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66B1 - 계단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계단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66B1
KR102052366B1 KR1020180172110A KR20180172110A KR102052366B1 KR 102052366 B1 KR102052366 B1 KR 102052366B1 KR 1020180172110 A KR1020180172110 A KR 1020180172110A KR 20180172110 A KR20180172110 A KR 20180172110A KR 102052366 B1 KR102052366 B1 KR 10205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dge
piece
lengt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김일호
최영훈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18017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下面)이 전면(前面) 또는 상면(上面)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상면은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河岸),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湖岸) 또는 댐의 경사지에 배치되는 제1 유닛; 경사진 상기 하면을 받침 지지하여 상기 경사지에 매립 고정되며, 상기 경사지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유닛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과,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상기 제2 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사지에 안착 고정되어 상기 경사지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계단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블록 어셈블리{STAIR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계단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계단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하천 등의 인접 법면이나 경사면에는 그 하천수나 빗물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거나 하천수가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이 구축된다.
이러한 옹벽은 주로 토사 등을 적층하여 제방과 하천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소나 목적에 따라 석축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통상적인 호안 옹벽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돌을 축조하여 석축(石築)을 형성하거나, 또는 하상 옹벽용 블록을 축조하면서 동시에 콘크리트를 적절히 타설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호안 옹벽은 하천의 인접 법면에 직벽형으로 구축된다.
즉, 통상적으로 법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옹벽은 제방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방으로부터 호안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60417호의 "계단식 호안블럭"(이하 선행기술1) 및 등록실용 제20-0344594호의 "호안용 계단블록"(선행기술2)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1은 크게 좌상계단, 좌하계단 및 우상계단, 우하계단으로 계단을 구성하되, 그 사이에는 2개의 맞물림 구간을 형성하고, 각 수직면은 천연 암벽형의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계단식 호안블록을 제안한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그 형상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축조 및 시공이 복잡하고 어렵다.
한편, 선행기술2는 양 측방연부에 절취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각각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각 절취홈의 내부에 고리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매립 설치된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선행기술1보다 그 형상이 더 복잡하며, 채택되는 기술구성 또한 과다하여 비용면에서 불리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낮고 번거로운 작업이 많이 필요하므로, 시공 기간 또한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0417호 등록실용 제20-03445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下面)이 전면(前面) 또는 상면(上面)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상면은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河岸),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湖岸) 또는 댐의 경사지에 배치되는 제1 유닛; 경사진 상기 하면을 받침 지지하여 상기 경사지에 매립 고정되며, 상기 경사지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유닛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과,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상기 제2 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사지에 안착 고정되어 상기 경사지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3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기 전면과, 상기 제3 길이보다 작은 제4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후면(後面)과, 상기 후면과 상기 전면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과 상기 하면의 양측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側面)을 구비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를 안착시키고,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는 상기 블록의 상기 하면과,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경사진 상기 하면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 상면과, 상기 경사지에 접촉하는 접촉 하면을 가지며, 상기 하면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면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방 안착홈에 상기 받침 상면이 접촉 안착되는 받침 본체편과, 상기 받침 본체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을 받침 지지하는 전방 받침편과, 상기 받침 본체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후면(後面)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방 안착홈의 후방측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안착홈에 안착되는 접촉 지지편과, 상기 전방 받침편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유닛의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고정되는 하향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는 상기 하향 연장편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편은, 상기 제1 유닛의 전방측인 상기 경사지의 하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의 접촉 지지편과 연결되며, 상기 접촉 지지편은, 상기 제1 유닛의 후방측인 상기 경사지의 상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의 하향 연장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 본체편은 상기 제1 유닛의 경사진 상기 하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수직 절개면과, 상기 수직 절개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상기 챔퍼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절개면이,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의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까지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와,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향 연장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되어 복수의 제1 톱니를 형성하는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면(下面)이 전면(前面) 또는 상면(上面)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면은 제1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河岸),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湖岸) 또는 댐의 경사지에 배치되는 제1 유닛; 경사진 하면을 받침 지지하여 경사지에 매립 고정되며, 경사지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유닛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제2 