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930A -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Google Patents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6930A KR20110086930A KR1020100006330A KR20100006330A KR20110086930A KR 20110086930 A KR20110086930 A KR 20110086930A KR 1020100006330 A KR1020100006330 A KR 1020100006330A KR 20100006330 A KR20100006330 A KR 20100006330A KR 20110086930 A KR20110086930 A KR 20110086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longitudinal
- hinge fastening
- slope protection
- slo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가해지는 외력을 각각의 접속부로 널리 낱개로 분산시켜 힌지 형태로 담당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측면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접속부의 연결 방식은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을 재설치 또는 보수할 경우에도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한 후 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재설치 또는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내부마다 각각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삽입한 후 이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흙과 시멘트를 혼합한 소일시멘트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써 소일시멘트 수직 기둥을 형성시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전면부에 별도로 식재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 향상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식생 여건을 조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도로, 택지 조성 및 일반 지반에 대한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으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 중력식 옹벽, 격자형 옹벽, 식재형 옹벽 및 보강토 옹벽 등 여러 종류의 사면 보호 공법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사면 보호 공법은 사면의 활동으로 인한 변위와 불규칙한 토사 지반 상에 축조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부등침하가 복합적으로 발생됨으로써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 중력식 옹벽의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되기도 하고, 격자형 옹벽이나 식재형 옹벽 또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블록 부재 사이에 틈이 벌어져서 안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분적인 재설치 내지 보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옹벽 전체가 일체화되어 있어서 부분적인 재설치 내지 보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도 하며, 블록 부재의 연결부 또는 체결부에 설치된 체결용 홈이 블록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된 체적의 양이 커짐으로써 블록 부 재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연결봉 또는 체결봉의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여러 블록 부재를 선적으로 수직으로 길게 관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한 개의 수직 강봉으로 여러 개의 블록 부재를 관통하도록 시공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사면의 활동이나 지반의 부등침하에 따른 외력이 선적으로 강성체로 일체적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수직 강봉에서는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부분의 수직 강봉이나 블록 부재가 변형되거나 또는 파손되기도 쉽고, 연결봉 또는 체결봉이 파손된 부위를 대상으로 재설치 내지 보수하려고 하여도 두 개 이상의 여러 블록 부재를 관통하여 길게 선적으로 강성체의 상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블록 부재와의 마찰 길이와 마찰 면적이 커서 연결봉 또는 체결봉을 제거하거나 재설치 내지 보수하기도 어려우며, 연결봉 또는 체결봉이 수직 강봉의 재료로 되어 있어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이 슬어 구조물의 장기적인 내구성 측면에서도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격자형 옹벽 중에서 격자형 틀체의 전·후방 블록들은 철도에서 발생되는 폐 침목을 사용하며 상기 전·후방 블록들과 직각으로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연결블록은 각각의 접속부에 일정 부분 파여진 걸침홈이 형성된 신설 제작 부재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설 제작된 연결 블록의 구성 비율이 전체적인 사용 블록의 5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어 폐 침목의 활용 비율이 낮아 전체적인 재료비의 비중이 증가되어 공사비가 크게 증가됨은 물론 폐 침목의 활용도도 낮아 폐기물의 처리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전·후방 블록들과 직각으로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접속부에 일정 부분 파여진 걸침홈은 면 형태 로 접속되어 있어 접속 면적이 넓을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폐 침목의 전·후방 블록들과 직각으로 접속되어 연결하여 주는 접속부의 외면은 레일 고정용 철물이 돌출되어 있기도 하고 위치별로 다소 구배가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있어서 사면의 활동 및 지반의 부등 침하시 블록 부재에 편심하중 내지 비틀림 하중으로 작용하게 되어 블록 부재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홍수를 포함한 우천시에는 상기 종래의 격자형 옹벽 중에서 주요 부재인 격자형 틀체의 틈 사이로 내부에 채워진 토사가 붕괴되거나 또는 유실되어 격자형 틀체의 변형에 따른 파손으로 인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격자형 옹벽들의 경우에는 전면부가 격자형 틀체의 일부 돌출 부분으로 인하여 외관이 울퉁불퉁한 편으로서 매끈하지 못하여 미관을 환경 친화적으로 장식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종래 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55429, 2002.09.24
본 발명은 신규로 제작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격자형으로 연결시켜 쌓아 올리는 접속부에 있어서 사면의 활동에 의한 외력과 지반의 불규칙한 부등 침하에 대하여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가해지는 외력을 각각의 접속부로 널리 낱개로 분산시켜 힌지 형태로 담당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측면에서 변형에 대비하여 가장 안정된 형태로 지지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접속부의 연결 방식은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사면의 활동에 의한 외력과 지반의 불규칙한 부등 침하로 인해 부득이 국부적으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재설치 또는 보수할 경우에도 해당 부위만을 다소 인상시킨 상태에서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한 후 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재설치 또는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자체는 사면 보호 블록 사이에 상대적으로 빈틈이 많이 생기는 구조이므로 내부의 채움 토사는 강우시 붕괴 또는 유실될 우려가 크므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내부마다 각각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삽입한 후 이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흙과 