 한 쌍의 측면부의 하단에 바닥판(24)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바닥판은 상향경사지게 배치되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보강대(220)는 차단박스가 뒤틀려서 수직도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차단박스의 내측면으로부터 횡방향(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대(220)는 박스분절(210)의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에 걸쳐서 'ㄷ'자 형태로 일체로 마련되며, 박스분절(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차단박스의 내측에 'ㄷ'자 형의 보강대가 덧대어져 있기 때문에 차단박스의 뒤틀림이 억지된다. 또한 전면판과 측면판의 각도가 벌어지는 것도 방지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측 보강대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자형 홈부가 마련되고, 하측 보강대의 하면에는 이에 대응되게 "∨"자형 요철부가 마련되어, 상측 보강대와 하측 보강대를 서로 접촉시켜 맞댈때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위와는 반대로 상측 보강대의 상측에 "∧" 자형 요철부가 하측 보강대의 상면에 "∧" 형태의 홈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분절(210) 사이의 결합은 볼트-너트 체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보강대(220)에는 복수의 관통공(221)이 형성되며, 상하측의 박스분절(210)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관통공(221)을 통해 볼트(228)와 너트(229)를 체결하여 박스분절(210)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보강대(220)가 차단박스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수직도를 유지하는 역할과 함께, 박스분절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결합대로도 기능한다.
기존과 같이 차단박스를 일체로 제조하여 시공 현장까지 이송하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예와 같이 시공 현장에서 박스분절을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매우 차단박스를 제조하면 이송시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방식이 매우 간단하므로 공장에서 제조하는 것과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공기를 늦추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단박스(20)의 전면판(22)에는 복수의 관통공(26)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6)에 횡철근(11)이 각각 끼워진다. 관통공의 내주면과 횡철근(11) 사이에는 수팽창제 등이 도포되어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공(26)에는 밀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관통공(26)과 횡철근(11) 사이를 막아, 이 틈새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예에서 밀폐부재(30)는 콘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처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횡철근(1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중공형의 밀폐부재(30)를 사용한다. 도 9는 밀폐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 밀폐부재(30)는 고무 등의 압착가능한 소재로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횡철근(11)에 끼워지며, 관통공(26)에 삽입된다. 즉 밀폐부재(30)는 횡철근(11)과 관통공(26) 내주면 사이에 압착된 형태이다. 밀폐부재(30)는 철근의 단부로부터 끼워질 수도 있으며, 본 예와 같이 일측면이 완전히 절개선(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절개선(31)을 통해 횡철근(11)에 끼울 수도 있다.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31)의 양측으로 밀폐부재(30)를 벌린 후 횡철근(11)에 끼울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예처럼, 횡철근(10)의 끝단에서부터 밀폐부재(35)를 삽입해서 넣을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에 복수의 절개선(36)을 형성하여 선단부가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밀폐부재(30)의 후단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림방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밀림방지부재는 횡철근에 끼워져 밀폐부재를 지지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밀림방지부재는 차단박스가 횡철근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밀폐부재가 없는 경우에도 횡철근에 끼워져서 차단박스가 횡철근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선행철근망 조립체(50)가 선행패널부의 굴착된 지중에 설치되면, 양측의 차단박스(20) 사이의 제1영역(D1)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때 콘크리트의 자중으로 인하여 양측의 차단박스(20)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갈 수 있다. 콘크리트의 자중이 아니라고 해도, 선행철근망 조립체(50)를 지중에 안착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상대이동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38)를 밀림방지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횡철근은 외주면에 일정하게 요철이 형성된 이형 철근을 사용하므로 너트(38)를 철근에 끼워 넣어서 밀폐부재(30)를 지지하면, 밀폐부재(30)가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단박스(20)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밀폐부재(30) 및 너트(38)를 이용하여 횡철근(11)과 차단박스(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면 차단박스(20)만 별도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밀림방지부재는 너트 이외에도 횡철근에 끼워져서 차단박스를 지지할 수 있는 다른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콘 형의 밀폐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2개의 커플링과 2개의 와셔를 이용하여 관통공을 밀폐하고 차단박스가 횡철근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차단박스를 사이에 두고 횡철근의 양측에 각각 와셔와 커플링을 끼워서 압착되게 설치하는 방법이다. 와셔와 커플링이 관통공의 양측에 압착설치되면 관통공이 밀폐되며, 커플링이 차단박스의 양측에 압착되므로 차단박스가 횡철근과 상대이동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50)에서는 전면판(22)의 외면과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지수막(41,42)이 설치될 수 있다. 양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바닥판(24)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모두 지수막(41)이 설치된다. 