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74B1 -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74B1
KR101154074B1 KR1020100010352A KR20100010352A KR101154074B1 KR 101154074 B1 KR101154074 B1 KR 101154074B1 KR 1020100010352 A KR1020100010352 A KR 1020100010352A KR 20100010352 A KR20100010352 A KR 20100010352A KR 101154074 B1 KR101154074 B1 KR 10115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rick
protruding
workabilit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520A (ko
Inventor
정만영
Original Assignee
정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영 filed Critical 정만영
Priority to KR102010001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th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축력(축방향력) 및 수평력(횡력)이 증진되고, 시공성이 간편하여 작업성을 높이며, 단열 및 누수 등에 강한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있어서, 중심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 돌출된 길이만큼 하부는 함몰되는 제1 함몰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양 측면의 시작지점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제1 돌출부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돌기와, 상기 제1 돌출부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돌출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2 함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작업의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구조물 축조가 가능하여 인건비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성, 차수성이 뛰어나 벽면의 수명이 길게 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Block of mar-quetry type improved insulation, prevention of flood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축력(축방향력) 및 수평력(횡력)이 증진되고, 시공성이 간편하여 작업성을 높이며, 단열 및 누수 등에 강한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건축구조물은 벽돌 또는 콘크리트 벽돌을 모르타르로 점착하여 쌓는 구조로서, 주택이나 창고 및 빌라 등과 같은 건물의 벽체축조에 쓰이고, 내구성이 좋으며 내화구조이고 경제적이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적식으로 축조된 벽체의 강도는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벽체의 두께 및 높이, 길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벽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벽돌 자체의 강도와 모르타르의 강도뿐만 아니라 벽체의 두께, 벽량 등이 합리적으로 계산되어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조적식 벽돌은 평면상 직사각의 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벽돌을 이용하여 각종 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돌 위에 모르타르를 얹어 놓은 후 그 모르타르 위에 하측 벽돌과 어긋나는 위치에 새로운 벽돌을 쌓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조적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벽돌(또는 블록)은 쌓기 시 평면형의 벽돌과 벽돌사이에 쌓기용 줄눈몰탈 만을 사용하여 벽돌을 쌓기 때문에 기밀성이 떨어져 벽돌과 벽돌사이의 줄눈을 통해 외기가 침투하여 단열성이 극히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벽돌은 그 형상이 대부분 직사각형 구조로써, 벽 형성 시 벽돌과 벽돌사이 줄눈부위가 평면적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줄눈부위를 통해 우수 등이 침투하여 누수가 진행되고, 재료의 함습에 따른 백화현상 및 곰팡이균 오염, 내부 마감재(석고보드, 벽지 등) 손상 등 건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벽돌의 경우 쌓기 시 수직도와 수평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조적공(벽돌 쌓는 기능공)만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인건비 상승 등의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벽돌의 경우 건축공사표준시방서상 하루 쌓기 높이가 1.2~1.5m 이내로 제한되어 있어 일정 높이가 되면 조적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누구나 벽돌을 이용하여 조적할 후 있으며, 벽돌과 벽돌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차수,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있어서, 중심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 돌출된 길이만큼 하부는 함몰되는 제1 함몰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양 측면의 시작지점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제1 돌출부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인 수평줄눈 높이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돌출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2 함몰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서로 대향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돌을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벽돌을 쌓을 지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단계와, 상기 평탄화된 지면위에 제1 함몰부에 삽입될 몰탈을 깔고 각각의 벽돌 사이사이의 제2 함몰부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첫 단을 쌓는 첫 단 쌓는 단계와, 상기 첫 단 쌓기 단계를 거친 후 제1 돌출부의 상부에 단열재를 삽입하고, 첫 단의 상부로부터 적층되는 벽돌들은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엇갈리도록 벽돌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 단계를 거쳐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작업의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구조물 축조가 가능하여 인건비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성, 차수성이 뛰어나 벽면의 수명이 길게 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쪽매형 벽돌이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쪽매형 벽돌이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물의 벽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조적되는 벽돌(10)에 있어서, 중심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와, 상기 제1 돌출부(11)에 돌출된 길이만큼 하부는 함몰되는 제1 함몰부(12)와, 상기 제1 돌출부(11)의 양 측면의 시작지점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제1 돌출부(11)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인 수평줄눈 높이로 돌출되는 돌기(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11)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 돌출부(13)와, 상기 제2 돌출부에 돌출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2 함몰부(14)가 더 형성된다.
상기한 제1, 2 돌출부(11, 13)는 제1, 2 함몰부(12, 14)에 각각 삽입되어 결속력을 강화하도록 하며, 그 사이사이에 제1 돌출부(11)와 제1 함몰부(12) 및 제2 돌출부(13)와 제2 함몰부(14)에 별도의 단열재(2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돌기(15)는, 서로 대향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적층되는 벽돌(10)이 접하는 부분에 수평줄눈 높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축력에 대하여 벽돌의 강도 그대로 견딜 수 있는 내력을 갖게 하여 벽면이 더욱더 강한 압력 및 외부 충격에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최초 작업자는 벽돌을 쌓을 지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단계(S11)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벽돌(10)의 지면과 수평이 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평탄화된 지면위에 제1 함몰부에 삽입될 몰탈을 깔고 각각의 벽돌 사이사이의 제2 함몰부에 단열재(20)를 삽입하여 첫 단을 쌓는 단계(S12)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첫 단 쌓기 단계를 거친 후 제1 돌출부의 상부에 단열재(20)를 삽입하고, 첫 단의 상부로부터 적층되는 벽돌들은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엇갈리도록 벽돌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S13)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적층 단계(S13)를 거친 후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 형성단계(S14)를 거쳐 벽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시공사항은 건축공사표준시방서 중 벽돌공사 및 블록공사의 내용을 준용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벽돌은 쪽매형으로 벽돌(또는 블록)을 만들어 조적벽이 시스템화 될 뿐만 아니라 벽돌의 중심부에 직사각형의 판형 단열재를 넣고 내, 외부에 쌓기용 줄눈을 시공하기 때문에 벽 형성 시 단열성이 매우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건축물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곳에서 널리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10 : 벽돌(또는 블록) 11 : 제1 돌출부
12 : 제1 함몰부 13 : 제2 돌출부
14 : 제2 함몰부 15 : 돌기
20 : 단열재