유닛; 및 제1 유닛의 하면과, 하면과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제2 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경사지에 안착 고정되어 경사지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및 시공 등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간결하며 번거로운 작업 공수를 줄여 시간 및 비용 절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1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면과, 제2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3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전면과, 제3 길이보다 작은 제4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후면(後面)과, 후면과 전면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하면과, 상면과 전면과 후면과 하면의 양측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제1 유닛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側面)을 구비한 블록을 포함하며, 제2 유닛의 후방측 단부는 후면에 고정되며,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는 하면과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를 안착시키고, 제3 유닛의 일부는 블록의 하면과, 하면과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및 계단 형상의 옹벽을 작업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경사지에 간단히 적층 설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1 유닛의 경사진 하면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 상면과, 경사지에 접촉하는 접촉 하면을 가지며, 하면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하면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방 안착홈에 받침 상면이 접촉 안착되는 받침 본체편과, 받침 본체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하면과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제3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을 받침 지지하는 전방 받침편과, 받침 본체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유닛의 후면(後面)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방 안착홈의 후방측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안착홈에 안착되는 접촉 지지편과, 전방 받침편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제1 유닛의 전면과 평행하게 제1 유닛의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고정되는 하향 연장편을 포함하며, 제3 유닛의 일부는 하향 연장편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하향 연장편은, 제1 유닛의 전방측인 경사지의 하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의 접촉 지지편과 연결되며, 접촉 지지편은, 제1 유닛의 후방측인 경사지의 상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의 하향 연장편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고 복잡하며 과다한 기술구조를 배제하고 최대한 간결화하여, 설치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 본체편은 제1 유닛의 경사진 하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지에 대한 균형잡인 확실한 받침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은, 제1 유닛의 하면과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유닛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수직 절개면과, 수직 절개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챔퍼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절개면이, 제1 유닛의 하면의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까지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와,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향 연장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되어 복수의 제1 톱니를 형성하는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를 포함함으로써, 2중 이상의 밀림 방지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및 시공후에도 제1 유닛들 각각의 자중으로 인하여 법면을 따라 구조물 등 일체가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가 경사지에 설치 및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가 경사지에 설치 및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 전체와 제3 유닛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 전체와 제3 유닛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 전체와 제3 유닛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 전체와 제3 유닛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가 경사지에 설치 및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가 경사지(400)에 설치 및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가 경사지(400)에 설치 및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 전체와 제3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 전체와 제3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 전체와 제3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 전체와 제3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과 도 3 및 도 11에서 도시된 일점쇄선은 경사지(400)의 법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6(a)에 도시된 일점쇄선은 각 부품간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후술할 제1 유닛(100) 중 블록의 경우, 도면상에서 단일로 존재하는 블록에는 도면부호 "110"을 붙이고,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게 복수로 존재하는 블록에는, 각각의 구분을 위하여 "제1 블록(111)" 및 "제2 블록(112)"으로 도면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 또한 이에 따라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과 같이 하면(102, 下面)이 전면(103, 前面) 또는 상면(101, 上面)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면(101)은 제1 길이(d1)와 제1 길이(d1)보다 작은 제2 길이(d2)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河岸),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湖岸) 또는 댐의 경사지(400)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도 2와 같이 경사진 하면(102)을 받침 지지하여 경사지(400)에 매립 고정되며, 경사지(400)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유닛(100)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유닛(100)의 하면(102)과,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제2 유닛(200)에 각각 구비되며, 경사지(400)에 안착 고정되어 경사지(400)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블록(11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블록(110)은 제1 길이(d1)와 제1 길이(d1)보다 작은 제2 길이(d2)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면(101)과, 제2 길이(d2)와 같거나 다른 제3 길이(d3)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d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전면(103)을 가진다.
그리고, 블록(110)은 제3 길이(d3)보다 작은 제4 길이(d4)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d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후면(104, 後面)과, 후면(104)과 전면(103)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하면(102)을 가진다.
또한, 블록(110)은 상면(101)과 전면(103)과 후면(104)과 하면(102)의 양측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제1 유닛(100)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105, 側面)을 가진다.
