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376B1 -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 Google Patents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376B1
KR101687376B1 KR1020150041382A KR20150041382A KR101687376B1 KR 101687376 B1 KR101687376 B1 KR 101687376B1 KR 1020150041382 A KR1020150041382 A KR 1020150041382A KR 20150041382 A KR20150041382 A KR 20150041382A KR 101687376 B1 KR101687376 B1 KR 10168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weight
part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909A (ko
Inventor
양해동
Original Assignee
(주)용성제재소
용성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성제재소, 용성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주)용성제재소
Priority to KR102015004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3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8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urfing tiles, ste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용마루 및 내림마루를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암키와본체(100);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부 저면에 함몰형성된 연결홈(110); 및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서 상면이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상면보다 낮으면서, 상기 연결홈(110)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돌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를 제공된다.

Description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Roofing tile}
본 발명은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이 우수하고 견고하게 용마루 및 내림마루를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에 관한 것이다.
기와지붕에 있어서 마루는 지붕의 면과 면이 만나는 등성이로서, 이에 암키와를 여러 겹 쌓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인데, 특히, 용마루는 지붕의 제일 높은 마루로 종도리를 따라 설치되며, 이 용마루의 양끝에서 수직으로 내린 마루가 내림마루이다. 이러한 마루들에 의해 지붕의 안정감이 더해지며, 지붕의 외적미감도 향상된다.
한편, 이러한 마루는 암키와를 여러겹으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숫키와(숫마루장)을 올려서 막음하는데, 보통 암키와를 최하 석장에서 아홉 장까지 쌓아 올리고 그 위에 숫키와를 올린다.
이와 같이 암키와를 여러 장 쌓아 올리는 것은 기와가 한두 장 깨져도 물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와 같이 암키와를 여러 장 쌓아 올리면 많은 양의 기와가 소모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지붕의 무게도 무거워지므로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923호(2001.06.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견고하게 용마루 및 내림마루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단축되고 공기도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폭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암키와본체(100);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부 저면에 함몰형성된 연결홈(110); 및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서 상면이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상면보다 낮으면서, 상기 연결홈(110)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돌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홈(110)에는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보조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120)에는 상기 보조홈(112)에 정합되는 형상의 보조돌기(122)가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암키와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점토 40∼50중량부, 도석 20~30중량부, 고령토 15∼20중량부, 규조토 10∼15중량부, 마그네슘 5~12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암키와본체(100)에 형성된 연결홈(110)과 연결돌부(120)를 이용하여 이웃되는 암키와와 단부가 겹쳐지도록 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부가 겹쳐져서 맞댐방식으로 연결시공되기 때문에, 암키와들 사이에 수밀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종래의 용마루와 내림마루를 시공하는 경우와 달리 암키와를 여러 장 겹쳐서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가 절감되고, 공기단축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키와의 사용량이 감소됨에 따라 지붕의 하중이 감소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붕구조의 안정감도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기 않아도 암키와들이 일정하게 겹쳐져서 시공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며, 특히, 연결홈(110)에 보조홈(112)이 형성되고 연결돌부(120)에 보조돌기(122)가 형성되면 이들 보조홈(112)과 보조돌기(122)에 의해 암키와들이 폭방향으로 자동정렬되므로 시공이 한층 더 편리하다.
또, 상기 보조홈(112)과 보조돌기(122)에 의해 암키와들이 조립시공된 상태가 와해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의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취급성이 좋고 손상의 우려도 적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붕의 하중이 감소되므로 더욱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에도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와 3은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암키와본체(100)와,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홈(110) 및 연결돌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홈(110)은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저면에 함몰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홈(110)은 암키와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부(120)는 상기 연결홈(110)에 정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서 돌출형성되는데, 연결돌부(120)의 상면은 암키와본체(100)의 상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연결돌부(120)와 암키와본체(100)의 상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110)에 이웃되는 암키와의 연결돌부(120)가 삽입되도록 연결시공된다.
이와 같이 암키와의 연결홈(110)에 이웃되는 암키와의 연결돌부(120)가 삽입되어 암키와가 맞댐방식으로 연결시공되기 때문에, 암키와들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용마루나 내림마루를 시공할 때와 같이 암키와들을 여러 장 겹쳐서 시공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암키와의 단부가 맺댐방식으로 연결시공되어 암키와들 사이에 수밀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암키와를 여러 장 겹쳐서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가 절감되고, 공기단축효과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의 하중이 감소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암키와의 연결홈(110)에 이웃되는 암키와의 연결돌부(120)가 삽입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암키와를 시공하기가 용이한 편리하다. 특히, 작업자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암키와가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지면서 조립 시공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돌부(120)의 상면에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보조돌기(122)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홈(110)에는 상기 보조돌기(122)에 정합되는 형상의 보조홈(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암키와를 시공하면 상기 보조돌기(122)가 이웃되는 암키와의 보조홈(112)에 삽입된다.
이들 보조돌기(122)와 보조홈(112)은 암키와들을 좌우로 정렬시키고, 또한, 정렬된 상태가 쉽게 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조돌기(122)가 이웃되는 암키와의 보조홈(112)에 삽입됨에 따라 작업자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기 않아도 암키와들이 좌우로 정렬되게 시공되며, 또한, 좌우로 정렬되게 시공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점토, 도석, 고령토, 규조토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다.
점토(粘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40∼50중량부 포함되는데, 점토의 양이 40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나빠지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석(陶石)은 견운모, 규석, 단백석을 주 광물학적 성분으로 하는 암석으로, 굳기는 1~3, 비중은 2.61~2.74 정도이다. 도석의 견운모의 함량이 높을수록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견운모의 함량이 높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도석은 본 발명의 강도증가를 위해 사용되는데,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20~30중량부 포함된다. 도석의 양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저하되고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도석에 의한 강도 증가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성이 떨어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고령토(高嶺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5∼20 중량부 포함된다. 고령토의 양이 15중량부 미만이면 소성시 수축율이 높아져서 제품의 변형이 발생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규조토(硅藻土)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0∼15중량부 포함된다.
그리고 마그네슘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5~12중량부 포함된다. 마그네슘이 함유됨에 따라 본 발명이 경량화되고, 강도도 향상된다. 마그네슘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마그네슘에 의한 경량 및 강도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12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감소되어 본 발명의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기와조성물로 성형되는 본 발명은 경량이여서 다루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도 높은 장점을 가진다.
100. 암키와본체 110. 연결홈
112. 보조홈 120. 연결돌부
122. 보조돌기

