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245A -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245A
KR20010073245A KR1020000001462A KR20000001462A KR20010073245A KR 20010073245 A KR20010073245 A KR 20010073245A KR 1020000001462 A KR1020000001462 A KR 1020000001462A KR 20000001462 A KR20000001462 A KR 20000001462A KR 20010073245 A KR20010073245 A KR 2001007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s
retaining wall
lattice
bloc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429B1 (ko
Inventor
김용언
Original Assignee
김용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언 filed Critical 김용언
Priority to KR102000000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429B1/ko
Priority to KR2020000000865U priority patent/KR200185864Y1/ko
Publication of KR2001007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비탈면이나 도로·철도 및 단지조성으로 인한 인위적인 비탈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성블록들을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주는 격자옹벽에 관한 것으로,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각 단위부재들간에 연결되는 접속부위가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토목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에서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격자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주기 위하여, 블록들을 종횡으로 쌓아올려 격자형틀체를 구축하면서 틀체의 내부에 토사를 다져 넣는 방식을 통하여 구축하는 격자옹벽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격자형틀체에서 전후측으로 배치되는 전,후방블록들을 철도의 노반에서 일정기간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을 사용하고, 상기 전,후방의 폐침목들과 직각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연결블록은 전,후방의 폐침목들이 맞닿아 얹혀지는 각각의 접속부에 걸침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서, 연결블록의 걸침홈에 폐침목의 하단부를 끼워 넣어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의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Grid Type Retaining Wall for using Sleeper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발명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비탈면이나 도로·철도 및 단지조성으로 인한 인위적인 비탈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성블록들을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주는 격자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에서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드높이는 동시에, 단위 블록들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토목구조물을 구현케 하여 주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격자옹벽은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토압이 연약하여 구조물의 파괴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부등침하가 예상되는 경우에 실시하는 중력식 옹벽체이다.
종래, 이러한 격자옹벽은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일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1)들을 종횡으로 쌓아올려 격자형틀체(2)를 구축하는 동시에, 그 격자형틀체(2)의 내부에 토사(3)를 다져 넣는 방식을 통하여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축되는 격자옹벽은 격자형으로 입체적인 구조물을 이루면서 전면벽은 외부로 드러나고, 후부는 지반 내에 깊숙히 박혀 지지됨으로써 비탈면을 안정적으로 지지시켜 주면서 구조물의 전면벽에 식생을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비탈면 안정시키는데 있어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한 격자옹벽은 그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단위블록들간의 접속부위가 평면형태로 접속되기 때문에 단위블록들간의 구조적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방식에 의한 격자옹벽은 토압에 의해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격자형틀체의 변형이 일어나 안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출원인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서,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단위부재들간의 접속부위가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출원 제99-2157호 및 제99-2158호와 같은 기술들을 안출한 바가 있다.
이 선출원 기술은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블록들의 접속부위에 돌기 또는 홈등을 형성하거나, 접속부위에 수직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수직강봉으로 관통하여서 전,후방블록 및 상하층 블록간의 접속력을 확보하여 줌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기술은 구조적 강도는 확보되나, 강봉등의 사용으로 인해 소모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떨어지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여러 모델의 블록들을 특수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그 효율을 반감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본발명은 기성블록들을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 비탈면을 안정시켜주는 격자옹벽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상기한 선행기술들이 가지는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각 단위부재들간에 연결되는 접속부위가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토목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에서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 격자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격자옹벽을 예시한 일측면도 및 사시도
도2는 본발명에 따른 격자옹벽의 일측면도
도3은 본발명의 제1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의 정면도
도4는 본발명의 제1시공예에 의한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발명의 제2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의 정면도
도6은 본발명의 제2시공예에 의한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발명의 제3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의 정면도
도8은 본발명의 제3시공예에 의한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발명에서 앵커타이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블록 2:격자형틀체 3:토사
10:기초부 20:격자형틀체 21:전방블록
22:후방블록 23:연결블록 23a:걸침홈
24:상자형블록 25:평판형블록 26:보형블록
30:토사 40:앵커타이 s:폐침목
이하,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는 본발명을 통해 구축된 격자옹벽의 시공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시공예들에 따른 본발명은 비탈면의 바닥에 기초부(1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들을 종횡으로 쌓아올려 격자형틀체(20)를 구축하는 동시에, 그 격자형틀체(20)의 내부에 토사(30)를 다져 넣는 방식을 통하여 구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축되는 본발명은 상기 격자형틀체(20)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이루도록 비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측으로 배치되는 전,후방블록(21)(22)들을 철도에서 발생되는 폐침목(s)을 사용하며, 상기 전,후방의 폐침목(s)들과 직각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연결블록(23)은 전,후방의 폐침목(s)들이 맞닿아 얹혀지는각각의 접속부에 폐침목(s)의 하단부와 정합되는 단면으로 일정부분 파여진 걸침홈(2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서, 연결블록(23)의 걸침홈(23a)에 폐침목(s)의 하단부를 끼워 넣어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구축하는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폐침목은 철도의 노반에서 일정기간 사용된 후 교체되는 것을 재활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철도용 침목은 그 위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하중에 견디기 위하여 대단히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철도용 침목은 사용연한이 지나면 구조적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바, 현재 이러한 폐침목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처리비용은 실로 막대하다.