Claims (4)

  1. 건물의 벽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조적되는 벽돌에 있어서,
    중심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와, 상기 제1 돌출부(11)에 돌출된 길이만큼 하부는 함몰되는 제1 함몰부(12);
    상기 제1 돌출부(11)의 양 측면의 시작지점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제1 돌출부(11)의 높이보다 상기 제1돌출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는 벽돌의 상기 제1함몰부 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재(20)의 두께만큼 낮은 높이인 수평줄눈 높이로 대향되어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11)는,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 돌출부(13)와, 상기 제2 돌출부(13)에 돌출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2 함몰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2. 삭제
  3. 삭제
  4. 벽돌을 쌓을 지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단계(S11);
    상기 평탄화된 지면위에 제1 함몰부에 삽입될 몰탈을 깔고 각각의 벽돌 사이사이의 제2 함몰부에 단열재(20)를 삽입하여 첫 단을 쌓는 첫 단 쌓는 단계(S12);
    상기 첫 단 쌓기 단계를 거친 후 제1 돌출부의 상부에 단열재(20)를 삽입하고, 첫 단의 상부로부터 적층되는 벽돌들은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엇갈리도록 벽돌을 적층하는 적층 단계(S13) 및
    상기 적층 단계(S13)를 거쳐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 형성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00010352A 2010-02-04 2010-02-04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352A KR101154074B1 (ko) 2010-02-04 2010-02-04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352A KR101154074B1 (ko) 2010-02-04 2010-02-04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520A KR20110090520A (ko) 2011-08-10
KR101154074B1 true KR101154074B1 (ko) 2012-06-11

Family

ID=4492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352A KR101154074B1 (ko) 2010-02-04 2010-02-04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441335U (zh) * 2017-05-02 2019-01-29 深圳市梦圆翔建材科技有限公司 拐角砌块及包含该拐角砌块的砌块套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688U (ko) * 1988-02-03 1989-09-08 진추경 건축용 블록
KR200280040Y1 (ko) 2002-04-03 2002-06-27 주식회사 야키 황토벽돌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688U (ko) * 1988-02-03 1989-09-08 진추경 건축용 블록
KR200280040Y1 (ko) 2002-04-03 2002-06-27 주식회사 야키 황토벽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520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11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US10214905B2 (en) Composite structure members for construction of multi-floor structures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HRP20040052A2 (en) The building module and the method of erecting walls of build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odules
KR101154074B1 (ko)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3939B1 (ko) 벽돌 조립용 사각형 연결구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KR20070076060A (ko) 조적용 벽돌
CA3195239A1 (en) Pre-insulated block
KR101975755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CN105386558A (zh) 一种互锁抗拉砌体砖
KR100562516B1 (ko)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KR102154717B1 (ko) 건축용 복합 단열 석재
KR100688448B1 (ko)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CN210216894U (zh) 一种抗水且软化性好的加气砖
CN211369153U (zh) 一种建筑保温砖
KR100743386B1 (ko) 건축용 티형 블럭
KR200419931Y1 (ko)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내진설계용 벽돌
CN202731060U (zh) 一种侧面具有竖向矩形凹槽的抗震的建筑墙体砌块
KR20050093984A (ko) 황토 벽돌
KR200389551Y1 (ko)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내진설계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