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19B1 -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19B1
KR101706919B1 KR1020150124838A KR20150124838A KR101706919B1 KR 101706919 B1 KR101706919 B1 KR 101706919B1 KR 1020150124838 A KR1020150124838 A KR 1020150124838A KR 20150124838 A KR20150124838 A KR 20150124838A KR 101706919 B1 KR101706919 B1 KR 10170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anel
prediction
wall panel
wall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연 김
자연 김
문명조
Original Assignee
자연 김
문명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연 김, 문명조 filed Critical 자연 김
Priority to KR102015012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된
Figure 112015085793215-pat00010
형상의 옹벽패널의 바닥부 상면에 예측패널이 결합되어 옹벽에 변위가 시작되는 경우 예측패널에 생기는 크랙으로 변위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은, 받침부의 중앙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Figure 112015085793215-pat00011
형상을 하고, 좌우로 인접되거나 상하로 적층된 경우 서로 끼움 결합하는 옹벽패널; 좌우로 결합된 옹벽패널의 양 돌출부 사이인 받침부 상면에 위치되어 양 돌출부와 끼움 결합하면서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옹벽패널의 양 받침부와 끼움 결합하는 예측패널;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의 제일 하단에 설치되어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지지하는 기초부; 절토사면에 일단이 소정의 깊이로 정착되고, 타단이 상기 옹벽패널의 중공을 관통하여 옹벽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네일; 및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 및 예측패널과 절토사면 사이를 뒷채움하는 보강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nel retaining walls with displacement forecas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본 발명은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된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1
형상의 옹벽패널의 바닥부 상면에 예측패널이 결합되어 옹벽에 변위가 시작되는 경우 예측패널에 생기는 크랙으로 변위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토지, 절개지 등에는 한쪽 면의 토압을 지지하거나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을 시공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견디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를 말하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 옹벽은 성토지나 절개지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일정한 형태로 배열 설치하고, 철근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한 후,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옹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된 기술로 최근에는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은 성토지나 절개지를 따라 다수의 옹벽블록을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를 채워 시공된다.
또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 중 다수의 옹벽패널을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옹벽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다수의 옹벽패널을 적층하고, 옹벽패널을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반에 매립되어 고정된 철근과 같은 철근부재와 결합한 후, 옹벽패널과 경사면 사이를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로 채워서 옹벽을 설치하여 토사가 앞쪽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옹벽패널에 의한 옹벽 시공시, 성토지에 시공하는 경우 보강토를 채운 후 다지게 되는데, 자연상태 절개지의 내부 토압의 최대 90% 정도까지만 다질 수 있어 시공 후 시일이 경과하면서 나머지 10% 정도 내려앉아 전면부에 압력으로 작용, 옹벽패널에 변위가 발생한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절개지에 시공하는 경우 내부 지반 상태를 알 수 없고 특히 봉적토 등과 같이 다져지지 않은 지반이 있을 수 있으므로 네일링과 같은 보강작업을 하더라도 변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옹벽에 변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바, 옹벽에 변위가 발생하면 상기 옹벽패널은 두께가 약 250mm 정도로 두껍고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어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거나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고, 다만 시공 위치가 뒤틀리는 불량이 발생할 뿐이므로 옹벽의 변위 발생을 쉽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옹벽의 변위가 심하게 발생하여 실제 옹벽이 붕괴되는 경우와 같은 대형 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592720호(등록일자 2006년06월16일) 공개번호 제10-2011-0125010호(공개일자 2011년11월1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호 결합된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2
형상의 옹벽패널의 바닥부 상면에 두께가 얇고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예측패널이 결합되어, 옹벽에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예측패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옹벽의 변위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옹벽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은, 받침부의 중앙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3
형상을 하고, 좌우로 인접되거나 상하로 적층된 경우 서로 끼움 결합하는 옹벽패널;
좌우로 결합된 옹벽패널의 양 돌출부 사이인 받침부 상면에 위치되어 양 돌출부와 끼움 결합하면서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옹벽패널의 양 받침부와 끼움 결합하는 예측패널;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의 제일 하단에 설치되어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지지하는 기초부;