하지만, 비탈면을 안정시키기 위한 격자옹벽에서 요구되는 블록의 구조적 강성은 작은 강도로서도 충분하며, 폐침목의 경우 격자옹벽용으로서 신규제작되는 콘크리트 블록보다도 구조적 강성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폐침목은 격자옹벽에서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경우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차원에서의 경제적 이득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발명은 폐침목을 결속시키기 위해 폐침목의 하단부와 정합되는 단면의 홈을 가진 접속용 연결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더욱 더 안정된 옹벽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폐침목을 일관되게 이용하면서 연결블록의 구조 및 격자형태의 조적구조를 적절히 변경하여 격자옹벽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시공예중 하나로 도3 및 도4에는 본발명의 제1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1시공예는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폐침목(s)의 연결블록(23)으로서 가운데에 중공부를 갖는 상자형블록(24)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자형블록(24)의 양측벽 전후부에 걸침홈(2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걸침홈(23a)들에 상기 폐침목(s)들의 양측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속하면서 격자형으로 쌓아 올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시공예는 폐침목을 받치면서 결속하여 주는 연결블록의 걸침홈이 크게 확보되어 있어 접속부의 결속력이 크게 확보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자형블록의 내부공간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콘크리트기둥을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보다 더 안정된 격자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5 및 도6에는 본발명의 제2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2시공예는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폐침목(s)의 연결블록(23)으로서 폭이 넓은 평판형블록(25)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평판형블록(25)의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침홈(23a)에 상기 폐침목(s)들의 양측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속하면서 격자형틀체를 구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시공예는 폐침목을 받치는 연결블록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연결블록의 제작비용이 싼 이점이 있어서 폐침목을 이용한다는 측면과는 또다른 측면에서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7 및 도8에는 본발명의 제3시공예에 의한 격자옹벽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3시공예는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폐침목(s)의 연결블록(23)으로서 폭과 높이가 엇비슷한 보형블록(26)을 사용하고, 그 보형블록(26)의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침홈(23a)에 상기 폐침목(s)들의 중간부 2지점을 길이방향으로 접속하여서 구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3시공예는 폐침목의 중간부 2지점을 연결블록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폐침목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층 폐침목을 엇갈리게 적층하여서 격자형틀체 전체를 일연체로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발명은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탈면이 높을 경우 상기 격자형틀체(20)의 전면에 일정부위 마다 앵커타이(40)의 일측끝을 지지시키고 그 타측끝을 지반 내부 깊숙히 정착시켜 놓아 주동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에서 예시한 시공예들 외에도 다양한 구조형태로 변형된 격자옹벽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발명은, 기성블록들을 격자형태로 쌓아 올려 비탈면을 안정시켜 주는 격자옹벽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연결부재의 접속부에 걸침홈을 두고 전방블록 및 후방블록으로서 철도의 노반에서 배출되는 폐침목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격자형틀체를 이루는 각 단위부재들간에 연결되는 접속부위가 견고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토목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비용으로 격자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비탈면의 바닥에 기초부(10)와, 그 기초부(210)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들을 종횡으로 쌓아올려서 된 격자형틀체(20)와, 그 격자형틀체(20)의 내부에 채워진 토사(30)로 구성되는 격자옹벽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에서 전면벽과 후면벽을 이루도록 비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측으로 배치되는 전,후방블록(21)(22)들은 철도의 노반에서 일정기간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s)이고, 상기 전,후방의 폐침목(s)들과 직각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연결블록(23)들에는 전,후방의 폐침목(s)들이 맞닿아 얹혀지는 각각의 접속부에 폐침목(s)의 하단부와 정합되는 단면으로 일정부분 파여진 걸침홈(2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블록(23)의 걸침홈(23a)에 폐침목(s)의 하단부를 끼워 넣어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는 그 연결블록(23)으로서 가운데에 중공부를 갖는 상자형블록(24)을 사용하고, 그 상자형블록(24)의 양측벽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침홈(23a)에 상기 폐침목(s)들의 양측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속하여서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는 그 연결블록(23)으로서 폭이 넓은 평판형블록(25)을 사용하고, 그 평판형블록(25)의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걸침홈(23a)에 상기 폐침목(s)들의 양측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속하여서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는 그 연결블록(23)으로서 폭과 높이가 엇비슷한 보형블록(26)을 사용하고, 그 보형블록(26)의 전후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침홈(23a)에 상기 폐침목(s)들의 중간부 2지점을 길이방향으로 접속하여서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의 전면에 일정부위 마다 앵커타이(40)의 일측끝을 지지시키고 그 타측끝을 지반 내부 깊숙히 정착시키어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보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6. 