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79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79Y1
KR200217579Y1 KR2020000018463U KR20000018463U KR200217579Y1 KR 200217579 Y1 KR200217579 Y1 KR 200217579Y1 KR 2020000018463 U KR2020000018463 U KR 2020000018463U KR 20000018463 U KR20000018463 U KR 20000018463U KR 200217579 Y1 KR200217579 Y1 KR 200217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block
block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구
Original Assignee
강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구 filed Critical 강용구
Priority to KR2020000018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79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토지, 절개지 또는 방조제 등의 보호를 위한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블럭 및 양측 블럭이 서로 끼워 걸리는 요철구조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수직 또는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호형 축조가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수직 또는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호형 축조가 가능하게 한 옹벽축조용 옹벽블럭과 옹벽블럭에 배수홈을 형성한 옹벽축조용 옹벽블럭 한 것에 관한 것으로, 옹벽블럭(100)에 요홈과 돌출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인데, 옹벽블럭(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측면돌기(110)와 하부에 반구형의 측면요홈(12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타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반구형의 각각 하부요홈(130,14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옹벽블럭(100)의 중앙에 관통하는 관통구멍인 중앙중공부(150)가 형성되며,옹벽블럭(100)의 저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데 저면 양 가장자리를 따라 돌기되어 있는 가장자리돌기(160)와 저면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앙돌기(170)로 구성되고 상기 가장자리돌기(160)는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옹벽블럭(100)는 평면배열과 상하배열되어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하고 특히 호형으로 축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옹벽블럭(200)의 상부면에 배수홈(210)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BLOCK FOR BREAST WALL}
본 고안은 성토지, 절개지 또는 방조제 등의 보호를 위한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블럭 및 양측 블럭이 서로 끼워 걸리는 요철구조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수직 또는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호형 축조가 가능하게 한 옹벽축조용 옹벽블럭과 옹벽블럭에 배수홈을 형성한 옹벽축조용 옹벽블럭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블럭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서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상과 같은 옹벽블럭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블럭(2)의 적층시 후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블럭의 후단부에 걸림턱(21)을 길게 형성하여 경사지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블럭(3)의 접합부에 천공(31)을 구비하여 이에 결합핀(P)을 꽂아서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축조되는 종래의 옹벽블럭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옹벽용 블럭(2)은 수직옹벽 축조가 불가하여 경사옹벽축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축조된 옹벽블럭의 배면에 채워지는 뒷 채움 흙의 토압에 의하여 하층의 옹벽블럭이 전방으로 밀려나가 옹벽이 붕괴될 위험이 있다.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옹벽블럭(3)은 상, 하층에 각기 형성되어 결합핀(P)이 끼워지는 천공이 일치하게 적층하여야 하는 되 옹벽블럭(3)의 중량으로 인하여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한편, 축조된 옹벽이 일정시간 경과하면 천공에 끼워 결합된 철제의 결합핀(P)이 부식되어 상하 옹벽블럭(3)의 결속상태가 약화되어 축조된 옹벽블럭(3)의 토압에 의하여 결속이 약화된 옹벽블럭(3)의 일부가 밀려나가 축조된 옹벽이 붕괴의 위험 또는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옹벽 블럭(2, 3)의 몸체는 대략 평면체 형상으로 측면이 일정각을 이루고 있다하나 그 각진 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기에 상호 미끌림이 일어나기 쉬운 형태이었고 특히 옹벽 축조시 상당한 중량체인 옹벽 블럭을 축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또다른 문제점은 축조된 옹벽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들어 옹벽됨을 방지하기위하여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에 별도의 배수구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같은 배수구를 형성함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럭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옹벽블럭에 상하 적층시 서로 끼워 걸리는 요철구조의 상하 상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단층 배열시 상호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구조의 좌우 미끌림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수직 또는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호형(弧形) 축조가 가능하게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옹벽블럭 자체에 배수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상태에서 옹벽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럭 일실시예의 축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블럭 다른 실시예의 축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으로 축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으로 호형으로 축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도면
[도 6]은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축조한 상태에서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축조한 상태에서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옹벽블럭으로 옹벽을 축조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보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배수홈을 갖는 옹벽블럭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100' : 옹벽블럭 110, 110', 110' : 측면돌기
120, 120', 120' : 측면요홈
130, 130', 130', 140, 140', 140' : 하부요홈
150, 150', 150' : 주앙중공부 170 : 중앙돌기
200 : 배수 홈을 갖는 옹벽블럭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옹벽용 블럭의 저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수직 또는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호형 축조가 가능하게 한 것으로, 옹벽블럭(100)에 요홈과 돌출부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인데, 옹벽블럭(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측면돌기(110)와 하부에 반구형의 측면요홈(12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타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반구형의 각각 하부요홈(130,14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옹벽블럭(100)의 중앙에 관통하는 중공부멍인 중앙중공부(150)가 형성되며,옹벽블럭(100)의 저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데 저면 양 가장자리를 따라 돌기되어 있는 가장자리돌기(160)와 저면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앙돌기(170)로 구성되고 상기 가장자리돌기(160)는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옹벽블럭(100)는 평면배열과 상하배열되어 경사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된다.
[도 4]는 복수개의 옹벽블럭(100' ,100') 들이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 좌우 결합하여 평면배열하는 경우와 상하 결합하여 복층 배열하는 경우를 동시에 도시한 도면인데, 좌우결합의 경우 하나의 옹벽블럭(100')에 형성된 측면요홈(120')가 측면에 연대어 있는 다른 옹벽블럭(100')의 측면돌기(110')에 삽입되어 결합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평면배열시 블럭과 블럭이 견고하게 결합하여 옹벽을 축조한다.
