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97B1 -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 Google Patents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97B1
KR102503397B1 KR1020220044911A KR20220044911A KR102503397B1 KR 102503397 B1 KR102503397 B1 KR 102503397B1 KR 1020220044911 A KR1020220044911 A KR 1020220044911A KR 20220044911 A KR20220044911 A KR 20220044911A KR 102503397 B1 KR102503397 B1 KR 10250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anel body
parts
connection pa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김중석
김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김철환
김중석
김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김철환, 김중석, 김중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4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절곡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앵커고정부가 구비된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한쪽 측면의 일부 영역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패널몸체의 다른 한쪽 측면의 일부 영역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제2 연결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과 상기 제2 연결부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ROTATABLE RETAINING WALL PANE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토지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도로나 단지의 성토 및 절개지, 하천제방, 해안도로, 또는 주거지역의 사면 등에 옹벽이 시공된다.
기존에는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 설치 높이만큼 거푸집을 설치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법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로 미리 단위 크기로 제조한 옹벽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919호(2017.02.15.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절토사면(일명, 절개사면)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옹벽패널들 설치하고 네일을 이용하여 옹벽패널을 절토사면에 고정하고 옹벽패널과 절토사면 사이에 보강토를 채워 시공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옹벽패널들을 일직선으로만 조립할 수 있어, 평면구조의 옹벽구조물만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에 의하면 볼록 곡선부나 오목 곡선부로 형성된 절개지에 대해서는 옹벽패널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6919호(2017.02.15)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앵커고정부가 구비된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한쪽측면인 제1 측면에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다른 한쪽측면인 제2 측면에 상기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제1 측면과 형합될 수 있게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연결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옹벽패널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패널몸체의 제1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패널몸체의 제2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의 상면은 패널몸체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의 상면은 패널몸체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의 하면은 패널몸체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의 하면은 패널몸체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와 제2 연결부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몸체는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경사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2 평판부들과, 상기 제2 평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제2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평판부의 후면 가운데 부분 및 제1 경사판부들 후면 가운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앵커고정부가 구비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지를 따라 절개지 바닥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받침블록들; 상기 받침블록들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인접하는 양측 부분이 서로 형합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 회전형 옹벽패널의 형합된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는 연결축;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절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블록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수관;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절개지 사이를 뒷채움하는 보강토; 및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보강토를 관통하여 절개지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을 긴장시키는 스팅앵커를 포함하는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을 측면으로 서로 맞대어 회전형 옹벽패널의 제1 연결부와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의 제2 연결부을 서로 형합하여 일직선상에 배치하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연통된 축삽입구멍에 연결축을 관통 삽입하여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직선으로 형성된 절개지 뿐만 아니라 볼록 곡선부 또는 오목 곡선부로 형성된 절개지에 대해서도 옹벽구조물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축을 통해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을 결합하므로,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간의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이 일직선으로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이 볼록 곡선부로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이 오목 곡선부로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이 연결축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는 복수 개의 받침블록(100)들,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 연결축(300), 배수관(400), 보강토(500), 스팅앵커(6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받침블록(100)들은 절개지(E) 바닥에 구비된다. 받침블록(100)들은 절개지(E)를 따라 절개지(E) 바닥에 일렬로 배열된다. 각 받침블록(100)은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은 받침블록(100)들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인접하는 양측 부분이 서로 형합되게 결합된다. 각 회전형 옹벽패널(200)은 받침블록(100)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실시예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옹벽패널(200)은 패널몸체(210), 제1 연결부(220), 제2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패널몸체(210)는 기본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는 앵커고정부(H)가 구비된다. 패널몸체(210)는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평평한 사각판이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각도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몸체(210)의 일예로, 패널몸체(210)는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평판부(211)와, 제1 평판부(211)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경사판부(212)들과, 제1 경사판부(212)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2 평판부(213)들과, 제2 평판부(213)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제1,2 연결부(220, 230)가 각각 구비되는 제2 경사판부(214)들과, 제1 평판부(211)의 후면 가운데 부분 및 제1 경사판부(212)들 후면 가운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앵커고정부(H)가 구비되는 보강부(215)를 포함한다.
앵커고정부(H)는 패널몸체(210)의 가운데 부분에서 제1 평판부(211)와 보강부(21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앵커고정부(H)는 보강부(215)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스팅앵커(600)의 긴장봉(630)이 관통 삽입되는 제1 고정구(H1)와, 제1 평판부(211)에 관통하여 형성되되, 제1 고정구(H1)와 연통되는 제2 고정구(H2)를 포함한다. 제2 고정구(H2)는 제1 고정구(H1)보다 크게 형성되며, 스팅앵커(600)의 긴장봉(630) 단부가 돌출되어 고정부재(640)로 고정된다.