비탈면의 바닥에 기초부(1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들을 종횡으로 쌓아올려 격자형틀체(20)를 구축하는 동시에, 그 격자형틀체(20)의 내부에 토사(30)를 다져 넣는 방식을 통하여 구축하는 격자옹벽의 구축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틀체(20)에서 전면벽과 후면벽을 이루도록 비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측으로 배치되는 전,후방블록(21)(22)들을 철도의 노반에서 일정기간 사용된 후 교체되는 폐침목(s)을 사용하며, 상기 전,후방의 폐침목(s)들과 직각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연결블록(23)은 전,후방의 폐침목(s)들이 맞닿아 얹혀지는 각각의 접속부에 폐침목(s)의 하단부와 정합되는 단면으로 일정부분 파여진 걸침홈(2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서, 연결블록(23)의 걸침홈(23a)에 폐침목(s)의 하단부를 끼워 넣어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의 구축방법.
KR1020000001462A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10035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462A KR100355429B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2020000000865U KR200185864Y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462A KR100355429B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865U Division KR200185864Y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45A true KR20010073245A (ko) 2001-08-01
KR100355429B1 KR100355429B1 (ko) 2002-10-11

Family

ID=19638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462A KR100355429B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2020000000865U KR200185864Y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865U KR200185864Y1 (ko) 2000-01-13 2000-01-13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554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23A (ko) * 2001-08-31 2003-03-06 에이앤비콘크리트(주) 격자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KR100445076B1 (ko) * 2001-08-31 2004-09-01 주식회사 그린월 격자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CN103835310A (zh) * 2012-11-21 2014-06-04 李梦湘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KR20200034203A (ko) * 2018-09-21 2020-03-31 허찬욱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CN112431220A (zh) * 2020-11-12 2021-03-0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使用废旧混凝土轨枕的挡墙及其施工方法
CN113235647A (zh) * 2021-05-12 2021-08-10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装配式混凝土条形齿槽件挡土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92B1 (ko) *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101204343B1 (ko) 2012-02-29 2012-11-26 홍순권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23A (ko) * 2001-08-31 2003-03-06 에이앤비콘크리트(주) 격자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KR100445076B1 (ko) * 2001-08-31 2004-09-01 주식회사 그린월 격자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CN103835310A (zh) * 2012-11-21 2014-06-04 李梦湘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KR20200034203A (ko) * 2018-09-21 2020-03-31 허찬욱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CN112431220A (zh) * 2020-11-12 2021-03-02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使用废旧混凝土轨枕的挡墙及其施工方法
CN112431220B (zh) * 2020-11-12 2022-06-1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使用废旧混凝土轨枕的挡墙及其施工方法
CN113235647A (zh) * 2021-05-12 2021-08-10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装配式混凝土条形齿槽件挡土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864Y1 (ko) 2000-06-15
KR100355429B1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6516A (zh) 模块化砌块结构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64135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0355429B1 (ko)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KR100824713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005351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445075B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경사지반의안정화 공법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JP4227356B2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200183206Y1 (ko) 옹벽용 블럭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20110086930A (ko)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KR200253377Y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0348780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낙석 방지 터널
KR20190125766A (ko) 절개지의 블록식 옹벽
KR100506501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보강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24147Y1 (ko) 배면지반 반력 및 변위 부축을 이용한 역제형 환경목석재블록 합벽
KR200318951Y1 (ko)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