여기서, 후술할 제2 유닛(200)의 후방측 단부는 후면(104)에 고정되며, 제2 유닛(200)의 전방측 단부는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를 안착시키고,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일부는 블록(110)의 하면(102)과,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블록(110)은, 자연석을 제작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재 등 내구성과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소재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2 및 도 3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받침 본체편(210)과 전방 받침편(220)과 접촉 지지편(230) 및 하향 연장편(24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받침 본체편(210)은 제1 유닛(100)의 경사진 하면(102)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 상면(211)과, 경사지(400)에 접촉하는 접촉 하면(212)을 가지며, 하면(102)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하면(102)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방 안착홈(113)에 받침 상면(211)이 접촉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방 받침편(220)은 받침 본체편(2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2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제3 유닛(3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챔퍼면(114, chamfered edge)을 받침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접촉 지지편(230)은 받침 본체편(21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유닛(100)의 후면(104, 後面)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방 안착홈(113)의 후방측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안착홈(115)에 안착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향 연장편(240)은 전방 받침편(220)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평행하게 제1 유닛(100)의 전면(103)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일부는 하향 연장편(240)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하향 연장편(240)은, 제1 유닛(100)의 전방측인 경사지(400)의 하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100)의 접촉 지지편(230)과 연결되며, 접촉 지지편(230)은, 제1 유닛(100)의 후방측인 경사지(400)의 상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100)의 하향 연장편(240)과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 본체편(210)은 도 2와 같이 제1 유닛(100)의 경사진 하면(102)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후방 연장편(250)과 수용 절개부(251)와 삽입 절개부(241, 241) 및 삽입편(2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후방 연장편(250)은 접촉 지지편(23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접촉 지지편(230)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수용 절개부(251)는 후방 연장편(250)의 말단부 가장자리 중간부로부터 접촉 지지편(230)의 상단부 가장자리까지 일정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삽입 절개부(241, 241)는 하향 연장편(24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향 연장편(24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편(240)의 중간부측을 향하여 각각 수용 절개부(251)의 폭의 절반만큼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삽입편(260)은 삽입 절개부(241, 241)에 의하여 하향 연장편(240)에 수용 절개부(251)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웃한 복수의 제1 유닛(100)의 블록(110)들 중 하나의 블록(110, 이하 제1 블록(111))과 이웃한 블록(110, 이하 제2 블록(112))에 있어서,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은 도 3과 같이 제1 블록(111)측의 삽입 절개부(241, 241)에 삽입되어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 및 하향 연장편(240) 각각의 전면(262, 242)이 제1 블록(111)측의 접촉 지지편(230)의 후면(232)에 맞닿아 접촉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걸림편(261, 261)과 걸림 수용홈(231, 23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걸림편(261, 261)은 삽입편(260) 하부측의 하향 연장편(240)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 수용홈(231, 231)은 접촉 지지편(23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접촉 지지편(230)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개 형성되고, 걸림편(261, 261)의 말단부 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블록(112)측의 걸림편(261, 261)이 도 6과 같이 제1 블록(111)측의 걸림 수용홈(231, 231)에 맞물리고, 걸림편(261, 261)의 말단부 면은 접촉 지지편(230)의 전면(103)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접촉 지지편(230)의 전면(103)보다 후방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후방 연장편(250)의 하면(102)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 절개부(2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 연장편(250)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 연장편(253, 25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지지 연장편(253, 253)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 연장편(25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지지 연장편(253, 253)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받침 연장편(254, 25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제1 블록(111)측의 한 쌍의 지지 연장편(253, 253)에 의하여 삽입 안내된다.
이때,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의 전면(262)이 제1 블록(111)측의 접촉 지지편(230)의 후면(232)에 접촉 고정되었을 때, 삽입편(26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 높이(h, 이하 도 3 참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상하 높이(h)는, 제2 블록(112)측의 하향 연장편(240)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블록(111)측의 후방 연장편(250)의 상면(255)까지의 수직 거리(h1, 이하 도 3 참조)와, 제1 블록(111)측의 후방 연장편(250)의 상면(255)으로부터 제1 블록(111)측의 받침 연장편(254, 254)의 하면(256)까지의 수직 거리(h2, 이하 도 3 참조)의 합인 것이다.