지수막(41,42)은 연속벽체가 완공된 후 건물 외부로부터 지하수, 빗물 등이 전면판이나 바닥판을 따라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단박스와 콘크리트는 이종 재질이므로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는 바, 지하수나 빗물이 차단박스와 콘크리트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지수막(41,42)이 지하수의 유입경로를 가로막게 설치되면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지수막(41,42)은 긴 띠 형상으로 전면판(22)의 외면과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면판(22)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막(42)은 바닥판(24)의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판(24) 폭방향(횡철근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지수막(41,42)은 스틸 소재로 차단박스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공장에서 차단박스를 만들 때 지수막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지수막은 시공 현장에서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수겔이 발라진 지수막을 차단박스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지수막의 일측은 지수겔에 의하여 차단박스에 부착되고 타측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어 지수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전면판(41)의 전면에 결합된 지수막(41)은 횡단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결합된 지수막(42)은 일자형으로 형성된 데에 차이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와 차단박스(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분리판(25)을 차단박스(20)로부터 제거할 때 차단박스(2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는 다른 예가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지수막(43)은 양측으로 요철(43)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행철근망 조립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는 먼저 연속벽이 설치될 영역(건축 구조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로 구획한다. 선행패널부와 후행패널부의 구획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즉 선행패널부(A1,A2,A3)와 후행패널부(B1,B2,B3)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패널부의 길이가 후행패널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획 후에는 선행패널부를 먼저 굴착한다. 복수의 선행패널부 중 멀리 떨어져 있는 선행패널부들을 함께 굴착할 수도 있으며, 순차적으로 굴착할 수도 있다. 다만 인접한 선행패널부를 함께 굴착하는 것은 장비의 운용이나 공벽 유지에 바람직하지 않다. 선행패널부를 하방으로 굴착할 때는 토사가 배출된 굴착부에 벤토나이트액 안정액을 주입 및 충전함으로써 공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설계 심도까지 선행패널부를 굴착한 후에는 안정액으로 채워진 굴착부에 본 발명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50)를 근입한다. 이 때 선행철근망 조립체(50)의 분리판(25)은 차단박스(20)에 결합되어 있다. 선행철근망 조립체(50)의 근입이 완료되면, 굴착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상호 격리된 상태이다. 한 쌍의 차단박스(20) 사이의 제1영역(D1)에는 벤토나이트 안정액이 충진된 상태이고, 차단박스(20) 내부 공간인 제2영역(D2)은 비어 횡철근(11)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비워져 있다. 차단박스(20)는 바닥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안정액이 차단박스 내부의 공간(21)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미 파이프(T)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인상해 가면서 제1영역(D1)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안정액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가벼우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측으로 밀려나가고 펌핑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 쌍의 차단박스(20)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C)가 경화되면 도 11과 같이 선행패널(100)이 완성된다.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차단박스(20)의 바닥판(24)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차단박스(20)의 바닥판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면, 트래미 파이프(T)를 인상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바닥판(24) 하부 일측 영역(R)에 콘크리트가 완전히 충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벽체의 강도에 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단박스 바닥판을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연속벽체에 빈 공간이 발생하지 않고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배치된 바닥판은 차단박스의 마지막 횡철근이 끼워진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여유를 두고 설치한다. 횡철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데,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끼워진 횡철근으로부터 차단박스의 최상단까지의 거리가 보통의 횡철근 사이의 상하간격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끼워진 횡철근으로부터 바닥판의 상측까지의 거리는 보통의 횡철근 사이의 상하간격보다 1.5~2.5배 정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행패널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시 혹시 콘크리트가 제2영역(D2)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콘크리트가 차단박스 하단에 모이도록 하고, 콘크리트가 하단에 모여도 후행패널의 시공시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차단박스의 내측은 안정액으로 채워져 있고, 콘크리트가 제2영역으로 유입된다고 하여도 콘크리트가 안정액 보다 무겁기 때문에 하단으로 가라앉게 된다. 또한 바닥판은 상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설령 선행패널부 쪽의 콘크리트가 일부 유입된다고 하여도 이 부분에 모인다. 그리고 차단박스의 하단에 모인 콘크리트가 선행철근과 후행철근이 상호 겹치는 영역까지 채워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바닥판을 조금 더 깊은 위치에 배치시켜야 한다. 후행 철근망에서는 횡철근은 굴착부의 최하단까지는 배치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차단박스가 배치되는 심도까지만 설치된다. 