시멘트를 혼합한 소일시멘트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써 소일시멘트 수직 기둥을 형성시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내부 토사는 소일시멘트 재료로서 소정의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 수준에 상당하고 이 소일시멘트 재료에 식재하는 것은 구조적 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전면부에 별도로 식재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 향상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식생 여건을 조성시킬 수 있도록 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있어서,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과 배면에 위치하며 각각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종방향 블록과, 상기 종방향 블록 상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여 얹혀지며 종방향 블록과 직각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횡방향 연결 블록과, 상기 종방향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이 접하게 되는 접속부 사이에는 각각 힌지 체결 요홈의 면적만큼 구멍이 뚫린 상태로 설치되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과, 상기 종방향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이 접하게 되는 접속부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을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체결 요홈 끼리 접속하여 연결시켜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힌지 체결봉과, 상기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으로 연결된 각각의 수직방향의 내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통형 가설 흙막이재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설치된 종방향 블록의 전면부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으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있어서, 성토 및 절토 사면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위치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성토 및 절토 사면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위치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공정 후 터파기 상부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공정과, 상기 터파기 상부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공정 후 기초부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초부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을 설치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 힌지 체결봉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 힌지 체결봉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 상면의 힌지 체결봉 상에 종방향 블록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 상면의 힌지 체결봉 상에 종방향 블록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내부에 접하여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내부에 접하여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설치하는 공정 후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소일 시멘트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소일시멘트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 후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종방향 블록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신규로 제작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격자형으로 연결시켜 쌓아 올리는 접속부에 있어서 사면의 활동에 의한 외력과 지반의 불규칙한 부등 침하로 인하여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가해지는 외력을 각각의 접속부로 널리 낱개로 분산시켜 힌지 형태로 담당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측면에서 변형에 대비하여 가장 안정된 형태로 지지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접속부의 연결 방식은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사면의 활동에 의한 외력과 지반의 불규칙한 부등 침하로 인해 부득이 국부적으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재설치 또는 보수할 경우에도 해당 부위만을 다소 인상시킨 상태에서 점과 유사한 형태의 짧은 힌지 체결봉만을 힌지 체결 요홈 내에 삽입한 후 원 위치시키도록 하여 재설치 또는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자체는 사면 보호 블록 사이에 상대적으로 빈틈이 많이 생기는 구조이므로 내부의 채움 토사는 강우시 붕괴 또는 유실될 우려가 크므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내부마다 각각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삽입한 후 이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흙과 시멘트를 혼합한 소일시멘트로 혼합하여 다짐함으로써 소일시멘트 수직 기둥을 형성시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내부 토사는 소일시멘트 재료로서 소정의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 수준에 상당하고 이 소일시멘트 재료에 식재하는 것은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전면부에 별도로 식재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안정성 향상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식생 여건을 조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1)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으로 전면과 배면에 위치하며 각각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종방향 블록(11')과, 상기 종방향 블록(11') 상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여 얹혀지며 종방향 블록(11')과 직각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횡방향 연결 블록(11)과, 상기 종방향 블록(11')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21, 2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21, 21')이 접하게 되는 접 속부(17) 사이에는 각각 힌지 체결 요홈(21, 21')의 면적만큼 구멍이 뚫린 상태로 설치되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25)과, 상기 종방향 블록(11')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21, 2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21, 21')이 접하게 되는 접속부(17)의 힌지 체결 요홈(21, 21') 내부에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25)을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체결 요홈(21, 21') 끼리 접속하여 연결시켜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힌지 체결봉(23)과, 상기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으로 연결된 각각의 수직방향의 내면에 접하여 통형 가설 흙막이재(13)가 설치되며 상기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은 신규로 제작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 중에서 한가지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의 