패널몸체(210)는 균형을 위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거울 대칭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몸체(210)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패널몸체(210)가 일률적인 두께가 아니라 부위에 따라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스팅앵커(600)가 고정되는 부위가 보강부(215)에 의해 보강되므로,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제1 연결부(220)는 패널몸체(210)의 폭방향 한쪽측면인 제1측면(201)에 연장 돌출되며, 적어도 한 개 구비된다. 제1 연결부(2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축(300)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S)이 형성된다.
제2 연결부(230)는 패널몸체(210)의 폭방향 다른 한쪽측면인 제2 측면(202)에 제1 연결부(220)가 구비된 제1측면(201)과 형합될 수 있게 연장 돌출되며, 적어도 한 개 구비된다. 제2 연결부(230)는 제1 연결부(220)과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축(300)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S)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220)와 제2 연결부(230)의 제1 실시예로, 제1 연결부(220)는 패널몸체(210)의 제1측면(201)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되고, 제2 연결부(230)는 패널몸체(210)의 제2 측면(202)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구비된다. 제1측면(201)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220)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220)의 상면은 패널몸체(2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220)의 상면은 패널몸체(210)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한다. 제2 측면(202)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230)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30)의 하면은 패널몸체(210)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30)의 하면은 패널몸체(210)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1 연결부(220)의 길이와 제2 연결부(230)의 길이는 서로 같다.
제1 연결부(220)와 제2 연결부(230)의 제2 실시예로, 제1 연결부(220)는 패널몸체(210)의 제1측면(201)에 한 개 구비되되, 제1 연결부(220)의 길이 방향 중간이 패널몸체(210)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한다. 제2 연결부(230)는 패널몸체(210)의 제2 측면(202)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구비되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30)의 상면은 패널몸체(2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30)의 하면은 패널몸체(210)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1 연결부(220)의 길이는 두 개의 제2 연결부(230)들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측면을 서로 맞대면, 한쪽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다른 한쪽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가 서로 형합될 수 있다.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다른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이 형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과 다른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각 축삽입구멍(S)이 서로 연통되며, 연통된 축삽입구멍(S)으로 연결축(300)이 관통 삽입된다.
각 회전형 옹벽패널(200)이 받침블록(100)들에 설치될 때,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하단부가 받침블록(100)들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위치하며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후면이 절개지(E)쪽으로 위치한다.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은 어느 하나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가 서로 형합되어 연결되는 방식으로 받침블록(100)들 위에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이 일직선으로 나란히 조립될 수도 있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 범위에서 꺾여서 조립될 수도 있다. 회전형 옹벽패널(200)들과 절개지(E)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공사 현장에 운반된다.
연결축(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서로 결합한다.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다른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가 서로 형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일직선상에 배치된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다른 한쪽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의 축삽입구멍(S)으로 연결축(300)을 삽입하여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서로 결합한다. 서로 결합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은 연결축(300)에 지지된 채 연결축(300)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연결축(300)은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1 연결부(220)과 제2 연결부(230)의 총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SUS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축(300)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 또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이 될 수 있다.
배수관(400)은 회전형 옹벽패널(200)과 절개지(E) 사이에 위치하도록 받침블록(100)들의 상면에 설치된다.
보강토(500)는 회전형 옹벽패널(200)과 절개지(E) 사이를 뒷채움한다. 보강토(500)는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상부까지 적층된다. 보강토(500)는 토사, 쇄석, 잡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일예로, 배수관(400)이 놓인 회전형 옹벽패널과 절개지 사이 하부 부분은 쇄석으로 채우고, 나머지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상부까지는 EPS(Expanded Poly Styrene)블록들을 적층할 수도 있다. 회전형 옹벽패널(200)과 절개지(E) 사이에 EPS블록들이 적층되어 채워지게 되면, EPS블록들에 의해 회전형 옹벽패널(200)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하여 회전형 옹벽패널(200)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팅앵커(600)들은 회전형 옹벽패널(200)들과 보강토(500)를 관통하여 절개지(E) 내부에 고정되어 회전형 옹벽패널(200)을 긴장시킨다. 각 스팅앵커(600)는 절개지(E)에 설정된 깊이로 천공된 천공홀에 삽입되되, 스팅앵커(600)의 톱니형 쐐기체(610)와 콘부재(620)가 천공홀의 저면에 위치하고 긴장봉(630)이 콘부재(620)에 연결되어 지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그 천공홀에 그라우팅이 채워져 경화된다. 스팅앵커(600)의 긴장봉(630)이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앵커고정부(H)에 관통 삽입되며, 긴장봉(630)이 긴장되어 고정부재(640)에 의해 고정된다. 스팅앵커(600)는 공지된 기술이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옹벽패널(200)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일정 크기의 옹벽을 설치하고자 할 때, 받침블록(100)들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받침블록(100)들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시공한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측면으로 서로 맞대어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과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을 서로 형합하여 일직선상에 배치하고, 제1 연결부(220)와 제2 연결부(230)의 연통된 축삽입구멍(S)에 연결축(300)을 관통 삽입하여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서로 연결한다. 서로 연결된 이웃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은 연결축(3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을 일직선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꺾어서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측면으로 서로 맞대어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1 연결부(220)와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의 제2 연결부(230)를 서로 형합하여 일직선상에 배치하고, 제1 연결부(220)와 제2 연결부(230)의 연통된 축삽입구멍(S)에 연결축(300)을 관통 삽입하여 이웃한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직선으로 형성된 절개지(E) 뿐만 아니라 볼록 곡선부 또는 오목 곡선부로 형성된 절개지(E)에 대해서도 옹벽구조물을 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축(300)을 통해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들을 결합하므로,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200)간의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100: 받침블록 200: 회전형 옹벽패널