즉, 지지 연장편(253, 253)과 받침 연장편(254, 254)은 후방 연장편(250)과 함께 제1 블록(111)과 이웃한 제2 블록(112)의 하중을 분산 지지함과 동시에,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이 삽입 안내됨에 따라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 및 하향 연장편(240)이 정확한 위치, 즉 제1 블록(111)측의 접촉 지지편(230) 후면(104)에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 결정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지지 연장편(253, 253)과 받침 연장편(254, 254)은 후방 연장편(250)과 함께, 제2 블록(112)측의 삽입편(260)용 안내 수단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제2 블록(112)측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후방 연장편(250)이 쳐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골조로도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크게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와,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는 챔퍼면(114, chamfered edge)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유닛(100)의 상면(101)에 대하여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수직 절개면(311)과, 수직 절개면(31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챔퍼면(114)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절개면(312)이, 제1 유닛(100)의 하면(102)의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까지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된 것이다.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20)는 제2 유닛(20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향 연장편(24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되어 복수의 제1 톱니(321)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7과 같이 더욱 견고한 안착 고정 상태의 획득과 함께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숙련도에 관계 없이 설치 및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 날개부(120, 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날개부(120)는 전후 방형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복수의 블록(110) 중 하나의 블록(110, 이하 제1 블록(111))의 측면(105)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제2 날개부(130)는 제1 블록(111)과 이웃한 블록(110, 이하 제2 블록(112))의 측면(105)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날개부(120)와 맞물리는 것이다.
즉, 제1 날개부(120)는, 제1 블록(111)의 측면(105)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블록(111)의 상면(101)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상면을 가지는 제1 연장편(121)과, 제1 연장편(121)의 하면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 날개부(130)를 걸림 고정시키는 제1 걸림블록(12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2 날개부(130)는, 제2 블록(112)의 측면(105)으로부터 각각 단차지게 제2 블록(112)의 상면(101)보다 낮게 돌출 연장되는 제2 연장편(131)과, 제2 연장편(131)의 상면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날개부(120)를 걸림 고정시키는 제2 걸림블록(13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제2 걸림블록(132)은, 제1 연장편(121)과 제1 걸림블록(122)에 의하여 제1 블록(111)의 측면(105)과 제1 걸림블록(1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부(123)에 맞물리고, 제1 걸림블록(122)은, 제2 연장편(131)과 제2 걸림블록(132)에 의하여 제2 블록(112)의 측면(105)과 제2 걸림블록(13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부(133)에 맞물림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걸림 고정되며 복수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 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 320)와 함께 더욱 확실하고 견고한 안착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는 블록(110)의 경사진 하면(102)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제2 유닛(200)중 받침 본체편(210) 각각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전방 받침편(220)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 면을 서로 연결하며, 경사지(400)에 안착되어 매립 고정되는 것이다.
즉,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 및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20)와 함께 경사지(400)에 단단히 박혀 안착되어 매립 고정됨으로써, 3개소에 걸쳐 밀림 방지용 스파이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 및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20)와 함께, 제1 유닛(100)의 블록(110)들이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경사지(400)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3중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30)는, 도 8과 같이 연결 본체 바(331)에 스파이크편(340)들이 형성되고, 연결 연장 바(333)에 제2 톱니(332)들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연결 본체 바(331)는, 전방 받침편(220) 각각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 면을 서로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연결 연장 바(333)는, 연결 본체 바(331)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평행하고 제1 유닛(100)의 상면(101)과 직교되게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2 톱니(332)는, 연결 연장 바(333)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하여 복수로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스파이크편(340)은, 연결 본체 바(331)의 하면(102)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말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며, 연결 연장 바(333)와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스파이크편(340)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2 스파이크편(341, 34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스파이크편(341)은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과 제1 첨두 절취선(341b) 및 제1 절첩선(341c)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은, 연결 본체 바(331)의 전방측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연결 본체 바(331)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연결 본체 바(331)의 전방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일렬로 복수 배치된다.