설치 방법은 신규로 제작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의 경우에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형상의 거푸집 내에 별도로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의 거푸집을 일체화시켜 제작한 후 이 거푸집 내에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탈형하여 제작하게 되며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는 것은 생략하였고, 폐 침목의 경우에는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의 규격에 상당하는 통상적인 코어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는 것은 생략하였으며, 상기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으로는 원통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나 원통형으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표기된 것은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평면적인 설치 실시예로서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7)의 일부 끝단부가 전면부와 배면부 쪽으로 다소 돌출되는 경우와 돌출되지 않는 밋밋한 경우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25)의 주요 기능은 폐 침목의 경우에는 접속부가 위치할 부위에 따라서는 레일 고정용 철물이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단면이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7)의 설치 기준으로 수평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두께 조정이 필요할 경우에 맞춤식으로 붙여 시공하거나 또는 판 형태의 재료를 끼워 넣어 채움재로서의 두께를 조정하도록 함은 물론 베어링판으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갖도록 하였으며, 상기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25)의 재료로는 고무판, 플라스틱판 또는 고강도 특수 모르타르 등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힌지 체결봉(23)은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21, 21') 내에 소정의 유격을 갖고 끼워질 수 있는 단면의 크기로 고강도 압축강도 공시체를 제작하는 방법과 같이 제작하거나 암반 굴착시 또는 콘크리트 해체용 코어 채취 작업시 얻어지는 코어를 사용하여도 되며, 적정 길이는 종방향 블록(11')이나 또는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상·하 외면으로부터 각각 지반의 부등침하시 수직 방향 중심으로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이 빠지거나 또는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다소 여유를 두어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힌지 체결봉(23)은 녹이 슬지 않으면서도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고강도 무근 콘크 리트, 균열 없는 암반 코어 또는 소정 량의 철근이 삽입된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형 가설 흙막이재(13)의 재료로는 내부 채움 및 다짐용 소일시멘트(15)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공히 틈새가 촘촘한 다공성 부직포, 다공성 플라스틱 쉬트 또는 섬유 쉬트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설치된 종방향 블록(11')의 전면부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19)는 자립성이 있는 와이어메쉬, 메탈라스, 고강도 섬유 메쉬 등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으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있어서, 성토 및 절토 사면(1)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7) 위치에 사면(1)의 후면 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주어 터파기(3)를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성토 및 절토 사면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7) 위치에 사면(1)의 후면 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주어 터파기(3)를 실시하는 공정 후 터파기(3) 상부의 기초 지반(5) 상에 통상적인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를 포함한 기초부(9)를 시공하는 공정과, 상기 터파기(3) 상부의 기초 지반(5) 상에 기초부(9)를 시공하는 공정 후 기초부(9)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11')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초부(9)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11')을 설치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11')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21, 21') 내부에 힌지 체결봉(23)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11')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21, 21') 내부에 힌지 체결봉(23)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11') 상면의 힌지 체결봉(23) 상에 종방향 블록(11')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11)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을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11') 상면의 힌지 체결봉(23) 상에 종방향 블록(11')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11)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21, 21')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내부에 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통형 가설 흙막이재(13)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의 내부에 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통형 가설 흙막이재(13)를 설치하는 공정 후 통형 가설 흙막이재(13)의 내부에 소일시멘트(15)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9) 상에 종방향 블록(11')과 횡방향 연결 블록(11)을 각각 설치하는 시공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며, 상기 소일시멘트(15)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여 통상적인 콘크리트의 강도 수준이 되도록 구성하였고, 배수공의 설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별도로 언급하거나 도면상에서 표기하는 것은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통형 가설 흙막이재(13)의 내부에 소일시멘트(15)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 후 터파기(3) 위치에 되메움 토사를 채우는 공정은 통상적인 것으로서 별도로 설명하거나 도시하는 것은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 통형 가설 흙막이재(13)의 내부에 소일시멘트(15)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 후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종방향 블록(11')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19)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식재용 거치대(19)는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7)에 지지시켜 소정의 개소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의 평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한가지 실시예에 대한 평면 개념도.
도 5는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대한 시공 공정도.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한가지 실시예에 대한 시공 공정도.
