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114Y1 -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114Y1
KR200354114Y1 KR20-2003-0039276U KR20030039276U KR200354114Y1 KR 200354114 Y1 KR200354114 Y1 KR 200354114Y1 KR 20030039276 U KR20030039276 U KR 20030039276U KR 200354114 Y1 KR200354114 Y1 KR 200354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main body
block
wall block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20-2003-0039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은 본체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된 다수의 결합돌기; 체결돌기와 형합되도록 본체의 타면에 마련된 다수의 체결홈; 본체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된 중간 홈; 및 본체의 상,하면 모서리에 마련된 여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A environment-friendly retaining wall block for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친환경적 조립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 시공용 자연석 구조를 가진 친환경적 조립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 시공을 위한 자연석형 블럭은 콘크리트 몰탈로 성형 되며, 이러한 블록들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적재가 이루어진다. 블록과 블록의 결합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번호 제20-03159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블록은 본체의 양 측면에만 요입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배수와 통기를 위한 통공을 구성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블록은 본체의 상,하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본체에 작용하는 측압에 의해 블록이 양 측면으로 위치이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옹벽의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의 상,하부 및 4곳의 모서리 부분에도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홈을 마련하여 배수와 통기를 더 원할하게 할 수 있으며, 블록에 작용하는 측면압에도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록이 조립된 측단면도.
도 4는 옹벽이 쌓여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제1통공 12...문양부
13...중간 홈 14...체결돌기 15...여유부
16...체결홈 17...제2통공 20...지지부
100...블록 102...옹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은 본체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된 다수의 결합돌기; 상기 체결돌기와 형합되도록 본체의 타면에 마련된 다수의 체결홈; 본체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된 중간 홈; 및 상기 본체의 상,하면 모서리에 마련된 여유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홈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중앙에 인입된 "V"자형 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유부는 상기 "V"자형 홈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깍은 형상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록이 조립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옹벽이 쌓여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100)은 전면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는 본체(10) 및 본체(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20)를 구비하며, 시멘트 바람직하기로는 KSL 5201(포틀랜트 시멘트), AE제 등의 혼화재료, 및 골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그 사이즈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cm, 50cm, 및 50cm이고, KSF 2405압축 강도 시험시 240 kg/cm2이고, 100 - 110??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평균 흡수율은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될 문양은 바위나 돌과 같은 자연석 문양이나 대리석을 절개한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전면에는문양부(12)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체(12)의 상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14)가 마련되고, 본체(10)의 하면에는 체결돌기(14)와 형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홈(16)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돌기(14)와 체결홈(16)은 서로 위치를 달리 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돌기(14)와 체결홈(16)은 옹벽을 쌓을 경우 상,하로 인접되는 블록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된 블록들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체결돌기(14)는 경사진 원뿔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하면에는 중간 홈(13)이 그 폭 방향으로 마련되고,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에서 "V"형으로 인입 형성된다.
본체(10)의 상,하면 양 모서리에는 여유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여유부(15)는 "V"자형 홈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모서리를 대략 45도로 깍은 형상이다.
상기 중간 홈(13)은 상,하로 인접되는 블록(100) 사이의 접촉면에서 삼각형의 통공을 형성하거나 여유홈(15)과 함께 사각 형상의 제2통공(17)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 홈(13) 및 여유부(15)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본체(10)의 배면에 마련된 지지부(20)는 블록(100)의 적재시 상,하로 블럭(100)을 지그재그로 쌓더라도 상하에 위치하는 지지부(20)가 서로 중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한편, 블록(100)의 본체(1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지지부(20)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기 위해서는 바닥에 블록들을 일렬로 먼저 나란하게 깔고, 그 위에 또 다른 블럭(10)을 지그재그 형태로 쌓는다. 이 경우, 좌측의 체결돌기는 우측의 체결홈에 삽입되고, 우측의 체결돌기는 좌측의 체결홈에 삽입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블럭(100)을 이용하여 옹벽(102)을 쌓게 되면 본체(10)의 아래 위로 인접된 중간 홈(13) 및/또는 여유부(15)가 형성하는 통공(17)에 의해 옹벽(102) 배면에 위치하는 토양이 외부와 서로 연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102) 배면에 위치하는 토양으로부터 발생되는 물이 통공들(17)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히 배수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수지연으로 인한 토압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만큼 옹벽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통공들(17)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옹벽(102) 배면에 위치한 토양과 상통하게 되므로 토양에 존재하는 유기물이나 미생물에 생명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옹벽(102)이 수중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통공들(17)을 통하여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환경 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보강토 옹벽 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블록 본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중간 홈 및 모서리에 형성된 여유부를 통해 통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배수와 통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옹벽 뒷쪽에 위치하는 토양의 토압을 줄일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토양에존재하는 유기물이나 미생물의 번식이 가능케 할뿐 아니라 옹벽이 수중에 위치할 경우에는 통공을 통하여 물고기의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구성에 의해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된 다수의 결합돌기;
    상기 체결돌기와 형합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면에 마련된 다수의 체결홈;
    상기 본체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된 중간 홈; 및
    상기 본체의 상,하면 모서리에 마련된 여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조립식 옹벽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홈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중앙에 인입된 "V"자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조립식 옹벽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부는 상기 중간 홈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깍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조립식 옹벽 블록.
KR20-2003-0039276U 2003-12-17 2003-12-17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354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76U KR200354114Y1 (ko) 2003-12-17 2003-12-17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76U KR200354114Y1 (ko) 2003-12-17 2003-12-17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114Y1 true KR200354114Y1 (ko) 2004-06-23

Family

ID=4943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76U KR200354114Y1 (ko) 2003-12-17 2003-12-17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1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2B1 (ko) 2009-03-19 2010-03-29 김산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2B1 (ko) 2009-03-19 2010-03-29 김산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200354114Y1 (ko)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200345935Y1 (ko)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656117B1 (ko) 목재로 형성된 사면 지지 블럭
KR101830696B1 (ko) 환경친화형 옹벽축조용 블록
KR200306389Y1 (ko) 홈 블럭
KR200247938Y1 (ko) 홈 블럭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CN211285687U (zh) 一种砌块及其所形成的生态挡土墙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41447Y1 (ko) 옹벽 적재용 블럭
CN218894114U (zh) 一种混凝土板桩式挡土墙结构
JP3448763B2 (ja) 護岸ブロック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98756Y1 (ko) 목재로 형성된 사면 지지 블럭
KR200315991Y1 (ko) 보강토 옹벽 적재용 자연석형 블럭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CN211080745U (zh) 一种混凝土多孔砖
KR101073971B1 (ko) 옹벽
KR200238519Y1 (ko) 조적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