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792B1 - 옹벽 블럭구조 - Google Patents

옹벽 블럭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792B1
KR100549792B1 KR1020040069792A KR20040069792A KR100549792B1 KR 100549792 B1 KR100549792 B1 KR 100549792B1 KR 1020040069792 A KR1020040069792 A KR 1020040069792A KR 20040069792 A KR20040069792 A KR 20040069792A KR 100549792 B1 KR100549792 B1 KR 10054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ement
insertion groove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정
Original Assignee
문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정 filed Critical 문희정
Priority to KR102004006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792B1/ko
Priority to PCT/KR2004/003400 priority patent/WO2006025633A1/en
Priority to JP2005119493A priority patent/JP200607069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도로절성토부와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및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의 후방측(30) 중심부에 일정크기의 수직(세로)방향 직사각형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50)과 상기 삽입홈(50)에 수직(세로)방향으로 삽입 후, 수평(가로)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블럭(10)의 공간(20)에 삽입되어 좌우 연장된 부분이 블럭 삽입홈(50) 내측 수평(가로)방향에 걸쳐서 고정되는 돌출부(40)와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된 돌출부(40)의 반대측에 좌우 연장되어 양측의 끝단에 돌출되어 보강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보강재 걸림부(60)와 상기 보강재 걸림부(60)의 중심부분에 보강재를 고정하도록 보강재 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보강재 연결핀(70)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토옹벽, 콘크리트 블럭, 보강재 연결핀

Description

옹벽 블럭구조 {THE BLOCK FOR A REVETMENT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구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구조의 보강재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구조의 연결핀 삽입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블럭 20: 공간
30: 후방측 40: 연결핀 앵커부
50: 삽입홈 60: 보강재 걸림부
70: 보강재 연결핀 80: 보강재 고정부
본 발명은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에 연결핀을 포함하여 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 그리드가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신장성 보강재의 사용으로 인한 배부름, 뒷채움 재료 등의 제한이 뒤따르게 되었다.
또한, 수동저항체와 철근을 이용하는 경우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수동저항체의 주변부 다짐 부실 및 부식의 우려가 있으며, 어느 정도 변위를 허용해야 발현되는 수동저항력의 특성상 비신장성인 철근과의 결합시 약간의 변위도 바로 블럭 전면부의 변형으로 연결된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옹벽용 블럭 전방의 돌기를 형성하여 그리드를 연결하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블럭 사이에 그리드가 삽입되어 옹벽에 결합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옹벽용 블럭의 길이만큼의 그리드를 손실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강재 연결핀(70)을 이용하여 블럭(10) 후방측(30)에 수평으로 연결하여 옹벽의 결함을 최소화하며, 현장 적용시 다양한 보강재(섬유형, 일축연신형, 강봉형, 철근, 메쉬, 띠형 토목섬유 등)의 연결이 가능하며, 록볼트, 쏘일네일링등의 공법과도 병행 시공이 가능하여 적용성을 확대 하였으며, 옹벽용 블럭(10)의 길이만큼의 보강재를 절약하는 옹벽용 블럭(10)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로절성토부와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및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의 후방측(30) 중심부에 일정크기의 수직(세로)방향 직사각형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50)과 상기 삽입홈(50)에 수직(세로)방향으로 삽입 후, 수평(가로)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블럭(10)의 공간(20)에 삽입되어 좌우 연장된 부분이 블럭 삽입홈(50) 내측 수평(가로)방향에 걸쳐서 고정되는 돌출부(40)와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된 돌출부(40)의 반대 측에 좌우 연장되어 양측의 끝단에 돌출되어 보강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보강재 걸림부(60)와 상기 보강재 걸림부(60)의 중심부분에 보강재를 고정하도록 보강재 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보강재 연결핀(7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10)구조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10)구조 보강재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상기 블럭(10)의 후방측(30) 중심부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삽입홈(50)과 상기 삽입홈(50)에 돌출부(4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후,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돌출부(40)로 블럭(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보강재 연결핀(70)과 상기 보강재 연결핀(70)은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된 돌출부(40)와 양측의 보강재 걸림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50)은 수직(세로)방향 직사각형의 홈으로서, 가로의 폭이 보강재 연결핀(70)이 수직(세로)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후 보강재 연결핀(70)을 가로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 돌출부(40)의 연장된 부분이 삽입홈(50)의 가로 폭보다 길어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블럭(10)에 보강재 연결핀(70)이 고정(도3의 단면도 참고)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10)구조의 보강재 연결핀 삽입의 사시도이다. 상기 블럭(10) 후방측(30) 중심부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돌출부(4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후,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돌출부(40)로 블럭(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삽입홈(50)과 상기 삽입홈(50)에 삽입 후 양측의 보강재 걸림부(60)를 통하여 블럭(10)과 보강재를 연결하는 보강재 연결핀(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재 걸림부(60)는 상기 돌출부(40)의 반대 측에 좌우 연장되어 양측의 끝단에 돌출되어 보강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 연결핀(70)은 보강재와 보강재 연결핀(70)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보강재 고정부(80)를 더 포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철사, 끈 등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의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보강재 연결핀(70)을 이용하여 블럭(10) 후방측(30)에 연결하여 옹벽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 적용시 다양한 보강재(섬유형, 일축연신형, 강봉형, 철근, 메쉬, 띠형 토목섬유 등)의 연결이 가능하며, 록볼트, 쏘일네일링등의 공법과도 병행 시공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을 확대 하였으며, 기존의 옹벽용 블럭에 비하여 블럭(10)의 길이만큼의 그리드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절성토부와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및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럭(10)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의 후방측(30) 중심부에 일정크기의 수직(세로)방향 직사각형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50);
    상기 삽입홈(50)에 수직(세로)방향으로 삽입 후, 수평(가로)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블럭(10)의 공간(20)에 삽입되어 좌우 연장된 부분이 블럭 삽입홈(50) 내측 수평(가로)방향에 걸쳐서 고정되는 돌출부(40)와,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된 돌출부(40)의 반대측에 좌우 연장되어 양측의 끝단에 돌출되어 보강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보강재 걸림부(60)와,
    상기 보강재 걸림부(60)의 중심부분에 보강재를 고정하도록 보강재 고정부(80)를 더 포함하는 보강재 연결핀(7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구조.
  2. 삭제
KR1020040069792A 2004-09-02 2004-09-02 옹벽 블럭구조 KR10054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92A KR100549792B1 (ko) 2004-09-02 2004-09-02 옹벽 블럭구조
PCT/KR2004/003400 WO2006025633A1 (en) 2004-09-02 2004-12-22 The block for a revetment structure
JP2005119493A JP2006070690A (ja) 2004-09-02 2005-04-18 擁壁ブロック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92A KR100549792B1 (ko) 2004-09-02 2004-09-02 옹벽 블럭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792B1 true KR100549792B1 (ko) 2006-02-08