또한, 제1 첨두 절취선(341b)은,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결 본체 바(331)의 후방측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좁아지고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 및 제1 첨두 절취선(341b)을 따라 절개하여,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 각각의 시작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절첩선(341c)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1 직선 절취선(341a, 341a) 및 제1 첨두 절취선(341b)을 일정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연결 본체 바(331)의 하면(102)에 복수의 제1 스파이크편(341)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스파이크편(342)은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과 제2 첨두 절취선(342b) 및 제2 절첩선(342c)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은, 연결 본체 바(331)의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연결 본체 바(331)의 전방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연결 본체 바(331)의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일렬로 복수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첨두 절취선(342b)은,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결 본체 바(331)의 전방측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좁아지고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 및 제2 첨두 절취선(342b)을 따라 절개하여,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 각각의 시작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절첩선(342c)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 직선 절취선(342a, 342a) 및 제2 첨두 절취선(342b)을 일정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연결 본체 바(331)의 하면(10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스파이크편(342)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스파이크편(341) 각각과 복수의 제2 스파이크편(342) 각각은 도 8(c)와 같이 상호 평행함으로써, 경사지(400)에 대한 확실한 안착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9와 같이 복수의 제1 스파이크편(341) 중 하나의 제1 스파이크편(341)과 이웃한 제1 스파이크편(341) 사이에, 복수의 제2 스파이크편(342) 중 하나의 제2 스파이크편(342)이 배치되는 패턴이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스파이크편(342) 중 하나의 제2 스파이크편(342)과 이웃한 제2 스파이크편(342) 사이에, 복수의 제1 스파이크편(341) 중 하나의 제1 스파이크편(341)이 배치되는 패턴이 반복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복수의 블록(110)들, 즉 제1 블록(111)과 제2 블록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격자 형상으로 전, 후 및 좌, 우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경사지(400)에 매립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복수의 블록(110)들, 즉 제1 블록(111)과 제2 블록을 벽돌 적층 배치 구조와 같이 전, 후 및 좌, 우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경사지(400)에 매립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블록(110)의 하면(102)에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가 형성된 것들만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를 생략한 평평한 경사면으로만 이루어진 하면(102)에 하방 안착홈(113)이 형성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블록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하면(102)이 전면(103) 또는 상면(101)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면(101)은 제1 길이(d1)와 제1 길이(d1)보다 작은 제2 길이(d2)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 또는 댐의 경사지(400)에 배치되는 제1 유닛(100); 경사진 하면(102)을 받침 지지하여 경사지(400)에 매립 고정되며, 경사지(400)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유닛(100)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제2 유닛(200); 및 제1 유닛(100)의 하면(102)과,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제2 유닛(200)에 각각 구비되며, 경사지(400)에 안착 고정되어 경사지(400)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및 시공 등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간결하며 번거로운 작업 공수를 줄여 시간 및 비용 절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길이(d1)와 제1 길이(d1)보다 작은 제2 길이(d2)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면(101)과, 제2 길이(d2)와 같거나 다른 제3 길이(d3)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d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전면(103)과, 제3 길이(d3)보다 작은 제4 길이(d4)의 높이를 가지며 제1 길이(d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후면(104)과, 후면(104)과 전면(103)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하면(102)과, 상면(101)과 전면(103)과 후면(104)과 하면(102)의 양측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제1 유닛(100)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105)을 구비한 블록(110)을 포함하며, 제2 유닛(200)의 후방측 단부는 후면(104)에 고정되며, 제2 유닛(200)의 전방측 단부는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를 안착시키고, 제3 유닛(300)의 일부는 블록(110)의 하면(102)과,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및 계단 형상의 옹벽을 작업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경사지(400)에 간단히 적층 설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의 