[도 4]와 같이 블럭이 단층으로 배열하여 하층을 이루고, 그 위로 블럭이 쌓여 상층을 이루는데, 상층의 옹벽블럭(100)은 하층의 옹벽블럭(100') 와 몸체(100' )사이 중간에 얹혀지는데, 상층의 옹벽블럭(100)의 저면에 형성된 일측 가장자리돌기(160)가 하층의 옹벽블럭(100')의 중앙 중공부(150')에 삽입되고, 상층의 옹벽블럭 저면 타측 가장자리돌기(170)는 하층의 다른 옹벽블럭(100')의 중공부(150')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층의 옹벽블럭(100)의 저면 하부 중앙의 중앙돌기(170)는 하층의 두 옹벽블럭(100', 100')의 두 하부요홈(140',130')이 만든 중공부에 삽입되어 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층의 블럭에서 상층과 하층의 블럭이 적층할 때 견고하게 결합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고안의 블럭은 블럭과 블럭이 결합함에 있어 돌기가 요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기에 요홈은 돌기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할정도의 여유로운 공간으로 형성하므로서 호형 배열이 가능하게 한다.
즉 [도 5]는 본고안의 블록으로 호형(弧形)배열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층의 두 옹벽블럭(100', 100')이 평면배열하고 두 옹벽블럭(100', 100') 사이 중앙 상부면에 상층의 옹벽블럭(100)이 축조되는데, 이 경우 평면배열하는 두 옹벽블럭(100, 100')의 하부요홈(140', 130')이 만드는 중공부의 크기가 [도 4]의 경우보다 더 적어 상층의 저면 하부 중앙돌기(170)가 삽입되어 결합됨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도 6]는 블럭을 축조함에 있어 [도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블럭과 블럭을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적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은 [도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블럭과 블럭을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호형(弧形)을 이루어 배열하게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을 배열 적층시키어 중앙중공부에 흙을 채워넣으면 옹벽의 축조가 완성되는 것인데, [도 8]은 본 고안의 옹벽블럭으로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고안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옹벽용 블록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옹벽용 블록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럭(200)의 상부면에 긴 요홈으로 된 배수홈(210)이 형성된다. 즉 이들 옹벽블럭(200)이 옹벽에 적층되어 축조된 상태에서 옹벽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가 배수홈(210)을 통하여 스며나오도록 하여 옹벽이 수압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옹벽에 스며든 물에 의하여 붕괴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시공을 위한 적층 작업시 적층시키고자 하는 옹벽블럭을 기 적층된 옹벽블럭에 근접시킨 후 요홈에 돌출부가 일치하게 밀어 결합하므로 적층과정에 있어서 옹벽블럭과 옹벽블럭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되어 별도의 결속수단 없이 신속하게 적층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및 수직 적층이 가능하고 적층된 옹벽블럭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철재 고정핀이 사용되지 않기에 부식으로 인한 결속력의 저하가 방지되어 배면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의하여 일부의 블럭이 밀려나가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옹벽블럭의 붕괴가 방지되며, 호형 축조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옹벽블럭을 사용하여 호형으로 축조할 경우 상기 한바처럼 상하층 옹벽블럭사이의 결합력이 강하여 축조된 상태에서 배면의 토압에 더 잘 견디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배수홈을 갖는 옹벽용 블록(200)은 옹벽이 축조된 상태에서 옹벽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를 배수할 수 있기에 수압에 의한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옹벽블럭(100)의 일측면의 상부에 측면돌기(110)와 하부에 반구형의 측면요홈(12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타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반구형의 각각 하부요홈(130,140)이 동일 선상에 형성되고 옹벽블럭(100)의 중앙에 관통하는 중공부멍인 중앙중공부(150)가 형성되며, 옹벽블럭(100)의 저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에 있어 저면 양 가장자리를 따라 돌기되어 있는 가장자리돌기(160)와 저면 하부 중앙에 형성된 중앙돌기(170)로 구성되고 상기 가장자리돌기(160)는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된 옹벽축조용 블록
  2. 제 1항에있어서, 옹벽블럭(100)은 상부면 중앙에 길게 요홈으로 된 배수홈을 형성한 옹벽축조용 블럭
KR2020000018463U 2000-06-28 2000-06-28 옹벽용 블록 KR200217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63U KR200217579Y1 (ko) 2000-06-28 2000-06-28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63U KR200217579Y1 (ko) 2000-06-28 2000-06-28 옹벽용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037A Division KR100430530B1 (ko) 2001-02-13 2001-02-13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579Y1 true KR200217579Y1 (ko) 2001-03-15

Family

ID=7308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463U KR200217579Y1 (ko) 2000-06-28 2000-06-28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42B1 (ko) * 2001-07-26 2004-09-30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42B1 (ko) * 2001-07-26 2004-09-30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465B1 (ko)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US4781492A (en) Block for revetment
KR100683972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200217579Y1 (ko) 옹벽용 블록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JP2007016555A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401122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2044178B1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KR100526235B1 (ko) 옹벽용 블록
KR100400169B1 (ko)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KR20035413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KR20110048093A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 장착구조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KR200496568Y1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KR200167843Y1 (ko) 옹벽축조용 블록
KR200341447Y1 (ko) 옹벽 적재용 블럭
KR200160542Y1 (ko) 옹벽 블럭
KR102423214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200356112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10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