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34B1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634B1 KR102146634B1 KR1020190129299A KR20190129299A KR102146634B1 KR 102146634 B1 KR102146634 B1 KR 102146634B1 KR 1020190129299 A KR1020190129299 A KR 1020190129299A KR 20190129299 A KR20190129299 A KR 20190129299A KR 102146634 B1 KR102146634 B1 KR 102146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rner
- standard block
- groove
- stand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 코너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코너에서도 옹벽 내부의 토압을 잘 견딜 수 있는 코너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시공되는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은,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표준 블럭과, 상기 전면 표준 블럭과 측면 표준 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준 블럭은, 양측에 전방 경사부를 구비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 경사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좌우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블럭은,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부는,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부의 전면과 동일하게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단 및 상기 전면부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부가 상기 전면부 또는 측면부와 이루는 각도는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 경사부의 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시공되는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은,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표준 블럭과, 상기 전면 표준 블럭과 측면 표준 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준 블럭은, 양측에 전방 경사부를 구비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 경사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좌우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블럭은,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부는,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부의 전면과 동일하게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단 및 상기 전면부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부가 상기 전면부 또는 측면부와 이루는 각도는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 경사부의 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옹벽에서 적층되는 보강토 블럭의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에 대한 것이다.
옹벽이라 함은,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 토압(土壓)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지반붕괴)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나, 산을 깍아 내릴 때, 혹은 해안을 메울 때 등에 적용된다.
직벽면의 경계벽이나 절토사면에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 보강토 블럭을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옹벽 축조 시 보강토 블럭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코너 부분에서의 옹벽 축조가 문제시 된다.
별도의 코너용 보강토 블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코너 부분을 라운드로 시공하여야 했는 바, 이러한 작업을 위한 보강토 옹벽 상부 부지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경제성 하락과 보강토 옹벽 위의 직각 건물과의 부조화로 인한 미관상 부조화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코너 부분은 토압을 제일 많이 받게 되므로 보강토 블록끼리 서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한 블록 속채움골재의 유실등으로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강토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 코너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코너에서도 옹벽 내부의 토압을 잘 견딜 수 있는 용벽 및 이에 사용되는 코너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시공되는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은,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표준 블럭과, 상기 전면 표준 블럭과 측면 표준 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준 블럭은, 양측에 전방 경사부를 구비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 경사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좌우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블럭은,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부는,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부의 전면과 동일하게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단 및 상기 전면부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부가 상기 전면부 또는 측면부와 이루는 각도는 상기 표준 블럭의전방 경사부의 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표준 블럭의 전방 경사부는 상기 후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표준 블럭의 후방부에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너 블럭의 표준 블럭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표준 블럭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코너 블럭은 한 개의 블럭으로 상기 표준블럭의 좌측 및 우측 코너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 시공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코너를 코너 블럭을 통해 시공함으로써 보강토 옹벽 상부 부지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시공의 어려움 및 경제성 하락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코너부에 설치된 코너 블럭이 코너부의 전면 및 측면에 시공된 표준 블럭과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하중에 대해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코너부에서 토압이 많이 걸려도 이에 대한 지지 저항력이 대폭 개선되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코너부를 라운드 형상이 아닌 직각 형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직각 형상의 건물 건축 시 미관의 통일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옹벽에 축조되는 보강토 블럭은 표준 블럭(100)과 상기 표준 블럭(100) 사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200)으로 이루어진다.
표준 블럭(100)은 일반적인 보강토 블럭에 해당되는 구성되며,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부(130)로 이루어진다.
전방부(110)는 평평한 형상의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상기 표준 블럭 전면부(111)의 양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 경사부(112)와, 상기 전방 경사부(112)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 경사부(113)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20)는 후방 경사부(11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후방부(130)는 연결부(12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단부에는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평형하게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코너 블럭(200)은 코너부(210)와 상기 코너부(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부(220)로 이루어진다.
코너부(210)는 평면에서 볼 때, 전면부(211)와, 상기 전면부(211)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측면부(212)와, 상기 측면부(212)의 일 단부에 시작되어 상기 전면부(211)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후면부(213)로 이루어진다.
전면부(211)와 측면부(212)가 이루는 각도는 평면에서 볼 때 통상 직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각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는 표준 블럭(100)의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후면부(213)는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의 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후면부(213)가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와 형성하는 각도는 표준 블럭(100)의 전방 경사부(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표준 블럭 수용부(220)는 전면부(211)와 측면부(212)가 이루는 각도의 중심선(cl)을 따라 대칭으로 형성된다.