210: 패널몸체 220: 제1 연결부
230: 제2 연결부 300: 연결축
400: 배수관 500: 보강토
600: 스팅앵커

Claims (5)

  1.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앵커고정부가 구비된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한쪽측면인 제1 측면에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다른 한쪽측면인 제2 측면에 상기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제1 측면과 형합될 수 있게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연결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패널몸체의 제1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패널몸체의 제2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 연결부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의 상면은 패널몸체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의 상면은 패널몸체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2 연결부들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의 하면은 패널몸체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의 하면은 패널몸체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와 제2 연결부의 길이는 서로 같으며,
    상기 패널몸체는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경사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2 평판부들과, 상기 제2 평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제2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평판부의 후면 가운데 부분 및 제1 경사판부들 후면 가운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앵커고정부가 구비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옹벽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절개지를 따라 절개지 바닥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받침블록들;
    상기 받침블록들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인접하는 양측 부분이 서로 형합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형 옹벽패널들;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 회전형 옹벽패널의 형합된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는 연결축;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절개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블록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수관;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절개지 사이를 뒷채움하는 보강토; 및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과 보강토를 관통하여 절개지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들을 긴장시키는 스팅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옹벽패널은,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앵커고정부가 구비된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한쪽측면인 제1 측면에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패널몸체의 폭방향 다른 한쪽측면인 제2 측면에 상기 제1 연결부가 구비된 제1 측면과 형합될 수 있게 연장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연결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몸체는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경사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2 평판부들과, 상기 제2 평판부들에 각각 폭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는 제2 경사판부들과, 상기 제1 평판부의 후면 가운데 부분 및 제1 경사판부들 후면 가운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앵커고정부가 구비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옹벽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0220044911A 2022-04-12 2022-04-12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50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11A KR102503397B1 (ko) 2022-04-12 2022-04-12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911A KR102503397B1 (ko) 2022-04-12 2022-04-12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97B1 true KR102503397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911A KR102503397B1 (ko) 2022-04-12 2022-04-12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652A (en) * 1989-05-24 1992-04-28 Innovacions Tegnologiques S.A. I.T.S.A. Construction module
US6623213B1 (en) * 1998-05-19 2003-09-23 Nigel Francis Maydew Retaining components
KR20050077134A (ko) * 2004-01-26 2005-08-01 (주)레코기술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1072286B1 (ko) * 2011-06-15 2011-10-11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KR101706919B1 (ko) 2015-09-03 2017-02-15 자연 김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652A (en) * 1989-05-24 1992-04-28 Innovacions Tegnologiques S.A. I.T.S.A. Construction module
US6623213B1 (en) * 1998-05-19 2003-09-23 Nigel Francis Maydew Retaining components
KR20050077134A (ko) * 2004-01-26 2005-08-01 (주)레코기술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1072286B1 (ko) * 2011-06-15 2011-10-11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KR101706919B1 (ko) 2015-09-03 2017-02-15 자연 김 변위예측 기능을 갖는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220B2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0886445B1 (ko) 소일 탱크 형태의 흙막이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5505563A (en) Cellular structures for sustaining walls
CA2438560C (en) Modular wall or fence construction system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102402815B1 (ko)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03397B1 (ko)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220613B1 (ko) 자립식 옹벽 시공방법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2511387B1 (ko)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452587B1 (ko) Eps블럭과 h빔을 이용한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18665B1 (ko) 부지확장을 위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2423816B1 (ko) 연직형 지중파일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46372B1 (ko) 조립지압판 및 말뚝 횡브레이싱 구조를 가지는 멀티웨브 말뚝을 이용한 무띠장 흙막이 벽체, 이를 영구구조체로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2787806B2 (ja) 土留め擁壁
KR20020028527A (ko) 콘크리트 벽돌 및 이의 축조방법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47783B1 (ko)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1328690B1 (en)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13138A (ko) 쇄석 채움 옹벽
KR200235108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JPH10299009A (ja) 住宅用地下室の築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