Claims (4)
- 본 발명은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에 있어서,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과 배면에 위치하며 각각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종방향 블록과,상기 종방향 블록 상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여 얹혀지며 종방향 블록과 직각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 부근의 상·하면에 통형의 힌지 체결 요홈이 소정의 깊이로 내설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으로 구성된 횡방향 연결 블록과,상기 종방향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이 접하게 되는 접속부 사이에는 각각 힌지 체결 요홈의 면적만큼 구멍이 뚫린 상태로 설치되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과,상기 종방향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힌지 체결 요홈이 접하게 되는 접속부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는 두께 조정 겸용 베어링판을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체결 요홈 끼리 접속하여 연결시켜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힌지 체결봉과,상기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으로 연결된 각각의 수직방향의 내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통형 가설 흙막이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콘크리 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설치된 종방향 블록의 전면부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 성토 및 절토 사면의 안정성 확보용으로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에 있어서,성토 및 절토 사면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위치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공정과,상기 성토 및 절토 사면의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 위치에 터파기를 실시하는 공정 후 터파기 상부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공정과,상기 터파기 상부에 기초부를 시공하는 공정 후 기초부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을 설치하는 공정과,상기 기초부 상에 사면의 전면 및 배면에 종방향으로 종방향 블록을 설치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 힌지 체결봉을 삽입하는 공정과,상기 종방향 블록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상면의 힌지 체결 요홈 내부에 힌지 체결봉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 상면의 힌지 체결봉 상에 종방향 블록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을 삽입하는 공정과,상기 종방향 블록 상면의 힌지 체결봉 상에 종방향 블록과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연결 블록 하면의 힌지 체결 요홈을 삽입하는 공정 후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내부에 접하여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설치하는 공정과,상기 종방향 블록과 횡방향 연결 블록의 내부에 접하여 통형 가설 흙막이재를 설치하는 공정 후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소일시멘트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통형 가설 흙막이재의 내부에 소일시멘트 채움 및 다짐을 실시하는 공정 후 사면의 종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종방향 블록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통형의 식재용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는 공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 사면 보호 블록을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330A KR20110086930A (ko) | 2010-01-25 | 2010-01-25 |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330A KR20110086930A (ko) | 2010-01-25 | 2010-01-25 |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6930A true KR20110086930A (ko) | 2011-08-02 |
Family
ID=4492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330A KR20110086930A (ko) | 2010-01-25 | 2010-01-25 |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693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203A (ko) * | 2018-09-21 | 2020-03-31 | 허찬욱 |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
KR20200075595A (ko) | 2018-12-18 | 2020-06-26 | 주식회사 대성출판사 | 침목을 이용한 내진형 기초구조물 |
CN116062393A (zh) * | 2023-04-07 | 2023-05-05 | 河北企舟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 一种道路施工用边坡物料运输机构 |
-
2010
- 2010-01-25 KR KR1020100006330A patent/KR201100869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203A (ko) * | 2018-09-21 | 2020-03-31 | 허찬욱 |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
KR20200075595A (ko) | 2018-12-18 | 2020-06-26 | 주식회사 대성출판사 | 침목을 이용한 내진형 기초구조물 |
CN116062393A (zh) * | 2023-04-07 | 2023-05-05 | 河北企舟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 一种道路施工用边坡物料运输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5092B1 (ko) |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 |
KR101103142B1 (ko) |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CN202730796U (zh) | 既有挡土墙肋板式卸荷加固结构 | |
KR100824713B1 (ko) |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211469B1 (ko) |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CN207987961U (zh) | 一种岩质高边坡锚杆和挡土墙组合结构 | |
KR20110086930A (ko) |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 |
KR101495997B1 (ko) |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 |
KR101212619B1 (ko) |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 |
CN112411615A (zh) | 一种装配式泥石流排导槽挡土墙的设计方法 | |
KR100562686B1 (ko) |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 |
KR20120122024A (ko) |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 |
JP3465026B2 (ja) | 耐圧盤式基礎の形成方法 | |
KR101282770B1 (ko) | 프리캐스트 직벽형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
CN206337566U (zh) | 基坑竖向预应力锚杆支撑结构 | |
KR100665338B1 (ko) | 소일네일링(앵커)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 |
KR101706919B1 (ko) |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96282B1 (ko) |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 |
KR20010073245A (ko) |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및 이의 구축방법 | |
KR101306626B1 (ko) |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KR100884391B1 (ko) |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 |
KR101300071B1 (ko) | 비탈면 안정화용 콘크리트 보강블록 | |
KR20080101855A (ko) | 지중압입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
KR20090116140A (ko) |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 그 시공방법 및 교각과기초의 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 |
KR100976277B1 (ko) |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