표준 블럭 수용부(220)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후면부(213)의 내측으로 홈부(221)가 형성된다.
홈부(221)는 표준 블럭(100)의 전방 경사부(112) 및 후방 경사부(113)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홈부(221)의 후방에는 제1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222)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데 각각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홈부(221)를 형성하게 된다.
제1돌출부(222)의 상면 내측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222a)가 형성되고, 하면 내측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전단키(222a)를 수용할 수 있는 전단 키 수용홈(22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222)의 후방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표준 블럭 수용홈(223)이 형성된다.
표준 블럭 수용홈(223)은 각각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방 횡방향 홈(223a), 상기 전방 평행홈(223b)에 대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홈(223b), 상기 종방향 홈(223b)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횡방향 홈(223a)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후방 횡방향 홈(223c)로 이루어진다.
표준 블럭 수용홈(223)의 후방에는 제2돌출부(224)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24)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각각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방 횡방향 홈(223c)이 전방 횡방향 홈(223a)보다 더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표준 블럭(100)과 코너 블럭(2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옹벽의 코너부의 전면 및 측면에 표준 블럭(100)을 서로 인터로킹하여 시공한다.
다음으로, 전면 표준 블럭(100)의 전방부(112)의 일측을 코너 블럭(200)의 홈부(221)의 일측의 내부로 삽입하고, 표준 블럭(100)의 지지부(131)의 일측이 코너 블럭(200)의 표준 블럭 수용홈(223)의 일측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그런 다음, 측면 표준 블럭(100)의 전방부(112)의 일측을 코너 블럭(200)의 홈부(221)의 타측의 내부로 삽입하고, 측면 표준 블럭(100)의 지지부(131)의 일측이 코너 블럭(200)의 표준 블럭 수용홈(223)의 타측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코너 블럭(200)은 별도의 인터로킹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면서 코너 블럭(200)에 형성된 전단 키(222a) 및 전단 키 수용홈(222b)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본 발명에 옹벽의 코너에 코너 블럭(200)이 시공됨으로써 내부에서 토압이 작용하여 표준 블럭(100)에 가해지는 경우, 코너 블럭(200)의 양측에 형성된 표준 블럭 수용홈(222)에서 표준 블럭(100)의 지지부(131)에 의해 표준 블럭(100)이 코너 블럭(200)에 의해 지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너 블럭(200)의 양측에서 코너 블럭(200)과 표준 블럭(100)이 상호 조합되어 토압에 대한 저항 작용을 하는 바, 토압에 대한 지지저항력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표준 블럭 수용홈(223)에서 후방 횡방향 홈(223c)이 전방 횡방향 홈(223a)보다 더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표준 블럭(200)의 지지부(131)의 후면이 후방 횡방향 홈(223c)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표준 블럭(100)과 코너 블럭(200)의 안정적인 결합에 의해 토압에 의한 지지저항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코너 블럭(200)의 양측 후면부(213)에서도 표준 블럭(100)의 전방 경사부(112)가 지지됨으로써 토압의 대한 추가적이고 이중적인 지지저항력이 발생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게다가, 표준 블럭(100)의 경사 지지부(112)는 코너 블럭(200)의 전면부(211)의 내측의 후면부(213)의 내부로 삽입설치되므로, 토압 작용에 의해 표준 블럭(100)과 전방 경사부(112)와 코너 블럭(200)의 경사진 후면부(213)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틈새가 코너 블럭(200)의 전면부(211)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써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코너 블럭(200)이 옹벽에 설치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코너 블럭이 없는 경우에 비해 시공이 훨씬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코너 블럭(200)의 코너부(210)가 직각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옹벽 주변에 코너가 직각인 건물이 형성되는 경우 미관상 통일감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0 : 표준 블럭 200 : 코너 블럭
Claims (5)
-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시공되는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은,
전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표준 블럭(100)과,
상기 전면 표준 블럭(100)과 측면 표준 블럭(100) 사이에 설치되는 코너 블럭(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준 블럭(100)은,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부(110)는,
평평한 형상의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상기 표준 블럭 전면부(111)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 경사부(112)와, 상기 전방 경사부(112)와 반대편에서 상기 표준 블럭 전면부(111)의 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 경사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부(130)의 양 단부에는 상기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평평하게 돌출되는 지지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코너 블럭(200)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코너부(210)와 상기 코너부(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너부(210)와 표준 블럭 수용부(220)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너부(210)는,