절토사면에 일단이 소정의 깊이로 정착되고, 타단이 상기 옹벽패널의 중공을 관통하여 옹벽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네일; 및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 및 예측패널과 절토사면 사이를 뒷채움하는 보강토;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옹벽패널은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예측패널은 옹벽패널보다 앞뒤 두께가 얇은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의 좌우 양면과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요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 상기 결합요부에 대응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측패널은 요철에 의해 소정의 장식 기능을 갖는 장식면이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측패널의 장식면은 주형틀의 하부 바닥에 예측패널의 장식면에 대응된 형상을 하는 장식요철이 형성된 몰드를 움직이지 않게 배치하고, 이 주형틀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의 시공방법은, 기초바닥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사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토사면에 복수 개의 네일의 일단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절토사면의 전방 기초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 위에, 받침부의 중앙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4
형상을 하는 복수의 옹벽패널을 횡으로 배치하여 끼움 결합하고, 양 돌출부 사이의 바닥부 상면에 예측패널을 올려놓고 양 돌출부와 끼움 결합하여 1단의 옹벽을 시공하되, 이를 반복하여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다단으로 적층 결합하는 단계;
상기 네일의 타단을 옹벽패널의 중공을 관통시켜 옹벽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다단 적층 결합되는 옹벽패널 및 예측패널과 절토사면 사이에 보강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호 결합된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5
형상의 옹벽패널의 바닥부 상면에 두께가 얇고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예측패널이 결합되어, 옹벽에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예측패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옹벽의 변위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옹벽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1에 나타낸 예측패널의 크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패널(100)은 직육면체 받침부(110)에서 상면의 중간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받침부(110)와 돌출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6
형상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좌우 폭과 상하 높이는 약 1500mm, 앞뒤 두께는 약 250mm이고, 인장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패널(100)은 철근을 주형틀 내에 설치하고 주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제조된다.
상기 옹벽패널(100)의 내부에는 철근 와이어 구조물의 일부가 매립되는데, 와이어 구조물은 옹벽패널(100)의 성형 과정에서 매립된다.
이때 상기 옹벽패널(100)을 이루는 받침부(110)와 돌출부(120)의 좌우 양면과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요부(102)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결합요부(102)에 대응되는 결합돌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옹벽패널(100)의 가운데 부분에는 시공과정에서 후술할 네일(400)이 관통하여 볼트 결합되는 중공(미도시)이 전방으로 형성되고 그 중공 부분은 커버(130)가 장착핀(132)에 의해 옹벽패널(100)에 결합되어 마감된다.
예측패널(200)은 좌우로 결합된 두 옹벽패널(100)의 돌출부(120) 사이의 받침부(120) 상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지고, 앞뒤 두께는 약 180~200mm로 옹벽패널(100)의 앞뒤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하 높이는 돌출부(120)의 높이와 같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예측패널(200)의 좌우 양면과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요부(202)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결합요부(202)에 대응되는 결합돌부(204)가 형성된다.
도 1의 도면에서는 예측패널(200)과 옹벽패널(100)의 좌측면과 하면에 결합요부(202,102)가 형성되고, 우측면과 상면에 결합돌부(204,104)가 형성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옹벽패널(100)을 횡으로 배치하여 좌우로 인접된 옹벽패널(100) 간에 우측 옹벽패널 받침부(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104)를 좌측 옹벽패널 받침부(110)의 좌측면에 형성된 결합요부(102)에 끼워 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두 옹벽패널(100)의 양 돌출부(120) 사이의 바닥부(110) 상면에 예측패널(200)이 위치되어, 예측패널(200) 우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04)는 좌측 돌출부(120)의 좌측면에 형성된 결합요부(102)에 끼워지고, 그 예측패널(200) 좌측면에 형성된 결합요부(202)에 우측 돌출부(120)의 우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104)가 끼워져, 서로 결합된 옹벽패널(100)의 양 돌출부(120)와 예측패널(200)이 결합된다.
또한, 이때 인접된 두 옹벽패널(100)의 바닥부(110) 상면에 형성된 결합요부(102)에 계측블록(2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04)가 끼워져 서로 결합된 옹벽패널(100)의 양 바닥부(110)와 예측패널(200)이 상하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옹벽패널(100)과 예측패널(200)을 다단으로 쌓으면 도 2와 같이 서로 결합된 옹벽패널(100)의 양 바닥부(110) 상면에 예측패널(200)이 위치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단의 옹벽(1000)이 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1000)은 옹벽패널(100), 예측패널(200), 기초부(300), 네일(400), 절토사면(500) 및 보강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옹벽패널(100)은
Figure 112015085793215-pat00007
형상을 하고,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인접된 옹벽패널 간이나 상하로 적층된 옹벽패널 간에 끼움 결합된다.