경사진 하면(102)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 상면(211)과, 경사지(400)에 접촉하는 접촉 하면(212)을 가지며, 하면(102)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하면(102)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방 안착홈(113)에 받침 상면(211)이 접촉 안착되는 받침 본체편(210)과, 받침 본체편(2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2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제3 유닛(3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챔퍼면(114)을 받침 지지하는 전방 받침편(220)과, 받침 본체편(21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받침 본체편(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유닛(100)의 후면(104)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하방 안착홈(113)의 후방측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안착홈(115)에 안착되는 접촉 지지편(230)과, 전방 받침편(220)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평행하게 제1 유닛(100)의 전면(103)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고정되는 하향 연장편(240)을 포함하며, 제3 유닛(300)의 일부는 하향 연장편(240)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하향 연장편(240)은, 제1 유닛(100)의 전방측인 경사지(400)의 하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100)의 접촉 지지편(230)과 연결되며, 제1 유닛(100)의 후방측인 경사지(400)의 상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1 유닛(100)의 하향 연장편(240)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고 복잡하며 과다한 기술구조를 배제하고 최대한 간결화하여, 설치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 본체편(210)은 제1 유닛(100)의 경사진 하면(102)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지(400)에 대한 균형잡인 확실한 받침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의 하면(102)과 전면(103)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챔퍼면(114)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유닛(100)의 상면(101)에 대하여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수직 절개면(311)과, 수직 절개면(31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챔퍼면(114)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절개면(312)이, 제1 유닛(100)의 하면(102)의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까지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10)와, 제2 유닛(20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제1 유닛(100)의 전면(103)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향 연장편(24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되어 복수의 제1 톱니(321)를 형성하는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320)를 포함함으로써, 2중 이상의 밀림 방지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및 시공후에도 제1 유닛(100)들 각각의 자중으로 인하여 법면을 따라 구조물 등 일체가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수변에 대한 접근용 계단을 법면을 따라 밀려내려가는 일이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상면
102...하면
103...전면
104...후면
105...측면
110...블록
111...제1 블록
112...제2 블록
113...하방 안착홈
114...챔퍼면
115...후방 안착홈
120...제1 날개부
121...제1 연장편
122...제1 걸림블록
123...제1 걸림홈부
130...제2 날개부
131...제2 연장편
132...제2 걸림블록
133...제2 걸림홈부
200...제2 유닛
210...받침 본체편
211...받침 상면
212...접촉 하면
220...전방 받침편
230...접촉 지지편
231, 231...걸림 수용홈
232...접촉 지지편(230)의 후면
240...하향 연장편
241, 241...삽입 절개부
242...하향 연장편(240)의 전면
250...후방 연장편
251...수용 절개부
253, 253...지지 연장편
254, 254...받침 연장편
255...후방 연장편(250)의 상면
256...받침 연장편(254, 254)의 하면
260...삽입편
261, 261...걸림편
262...삽입편(260)의 전면
300...제3 유닛
310...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
311...수직 절개면
312...경사 절개면
320...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
321...제1 톱니
330...제3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
331...연결 본체 바
332...제2 톱니
333...연결 연장 바
340...스파이크편
341...제1 스파이크편
341a, 341a...제1 직선 절취선
341b...제1 첨두 절취선
341c...제1 절첩선
342...제2 스파이크편
342a, 342a...제2 직선 절취선
342c...제2 절첩선
400...경사지
d1...제1 길이
d2...제2 길이
d3...제3 길이
d4...제4 길이
h...삽입편(26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 높이
h1...하향 연장편(24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연장편(250)의 상면(255)까지의 수직 거리
h2...후방 연장편(250)의 상면(255)으로부터 받침 연장편(254, 254)의 하면(256)까지의 수직 거리

Claims (5)

  1. 하면(下面)이 전면(前面) 또는 상면(上面)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상면은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며, 해안, 하안(河岸), 하천, 항만, 저수지 가장자리, 호안(湖岸) 또는 댐의 경사지에 배치되는 제1 유닛;
    경사진 상기 하면을 받침 지지하여 상기 경사지에 매립 고정되며, 상기 경사지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유닛들 각각을 연결하는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가지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과,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와, 상기 제2 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사지에 안착 고정되어 상기 경사지의 경사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경사진 상기 하면을 받침 지지하는 받침 상면과, 상기 경사지에 접촉하는 접촉 하면을 가지며, 상기 하면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면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방 안착홈에 상기 받침 상면이 접촉 안착되는 받침 본체편과,