전면부(211)와, 상기 전면부(211)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경사지게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측면부(212)와, 상기 측면부(212)의 일 단부에 시작되어 상기 전면부(211)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후면부(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는 상기 표준 블럭(100)의 표준 블럭 전면부(111)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213)는 전면에서는 상기 전방 경사부(112)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며 측면에서는 상기 후방 경사부(113)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표준 블럭 수용부(220)는,
상기 후면부(213)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부(221)와,
상기 홈부(221)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222)와,
상기 제1돌출부(222)의 후방에서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표준 블럭 수용홈(223)와,
상기 표준 블럭 수용홈(223)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221)의 내측으로 상기 표준 블럭(100)의 전방 경사부(112) 또는 후방 경사부(113)가 삽입되어 상기 후면부(213)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1돌출부(222)의 선단면에서 연결부(120)의 측면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표준 블럭 수용홈(223)은,
상기 전면부(211) 및 측면부(212)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방 횡방향 홈(223a),
상기 전방 횡방향 홈(223b)에 대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홈(223b),
상기 종방향 홈(223b)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횡방향 홈(223a)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후방 횡방향 홈(223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돌출부(224)는 상기 후방 횡방향 홈(223c)이 상기 전방 횡방향 홈(223a)보다 더 길게 연장됨으로써 상기 표준 블럭 수용홈(223)의 내부로 상기 지지부(131)가 삽입되고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블럭(200)은 한 개의 블럭으로 상기 표준 블럭(100)의 좌측 및 우측 코너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옹벽의 시공에 적용되는 코너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299A KR102146634B1 (ko) | 2019-10-17 | 2019-10-17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299A KR102146634B1 (ko) | 2019-10-17 | 2019-10-17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6634B1 true KR102146634B1 (ko) | 2020-08-21 |
Family
ID=7223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9299A KR102146634B1 (ko) | 2019-10-17 | 2019-10-17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663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921A (ko)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옹벽용 블록 |
KR200344106Y1 (ko) * | 2003-11-26 | 2004-03-10 | 합자회사 대덕산업 |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
KR100632966B1 (ko) * | 2006-07-21 | 2006-10-16 | 이정수 |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
KR101331840B1 (ko) * | 2013-06-14 | 2013-11-20 | (주)영신콘크리트산업 |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
-
2019
- 2019-10-17 KR KR1020190129299A patent/KR102146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921A (ko)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옹벽용 블록 |
KR200344106Y1 (ko) * | 2003-11-26 | 2004-03-10 | 합자회사 대덕산업 |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
KR100632966B1 (ko) * | 2006-07-21 | 2006-10-16 | 이정수 |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
KR101331840B1 (ko) * | 2013-06-14 | 2013-11-20 | (주)영신콘크리트산업 |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1762B1 (en) |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 |
KR101849530B1 (ko) |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 |
KR101687376B1 (ko) |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 |
CN110130529A (zh) | 一种预制装配式墙体砌块 | |
KR20170009571A (ko) |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 |
KR100632966B1 (ko) |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 |
KR102146634B1 (ko) |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 |
KR100679220B1 (ko) | 적층 가능한 건축 패널 | |
KR20200007335A (ko) |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 |
CN110678609A (zh) | 组装式抗震挡土墙砌块系统 | |
KR102041892B1 (ko) |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 |
KR100401121B1 (ko) | 조립식 옹벽 블록 | |
KR100430530B1 (ko) | 옹벽용 블록 | |
KR101148228B1 (ko) |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 |
KR100679736B1 (ko) |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 |
KR200235098Y1 (ko) | 옹벽용 블록 | |
KR20020008743A (ko) |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 |
KR101978748B1 (ko) |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2546629B1 (ko) | 보강토 옹벽블록 | |
KR100742658B1 (ko)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
KR100872999B1 (ko) |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 |
KR20160136565A (ko) | 옹벽용 블록 | |
JP3930016B2 (ja) |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KR200341447Y1 (ko) | 옹벽 적재용 블럭 | |
KR200308702Y1 (ko) | 다기능 옹벽용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