Family

ID=361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792A KR100549792B1 (ko) 2004-09-02 2004-09-02 옹벽 블럭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70690A (ko)
KR (1) KR100549792B1 (ko)
WO (1) WO20060256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01B1 (ko) 2006-02-17 2007-09-13 주식회사 동호 보강토 옹벽 블럭
KR20220118723A (ko) 2021-02-19 2022-08-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옹벽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61794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3370B (zh) * 2013-12-07 2016-01-06 黄靓 一种空间交错互嵌式生态砌块挡土墙
FR3078351B1 (fr) * 2018-02-27 2022-03-04 Dominique Rossi Element de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235A (en) * 1994-06-02 1996-01-16 Hilfiker; William K. Retaining wall system
JPH09195276A (ja) * 1996-01-23 1997-07-2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
JP2001059223A (ja) * 1999-08-23 2001-03-06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擁壁構造
US6558753B1 (en) * 2000-11-09 2003-05-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s and other compositions incorporating limited quantities of solvent advantageously used in ink jetting applications
JP3539724B2 (ja) * 2001-01-26 2004-07-07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01B1 (ko) 2006-02-17 2007-09-13 주식회사 동호 보강토 옹벽 블럭
KR20220118723A (ko) 2021-02-19 2022-08-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옹벽관리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61794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11386B1 (ko) * 2021-05-31 2023-03-1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5633A1 (en) 2006-03-09
JP2006070690A (ja)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980002478A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20090045626A (ko) 매입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0549792B1 (ko) 옹벽 블럭구조
KR200427946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 설치구조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100665022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KR100714380B1 (ko) 근접 병설터널의 중앙지지대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20010073245A (ko)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100467244B1 (ko) 옹벽블럭 지지용 앵커
JP2006070689A (ja) 擁壁ブロック構造の施工方法
KR20110037320A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200338827Y1 (ko) 망태판넬 연결장치
CN221029941U (zh) 一种格宾石笼安装结构
RU224782U1 (ru) Модульный блок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KR100287020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RU224783U1 (ru) Модульный блок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US20080205989A1 (en) Method for Tunnel Construction
KR101875005B1 (ko) 섬유그리드를 이용한 터널의 보강구조물
KR100922333B1 (ko) 패널식 터널 지보공법
KR101026788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JP7472387B1 (ja) 法枠の構造及び法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