    상기 받침 본체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을 받침 지지하는 전방 받침편과,
    상기 받침 본체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상기 받침 본체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후면(後面)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방 안착홈의 후방측 단부와 연결되는 후방 안착홈에 안착되는 접촉 지지편과,
    상기 전방 받침편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유닛의 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고정되는 하향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는 상기 하향 연장편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편은, 상기 제1 유닛의 전방측인 상기 경사지의 하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2 유닛의 접촉 지지편과 연결되며,
    상기 접촉 지지편은, 상기 제1 유닛의 후방측인 상기 경사지의 상부측에 배치된 이웃한 제2 유닛의 하향 연장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제2 길이와 같거나 다른 제3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상기 전면과, 상기 제3 길이보다 작은 제4 길이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길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진 직사각 형상의 후면(後面)과, 상기 후면과 상기 전면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과 상기 하면의 양측 가장자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側面)을 구비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를 안착시키고,
    상기 제3 유닛의 일부는 상기 블록의 상기 하면과,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본체편은 상기 제1 유닛의 경사진 상기 하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챔퍼면(chamfered edge)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된 수직 절개면과, 상기 수직 절개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상기 챔퍼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절개면이, 상기 제1 유닛의 상기 하면의 전방측에서부터 후방측까지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와,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향 연장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개된 패턴이 반복되어 복수의 제1 톱니를 형성하는 제2 밀림 방지 스파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블록 어셈블리.
KR1020180172110A 2018-12-28 2018-12-28 계단블록 어셈블리 KR10205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110A KR102052366B1 (ko) 2018-12-28 2018-12-28 계단블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110A KR102052366B1 (ko) 2018-12-28 2018-12-28 계단블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366B1 true KR102052366B1 (ko) 2020-01-08

Family

ID=6915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110A KR102052366B1 (ko) 2018-12-28 2018-12-28 계단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96B1 (ko) * 1989-05-31 1992-09-26 이근희 조립식 계단블럭 및 이를 사용하는 계단의 시공방법
KR200260417Y1 (ko) 2001-08-22 2002-01-10 (주)신우콘크리트산업 계단식 호안블럭
KR200344594Y1 (ko) 2003-12-08 2004-03-19 대한이.이엔.씨(주) 호안용 계단블록
KR20090126438A (ko) * 2008-06-04 2009-12-09 (주)리버앤텍 조립식 계단블록
KR100991505B1 (ko) * 2010-04-23 2010-11-04 화이젠 주식회사 친환경 하천변 보강구조물
KR101018903B1 (ko) * 2010-07-16 2011-03-02 재 술 나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96B1 (ko) * 1989-05-31 1992-09-26 이근희 조립식 계단블럭 및 이를 사용하는 계단의 시공방법
KR200260417Y1 (ko) 2001-08-22 2002-01-10 (주)신우콘크리트산업 계단식 호안블럭
KR200344594Y1 (ko) 2003-12-08 2004-03-19 대한이.이엔.씨(주) 호안용 계단블록
KR20090126438A (ko) * 2008-06-04 2009-12-09 (주)리버앤텍 조립식 계단블록
KR100991505B1 (ko) * 2010-04-23 2010-11-04 화이젠 주식회사 친환경 하천변 보강구조물
KR101018903B1 (ko) * 2010-07-16 2011-03-02 재 술 나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492A (en) Block for revetment
US6682269B2 (en) Block with multifaceted bottom surface
US20190271128A1 (en) Cover element of concrete for a breakwater or jetty construction, as well as breakwater or jetty construc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701484B1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100978807B1 (ko) 조립식 계단블록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01173B1 (ko) 옹벽용 블록
KR200366917Y1 (ko) 스플릿 포인트를 가진 옹벽 블럭
JP2005106201A (ja) 配管支持具
CN219364491U (zh) 一种河道治理联锁式护坡结构
KR0137620Y1 (ko) 옹벽 축조용 블럭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0906770B1 (ko) 옹벽 블럭 구조물
KR101073971B1 (ko) 옹벽
KR200354114Y1 (ko)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JP4116019B2 (ja) 護岸ブロック
KR200217579Y1 (ko) 옹벽용 블록
KR200344594Y1 (ko) 호안용 계단블록
KR100622654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291341Y1 (ko) 결합 기능을 부여한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