그 하부는 종철근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선행패널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일부 차단박스로 넘어 오더라도 차단박스의 하부에 모이게 되면, 후행철근망의 횡철근이 그 지점까지는 배치되지 않으므로, 후행철근망의 횡철근이 선행철근망의 횡철근과 겹쳐지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선행패널(100)이 완성되면, 이제 후행패널부(B)를 굴착한다. 후행패널부(B)도 선행패널부와 마찬가지로 안정액을 주입하면서 굴착하게 된다. 굴착과정은 선행패널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굴착이 완료된 후, 크레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차단박스(20)로부터 분리판(25)을 제거하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선행패널부(A)의 제2영역(D2)이 개방되면서 후행패널부(B)의 굴착부가 통합되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분리판(25)은 다른 패널을 축조할 때 재활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면판(22)에 설치되어 선행패널(100)의 콘크리트(C)에 매설되는 지수막(41)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되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분리판(25)을 차단박스(20)로부터 분리할 때 차단박스(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분리판(25)을 위로 들어내거나 옆으로 제친 후 들어낼 때, 차단박스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바, 지수막의 지그재그 부분 또는 요철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하여 콘크리트와의 차단박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 것이다. 지수막이 일자의 직선 형태로 있는 것보다 지그재그나 요철로 있는 경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된다.
후행패널의 굴착 후에는 복수의 횡철근(61)과 종철근(62)이 격자 형태로 형성된 후행철근망을 굴착부에 근입한다. 후행철근망(60)을 근입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행철근망(60)의 양측 단부가 선행철근망(10)의 단부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즉 차단박스(20) 내측의 영역에서 선행철근망(10)과 후행철근망(60)이 상호 겹쳐진다.
후행철근망(60)의 근입이 완료되면, 굴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C) 및 경화시켜 후행패널(200)을 완성한다. 선행패널(100)과 후행패널(200)이 모두 완료되면 '두부 정리'를 하고 연속벽체(300)의 시공이 완료된다. 완성된 연속벽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지하 연속벽체(300)는 선행패널(100)과 후행패널(200)이 교대로 배치되며, 선행패널(100)과 후행패널(200)의 내부에는 각각 선행철근망(10)과 후행철근망(60)이 배근되어 있으며, 콘크리트(C)가 경화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선행철근망 조립체(50)에서는 차단박스(20)를 사용하는데,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패널(100)을 만들때,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가 배치된 제2영역(D2)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차단박스(20)가 제2영역(D2)을 밀폐, 격리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선행철근망(10)의 양측 단부는 후행철근망(60)의 단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근되어야 한다. 그런데 선행패널을 위해 타설한 콘크리트가 제2영역(D2)으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후행철근망(60)을 선행철근망(10)의 단부와 겹치게 배치할 수 없으므로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차단박스라는 완전한 밀폐 구조체를 이용하여 선행패널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제2영역(D2)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행패널의 철근망과 후행패널의 철근망을 상호 겹친 상태로 연속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연속벽체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높게 발현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최근 건물 설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내진 설계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선행철근망과 후행철근망을 상호 겹친 상태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 즉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분할, 격리하는 문제를 차단박스를 통하여 완전히 해결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단박스의 전면판 및 바닥판에 각각 지수막을 설치하여, 지하수가 차단박스와 콘크리트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차단박스에서 전면판이 거푸집면으로 작용하고 분리판은 차단박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은 거꾸로 될 수도 있다. 즉 전면판과 한 쌍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박스본체가 분리될 수도 있다. 즉 분리판이 제1영역의 경계로 작용하고, 박스본체는 분리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반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300 ... 지하 연속 벽체
210 ... 박스분절, 220 ... 보강대, 228 ... 볼트, 229 ... 너트
10 ... 선행철근망, 11 ... 횡철근, 12 ... 종철근
20 ... 차단박스, 21 ... 공간부, 22 ... 전면판, 23 ... 측면판,
24 ... 바닥판, 25 ... 분리판, 30 ... 밀폐부재, 38 ... 너트
41, 42 ... 지수막, 50 ... 선행철근망 조립체
60 ... 후행철근망, 61 ... 횡철근, 62 ... 종철근
A ... 선행패널부, B ... 후행패널부, C ... 콘크리트

Claims (8)

  1. 선행패널과 후행패널이 교대로 연속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연속벽체에서 상기 선행패널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횡철근과 종철근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선행철근망; 및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에 각각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선행철근망의 중앙부가 배치된 제1영역과 상기 선행철근망의 양측 단부가 배치된 제2영역을 상호 격리시키는 한 쌍의 차단박스;를 구비하되,