Claims (3)

  1. 폭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암키와본체(100);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일단부 저면에 함몰형성된 연결홈(110); 및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서 상면이 상기 암키와본체(100)의 상면보다 낮으면서 상기 연결홈(110)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돌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홈(110)에는 암키와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보조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120)에는 상기 보조홈(112)에 정합되는 형상의 보조돌기(122)가 돌출 형성되며,
    암키와의 연결홈(110)에 이웃되는 암키와의 연결돌부(120)가 삽입되어 암키와가 맞댐방식으로 연결시공가능하되, 보조돌기(122)가 이웃되는 암키와의 보조홈(112)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홈 및 연결돌부를 포함한 암키와본체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점토 40∼50중량부, 도석 20~30중량부, 고령토 15∼20중량부, 규조토 10∼15중량부 및 마그네슘 5~12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2. 삭제
  3. 삭제
KR1020150041382A 2015-03-25 2015-03-25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KR10168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82A KR101687376B1 (ko) 2015-03-25 2015-03-25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382A KR101687376B1 (ko) 2015-03-25 2015-03-25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09A KR20160114909A (ko) 2016-10-06
KR101687376B1 true KR101687376B1 (ko) 2016-12-28

Family

ID=5716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382A KR101687376B1 (ko) 2015-03-25 2015-03-25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3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26B1 (ko) * 2017-02-07 2018-01-02 김종화 플라스틱 기와를 이용하는 한옥 기와지붕
KR20190000933U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푸른지붕 건축물 지붕의 강판마감재
KR102113283B1 (ko) 2019-11-29 2020-05-20 (주)산청토기와 건식 및 습식시공용 한식 이형 암기와 및 그 이형 암기와의 제조방법
KR102185075B1 (ko) 2020-05-04 2020-12-01 (주)산청토기와 겹침조립 용이성이 증대된 건식 및 습식 시공용 이형 암기와
KR102186524B1 (ko) 2020-05-04 2020-12-03 (주)산청토기와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KR102317431B1 (ko) 2021-04-21 2021-10-26 (주)노당기와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23Y1 (ko)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JP2005060163A (ja) 2003-08-12 2005-03-10 Nichiha Corp 軽量無機質板および該無機質板の製造方法
KR100916739B1 (ko) * 2008-08-25 2009-09-14 정민석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289A (ko) * 2012-12-12 2014-06-20 한채당한옥(주) 기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23Y1 (ko)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JP2005060163A (ja) 2003-08-12 2005-03-10 Nichiha Corp 軽量無機質板および該無機質板の製造方法
KR100916739B1 (ko) * 2008-08-25 2009-09-14 정민석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26B1 (ko) * 2017-02-07 2018-01-02 김종화 플라스틱 기와를 이용하는 한옥 기와지붕
KR20190000933U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푸른지붕 건축물 지붕의 강판마감재
KR200489201Y1 (ko) * 2017-10-12 2019-05-15 주식회사 푸른지붕 건축물 지붕의 강판마감재
KR102113283B1 (ko) 2019-11-29 2020-05-20 (주)산청토기와 건식 및 습식시공용 한식 이형 암기와 및 그 이형 암기와의 제조방법
KR102185075B1 (ko) 2020-05-04 2020-12-01 (주)산청토기와 겹침조립 용이성이 증대된 건식 및 습식 시공용 이형 암기와
KR102186524B1 (ko) 2020-05-04 2020-12-03 (주)산청토기와 빗물역류 및 결로발생 방지 기능을 겸비한 점토 양와바닥
KR102317431B1 (ko) 2021-04-21 2021-10-26 (주)노당기와 습건식 시공용 경량내진형 한식 암기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09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376B1 (ko) 용마루 및 내림마루용 암키와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TWI604112B (zh) Green building light partition brick
CN103953067A (zh) 基坑围护与地下箱型主体结构一体化结构及其建造方法
CN208379891U (zh) 一种带有榫卯结构的预制混凝土抗震砌块
KR101071364B1 (ko)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CN205421614U (zh) 一种房屋建筑快速施工墙体
WO2006123862A1 (en) Floor panel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CN219045236U (zh) 一种防潮石砖
KR101978748B1 (ko)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CN206256367U (zh) 一种钢波纹板拱桥侧墙结构
RU2561396C2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угол стены и стена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KR101154074B1 (ko)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47119B1 (ko) 선착장용 바닥재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20160002377U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CN219710733U (zh) 一种牢固型水泥空心砖
KR102295764B1 (ko)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CN217439253U (zh) 一种抗剪抗拉的墙体
CN211572083U (zh) 一种防渗水的装配式建筑墙体
CN203891411U (zh) 一种新型的扣型连接地板
CN220521842U (zh) 一种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