예측패널(200)은 좌우로 결합된 옹벽패널(100)의 양 돌출부(120) 사이 즉, 양 받침부(110) 상면에 위치되어 양 돌출부(120)와 끼움 결합되고,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옹벽패널(100)의 양 받침부(110)와도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다수의 옹벽패널(100)과 예측패널(200)이 폭 방향과 높이 방향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네일(400)은 절토사면(500)에 일단이 소정의 깊이로 정착되고, 타단이 상기 옹벽패널(1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옹벽패널(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옹벽(1000)이 토압에 의해 앞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기초부(300)는 적층된 옹벽패널(100)의 제일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옹벽패널(100)의 하부를 서로 일체로써 결속하여 옹벽(1000) 전체를 지탱하고 통상적인 보강재가 삽입된다.
절토사면(500)은 설치하고자 하는 옹벽(1000)의 위치와 토사의 안식각에 따라 기초바닥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여 이루어진다.
보강토(600)는 적층된 옹벽패널(100) 및 예측패널(200)과 절토사면(500) 사이를 뒷채움하는 것으로, 토사, 쇄석, 잡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의해 제조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측패널의 사시도이다.
예측패널(200) 성형을 위한 주형틀(700)은 성형되는 예측패널(200)의 형상을 고려하여 형태를 이루도록 준비하며, 내부에는 철근이 배근되지 않는다.
상기 주형틀(700)의 하부 바닥에는 미리 예측패널(200)의 장식면(210)에 대응된 형상을 하는 불규칙한 장식요철이 형성된 몰드(주물)(710)를 움직이지 않게 배치한다.
상기 몰드(710)는 장식면(210)에 대응된 형상을 뜬 실리콘, 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성형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예측패널(200)의 전방으로 불규칙한 요철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장식의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장식면(210)이 형성된다.
또한, 이 장식면(210)은 예측패널(200)의 크랙 발생시에 그 크랙을 감추어주므로 일반인들에게 크랙 발생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옹벽(1000)의 위치와 토사의 안식각에 따라 기초바닥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는 절토사면(500)을 형성한다(S602).
다음, 상기 절토사면(500)에 복수 개의 네일(400)을 다단으로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네일(400)의 설치 위치는 결합될 옹벽패널(1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며, 레벨기 또는 수직 수평기 등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천공되는 천공부에 네일(400)을 그 선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하고 나서 그라우팅한다(S604).
즉, 네일(400)을 설치하기 위해 절토사면(500)에 천공홀을 형성하되, 이러한 천공홀은 네일(4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천공하고, 상기 천공홀에 네일을 삽입한 다음, 네일(400)의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천공홀 내부를 그라우팅한다.
다음, 절토사면(500)의 전방 하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패널(100)과 예측패널(200)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300)를 형성한다(S606).
이때 기초부(300)에는 통상적인 보강재가 삽입된다.
다음, 상기 기초부(300) 위에 복수의 옹벽패널(100)을 횡으로 배치하여 끼움 결합하고, 양 돌출부(120) 사이의 바닥부(110) 상면에 예측패널(200)을 올려놓고 양 돌출부(120)와 끼움 결합하여 옹벽패널(100)과 예측패널(200)로 1단의 옹벽을 시공하고, 이를 반복하여 옹벽패널(100)과 예측패널(200)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결합한다(S608).
다음, 옹벽패널(100)의 중공을 관통하는 네일의 타단을 볼팅으로 결합하여 옹벽패널(100)과 네일(400)이 견고하고도 안정적인 옹벽(1000)으로서의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610).
그리고 복수 적층 결합되는 상기 옹벽패널(100) 및 예측패널(200)과 절토사면(500) 사이에 토사 등의 보강토(600)를 채우고, 다짐하여(S612) 옹벽(1000)이 완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토사는 상기 S602단계의 절토사면(500) 형성시 토사를 재사용하여 공사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과 같은 옹벽(1000)이 시공되고 시간이 경과하여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옹벽(1000)에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옹벽패널(100)은 두께가 두껍고 철근이 배근되어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옹벽패널(100)의 위치가 뒤틀리거나 옹벽패널이 밀려나오기 전에, 예측패널(200)은 두께가 옹벽패널(100)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철근이 배근되지 않으며 또 변위가 결합된 옹벽패널(100) 사이의 이음새 부분에 집중되므로 예측패널(200)에 크랙이 발생한다.