    상기 차단박스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단박스의 내측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박스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는 박스본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분리판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전면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는 복수의 박스분절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박스분절은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대는 상기 박스분절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박스분절들은 보강대들을 상호 볼트-너트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는 상단과 하단의 상기 보강대 중 어느 하나에는 "∨" 또는 "∧"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에 대응되도록, "∨" 또는 "∧" 형태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가 홈부에 끼워져서 상기 보강대 사이의 위치 설정 및 결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박스분절에는 상기 전면판과 한 쌍의 측면판 사이를 차단하는 바닥판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박스의 최하단에 끼워지는 횡철근으로부터 상기 횡철근 사이의 상하 간격의 1.5~2.5배의 거리가 띠워진 지점에 상기 바닥판의 상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철근망 조립체.
  7. 건물의 지하 외벽을 형성하는 벽체로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선행 철근망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차단박스 사이에 타설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체를 구비하는 복수의 선행패널; 및
    횡철근과 종철근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각각 인접한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후행철근망과, 상기 후행철근망과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가 함께 매설되도록 타설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체를 구비하며 상기 선행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행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8. (a)먼저 굴착시공을 하는 선행패널부와, 뒤에 굴착시공을 하는 후행패널부가 연속벽이 시공되는 영역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획하는 단계;
    (b)상기 선행패널부를 굴착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선행철근망 조립체를 굴착된 선행패널부에 근입한 후, 상기 한 쌍의 차단박스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선행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후행패널부를 굴착하고, 상기 차단박스의 외측면을 분리시켜 상기 제2영역을 개방하는 단계;
    (d)횡철근과 종철근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후행철근망을 굴착된 후행패널부에 근입하되 상기 후행철근망의 단부가 개방된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선행철근망의 단부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단계;
    (e)상기 후행철근망과 선행철근망의 단부가 함께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후행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20200091395A 2020-07-23 2020-07-23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2022001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95A KR20220012525A (ko) 2020-07-23 2020-07-23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95A KR20220012525A (ko) 2020-07-23 2020-07-23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25A true KR20220012525A (ko) 2022-02-04

Family

ID=8026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95A KR20220012525A (ko) 2020-07-23 2020-07-23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5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949B1 (ko) * 2022-05-03 2023-04-03 김성우 사장형 철근 겹이음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2554205B1 (ko) * 2022-09-23 2023-07-11 문제모 지하 연속벽 조인트 연결공법
KR20230126940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230148533A (ko) * 2022-04-18 2023-10-25 이주희 매설차단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40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지하연속벽 연결부 결속용 조인트 및 이것을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230148533A (ko) * 2022-04-18 2023-10-25 이주희 매설차단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2517949B1 (ko) * 2022-05-03 2023-04-03 김성우 사장형 철근 겹이음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2554205B1 (ko) * 2022-09-23 2023-07-11 문제모 지하 연속벽 조인트 연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20220012525A (ko)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US10480150B2 (en)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37785B1 (ko) 지하 연속벽체 철근 겹이음을 위한 프로텍터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CN210482200U (zh) 高陡河道岸坡生态护岸结构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694633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US8956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 of bridge abutment and culvert constructions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02786B1 (ko) 합성쉬트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1902791B1 (ko) 합성강관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1684389B1 (ko) 벽체형성을 위한 강재띠 phc 말뚝,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KR101385090B1 (ko) 흙막이 파일 구조체 및 흙막이 파일 구조체 형성방법
CN213978405U (zh) 一种下穿道路现浇底板预制边墙u型槽结构
KR20026396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220065461A (ko) 지하 연속벽체 겹이음을 위한 철근구조물,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1511172B1 (ko) Cft 합성기둥과 rc 와이드 보의 접합부 구조
CN112609731A (zh)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及施工方法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20190142492A (ko) 흙막이가 용이한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