삭제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옹벽패널 200: 예측패널
300: 기초부 400: 네일
500: 절토사면 600: 보강토
700: 주형틀 1000: 옹벽

Claims (7)

  1. 받침부의 중앙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Figure 112016116630693-pat00020
    형상을 하고, 좌우로 인접되거나 상하로 적층된 경우 서로 끼움 결합되며, 인장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옹벽패널;
    좌우로 결합된 옹벽패널의 양 돌출부 사이인 받침부 상면에 위치되어 양 돌출부와 끼움 결합하면서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옹벽패널의 양 받침부와 끼움 결합되며, 옹벽패널보다 앞뒤 두께가 얇은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지는 예측패널;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의 제일 하단에 설치되어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지지하는 기초부;
    절토사면에 일단이 소정의 깊이로 정착되고, 타단이 상기 옹벽패널의 중공을 관통하여 옹벽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네일; 및
    상기 적층된 옹벽패널 및 예측패널과 절토사면 사이를 뒷채움하는 보강토;
    를 포함하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의 좌우 양면과 상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요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 상기 결합요부에 대응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패널은 요철에 의해 소정의 장식 기능을 갖는 장식면이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패널의 장식면은 주형틀의 하부 바닥에 예측패널의 장식면에 대응된 형상을 하는 장식요철이 형성된 몰드를 움직이지 않게 배치하고, 이 주형틀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6. 삭제
  7. 기초바닥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사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토사면에 복수 개의 네일의 일단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절토사면의 전방 기초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 위에, 받침부의 중앙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Figure 112016116630693-pat00021
    형상을 하는 복수의 옹벽패널을 횡으로 배치하여 끼움 결합하고, 양 돌출부 사이의 바닥부 상면에 예측패널을 올려놓고 양 돌출부와 끼움 결합하여 1단의 옹벽을 시공하되, 이를 반복하여 옹벽패널과 예측패널을 다단으로 적층 결합하는 단계;
    상기 네일의 타단을 옹벽패널의 중공을 관통시켜 옹벽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다단 적층 결합되는 옹벽패널 및 예측패널과 절토사면 사이에 보강토를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옹벽패널은 인장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예측패널은 옹벽패널보다 앞뒤 두께가 얇은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지는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50124838A 2015-09-03 2015-09-03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0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38A KR101706919B1 (ko) 2015-09-03 2015-09-03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38A KR101706919B1 (ko) 2015-09-03 2015-09-03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919B1 true KR101706919B1 (ko) 2017-02-15

Family

ID=5811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838A KR101706919B1 (ko) 2015-09-03 2015-09-03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97B1 (ko) 2022-04-12 2023-02-24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N117949639A (zh) * 2024-03-27 2024-04-30 中铁二十三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用途挡墙模拟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N117949639B (zh) * 2024-03-27 2024-06-07 中铁二十三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用途挡墙模拟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128A (ko) * 2004-05-27 2005-12-01 이정수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592720B1 (ko) 2005-11-02 2006-06-28 (주)원엔지니어링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110125010A (ko)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05092B1 (ko) * 2010-09-13 2012-01-17 윤정배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213589B1 (ko) * 2012-07-20 2012-12-18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128A (ko) * 2004-05-27 2005-12-01 이정수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592720B1 (ko) 2005-11-02 2006-06-28 (주)원엔지니어링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110125010A (ko)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05092B1 (ko) * 2010-09-13 2012-01-17 윤정배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213589B1 (ko) * 2012-07-20 2012-12-18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97B1 (ko) 2022-04-12 2023-02-24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N117949639A (zh) * 2024-03-27 2024-04-30 中铁二十三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用途挡墙模拟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N117949639B (zh) * 2024-03-27 2024-06-07 中铁二十三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多用途挡墙模拟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KR101652163B1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KR101649874B1 (ko) 조형석을 이용한 옹벽
JP476140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基礎材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JP4097226B2 (ja) 擁壁構造
KR101706919B1 (ko)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1975502B1 (ko)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1871186B1 (ko) 옹벽 시공방법
JP2013053465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地下構造物および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JP5830068B2 (ja) 法面補強工法
KR101017127B1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KR102118665B1 (ko) 부지확장을 위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20110086930A (ko)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JP2004019100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KR20040096911A (ko)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5511B1 (ko) 프리캐스트 일체식 교대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312126B1 (ko) 합벽식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